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71Y1 - 크레센트 자물쇠 - Google Patents

크레센트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71Y1
KR830000071Y1 KR2019790004799U KR790004799U KR830000071Y1 KR 830000071 Y1 KR830000071 Y1 KR 830000071Y1 KR 2019790004799 U KR2019790004799 U KR 2019790004799U KR 790004799 U KR790004799 U KR 790004799U KR 830000071 Y1 KR830000071 Y1 KR 830000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scent
trigger pin
crescent lock
ride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4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오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2019790004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crescent-shaped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레센트 자물쇠
제1도는 본 고안인 크레센트 자물쇠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창의 입면도.
제2도는 크레센트 자물쇠와 상하 이동 장치와의 상호관계를 표시한, 중간을 생략한 입면도.
제3도는 크레센트 자물쇠의 구조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크레센트 자물쇠를 더욱 자세하게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5(a)도, 제5(b)도는 트리거 핀의 작동상태를 표시한 부분 확대 횡단면도.
제6(a)도, 제6(b)도, 제6(c)도는 트리거핀 작동상태와 스라이더와의 상호관계를 표시한 설명도.
제7도는 종래의 크레센트 자물쇠의 개요를 표시한 부분 확대횡단면도.
본 고안은 내외 창문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동 장치가 연동가능케 연결된 크레센트 자물쇠는 크레센트가 임의의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가능케 되어있기 때문에 크레센트의 괘합부분을 바깥문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안 또는 바깥문을 개폐할 경우에, 괘합부분이 감쇠에 충돌하여 한쪽 또는 양쪽에 변형이 생기고 크레센트 자물쇠를 잠갔다 열었다 하는데 곤란을 주거나 크레센트 자물쇠의 몸체가 되는 창틀에 변형 또는 손상을 주는 등 결함이 있었다.
또 이동장치가 연결된 크레센트 자물쇠에서는 크레센트의 회전을 긱선운동으로 변화해서 이동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크레센트의 회동축은 보통 각축(角軸)으로 되어 있고 이에 대응해서 전달기구의 감합공도 각공(角孔)으로 되어 있다. 이 전달기구는 일단 마중대 내에 삽입하고 나면 전달기구의 상태, 즉 이동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연결 아암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가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가의 판정이 곤란하게 되며, 외부에서 판정할 수 있는 것은 상기 각공의 회전상태뿐이다. 그러나 각공으로는 판정이 곤란하게 되며, 외부에서 판정할 수 있는 것은 상기 각공의 회전상태뿐이다. 그러나 각공으로는 도저히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다. 전달기구의 연결아암 위치를 잘못 부착시킨 경우에는 이동 장치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고 재차 고쳐 달지 않으면 안되는등 스고스러웠다.
그래서 본 고안은 내외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일때 이외는 크레센트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또 부착시에 이동 장치의 연결 조정을 할때 매우 쉽게 전달기구의 부착시 초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크레센트 자물쇠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창문을 개폐할때, 바깥문이 마중대 실내면에 맞닿아 출몰한는 트리거핀을 갖추어 이 트리거핀의 출몰상태에 따라 크레센트의 회동조작을 규제하도록하고, 또 부착시에 트리거핀의 완전몰입 상태에 의해 전달기구의 부착 초기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하여 크레센트의 안정성과 부착시의 조정의 용이성을 확보한 점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로 설명한다. 제1도는 창의 입면도이고 (1)은 안쪽문, (2)는 바깥문, (3)은 크레센트 자물쇠, (4)(5)는 각기 크레센트 자물쇠(3)를 잠그고 푸는 조작에 연동하는 상하 이동장치이다.
크레센트 자물쇠(3)은 안문(1)의 문틀(6)외측에 부착될 외장부분(A)와 문틀(6)내에 부착될 내장부분(B)로 나뉜다.
외장부분(A)는 문틀(6)의 감촉면에 부착되는 부차기판(7), 이 부착기판(7)에 회동가능케 축착된 크레센트 괘합부(8), 및 이 괘합부(8)과 일체인 그레몬핸들(9)를 갖추고 있다. (10)은 그레몬핸들(9)와 괘합부(8)의 회전축이되는 각축이다.
내장부분(B)는 다시 문틀(6)에 고정될 고정부분(C)와, 문틀(6)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접동가능한 가동부분(D)로 나누인다.
고정부분(C)는 문틀(6)의 내벽면에 덧붙일수 있는 고정용 나사구멍(11)이 있는 부착판(12), 트리거핀(13), 케이싱(14), 디스크(15), 크랭크(16), 고정판(17)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구조이다. 케이싱(14)에는 그 폭쪽으로 기다란 가이드홈(18)(또는 장공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홈(18)내에 트리거핀(13)이 케이싱(14)폭쪽으로 접동자재로히 감합되고, 또 스프링(19)로 바깥으로 부세(付勢)되어 트리거핀(13)선단이 케이싱(14)의 측단면에서 출몰하게 되어있다. 트리거핀(13)의 기부단부에는 계합돌기(20)이 있고, 이 계합돌기(20)은 가이드홈(18)을 관통하며, 후술할 가동 부분(D)의 접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분(C)의 각부재에는 각축(10)이 일체로 관통가능한 투공(透孔)이 있고, 각공(角孔)(21)이 있는 디스크(15)가 케이싱(14)의 투공(22)에 감합하고, 또 이 투공(22)를 형성할 베어링부재(23)은 부착판(12)의 투공(24)에 감합한다. 크랭크(16)에는 각축 (10)에 연동되어 회전하기 위한 각공(24)가 있고, 또 고정판(17)축에 크랭크핀(25)가 돌출되어 있다. 이 크랭크핀(25)는 후술할 가동부분(D)에 그레몬핸들(9)의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부재역할을 하며, 고정판(17)에 천설된 투공(26)을 관통해서 회동한다. 이상의 고정부분(C)중에서 트리거핀(13), 케이싱(14), 디스크(15), 베이링부재(23)은 회동을 원활히 하는 등의 이유로 합성수지재로 하는 것이 좋다.
가동부분(D)는 일측 스라이디(27), 상하 이동장치(4)(5)에 완결시키기위한 2개 한쌍의 죠인트부재(28)(29),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링크(30), 타측 스라이더(31)로 샌드위치 구조를 하고 있다. 일측 스라이더(27)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32)가 뚫려있고 장공(32)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내공면부 양쪽에 절결단부(33)(34)가 있다. 그리고 양측 스라이더(27)(31)에는 접동용 가이드 장공(35)가 있다.
이상의 고정부분(C)와 가동부분(D)는 각기 개별적으로 일체화되고 또 고정부분(C)와 가동부분(D)는 서로 덧붙여져서 고정부분(C)측에서 가이드 장공(35)을 관통해서 고정핀(36)이 삽통되고 타측스라이더(31)의 이면에서 고정부분(C)측에서 가이드 장공(35)를 관통해서 고정핀(36)이 삽통되고 타측스라이더(31)의 이면에서 고정부분(C)과 가동부분(D)가 조합되어 있다. 이때 각축(10)은 디스크(15)와 크랭크(16)의 각공(21)2(4)에 꼭 낀 상태로 고정부분(C)와 가동부분(D)를 관통한다. (단 각축(10)은 꼭 가동부분(D)가지 관통안해도 된다). 또 트리거핀(13)의 계합 돌기(20)이 일측 스라이더(27)의 장공(32)에 유감하고, 크랭크(16)의 크랭크핀(25)는 고리(30)일단에 회전가능케 한다. 고리(30)의 타단은 양측 스라이더(27)과 (31)에 핀으로 꽂힌다.
상하 이동 장치(4)(5)는 가동부분(D)의 조인트부재(28)(29)에 연결아암(39)(40)으로 연결되고 그레몬핸들(9)의 회동에 의한 가동부분(D)의 접동동작(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선단에 마련한 압압체(41)(42)를 회동시키게 구성되어 있다. 기리고 이 압압체(41)(42)는 회동 대향 방향에서 개구부를(43)의 레일(44)(45)에 맞닿고, 이것을 반력벽으로 하여 안쪽문(1)을 실내측으로 잡아당긴다.
다음에 장착방법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장착하는 데는 미리 안쪽문(1)의 마중대(6)의 실외면에 있는 트리거핀 출몰공(36)에 트리거핀(13)을)갖추고 내장부분(b)를 마중대(6)내로 삽입하고, 부착기판(7)의 나사구멍(11)을 이용하여 나사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외장부분(A)를 부착시킬때에 트리거핀(13)을 마중대(6)내에 완전히 박히게 선단측에서 압압한다. 이때 가동부분(D)가 정규의 스라이드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일측 스라이더(27)의 장공(32)에 절결단부(34)와 트리거핀(13)의 계합돌기(20)이 대응하지않고, 따라서 트리거핀(13)은 그 계합돌기(20)이 장공(32)내측면에 맞부딪쳐 트리거핀(13)을 완전히 들어가게한다.
이런 상태일때 가동부분(D)는 정규의 위치, 즉 부착시에 놓여있어야할 초기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상하 이동장치(4)(5)의 압압체(41)(42)를 바른위치가 되도록 연결아암(39)(40)의 길이조정을 한다.
이와같이, 한쪽 스라이더(27)의 절결단부(34)와 트리거핀(13)과의 조합으로 부착시의 가동부분(D)의 위치확인을 쉽게 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부착조정을 종료한 다음 외장 부분(A)를 마중대(6)의 감촉면에 나사로 고정시킨다.
다음에 그레몬핸들(9)를 회동조작해서 잠그고 연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외 문짝(1)(2)가 닫힌 상태에서는 트리거핀(13)은 그 선단부가 바깥문짝(2)의 마중대(37)에 맞닿아서 들어간다.
이때 트리거핀(13)의 계합돌기(20)이 장공(32)내에 유감되고 따라서 가동부분(D)의 접동을 방해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 그레몬핸들(9)를 회동할수 있기 때문에 괘합부(8)을 캠걸쇠(38)에 괘합시키면 잠긴다. 한편 내외 문짝(1)(2)을 연 상태에서는 트리거핀(13)은 마중대(37)에 맞닿지않고 트리거핀(13)은 스프링(19)의 부세력으로 돌출한다. 그러면 트리거핀(13)의 계합돌기(20)은 절결단부(33)에 계합하면서 가동부분(D)는 접동을 저지받게되고 그레몬핸들(9)의 회동조작이 안된다. 즉, 내외문(1)(2)가 열린 상태에서는 그레몬핸들(9)가 움직이지 않게되고 그레몬핸들(9)에 연동하는 크레센트 괘합부(8)이 어중간한 위치에 방치되어서 캠걸쇠(38)에 충돌하는 일이 있을수 없고, 확실히 키레센트괘합부(8)와 캠걸쇠(38)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외문짝이 닫힌 상태 이외에는 크레센트의 회동조작이 불가능하게되기 때문에 크레센트와 캠 걸쇠와의 충돌에 의한 변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부착시에 트리거핀의 완전몰입 상태임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크레센트 자물쇠의 부착시 초기상태를 확인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시의 복잡한 수고를 덜 수가 있다.

Claims (1)

  1. 크레센트를 잠그고 여는 조작에 연동해서 내외문짝에 실내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이동 장치를 연결한 크레센트자물쇠에 있어서, 크레센트의 회동축에 연동하게끔 전달기구를 거쳐 문짝의 마중대의 길이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크레센트회동축에 연결된 스라이더, 스라이더에 그 접동 방향으로 길게 만든 장공, 장공 일단 부에서 대향하는 양내측단면부에 각기 만들어진 절결단부, 기부단부에서 상기 스라이더의 장공과 감합하여 선단부가 바깥문짝의 마중대 실내면에 맞닿을 수 있게 만들고 또 마중대와의 대향바향으로 출몰자개로히 통상 상기 마중대 측으로 부세된 트리거핀을 구비한 크레센트자물쇠.
KR2019790004799U 1979-08-13 1979-08-13 크레센트 자물쇠 KR830000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4799U KR830000071Y1 (ko) 1979-08-13 1979-08-13 크레센트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4799U KR830000071Y1 (ko) 1979-08-13 1979-08-13 크레센트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71Y1 true KR830000071Y1 (ko) 1983-02-07

Family

ID=1921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4799U KR830000071Y1 (ko) 1979-08-13 1979-08-13 크레센트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3264A (en) Window latch
US5501492A (en) Deadbolt with infinitely adjustable backset
US4113292A (en) Latch
JPH0662150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20070290513A1 (en) Latch For Sliding Closures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CN110036165B (zh) 窗和门开关机构
GB2156422A (en) Door latch device
US20030110701A1 (en) Window operators
US20230323710A1 (en) Handle device for vehicle
KR830000071Y1 (ko) 크레센트 자물쇠
KR101929708B1 (ko) 창호용 그립핸들
GB2236802A (en) A window stay
US4997220A (en) Door latch device
JP3569960B2 (ja) 自動販売機のドアロック装置
JP3318294B2 (ja) クレモンロック装置
JPH08109762A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S6012849Y2 (ja) 家具等における扉のラツチ装置
JP2598597Y2 (ja) 引違い戸の施錠装置
KR102026579B1 (ko)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JPH0323497Y2 (ko)
JPH0643403Y2 (ja) 押圧作動型扉用ロック装置
JPH116349A (ja) クレモンロック装置
JPH11117591A (ja) 子扉錠
JPH023901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