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320B1 - 준설기(浚渫機) - Google Patents

준설기(浚渫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320B1
KR820002320B1 KR7802251A KR780002251A KR820002320B1 KR 820002320 B1 KR820002320 B1 KR 820002320B1 KR 7802251 A KR7802251 A KR 7802251A KR 780002251 A KR780002251 A KR 780002251A KR 820002320 B1 KR820002320 B1 KR 82000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platform
boom
dredger
p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랜 헨리 쟝송 머쇄
Original Assignee
머쇄 랜 필데르마
파라쇄 뒤 페로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쇄 랜 필데르마, 파라쇄 뒤 페로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머쇄 랜 필데르마
Priority to KR780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41Floating installation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oil-shifting equipment is mounted on a ladder or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05Manipulating or supporting suction pipes or ladders; Mechanical supports or floaters therefor; pipe joints for suction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12Mechanical digging means, e.g. suction wheels, i.e. wheel with a suction inlet attached behind the wheel
    • E02F3/9225Mechanical digging means, e.g. suction wheels, i.e. wheel with a suction inlet attached behind the wheel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 E02F3/9231Suction wheels with axis of rotation parallel to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준설기(浚渫機)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제2도는 부움이 들려 있는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4도는 부움이 내려진 상태도.
본 발명은 부체(浮體)에 앞으로 길게 뻗힌 부움이 설치되어 부움앞 끝에는 분쇄기(粉碎機)가 달려 있는 준설기(浚渫機)에 관한 것이다.
이 부움은 부체에 결합된 뒷끝을 축으로 돌게 되어 었어 작업자세를 취할 때는 다소간 필요에 따라 물속에 잠기게 되며 들어 올려진 정지자세도 취할 수 있다. 또한 부움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매달음줄도 설치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준설기에 있어서는 파일과 진동가능한 케이블을 사용하여 부체의 위치를 바꾸어 주므로써 둘레의 준설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파일과 케이블은 원치와 같이 사용되며 끝은 바다 바닥에 고정 된다. 종래의 준설기로써 항만에서 준설작업을 하고자할 땐 작업에 방해가 될 선박들을 옮길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은 성가시며 경비도 많이 드는것이다.
상기한 공지된 준설기의 또다른 결점으로서는 견고한 바닥의 준설작업을 하거나 바위의 제거작업을 할 때는 기계의 작동에서 오는 반응력으로 인해 생기는 불안정성 때문에 안정성과 효율이 부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런 여러 결점들을 해결하며 방해가 되어 왔던 선박들을 옮길 필요도 없이 넓은 반경의 범위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약하거나 단단한 바닥의 준설작업은 물론 바위의 제거작업도 할 수 있는 준설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체에 앞으로 길게 뻗친 부움이 설치되어 앞끝에는 분쇄기가 달려 있는 준설기로서 이부움은 부체에 결합된 뒷끝을 축으로 돌게되어 있어 작업자세를 취할 때는 다소간 필요에 따라 물속에 잠기게 되며, 들어 올려진 정지 자세도 취할 수 있다. 또한 부움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매달음 줄도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부움은 두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부분은 부체에 결합된 수평축 주위로 뒷끝이 돌 수 있으며 부움의 첫부분 앞끝에는 또한 플랫포옴이 장치되어있고 부움의 둘째 부분은 장치기구에 의해 플랫포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기구는 부움의 둘째 부분이 수직축 주위로 돌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플랫포옴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도 되어있다.
이런 구조로 인해 부움의 첫부분의 앞 끝이 바닥에 가까이 있게하고 부움의 둘째부분이 수평으로 움직임으로 해서 준설작업을 하게하면 부체를 사용할 필요없이 준설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케이블이나 앵커와 같은 외부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내부장치를 사용하여 부움의 둘째부분이 좌우 수평운동을 하게 한다.
이렇게하여 특히 항구에서 방해부체의 아랫 바닥의 준설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배 아래서 좌우 수평 운동으로 자유로이 작용할 수 있는 것은 부움의 둘째부분이다. 부움의 첫째부분의 앞 끝에는 수평축주위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플랫포옴이 장치 되어 있다. 플랫포옴은 기계적인 평행 사변형 기구 또는 자동제어 잭 으로 계속 평형으로 유진된다.
전기의 장치는 전기의 수직축을 회전하도록 플랫포옴에 설치된 중간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부움의 둘째 부분은 수평축 주의의 중간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부움의 둘째부분을 수평으로 혹은 플랫포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부움의 둘째부분은 그 전체 비중이 물의 비중과 가깝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같은 구조로 인해 플랫포옴은 바닥에 대해 극히 안정하다. 결과적으로 본 준설기는 부체의 안정을 해칠 아무런 위험도 없이 바위제거 작업에도 사용될 수 있다.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에서와 같이 준설기에는 일반적으로 평면 U자형으로된 부체(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면(11)은 부체(10)의 뒷부분에 위치하며 2개의 양분기(12)가 앞으로 길게 뻗어 있고 그사이에 중간 자유공간(13)을 형성한다.
부움(14)은 부움의 첫부분(14A)와 부움의 둘째부분(14B)의 두분으로 되어 있다. 부움(14)의 첫부분(14A)은 뒷끝이 부체(10)에 장치되어 가로 수평축(15)주위로 돌게되어 있다. 가로 수평축(15)은 부체(10)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부움(14)의 첫부분(14A)는 중간 자유공간(13)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다.
플랫포옴(16)은 부움(14)의 첫부분(14A)의 앞끝에 설치되어 수평축(17) 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플랫포옴(16)은 기계적 평행 연결 기구(18)에 의해 혹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어보 조종잭에 의해 계속 수평으로 유지된다. 특히 이 연결장치의 평행 사변형은 가로 수평축(15) 및 수평축(17)과 일치하는 두 정점을 가지며 또 다른 두정점은 19 및 20이다. 정점(15)와 정점(17)을 분리하는 변은 부움(14)의 첫부분(14A)자체 이다.
정점(19)와 정점(20)을 잇는 반대편변은 로드(21)이며 다른 두변은 각각 한쪽은 정점(15)과 정점(19)을 잇는 로드(22)와 다른 한쪽은 플랫포옴(16)에 고정되어 정점(17)과 정점(20)을 잇는 삼각대(23)로 되어있다.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은 중간장치(24)의 형태로 수평축(25) 주위에 마디 연결되어 있다. 중간 장치(24)는 또한 수직축(26) 주위를 돌도록 플랫포옴(16)에 장치되어 있다. 잭(27)과 같은 조정장치는 부움(14)의 둘째부분(14B)에 고정된 삼각대(28)와 플랫포옴(16)에 고정된 삼각대(23) 사이에 위치해있다.
잭(27)은 2중 작용효과를 가져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어떠한 경사로도 기울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기(22)의 작용에서 오는 반응력도 완화시킬 수 있다. 삼각대(23)는 케이블(29) 및 지브(jib)(29A)을 포함하는 현수(懸垂)기구에 의해 부체(10)에 연결된다. 일런 현수기구로 인해서 부움(14)의 첫부분(14A) 및 둘째부분(14B)을 수평으로 혹은 준설작업할 바닥 방향으로 낮추어지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부움(14)의 첫부분(14A)은 기울어진 상태가 되며 둘째부분(14B)는 실제로 수평으로 유지된다.
플랫포옴(16)에 설치되어 수직축(26) 주위를 도는 중간장치(24)는 부움(14)의 첫부분(14A)에 설치된 2개의 단일 효과 잭(31)과 같은 작동장치와 함께 한쌍의 케이블(30)에 의한 회전에 따라 조종된다. 상술한 단일 효과 잭(31) 대신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윈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분쇄기(32)는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의 끝에 설치되며 어떤 적절한 방볍에 의해서도 회전운동을 시킬수가 있다. 물질을 옮겨 내기 위해 픽업 파이프(pick up pipe)(33)가 설치되어 분쇄기(32) 근처에 흡입구(34)가 있으며 분출구(35)가 부체(10)위에 있다. 부움(10)의 첫부분(14A)에 설치된 모터펌프(33A)가 파이프(33)에 설치되어 있다.
부체(10)가 바닥에 대해 고정되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부체(10)에는 두 개의 고정파일(36)이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파일(36)은 슬리이브(37)속에 움직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슬리이브(37)는 또한 잭(38A)로 수평축(38) 주위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체(10)에 설치되어 있다.
부가하여 플랫포옴(16)은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파일(39)이 설치된 하중분배판(40)에 부착되어 있다. 부움(14)의 첫부분(14A) 및 둘째부분(14B)에는 이들이 둘수 있도록 가장 적절한 전체 비중을 주기 위해 도시되진 않았지만 부력주머니 및 조정할 수 있는 안정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이 물의 비중과 가까운 비중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작업하기 위해선 우선 준설기를 작업위치까지 끌어와서 두 파일(36)을 풀어 내리면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바닥에 고정된다. 이 작업이 끝나면 하중분배판(40)을 바닥에 내리고 두 파일(36)을 부체(10)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하여 준설기는 작업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잭(31)을 작동시켜 주므로해서 제거부를 형성하는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이 분쇄기(32)에 대한 준설 앞면이 되어 원을 그리며 움직이게 되어 있다. 준설할 층을 없애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선택적으로 택할 수 있다.
부움(14)의 둘째부분(14B), 플랫포옴(16)에 대한 중간장치(24)의 회전 수직축(26) 및 부움(14)의 첫부분(14A)에 각각 장치된 거리지시계는 전 작업을 통해 운전대에 있는 기사가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의 기울기 및 방향위치뿐아니라 작업깊이까지도 알려주는 역활을 한다. 준설작업 깊이까지 작업을 완료했을 땐 준설기는 다른 위치로 옮겨져야 한다.
이 이동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부움(14)의 둘째 부분이 바닥으로 부터 떨어지도록 잭(27)을 하용하여 들어올린 후 부움(14)의 첫부분(14A) 및 둘째부분(14B)도 잇달아 들어올려주면 하중분배판(40)은 바닥으로 부터 들어 올려질 것이다. 이 때 고정파일(36)을 각각 슬리이브(37)와의 고정에서 풀어준 후 결합된 잭(38A)으로 기울여주면 고정 파일(36)에 주어진 기울기에 따라 준설기가 전진 이동을 할 것이다.
이동 후 하중분배판(40)은 다시 바닥에 놓여지게되며 고정파일(36)은 고정되며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은 다시 좌우운동을 하며 준설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파일(36)이 잭(38A)에 의해 최대의 기울기를 형성했을 때는 수직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곧게 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 파일(36)을 풀어서 하나씩 끌어올린 후 다시 수직 위치로한다.
이 작업은 하중분배판(40)이 고정되어 있을 때 유리하게 시행된다.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이 항만에서 선박(41)과 같은 방해부체 아래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이런 선박들을 옳길 필요가 없음은 특이한 점이다. 고정파일(36) 및 고정파일(39)을 사용하여 부체(10)를 바닥에 고정시키므로써 분쇄기(32)가 아주 견고한 바닥에 대해서 특히 바위제거에 있어 부체(10)의 안정에 아무런 위험이 없이 작업을 할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Claims (1)

  1. 부체(10), 부체의 수평축(15)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뒤끝이 부체에 장치된 부움(14)의 첫부분(14A)과 그 앞끝에 분쇄기(32)가 설치된 부움(14)의 둘째부분(14B)을 함유하는 올려진 정지 위치와 잠수된 작동위치를 가지는 2개부분으로 형성되는 부움(14), 부움의 첫부분(14A)의 앞끝과 부움의 둘째부분(14B)의 뒤끝사이에 설치된 플랫포옴(16), 이 플랫포옴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 부움의 둘째부분의 뒤끝은 수직축(26)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플랫포옴에 설치하는 장치, 부움의 둘째부분이 잠수된 작동위치에 있어 방해부체들 밑에서 분쇄기 헤드(head)가 작업할 수 있도록 그 올려진 정지위치에 있어 부체의 세로축의 한계범위를 넘어 실제로 완전히 외측으로 신장한 부움의 둘째부분(14B) 수평측 주위를 플랫포옴에 대대하여 수직 진동 진동을 하도록 부움의 둘째부분의 뒤끝을 플랫포옴에 설치하는 장치, 수평위치와 기타 경사위치들사이에서 플랫포옴에 대한 부움의 둘째부분의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등으로 구성되는 준설기.
KR7802251A 1978-07-19 1978-07-19 준설기(浚渫機) KR82000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251A KR820002320B1 (ko) 1978-07-19 1978-07-19 준설기(浚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251A KR820002320B1 (ko) 1978-07-19 1978-07-19 준설기(浚渫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320B1 true KR820002320B1 (ko) 1982-12-17

Family

ID=1920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251A KR820002320B1 (ko) 1978-07-19 1978-07-19 준설기(浚渫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806A (zh) * 2020-08-25 2020-11-17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水利工程用排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806A (zh) * 2020-08-25 2020-11-17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水利工程用排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2790A (en) Floatable apparatus for excavating and transporting excavated material
US4242816A (en) Dredger having a two-part boom
NO792481L (no) Apparat for graving av en groeft under en roerledning som er anbragt paa sjoebunnen
JP4700761B1 (ja) 水底均し装置
JP2000505518A (ja) 浚渫装置
US4887371A (en) Dredges
US4394265A (en) Vessel in particular suction dredger provided with means for removing oil from a water surface
US4359164A (en) Floating crane apparatus
KR820002320B1 (ko) 준설기(浚渫機)
CN212271048U (zh) 一种带支腿的自航多功能施工船
US3843184A (en) Underwater search and salvage system
US8056270B1 (en) Dredge propulsion system
US20220074167A1 (en) Counterweight Backhoe dredger
JP4903732B2 (ja) 浚渫装置
US20190119882A1 (en) Dredger Actuated from Land
US3777372A (en) Cutter suction dredge having parallelogram linkage wave compensator
JPS6036546Y2 (ja) 海洋土木工事船
JPS6229630A (ja) ドレツジヤ
CN209854802U (zh) 清淤船
JP7312096B2 (ja) グラブバケットの姿勢制御装置及び姿勢制御方法
JP2924572B2 (ja) 浚渫装置
JPH06191476A (ja) 水中作業船
EP01457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ork at sea
JPS6022108Y2 (ja) 捨石基礎均し機
JPH022700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