KR830001248B1 - 편향 및 고압회로용 철공진형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편향 및 고압회로용 철공진형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48B1
KR830001248B1 KR1019800000290A KR800000290A KR830001248B1 KR 830001248 B1 KR830001248 B1 KR 830001248B1 KR 1019800000290 A KR1019800000290 A KR 1019800000290A KR 800000290 A KR800000290 A KR 800000290A KR 830001248 B1 KR830001248 B1 KR 83000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voltage
deflection
high voltag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465A (ko
Inventor
스타 웬트 프랭크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퍼레이숀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퍼레이숀,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퍼레이숀
Publication of KR83000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 및 고압회로용 철공진형 전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편향 및 고압회로용 고주파 철공진형의 전기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에 사용된 고주파철공진 변압기 및 권선구조의 도해도.
제3도는 선 3-3을 따라 제2도의 변압기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변압기에 대한 상이한 코어배열의 도해도.
제5도는 제1도의 회로와 관련된 파형도.
본 발명은 편향 및 고압회로용 고주파철공진 트랜스포머를 구비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용 편향 및 고압전원에서, 보통편향회로용 B+공급전압과 고압얼토가속전위(the high voltage ultor accelerating potential)는 두개의 다른 방식으로 유도되는데, 즉 B+전압은 정류되고 여파되는 메인교류선들로부터 유도되고, 한편 얼토가속 전위는 수평출력 또는 플라이백(flyback) 트랜스포머에서 얻어지는 정류된 플라이백 펄스로부터 유도되는 각각의 배열때문에 두개의 전원장치들이 비교적 값비싸게 별도로 사용되어야만 한다.
고압을 조절하기 위해, 고압자체가 직접 조절되던가 B+전압이 비교적 복잡한 전자직렬 스위칭 또는 분로조절기들에 의해 보통 조절되는데 이러한 회로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고압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할때 텔레비젼 수상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보호회로를 추가시켜야 했다.
대부분의 텔레비젼 수상기들은 얼토비임전류를 변화시킴으로서 일정한 라스터폭을 유지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은 얼토전압을 변화시킴으로서 라스터폭 즉, 영상칫수가 일정함을 유지되게하는 방식으로 B+라스터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서 그 회로가 얼토전압을 변화시켜 영상치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보통 B+전압 변동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일차권선에 도전성으로 결합되는 직렬저항을 구비시켜지나 혹은 비임 전류변동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도록 B+전압을 변동시키는 추가의 B+조절제어회로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 종전의 방법에서는 전력이 직렬 저항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었으나, 최근의 방법에서는 추가회로로 인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가이었다.
어떤 조정기들은 B+조정전압을 제공하도록 60Hz 철공진 트랜스포머와 같은 60Hz 메인 AC라인 조정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데 왜냐하면 60Hz의 저주파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비교적 크고 무거운 변압기가 사용되어야만 하며, 더우기 고압은 비교적 큰 전력이 흐르도록 설계된 비교적 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의해 별도로 공급된다.
종래 기술에서 논의된 기타 텔레비젼 수상기 조정기 회로들은 철공진 모드 그 자체로 동작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으로서 고압을 조정한다. 플라이백 펄스들은 플라이백 1차권선에 결합되고 그러면 얼토고압권선은 바람직한 주파수에 동조되는데 왜냐하면 B+전원은 AC라인이 공급을 유지하는 바와 같은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유도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정회로는 B+전압이 조절되어야 할 경우 제공되어야만 하고, 만일 B+전압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일정한 라스터폭을 유지시
고압회로를 유도하는 대부분의 플라이백에서 고압회로는 고압권선에 요구되는 회선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실제 필요한 얼토전위 이하의 피이크 전압을 발생시키고 그러면 고압배율기(multiplier)는 소정의 레벨로 그 전압을 승압시킨다. 대부분의 전압비율기들은 설계상 AC전압의 두 극성이 사용되어야 되기 때문에 배율기는 음극 및 양극부분의 크기가 거의 동일한 AC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좋다. 만일 한 극성이 다른 하나 보다 훨씬 작다면 이동안 동작하는 캐패시터와 다이오드들은 아주 작은 전압을 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텔레비젼 수상기 내의 편향 및 고압회로용 철공진전원은 교류전류전압원을 포함하고, 철공진 트랜스포머는 자기코어, 교류전압원에 결합되는 제1권선, 그리고 자기코어의 코어부분 둘레에 감기고 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압단자에 결합되는 고압권선으로 구성되며, 제2권선은 자기 코어의 코어부분 둘레에 감기며 주사공급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주사공급전압단자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교류전류 전압의 각 주기동안 고압하에 코어부분을 포화시키는 순환전류를 발생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120VAC, 60Hz의 AC 라인 메인 전압은 단자(21 및 22)에 그 다음 전파 브리지정류기(25)의 입력단자들(23 및 24)에 인가되고, 전류제한저항(30)은 단자들(21 및 23)간에 결합된다. +150VDC의 DC전압은 단자(26)에서 발생되며 단자(26)에 교차로 결합된 캐패시터(27)와 AC 라인 주공급원으로부터 격리되지 않은 공통접지 전류귀환단자인 단자(28)에 의해 여파된다. 저항(29)은 +150V 공급단자(26)에 결합된다. +20DVC의 낮은 DC 전압원은 저항(29)에 결합되는 제너다이오드(33)의 캐소드단자(32)에 발생된다.
고주파 구형파 파워발진기(35)는 정현파발진기(36), 푸슈풀 스퀘어링단(37), 파워출력단(38)으로 구성된다. 정현파 발진기(36)는 자체 발진하며 캐패시터(40)와 결합 트랜스포머(41)의 권선(41a)을 포함하는 공진 LC 탱크 회로(45)에 결합되는 콜렉터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39)로 구성되는데 트랜지스터(39)의 콜렉터 전압은 저항(42)을 통하여 권선(41a)의 탭단자(48)에 인가되는 +20볼트 전원으로부터 얻어진다.
바이패스 캐패시터(43)는 탭단자(48)에 결합되고, 저항(42)은 20볼트를 17볼트로 감소시키며 캐피시터(43)는 정류된 60Hz 입력전압으로부터 리플을 제거하는데 도와준다. 자체발진모드로 발진기(36)를 지속시키기 위한 AC 궤환은 탱크 회로(45)와 트랜지스터(39)의 베이스전극간에 결합되는 캐패시터(44)에 의해 구성되고 베이스 전극에 대한 DC 바이어스는 저항(42)에 결합되는 전압분할저항(46과 47)에 의해 구성된다.
정현파발진기(36)는 권선(41a)내의 고주파 정현파 전압을 발생한다. 탱크회로(45)의 공진주파수는 예를들면 약 15.75KHz의 수평편향주파수 1/TH에 근사하도록 선택된다. 실용수평 플라이백 트랜스포머(68)로부터 얻어지는 수평귀선펄스(67)는 발진기(36)의 동기 입력단자(69)에 인가된다. 수평 귀선펄스들(67)은 전압 분할저항(71 및 72)의 저항(71)과 캐패시터(70)를 통하여 단자(69)로부터 트랜지스터(39)의 에미터에 AC 인가된다. 수평귀선펄스들(67)은 수평귀선기간내에 트랜지스터(39)를 차단시킴으
정현파 발진기(36)의 권선(41a)내의 고주파 정형파전압은 저항(51과 52)을 통하여 각각 푸슈풀 트랜지스터(49와 50)의 베이스로 트랜스포머(41)의 권선(41b)에 의해 인가된다. 권선(41b)의 중앙탭은 접지되어 있다. 스퀘어링단(37)은 정현파발진기(36)에 의해 발생된 정현파 전압을 동일 주파수의 구형파전압으로 변환한다. 구형파 전압은 파워출력단(38)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정현파보다 더 좋다.
스퀘어링단(37)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구형파 전압은 결합트랜스포머(53)의 권선(53a)으로부터 트랜스포머(53)의 권선(53b)을 거쳐서 각각의 저항(56 및 57)을 통하여 푸슈풀파워트랜지스터(54 및 55)의 베이스들에 인가된다. 병렬로 결합된 저항(58)과 캐패시터(59)는 권선(53b)의 중앙탭과 트랜지스터(54와55)의 에미터들의 공통 접합점간에 결합된다. 저항(58)과 캐패시터(59)는 파워출력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들에서 네가티브 바이어스(negative Bias :負) 전압을 제공하도록 기능을 한다.
다이오드(60)는 트랜지스터(54)의 콜렉터에 결합되는 다이오드(60)의 캐소드와 함께 트랜지스터(54)의 콜렉터-에미터전극들 양단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다이오드(61)는 트랜지스터(55)의 콜렉터에 결합된 다이오드(61)의 캐소드와 트랜지스터(55)의 콜렉터-에미터전극들 양단에 결합된다. 다이오드들(60 과 61)은 트랜지스터들을 파괴시킬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전압 스파이크의 피이크전압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파워출력단(38)은 트랜지스터들(54와 55)의 콜렉터전극들 즉 출력단(62 및 63)에서 고주파 교류 구형파전압(63)을 제공한다. 전압(63)은 고주파철공진 트랜스포머(65)를 위한 조정안된 에너지원으로서 또는 여기(勵起) 전압으로서 작용한다. 입력 또는 일차권선(65a)은 파워 출력단(38)의 출력단(62와 63) 양단에 결합된다. 파워출력단(38)의 공급전압은 일차권선(65a)의 중앙탭단자(66)에 결합되는 단자(26)에서 조정되지 않는 +150볼트 DC로부터 얻어진다.
고주파 철공진 트랜스포머(65)는 일차권선(65a), 저전압이차권선(65b), 고전압이차권선(65c) 그리고 자기코어(165)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코어(165)는 두개의 코어부분(165a, 165b)으로 구성된다. 코어부분(165a)은 c형 부재로서 형성된다. 코어부분(165b)은 자성재료의 비교적 얇은 장방형 슬랩(slab)으로 표면 면적대용적비가 비교적 크게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권선(65a)은 c형 코어부분(165a) 중심부의 둘레에 감긴다. 저전압 이차권선(65a)은 슬랩코어부분(65b) 둘레에 감긴다. 고압권선(165b)은 저압권선(65c) 둘레에 동심적으로 감긴다. 각각의 이차권선들(65b와 65c)은 원통형코일형(265b와 265c) 각각의 둘레에 감긴 층이다. 기타 적당한 권선배치가 대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압권선(65c)은 저압권선(65b) 위에 직접 감긴 층일 수 있다.
저 및 고압권선들의 분절된 Pi 권선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어(165)는 감소되는 횡단면 영역으로된 두개의 c형 코어들의 각부들(765a 및 865a)과 함께 그들의 각부들을 따라서 함께 버트되는 c형 코어들(765 및 865)로 형성되는 정방형 코어일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되지 않은 저압권선(65b)과 고압권선(65c)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쪽 각부 둘레에 감겨있는 입력 또는 일차권선(65a)과 함께 제2도에서와 같은 각부들(765a와 865a) 둘레에 중심적으로 감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압이차권선(65b)의 도체는 단자(101)에 결합되며 다른 도체는 AC 라인메인 전원으로부터 도전적으로 절연되는 0 전류귀환기준단자(102)에 결합된다. 이 단자는 접지전위에 있다. 저압 이차권선(65b)은 반파정류기(401)를 통하여 주사공급 전압단자(301)에 결합된다. 단자(101과 102)양단의 저압권선(65b)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 전압은 정류기(401)에 의해 정류되어 캐피시터(501)에 의해 여파되는 반파이다. +120볼트 DC의 B+주사공급전압은 주사공급전압단자(301)에서 발생된다. 저압이차권선(65b)의 기타 탭도체들은 권선으로부터 유도되며 각 단자들(303과 304 및 305)에 +30볼트, +72볼트 및 +210 볼트낮은 DC 전압을 제공하도록 각 전류기들(403과 404 및 405)에 결합된다. 여파기 캐피시터들(503과 504 및 505)은 다이오드들(403 및 404 및 405)의 캐소드들에 각각 결합된다.
수평편향회로(73)는 종래의 수평발진기 및 구동회로(74), 감쇠다이오드(77) 및 수평출력트랜지스터(78)를 포함하는 편향소인선 스위치(76), 수평권선캐패시터(79) 그리고 직렬결합된 수평편향권선(80)과 소인선 캐패시터(81)로 구성된다. 소인선 캐패시터(81) 양단의 전압 Vt는 수평편향권선(80)의 소인선 전압원으로서 작용한다. 각각의 수평소인선 기간중, 소인선스위치(76)는 도통되어 수평편향권선(80) 양단의 소인선전압 Vt를 결합시킴으로서 편향권선내의 소정의 수평톱니주사전류를 발생시킨다.
소인선전압 Vt를 얻기 위해 소인선 캐패시터(81)는 상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68)의 일차권선(68a)을 통하여 B+주사공급전압단자(301)에 결합된다. 따라서, 소인선전압의 Vt의 평균값 또는 DC값은 +120볼트 DC의 B+주사공급전압과 사실상 동일하다.
수평귀선기간중, 소인선 스위치(76)가 커트오프됨으로서, 수평편향권선(80)과 수평귀선 캐패시터(79)는 발진의 반주기로 공진한다. 상용플라이백 트랜스포머(68)의 일차권선(68a)에서 발생되는 수평권선펄스들은 플라이백 이차권선들(68b와 68c)에 결합되는 트랜스포머이다. 이차권선(68b)의 단자들(82 및 83)은 소거 및 수평동기회로와 같은 회로에 상용귀선펄스들을 결합시킨다. 이차권선(68c)은 고주파 구형파 파워발진기(35)의 발진기(36)를 동기시키는데 사용되는 귀선펄스원(67)으로서 작용한다.
대부분의 종래 텔레비젼 수상기 전원회로에서, 얼토 가속전위는 정류귀선펄스들로부터 유도된다. 그러나 제1도의 회로에서 얼토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은 고압이차권선(65c) 양단에 발생된 고주파 교류전류고압이다. 단자(106과 107) 양단에 발생되는 이 교류전류고압은 다이오드들(85와 86 및 87)과 3개의 캐패시터들(88과 89 및 90)로 구성된 전압배율기회로(84)에 의해 정류되고 배압된다. 다이오드(87)의 캐소드는 얼토단자 U에 결합되고, 이 단자에서 +27KV DC의 얼토 가속전위가 발생된다 .다이오드(85)의 캐소드에서 발생되는 중간 DC 고압은 텔레비젼 수상기 음극선관의 포커스 전극에 대한 포커스 전압으로서 작용한다.
고압이차권선(65c)내의 고압 및 이차권선(65b)내의 저압을 제공하는 철공진 트랜스포머(65)로서 얼토가속전위원 및 B+주사전원전압은 비교적 복잡하며 오차가 심한 전자조정회로의 필요성 없이 조정된다. 이차권선(65b와 65c) 양단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공진캐패시터(9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자(101)에서 저전압 이차권선(65b)에 또는 얇은 슬랩코어부분(165b) 둘레에 감긴 다른 권선에 결합될 수 있다. 캐패시터(91)의 값은 캐패시터(91)와 저압 이차권선(65b)이 여기 전원의 주파수 근처에 즉, 고주파 교류 전류전압(64)의 15.75KHz 주파수 근처에서 공진하도록 선택된다. 아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어떤 환경하에서 캐패시터(91)는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생략될 수 있다. 만일 충분한 권선용량이 고압이차권선내에 존재할 경우, 추가 캐패시터는 불필요하다.
권선(65b)과 캐패시터(91)내에 흐르는 순환 공진 전류는 순환전류 발진의 각 반주기 동안 저압권선(65b)및 고압권선(65c) 하에서 코어를 자기적으로 포화시키는 데에 도움을 준다. 코어를 그렇게 포화시킴으로서 그에 의해 이차권선(65b 및 65c)내에서 유도된 전압은 조절된다.
제5(a)도내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주파철공진 트랜스포머(65)의 일차권선(65a)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 V65a는 TH=63.5 마이크로초(㎲)의 주기를 갖는 주파수 15.75kHz의 대칭구형파 전압이다. 이차권선(65c) 양단의 고압은 또한 제5(b)도내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적 대칭인 구형파전압 V65c이다. 단자(101 및 102)양단의 저압권선(65b)에 의해 발생된 구형파는 정류기(401)가 도통되는 중 발생하는 상부평평한 부분으로서 제5(c)도에 도시되어 있다(단자 26으로부터). 일차권선(65a)으로 흐르는 입력전류 I65a는 제5(d)도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들(54와 55)의 스위칭 순간 근처 즉, 제5(a)도의 파형 V65a의 선단 및 후단부들 근처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일정한 전류이다.
제5(e)도에 도시된 캐패시터(91)내에 흐르는 공진 또는 순환전류 ic 및 단자(101 및 102)간의 저압이차권선(65b)은 저압이차권선(65b)과 고압이차권선(65c) 아래의 코어부분(165b)을 자기적으로 포화시켜가는데 도움을 준다. 포화는 순환전류파형 ic의 피이크부분(94와 95) 근처에서 발생한다.
일차권선(65a) 아래의 코어부분(165a)이 불포화중, 코어부분(165b)의 포화를 제공하기 위해 제2도의 슬랩(165b)의 횡단면영역은 c형 코어(165a)의 횡단면 영역보다 더 작게 만든다. 제2도의 선(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단면 영역 a=(t).(w) 즉, 슬랩(165b)의 두께 t와 폭 w의 곱은 횡단면영역 A=wf, 즉 c형 코어(165a)의 측면들 w와 f의 곱보다 훨씬 적다. 아래에 리스트된 값에 대하여 비 a/A는 약 0.19이다.
제1도의 회로의 동작 후 저압이차권선(65b)과 고압이차권선(65c) 아래의 코어부분(165b)을 포화시킴으로서 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제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재료의 포화자속세기 Bsat는 온도가 증가함으로서 감소한다. 왜냐하면, 철공진 트랜스포머에서 이차권선(65b와 65c) 양단에 발생되는 전압은 Bsat의 함수이기 때문에 냉각능력을 증가시킨 이차권선과 코어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상승되는 온도를 제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의 상승은 고주파 동작시의 증가하는 코어손실과 그리고 비교적 높은 주파수 포화순환 전류와 같은 요소로부터 비교적 큰 I2R 손실들로 인하여 발생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분(165b)은 두께 t, 폭 w 및 기장 1의 얇은 슬랩으로 구성된다. 아래에 리스트된 대표값들로, 슬랩(165b)의 표면 면적대 용적의 비는 예로서 40 : 1로서 비교적 크므로서 얇은 슬랩의 냉각을 증가시킨다.
더우기, 원통형 코일형태(265b)의 내경은 또한 슬랩(165b)의 두께 t보다 더 크므로서 권선들(65b 및 65c)이 권선들과 코어간의 비교적 큰 공간으로서 슬랩코어부분(165b)둘레에 느슨하게 감기도록 해준다. 그에의해 코어의 대류적 냉각은 상승된다. 그러한 코어형태는 F. S. Wendt에 의해 1979년 1월 30일 출원된 미국특허 출원서 제007,814호, 제목 "고주파 철공트랜스포머"에 기술되어 있다.
만일 코어온도의 증가가 비교적 적은 정도면, 코어 부분(165b)에 대한 종래의 코어처리는 코어둘레에 더 빽빽히 감긴 권선(65b와 65c)을 갖는 4각형 또는 원형 횡단면 코어와 같은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권선(65c)양단의 고압 A65c는 네가티브(負의)부분(93)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포지티브(正의)부분 (92)의 크기를 갖는 비교적 대칭구형파이다. 실례로, V65c에 대한 18kv의 피이크 대 피이크 스윙전압으로서 단 3개의 정류기들과 2 또는 3개의 캐패시터들은 예를들어 +27kv의 얼토전압을 얻도록 제1도의 전압배율기회로(84)에서 필요하다. 다이오드들(85와 87)은 V65c의 포지티브 부분들을 정류하는 한편 다이오드(86)는 네가티브부분을 정류한다. 따라서, 얼토전압은 네가티브 크기에 추가된 V65c의 포지티브 크기의 약 두배와 같다. 캐패시터(90)는 키네스코프(kinescope)상의 도전성피복이 충분한 여파용량을 제공할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제5(b)도의 포지티브부분(92)의 것과 동일한 크기의 포지티브귀선 펄스들을 정류시키는 종래의 고압전압전원들은 동일한 얼토 전압을 얻도록 배율기배열로 5 또는 6개의 다이오드들과 연관된 캐패시터들을 요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고주파 철공진 트랜스포머 장치는 조정된 B+주사공급전압과 조정 소인선 전압 Vt를 제공하며 또한 조정고압을 제공한다. 그러한 배열로서, 수평편향회로(73)의 설계기준은 상당히 완화될 수 있다. 예를들면, 부하에너지를 얼토로 이송시키기에 더 이상 필요없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68)로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그속으로 비교적 적은 부하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크기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수평출력 트랜지스터(78)를 통하여 흐르는 적은 DC전류로서, 그의 크기, 전류 및 전압비 그리고 열감소조건이 감소된다. 적당한 회로를 재설함으로서, 낮은 임피던스편향권선(80)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래서, 보통 발생되는 1000V의 비교적 큰 수평귀선 펄스 대신에 200V의 훨씬 낮은 전압피이크가 요구된다.
B+주사공급전압과 얼토고압을 공급하는 고주파 철공진 트랜스포머(65)로서, 비교적 양호한 영상폭 안정도는 전자제어회로 또는 개별직렬 저항을 사용하지 않고도 얻어질 수 있다. 얼토단자 U의 비임부하가 증가하므로써 얼토가속전위는 감소한다. 고압권선(65c)내에 흐르는 부하전류의 증가된 DC부분은 코어부분(165b)을 어느 정도 감자화시키고 또한 트랜스포머 B-H히스테리시스루프의 무률부분을 향해 약간 더 큰 포화로 부터 떨어진 코어부분의 동작점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므로서 어느 정도 고압을 감소시켜준다. 그러나, 공통 포화 코어 부분을 분할시키는 저압권선(65b)와 고압권선(65c)으로서, 권선(65c)내에 흐르는 증가된 부하 전류는 또한 B+주사전압을 감소시키며 그로 인해 실제적인 라스터폭 조정이 된다.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면, 트랜스포머(65)내에 존재하는 손실인덕턴스는 고압 및 B+전압을 감소시키는 증가된 비데오 비임부하로서 증가된 전압강하를 제공한다. 고압 및 저압이차권선(65b와 65c)간의 손실 인덕턴스와 코어포화의 정도와 위치는 라스터폭 조정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고압이차권선(65c)양단에 비교적 고압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다수의 권선회선이 요구된다. 권선형태와 같은 요소들의 적당한 선택에 의해, 층분리 및 도선크기, 내부권선 스트레이(stray) 또는 분포용량은 고압권선(65c)이 코어부분(165b)를 포화시키기 위하여 공진시키도록 충분히 클수 있으며 따라서 고압 및 저압이차권선 전압을 조정해준다. 그러한 분포공진용량은 실상 총용량이 권선회선을 따라서 분포되어 있지만 고압권선(65c)양단에 결합된 캐패시터(665)에 의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코어부분(165b)를 포화시키기 위해 순환전류를 제공하는 고압권선(65c)과 분포용량(66)때문에 캐패시터(91)는 더 이상 필요없다. 고압의 증가에 원인이 되는 개별부품들의 에이징(aging) 혹은 불량은 제거된다. 더우기, 공진용량의 용량값과 권선 인덕턴스의 변동은 철공진 동작을 손실시키고 권선전압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고압을 제공하도록 철공진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면 고유한 고압보호능력이 제공된다.
고압 및 B+ 주사공급전압을 제공하는 철공진 트랜스포머(65)로서, 회로개시 동작후 코어온도의 비교적 큰 상승은 라스터폭에 실제 악영향 없이도 허용될 수 있다. 고압이차권(65c)선과 저압권선(65b)이 공통코어부분(165b)둘레에 감기기 때문에 코어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Bsat의 감소는 얼토와 B+전압을 감소시키며 그러므로서 라스터폭을 상당한 정도로 조정해준다.
제1내지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주파철공진 트랜스포머(65)에 대한 대표값들과 고압권선(65c)에 연관된 분포용량(665)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코어(165): 0.360자승인치(2.32㎠)의 횡단면영역, 2.0인치 (5.1cm)의 외주각부기장, 그리고 2.8인치(7.1cm)의 중심단면 기장을 갖는 C형 코어부분(165a) ; 두께 t=0.110(2.79mm), 폭 W=0.610인치(15.5mm), 기장 1=2.8인치(7.1cm), 0.067 자승인치(43.2㎟)의 횡단면영역인 얇은 슬랩코어부분(165b)코어재료는 뉴욕, 서저르티스(Saugerties)시의 페록스큐브사(Ferroxcube Co)로 부터 제조된 페록스큐브(Ferroxcube) 3E 2A와, 또는 인디아나, 인디아나 폴리스, 알씨에이 사(RCA Co)로 부터 제조된 RCA 540과 같은 25℃에서 약 4000가우스의 Bsat를 갖는 철제(페라이트 :ferrite)이다.
일차권선(65a):30/40 Litz나일론 포장 절연에나멜피복동선, 4개의 층들로 감긴 층에, 중심탭이 된, 바이파일러형으로 권선 : 총200회선, 권선층들간에 절연층은 없음 ; 1.55인치(3.94cm)의 권선기장, 저전압권선(65b) : 내경 D=0.715인치 (18.2mm), 0.850인치 (21.6mm)의 외경 1.675인치 (42.55mm)의 기장으로 된 원통형 코일형(265b), 25/38Litz나일론 포장절연에나멜동선, 바이파일러, 권선층, 각층내에 약 48회선들의 4개의 층으로된 총 190회선으로 된 권선(65b); 4개의 회선의 5번째층은 약 6.3볼트, 900밀
고압권선(65c) : 1.150인치 (29.21mm)의 내경, 0.060인치 (1.52mm)의 환상두께 및 1.050인치 (26.67mm)의 기장, 0.060인치(1.52mm)의 환상두께 1.050인치 (26.67mm)의 기장을 갖는 원통형 코일형태(265c), # 38게이지(0.1007mm)에나멜동선, 첫째 31개의 층으로 147회선과 마지막층으로 43개의 회선을 갖는 32개의 층들로서 감긴 층의 권선(65c), 여기서 각층은 0.002인치(0.05mm)내지 0.004인치(0.10mm)마이라절연체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으며 총 권선회선수는 4600이며 ; 권선기장은 0.75인치(19mm)이다.

Claims (1)

  1. 편향권선(80) 및 스위치장치(76)를 전원장치에 연결시켜 각 편향 주기동안에 소인선 및 귀선기간을 결정하고 또 소인선 전압원(Vt)이 상기 편향권선(80)에 연결되면서 평향 전류와 함께 소인선 전압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전압원은 인가장치(68)를 통하여 편향 공급전압으로 전원장치에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트랜스포머(65)를 그 둘레에 자기 코어(165)로 구비시켜 그위에 감겨진 복수의 권선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선을 고압권선(65c)로 고압회로(84)의 고압단자(107)에 연결하여 얼토단자(U)에 얼토 가속전위를 발생케하고 제2권선(65b)은 편향 공급단자(301)에 연결되면서 편향공급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텔레비젼 수상기의 편향 및 고압회로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65)의 상기 권선(65b,65c)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을 캐패시턴스(91,665)에 연결하여 공진전류를 발생시키는데 충분한 용량을 주도록 구성시키고, 코어부분(165b)을 상기 고압권선(65c)과 상기 제2권선(65b)에 결합시켜 상기 제1권선(65a)양단에 인가된 교류전압의 각 주기동안에 상기 코어부분(165b)이 포화상태가 되어 상기 고압 및 상기 편향공급전압을 조절 하도록 구성시킨 편향 및 고압회로용전원장치.
KR1019800000290A 1979-01-30 1980-01-26 편향 및 고압회로용 철공진형 전원장치 KR830001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1579A 1979-01-30 1979-01-30
US7815 1979-01-30
US007815 199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65A KR830002465A (ko) 1983-05-28
KR830001248B1 true KR830001248B1 (ko) 1983-06-27

Family

ID=2172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290A KR830001248B1 (ko) 1979-01-30 1980-01-26 편향 및 고압회로용 철공진형 전원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JP (1) JPS6028471B2 (ko)
KR (1) KR830001248B1 (ko)
AT (1) ATA45980A (ko)
AU (1) AU529783B2 (ko)
BE (1) BE881414A (ko)
CA (1) CA1140254A (ko)
DD (1) DD157287A5 (ko)
DE (1) DE3003321C2 (ko)
DK (1) DK37680A (ko)
EG (1) EG14160A (ko)
ES (1) ES488068A1 (ko)
FI (1) FI70355C (ko)
FR (1) FR2448267B1 (ko)
GB (1) GB2041668B (ko)
HK (1) HK26784A (ko)
IT (1) IT1130872B (ko)
MY (1) MY8500288A (ko)
NL (1) NL8000557A (ko)
NZ (1) NZ192740A (ko)
PL (1) PL125454B1 (ko)
SE (1) SE447527B (ko)
ZA (1) ZA804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9503A1 (de) * 1977-09-02 1979-03-08 Licentia Gmbh Zeilentransformator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US4424469A (en) 1981-04-02 1984-01-03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high voltage power supply using temperature stable core material
US4385263A (en) * 1980-08-04 1983-05-24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push-pull inverter, ferroresonant transformer power supply synchronized with horizontal deflection
US4446405A (en) * 1980-12-29 1984-05-01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load power supply
CA1177157A (en) * 1980-12-29 1984-10-30 Donald H. Willis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load power supply
US4390819A (en) * 1981-04-02 1983-06-28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power supply using a two-material magnetizable core arrangement
US4353014A (en) * 1981-04-20 1982-10-05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load power supply with reduced saturable reactor circulating current
US4415841A (en) * 1981-05-29 1983-11-15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power supply with permanent magnet biasing
JP4389306B2 (ja) * 1999-10-21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8497A (en) * 1972-12-04 1974-03-19 Zenith Radio Corp Solid-state television receiver with magnetically regulated power supply
US3868538A (en) * 1973-05-11 1975-02-25 Zenith Radio Corp Ferro-resonant high voltage system
GB1551013A (en) * 1975-11-07 1979-08-22 Rca Corp Power supply arrangement with minimum interaction between plural loads
DE2606351A1 (de) * 1976-02-18 1977-08-25 Loewe Opta Gmbh Chassis fuer fernsehempfangsgeraete mit vom netzpotential getrennten empfaengerschal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448267B1 (fr) 1986-10-24
FR2448267A1 (fr) 1980-08-29
JPS55102969A (en) 1980-08-06
SE8000548L (sv) 1980-07-31
PL221592A1 (ko) 1980-11-03
IT1130872B (it) 1986-06-18
JPS6028471B2 (ja) 1985-07-04
NL8000557A (nl) 1980-08-01
MY8500288A (en) 1985-12-31
PL125454B1 (en) 1983-05-31
KR830002465A (ko) 1983-05-28
HK26784A (en) 1984-03-30
ATA45980A (de) 1986-08-15
SE447527B (sv) 1986-11-17
GB2041668A (en) 1980-09-10
FI70355C (fi) 1986-09-15
DE3003321A1 (de) 1980-07-31
DE3003321C2 (de) 1985-02-21
GB2041668B (en) 1983-06-15
IT8019347A0 (it) 1980-01-21
AU529783B2 (en) 1983-06-23
BE881414A (fr) 1980-05-16
CA1140254A (en) 1983-01-25
DK37680A (da) 1980-07-31
ZA80460B (en) 1981-02-25
DD157287A5 (de) 1982-10-27
ES488068A1 (es) 1980-09-16
FI800193A (fi) 1980-07-31
FI70355B (fi) 1986-02-28
AU5486180A (en) 1980-08-07
EG14160A (en) 1983-09-30
NZ192740A (en) 198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483B1 (ko) 래스터 폭 안정화를 이용한 스위칭 전력 공급 장치 및 이 장치에서 b+ 전압을 조절하는 방법
US3828239A (en) High dc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6324081B1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US637004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for generating DC high voltage
JPH03141390A (ja) ビデオ信号表示装置用の直線性補正装置
KR830001248B1 (ko) 편향 및 고압회로용 철공진형 전원장치
KR880000599B1 (ko) 수평편향 회로용 정류기
US3843903A (en) High voltage generator
US695674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900004956B1 (ko) 텔레비젼 수상기 및 그 전원회로
US4319167A (en) High frequency ferroresonant power supply for a deflection and high voltage circuit
US4394722A (en) Television receiver high voltage generator
US4215296A (en) Television deflection circuit
US4774584A (en) High-voltage power supply for a picture tube
JP279457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728774Y2 (ja) マルチスキャンディスプレイ用電源回路
JP200119774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EP0319011B1 (en) High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for television equipment
JP200117812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3116586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200117812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790000814B1 (ko)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JPH0419745B2 (ko)
JPH0318791B2 (ko)
JP200203424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