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99B1 -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99B1
KR830000199B1 KR1019790003573A KR790003573A KR830000199B1 KR 830000199 B1 KR830000199 B1 KR 830000199B1 KR 1019790003573 A KR1019790003573 A KR 1019790003573A KR 790003573 A KR790003573 A KR 790003573A KR 830000199 B1 KR830000199 B1 KR 83000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ire
filled
hollow tub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그스텐 균터
라베 브루노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레위더
리센티아 파텐트 베르발퉁즈 게셀샤프트 미트 베쉬렝크터 하프퉁
빌리 볼츠
칼 봄 브룩
아에게 이소리어-운트 쿤스토프 게셀샤프트 미트 베쉬렝크터 하프퉁
헬무트 베. 쉬나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레위더, 리센티아 파텐트 베르발퉁즈 게셀샤프트 미트 베쉬렝크터 하프퉁, 빌리 볼츠, 칼 봄 브룩, 아에게 이소리어-운트 쿤스토프 게셀샤프트 미트 베쉬렝크터 하프퉁, 헬무트 베. 쉬나이더 filed Critical 볼프강 레위더
Priority to KR101979000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제1도는 처음과 마지막 크기를 나타내는 재료의 한 낱개이다.
제2도는 앞면이 쌓아 올려진 장방형의 관 통로이다.
제3도는 같은 통로이며 앞면이 막혀진 것이다.
제4도는 규격에 맞추어 잘려지고 주조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앞면이다.
본 발명은 모든 피복전선의 설치후에, 경화주조 혼합물로 채워지는 에정된 길이의 중공관을 사용하여 마루와 벽을 통과하는 피복 전선의 방수, 방화통로의 제조방법과 설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배안에서 천정, 마루바닥, 벽들을 통과하는 피복전선과 옥내선의 배선을 위한 장치들을 전선 장방형이거나 관형인 전선통을 통하여 잡아당겨진 후에는 앞 끝면은 봉랍혼합물로 봉해진다. 윗면에 위치한 주입구명을 통하여 액체, 즉 영구 경화 주조 수지가 통이 완전히 찰때까지 통의 안쪽으로 부어진다. 이것에 관한 참고도서는 등록번호 0806.611E 23/V 1165의 “차단벽 피복 전선통로(schttdurchfuhrungen)”란 제목의 AEG기술 서적이다.
이것의 결함은, 실제적으로 잘 시험된 전선통로라 할지라도, 밀폐 혼합물을 개개 피복전선들 사이의 모든 빈 부분에 부으면 액체 주조 수지가 적당히 경화되기 전에 통 바깥으로 흘러 나간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벽 통로 앞에 간격을 띄우는 조각 역할을 하는 주조될 수 있는 포말재료로써 각각의 전선을 감싸고 그렇게 해서 얻어진 것을 모든 구멍과 피복전선들 사이의 빈 공간이 꽉 막혀지게 하는 그러한 죄는 장치에 의해서 압축시키는 것이 예전부터 제안되어 왔다. 그위에 통로의 앞끝면은 전술한 방법으로 밀폐 혼합물로써 채워진다. 주조 수지의 유출이 이러한 배열로 방지될 수 있더라고 제한된 유효 공간을 가진 배위에서의 어떠한 죔장치의 사용도 특히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므로 지적된 특성의 피복전선 통로의 경우에 언급한 결함을 적절히 피하면서 방수, 방화 및 기체가 색지 않는 피복 전선 통로를 특별한 기구의 도움 없이 빨리 조립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조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공관의 앞끝 표면을 쌓아 올리기 위하여, 피복 전선들이 감싸지며 서로 분리되고 중공관으로 부터도 분리되게 하는, 흡수력이 있고 팽창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을 사용하는 과정과 빠리 팽창하는 효과와 달리 또한 재료의 경화에 인한 효과로써, 중공관이 주조 혼합물로 채워지기 전에 앞 끝면의 바깥쪽 면을 어떠한 액체로 미리 처리하는 과정을 본 발명은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이 이미 제안된 다른 피복 전선 통로보다 유리한 점은 특히 피복 전선 통로의 앞 끝면을 막고 충분히 밀폐하기 위하여 밀폐 혼합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잘 흡수하고 팽창하는 재료와 방화 주조 혼합물의 조합에 의하여 피복전선 통로의 방수, 방화 및 기체가 새지 않도록 밀폐 시킬 수 있다. 언급된 잇점 이외에도 기술적으로 힘들이지 않고, 또 통로 관의 형태나 피복 전선의 직경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재료와 노력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도면은 제조 과정의 수행에 필요한 고안품과 장치를 예시한다.
비스코우스로 만들어진 재료의 낱개(1)는 도면 1에 나타난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크기이다. 제조 도중에 그 물질의 기초 재료는 압축을 받았다(아마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두개의 수직 평면에서 서로 다른 압력으로). 재료의 낱개(1)를 어떤 액체로 적시어 주게되면 그것은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다른 정도로 팽창하여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거의 마지막 형태에 도달하게 된다. 번호 1형태의 재료의 낱개들(이하에서는 팽창단위라고 부른다)은, 다음에 있는 도면 2와 3에 의하여 설명되는 것과 같은, 피복전선통로의 앞면의 막음에 사용된다.
도면 1에 나타난 것과 같은 팽창단위는 이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절단된 부분을 가질 것이다.
도면 2와 3은 번호 3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에 의하여 배 위에서의 접속면을 나타낸다. 장방형의 중공관 단면은 통로로서(4)와 비슷하게 용접부분(5)에 의하여 접촉면(3)에 단단하게 붙여진다. 피복전선 통로관인(4)의 윗변에 주조 혼합물이 앞면이 완전히 밀폐되고 난뒤에 안을 완전히 채우며 관과 피복전선들 주위로 채워지도록 주조 혼합물이 들어가는 주입구멍(6)이 장치되어 있다. 다른 구멍이 같은 면에 붙여 있어서 공기구멍 역할을 한다.
한 방에서 이웃한 다른 방으로 설치되는 피복전선과 옥내선은 통로(4)를 통하여 통과되며 참고번호(7)로 표시된다. 액체 주조 혼합물이 바깥으로 흘러나오지 않게하기 위해서는 앞면을 주의깊게 막아야 한다.
도면 2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팽창단위(1)을 세포형태로 배열함에 있어서 앞면을 밑에서부터 위에까지 쌓아 올리는 것이 이 막음을 효과있게 한다. 개개의 피복전선과 옥내선은, 팽창방향이 항상 통로관(4)에 직교하도록 수평,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팽창단위를(1)로 감싸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전선의 필수적인 간격이 정당화된다. 빗 형태의 팽창단위(1)은 빗살이 통로(4)의 안쪽으로 향하도록 끼워진다. 피복전선들 사이와 피복전선들과 관(4)의 벽 사이에 여전히 남아있는 틈과 빈 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약간의 재료의 낱개들을 서로의 위나 인접한 곳에 배치할 수 있다. 앞면이 세포 형태로 완전히 쌓아 올려지고 나면 팽창단위를 부풀게 하는 액체를 뿌리며 그것에 의해서 도면 3에 나타난 것처럼 앞면은 막혀지게 된다. 예를들어 실리카 졸과 같은 특수한 액체를 사용함으로써 앞면은 방화가 된다. 팽창은 아주 빨리 완료되며 안전하게 밀폐된 앞면은 단지 몇분만에 형성된다. 반대 면도 같은 방법으로 막혀지고 난 뒤에 주조혼합물은 주입구멍(6)을 통하여 채워질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주조혼합물이 다시 막혀진 면밖으로 흘러나오는 위험없이 도면 4는 벽(3)을 통한 장방형 단면의 피복전선통로(4)를 나타낸다. 양쪽 부분은 용접이음(4)에 의해서 물과 기체가 새지 않게 연결되어 있다. 피복전선과 옥내선(7)은 피복전선 통로관의 안쪽을 통과한다.
피복 전선통로(4)의 윗면에 액체 주조 혼합물을 위한 주입구멍(6)이 구비되어 있다. 벽(3)의 뒷면에 피복전선통로가 다른 편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장치되어 있다. 앞면에 피복전선과 옥내선(7)들이 미리 잘려져 주조된 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요소들(8)사이에 지지되어 진다. 이 요소들은 장방형이다. 그것들에는 피복 전선들의 직경에 알맞게 구멍(9)이 뚫어져 있으며, 또한 피복전선이 주조된 요소 안으로 편리하게 놓여질 수 있도록 세로의 홈(10)이 장치되어 있다.
모든 피복전선들의 장치 후, 앞면의 평면에 남아있는 공간과 빈틈(11)(12)(13)들은 빈 공간과 틈에 맞는 재료의 낱개들에 의해 채워진다. 주조된 요소(8)들 사이의 빈 공가과 빈 틈을 포함하여 모든 공간과 틈이 채워진 후에는 전체의 재료 묶음은 가벼운 응력을 받을 것이다. 위의 절차에 따라서 유동성의 방화 주조 혼합물은 피복전선 통로관 부분(4)의 내면으로 주입구(6)을 통해 채워질 것이다. 주조 혼합물은 통기성과 흡수성을 가진 재료를 빨리 관통하여 주조된 재료성붐의 바깥층이 포화되어 자기전에 굳어진다.
피복전선 통로를 채워넣고 주조 혼합물이 굳어진 후 주조 혼합물은 통로관 부분과 각까운 벽, 씌우게 혹은 피복전선과 옥내선의 판 벽과 아주 잘 결합되어서 방수, 방화 및 기체가 통과하지 않는 피복전선 통로가 된다.
재료요소의 도움으로 피복전선 통로의 끝면 기밀의 안전과 견고함을 절대적으로 보증하고 장치를 개략하기 위하여, 이미 최초의 장치를 하는 중에 유동성의 주조 혼합물로 텅 빈 관부분을 가득채워 넣은 동안 앞면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앞면의 밀폐를 위해 이용되어지는 주조 혼합물의 또 다른 성분을 섞는 것은 권장할 만한 일이다. 전면의 표면들은 주조 혼합물의 유동성 성분으로 전처리를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처리를 하게되면 피복전선 사이의 아주 작은 공간들이 밀폐될 수 있을 정도롤 흡수 및 팽창 물질이 팽창 하게 되어 유리하다. 이 방법은 아주 효과적이어서 전처리 후 즉시 피복 전선 통로를 액체주조 혼합물로 채울 수 있다.
접촉면들 즉 격벽들과 바닥들, 천정과 벽들 그리고 특히 배에서 피복전선과 옥내선으 위한 통로로서 이용되어지고 경화주조 혼합물을 받아들이도록 설계되어 있는 텅 빈 관공간을 막아서 봉하는 절차에서 텅빈관 부분들(4)의 앞면들은 액체로서 포화될 때 팽창하는 흡수성 재료의 낱개를 조각들(1)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피복전선과 옥내선(7)이 서로로 부터 그리고 텅빈 관부분(4)로 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한 그러한 방식으로 낱개의 조각들(1)이 삽입되어 있다. 팽창의 주된 방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어떤 액체로 여러 낱개들(1)을 적시면 앞면 안의 모든 남았는 구멍들과 틈들은 막혀진다. 그 후의 텅빈 관 부분은 주조 혼합물로써 채워진다.
그러한 절차에 따라 제작된 피복전선과, 옥내선 통로는 선박건조에 ㅈ거응함이 특히 적당하다. 그리고 모든 다른 재래적인 방법들과 비교하여 아주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중공관(4)의 앞면의 구조적인 쌓아올림에 있어서, 흡수력 있고 팽창하는 재료(1)이 사용되며 그것으로 피복전선(7)이 막혀지며 서로 연관하여 어떤 간격으로 놓여지게 되며 관(4)의 벽과 떨어지게 되며, 중공관(4)가 주조혼합물로 채워지기 전에, 어떤 액체로 앞끝의 바깥면이 전 처리되어 그 액체로 인하여 빠른 팽창 및 흡수력과 안을 채우는 액체의 경화가 효과있는 특성을 가지며, 위의 특성물과 연관하여 어떤 액체로 처리함으로써 재료(1)이 불에 견딜수 있는 특서을 가지며, 이러한 액체로 실리카졸이 사용되며, 반대쪽의 수직방향에 놓여질때 서로 다른 힘으로 압축을 받은 안을 채우는 물질로서 비스코우스가 사용되는 특성을 가지며, 바로 이 특성에 따라서 사용되는 재료가 예정된 깅이의 것이며, 그것에 의하여 재료의 낱개(1)이 절단에 의하여 빗모양으로 잘려지는 특성을 가진, 모든 피복전선의 설치에 따라서 경화될 수 있는 주조 혼합물로 채워진 예정된 길이의 중공관을 사용하여 천정, 마루 벽을 통과하는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KR1019790003573A 1979-10-17 1979-10-17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KR830000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573A KR830000199B1 (ko) 1979-10-17 1979-10-17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573A KR830000199B1 (ko) 1979-10-17 1979-10-17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99B1 true KR830000199B1 (ko) 1983-02-21

Family

ID=1921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573A KR830000199B1 (ko) 1979-10-17 1979-10-17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19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6736A (en) Fire and liquid seals for pipes and conduits and method of forming same
CN1026541C (zh) 制备穿过天花板和墙壁的防水耐火电缆绝缘套管的方法
FI89957C (fi) Anordning foer kabelgenomfoering
DE2632325C3 (de) Brandschutzeinrichtung für eine Kabeldurchführung
KR830000199B1 (ko) 피복전선의 방수 방화 통로의 제조방법
GB2507016A (en) Sealing of passages through walls
DE2829887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dichten und feuerfesten Kabeldurchführungen
EP001611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dichter und feuerfester durchführungen für kabel
US20030012918A1 (en) Insulation system, insulation method and use insulation system
DE1059527B (de) Kabelmuffe aus einem aushaertenden Giessharz fuer unter Gasinnendruck stehende mehradrige Fernmeldekabel mit kunststoffisolierten Adern und mit einem insbesondere aus Kunststoff bestehenden Kabelmantel
JP3011894U (ja) コンクリート内に化学的噴射を行うためのホース
DE19905103A1 (de) Vorrichtung zur abdichtenden Einfassung von Rohr- und/oder Leitungssträngen
JP6049477B2 (ja) ケーブルトレイ耐水圧処理方法及び耐水圧構造
JPH0755067A (ja) 保温配管の防火区画貫通部措置工法
JPS60180412A (ja) ケ−ブル貫通部
JP2021035210A (ja) 梯子形ケーブルトレイの止水構造の施工方法
SE8002046L (sv) Brandtetning for genomforing av ledning
DE272799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beldurchfuehrungen und Einrichtungen zu dessen Durchfuehrung
KR0130903Y1 (ko) 콘크리트벽의 관통공 밀폐구조
JPH0990U (ja) ケ−ブル心線用密閉栓及びこれを使用したガス止め法
KR20240008533A (ko) 전력케이블의 수트리 억제용 접속재 충전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0126761A1 (en) Shock wave-absorbing gastight lead-through for a building component
AT384286B (de) Daemmvorrichtung fuer armaturen
EP3724545A1 (en) A system consisting of a fire safe sealing and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 insulation element for such system, a method for sealing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d a respective construction kit
JP2005168175A (ja) 耐火被覆構造を有する通信ケーブル保護管およびその設置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