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527B1 -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527B1
KR820001527B1 KR7801059A KR780001059A KR820001527B1 KR 820001527 B1 KR820001527 B1 KR 820001527B1 KR 7801059 A KR7801059 A KR 7801059A KR 780001059 A KR780001059 A KR 780001059A KR 820001527 B1 KR820001527 B1 KR 82000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hosphor
powder
thin lay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끼 사부로 노노
하지메 모리시다
마찌아끼 하시모도
도시가쓰 마나베
요시 후미 도미다
마사히로 니시자와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주식회사 히다씨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주식회사 히다씨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780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527B1/ko
Priority to KR1019820002193A priority patent/KR830000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제1a~f도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a~d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a~f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칼러브라운관의 형광면을 제작하는데 적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도형상의 분체도포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분체(粉體)를 물 등의 분산제(分散劑)에 분산시킨 분산액이나 혼합액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우선 균일한 분산액을 만들어 그 분산액을 균일한 상태로 보존해 두었다가 도포를 해야 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 도형상의 분체도포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의 1예로서, 칼러 브라운관의 화면부분(face plate)의 내면에, 적, 녹, 청으로 각각 발광하는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제1a~f도에 의해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색째의 형광체 예컨대, 녹색 발광성 형광체와 감광성수지, 폴리비닐알콜과 중크롬산 암모늄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성수지 용액의 균일한 혼합물을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도포 건조하여 층(2)을 형성한다. 다음에 이 층(2)에 새도우마스크의 구멍을 통하여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의 자외선의 조사위치는 그 형광체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자빔이 사돌(射突)하는 위치 즉, 그 형광체가 고착되어야 할 위치에 상당한다.
이 자외선의 조사를 받은 부분의 감광성수지는 불용화(不溶化)하게 되고 그에 의해 그 부분에 있어서의 층전체가 불용화한다. 다음에 층(2)은 용매(대개는 물)에 의해 씻겨져 제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의 조사를 받아 불용화한 층(2')만이 페이스 플레이트의 면에 잔류하게 되고, 그밖의 층은 용해되어 제거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조작에 의해 제2색째의 형광체 예컨데, 청색 발광성 형광체와 감광성수지의 혼합물의 층(3)이 제1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자외선 로광과 수세(水洗)에 의해 제1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용화한 층(3')이 페이스 플레이트의 면에 잔류한다. 또한 동일한 조작에 의해 제3색째의 형광체 예컨데, 적색 발광성 형광체와 감광성 수지의 혼합물의 층(4)이 제1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자외선 로광과 수세에 의해 제1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용화한 층(4')에 페이스 플레이트의 면에 잔류한다.
이상의 설명으로서 이해할 수 있듯이 종래의 칼러 브라운관의 형광면을 제작하는 공정은 매우 복잡했었으며 또한 많은 횟수의 습식도포(濕式塗布)와 수세(水洗) 및 건조를 해야 하는등의 반복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각 공정에 있어서 각종의 기술적인 문제가 야기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때도 비경제적이었다.
한편, 분체 그 자체를 도포하는 간단한 방법이 일본 특개소(47-7266)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비로광층(非露光層)의 표면은 점착성을 갖지만, 로광을 하게 되면 점착성이 소실되는 감광 락카층에서 발광 스크린의 지지체를 피복한 후 감광 락카층의 발광 표면을 설치해야 할 개소를 로광하여 계속해서 이 층에 비로광 부분에 피착하는 광 흡수재료의 분말을 도포한다. 그 후 상기한 로광부분을 세정하여 광 흡수재료를 제거한다. 최후에 각종의 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의 표면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 사용되는 감광 락카층은, 한번 로광한 부분은 점착성을 소실하게 되어 재 점착성을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3종의 형광체를 동일한 감광 락카층에 순서적으로 도포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광 흡수성재료층(소위, 블랙 매트릭스)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이 방법에 사용되는 감광 락카로서는, 이스크맨 코닥사(Eastman Kodak社)의 "Kodak Mordant cermitax"가 알려져 있지만, 이 감광 락카의 감도는 매우 낮은 결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광하는데 장시간이 걸리고 공업성이 결여되어 있다. 한편, 이 감광 락카는 물에 의해서는 용해되지 않고 유기용매에 의해서만 용해된다. 대부분 유기용매의 증기는 인간에 대하여 유해한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화성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당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형상의 분체도포층을 형성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주 간단한 공정에 의해 칼러브라운관의 형광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랙스트라이프(black stripe)에 첨예각을 예리하게한 블랙스트라이프 형광면을 얻도록한 형광면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목적은, 기체 표면상에 도형상 분체도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로광에 의해 점착성을 발하는 감광성 수지조성물을 기체 표면에 도포하여 박층을 형성하는 방법.
(2) 그 박층에 도형상의 로광을 하여 로광부에 점착성을 발하게 하는 공정.
(3) 로광후의 박층에 분체입자를 접촉시켜 박층의 분체를 수용하는 능력에 따라 분체입자를 박층에 수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상 분체도포층의 형성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출에 의해 점착성을 일으키는 감광성 조성물로서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단독 또는 방향족 디아조늄염을 감광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개요에 관해 칼러 브라운관의 형광면을 제작하는 방법의 실시예로서 이하 설명한다.
제2a~d도는 본 발명의 칼러 브라운관의 형광면을 제작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공정을 설명한 것이다.
우선, 제2a도에 그 단면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칼러브라운관의 화면부분(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디아조늄염 단독 또는 디아조늄염과 그 외의 물질과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박층(5)을 형성시킨다.
이 경우 박층을 형성하는 물질은 물이나 알콜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페이스 플레이트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고형(固形)의 박층을 형성한다.
다음에 박층(5)에 새도우마스크의 구멍을 통하여 자외선을 조사시킨다.
이때의 자외선의 조사위치는, 제1색째의 형광체 예컨데, 녹색 발광성 형광체가 도포되어야 할 위치에 상당한다.
이 자외선의 조사를 받은 부분의 박층에 있어서는, 디아조늄염의 광분해의 반응에 따라 점착성이 발생한다. 다음에 이 박층에 제1색째의 형광체 입자가 접촉되어 박층의 형광체의 수요능력에 따라 형광체 입자가 박층에 부착되고 잔여의 형광체 입자가 박층에 부착되고 잔여의 형광체 입자는 공기를 불어대는 등의 수단에 의해 박층상에서는 제거되어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를 받은 박층상에 형광체도포층(6)만이 형성된다. 다음에 같은 조작에 의해 제2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색째 형광체 예를 들면, 청색 발광성 형광체의 도포층(7)이 형광된다. 또한, 같은 조작에 의해 제2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째의 형광체 예컨데, 적색 발광성 형광체의 도포층(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3색의 형광체가 각각 발광을 일으키기 위한 전자비임이 사돌하는 위치에 도포된 페이스 플레이트가 얻어진다.
이와같이 종래의 방법에 비하면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또한 극소량의 물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칼러브라운관의 형광체 도포를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라이프형의 블랙매트리스 칼러브라운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블랙 매트릭스의 광 흡수층을 형성해야 할 위치에 광이 쏘여지도록 칼러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에 의해 로광함으로써 블랙매트릭스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족 디아조늄염 단독 또는 이것과 그외의 물질 예를들면, 아라비아 고무와의 혼합물을 글라스판 등의 기판면에 도포하여 박층을 형성하고, 이것에 광을 조사하면 박층의 분체 입자의 수용능력이 증가한다. 즉, 점착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한 것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점착성이 증가하는 이유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하면 불명한 점도 있지만 일응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디아조늄염은 광 조사에 의해 분해되고, 그로인해 생성되는 물질은 흡습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물질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점착성을 나타낸다. 즉 디아조늄염화물과 염화아연과의 복염(複鹽)이 분해되면 염화아연은 유리(遊離)되면 이 유리된 염화아연은 대단한 흡습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디아조늄테트라 플루우루 붕산염의 분해에 의해서는 흡습성을 지닌 3불화 붕소가 생성된다. 또한 디아조늄수소 황산염의 분해에 의해서는 황산이 생성되며 이것도 대단한 흡습성을 지니고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서 이해될 수 있듯이, 층이 점착성을 가지려면 분위기는 습기를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바람직한 조건으로서는 상대습도가 10~70%, 보다 바람직한 조건으로서는 상대습도가 30~70%이다. 통상의 공기는 이와 같은 조건 내지는 그에 가까운 조건이므로 통상의 공기중에서 작업을 하면 본 발명은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디아조늄염을 함유하는 층이 도형상에 로광되어 그 로광부분이 미로광(未露光)부분에 비해 현저한 점착성을 지니게 하기 위해서는 이 층이 처음부터 점착성을 지녀서는 안된다. 많은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수 있었다.
그것은 디아조늄염을 함유하는 층의 표면에 있어서, 디아조늄염이 결정상태로 되어 있으면 그 표면은 로광전에는 바점착성이고, 로광을 하면 점착성으로 된다는 것을 알았다. 층의 표면에 결정이 존재하느냐 않느냐는 확대경을 통하여 층의 표면을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특히, 편광을 이용하여 관찰하면, 층의 표면에 결정이 존재하게 되면 그 표면은 모자이크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판별이 용이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로서 디아조늄염과 고분자 화합물등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아조늄염의 함유량이 작은 경우에는, 디아조늄염의 결정의 생성이 늦어진다든가 또는 결정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층의 표면에 디아조늄염의 결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표면은 로광전에 점착을 지녔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로광에 의해 비점착성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아조늄염으로서는 광 조사에 의해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향족 디아조늄염이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실용적으로 유용한 디아조늄염은 안정화된 방향족 디아조늄염 예를들면, 방향족 디아조늄 붕소불화 수소산염(방향족 디아조늄 테트라 플루오르 붕산염), 방향족 디아조늄 산성 황산염, 방향족디아조늄, 술폰산염, 방향족디아조늄 염화물, 염화 아연복염이다.
이들의 화합물에 관하여 하기와 같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방향족 디아조늄 염화물, 염화아연복염은, 일반식 øN2Cl.nZnCl2(여기서 ø는 아릴기 또는 라디칼, n은 1 또는 1/2의 값이다)로 나타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화합물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CH3)2Nc6H4N2Cl. ZnCl2).
p-디아조 디에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C2H5)2NC6H4N2ClZnCl2).
p-디아조 에틸 하이드록시 에틸아닐린 크로이라드 징크 크로라이드(HOC2H4(C2H5)NC6H4N2Cl·1/2ZnCl2).
1-디아조 안트라 퀴논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C14H702N2Cl·1/2ZnCl2), 2-디아조-5-니트로아니솔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O2NC6H3(OCH3) N2Cl·1/2ZnCl2), 1-디아조-4-니트로 나프탈렌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O2NC10H6N2Cl·1/2ZnCl2), p-디아조 아니솔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CH3OC6H4N2Cl·1/2ZnCl2), 0-디아조 아니솔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CH3OC6H4N2Cl·1/2ZnCl2)등이 있다.
방향족 디아조늄 테트라 플루오르 붕산염으로서는, 일반식φN2BF4(여기서 φ는 전술한 의미를 나타냄)로 나타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화합물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테트라 플루오르 보레이트, p-디아조 디에틸 아닐린 테트라 플루오르 보레이트, p-디아조 에틸 하이드록시 에틸 아닐린 테트라 플루오르 보레이트, p-디아조 아니솔 테트라 플루오르 보레이트, p-디아조 아니솔 테트라 플루오르 보레이트 등이 있다.
방향족 디아조늄 산성 황산염으로서는, 일반식 øN2HSO4(여기서 ø는 전술의 의미를 가진다)로 나타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화합물의 예로써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p-디아조 디에틸 아닐린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p-디아조 디페닐 아민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이들의 화합물중 바람직한 재료는,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 p-디아조 디에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테트라 플루오르 보레이트, p-디아조 디에틸 아닐린 테트라 플루오르 보레이트, p-디아조 디페닐 아민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등에 있는데, 이것들 중 가장 바람직한 재료는,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 p-디아조 디에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 등이다.
이들의 화합물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상관이 없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디아조늄염과 혼합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는, 유기고분자 화합물 예를들면, 아라비아 고무, 폴리비닐 알콜, 폴리 아크릴 아미드, 폴리 (N-비닐 피로리돈), 아크릴 아미드-디아세톤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고포리머의 메틸 비닐에텔 그리고 머리익 앤하이드 라이드, 앨지닉산, 프로피렌글리콜 에스텔의 앨지닉산,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노보락 레진 등이다. 이들중 처음의 8종의 유기고분자 화합물을 수용성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는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물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물질을 사용하는 목적은, 디아조늄염을 감광성분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의 박층을 형성시킬때의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과 박층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박층의 분체입자의 수용능력을 제어하는데 있다.
이들의 고분자 화합물은, 디아조늄염에 대하여 1~1,000중량%의 범위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500중량%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2~300중량%이다.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분자 화합물의 양이 많으면 그만큼 좋지만, 고분자 화합물의 양이 너무 많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디아조늄염의 결정의 생성이 지연된다.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한 각종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조성물의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성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은 공지의 수단이며 이롸 같은 공지의 수단에 쓰여지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있어서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량은, 이다조늄염에 대하여 0.01~1%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많은 분체를 감광성 박층에 피착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한번 박층에 분체를 피착 시킨 후의 분체 도포층에 알콜 또는 케톤의 증기를 접촉시킨 후 분체 도포층을 건조하여 다시 상기한 분체와 동일한 분체를 다시한번 분체도포층에 접촉시키는 방법이다. 이렇게 해서 동일한 분체를 보다 많이 박층에 피착시킬 수 있다.
이 방법에 쓰이는 알콜로서는, 메타놀, 에타놀, 이소푸로필알콜, 부틸알콜 등이 쓰여지고, 케톤으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은, 통상의 분체라면 어떠한 크기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0.01∼100μ정도의 분체이며 바람직한 것은 4~10μ정도의 분체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체를 박층에 기계적으로 더욱 견고하게 피착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컨데, 칼러 수상관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형광명은 분체도포층이 형성된 후에 유기고분자 피막으로 피복된다.
이와 같은 피복을 실시하는 목적은, 형광면의 표면에 광반사막으로서 알루미늄막을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할때 알루미늄 막이 금속광택을 갖도록 하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피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형광면이 기계적으로 견고해야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분체도포층을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하기 위한 제1의 방법은, 알칼리성 물질 예컨대, 암모니아, 히드라진, 지방족아민 등의 증기를 분체도포층에 접촉시키는 방법이다. 이 조작으로 광조사에 의해 생성된 물질이 변화하여 분체를 박층에 더욱 견고하게 피착시킨다. 예를 들면, 감광성층 및 형광체층에 함유되어 있는 곳의 광조사에 의해 생성된 염화아연이 수산화아연으로 변화하여 이 수산화아연이 기판과 형광체 입자간이나 형광체 입자의 상호간을 견고하게 결부시키므로 인해 형광체층이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된다.
이 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약 20℃이상의 온도에서 농(濃) 암모니아수(농도29%)의 속을 통과한 공기를 10~20초간 분체도포층에 접촉시키는 방법이다. 분체도포층을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하는 제2의 방법은, 분체도포층을 보다 습기가 많은 분위기로 유지한 후 건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감광성 조성물로서 수용액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했을 경우에 유효한 방법이지만, 디아조늄염 단독의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했을 경우에도 효과는 인정된다. 이 방법을 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수분에서 포화된 공기를 분체도포층에 수초간 접촉시킨 후 건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얻은 분체도포층은, 베이킹등의 과정에서 디아조늄염 등은 분해되며 분체도포층 자체에는 아무런 악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형광체, 카본등의 분체층은, 베이킹 후에도 종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분체층의 경우와 같은 이유에 의해 견고하게 기판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응용예 이외에도 대다수의 용도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사진 같은 대전(帶電) 공정을 포함치 않고 최저한 로광공정과 분체현상 공정등을 포함하는 건식(乾式)사진 기술이 본 발명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광성 박층에 부착시키는 분체로서는, 형광체, 무기 및 유기안료, 염료의 분말등 광범위한 분체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의 조성1을 가진 수용액을 글라스면 판 상에 회전도포법에 의해 도포하여 적외선 가열에 의해 건조시켜 약1㎛의 감광성 박층을 형성시켰다.
조성 1
염화-디메틸 아미노 벤젠 디아조늄 염화아연 복염 1중량부
나프탈린술폰산 나트륨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된 계면활성제(Kas-Atlas Co.,Demor MS) 0.01중량부
물 20중량부
이 감광성 박층에 초고압 수은 등으로부터의 강도 50mw/㎠의 광을 칼러브라운관용의 새도우 마스크의 구멍을 통하여 1분간 조사했다.
이어서 이 감광성 박층의 표면에 상대습도 40%의 공기중에서 더스팅 방법(dusting method)에 의해 녹색 발광성 형광체를 도포했다.
즉, 형광체 분말을 박층 표면에 산포하여 박층의 로광된 부분에 형광체 분말을 부착시킨후 잔여의 형광체 입자를 에어 스프레이에 의해 제거했다.
이어서 다시 새도우마스크이 구멍을 통하여 초고압 수은등으로부터의 광을 감광성 박층의 전회(前回)의 로광부분과는 다른 위치에 조사한 후 더스팅에 의해 청색 발광성 형광체를 도포했다.
그리고 같은 조작에 의해 감광성 박층의 지금까지의 로광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광을 조사한 후 더스팅에 의해 적색 발광성 형광체를 도포했다.
이와 같이 하여 칼러브라운관의 형광면으로서 사용 가능한 모자이크 모양의 형광체 도포층을 제작할 수 있었다. 형광체의 도포밀도는 2.0~2.5㎎/㎠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형광체 도포층은 암모니아와 물과의 혼합기체에 수초간 접촉되는 것에 의해 물에 불용해성으로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성 1의 수용액 대신 다음의 조성 2를 가진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에 의해 두께 약 2㎛의 감광성 박층상에 모자이크 모양의 형광체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조성 2
p-디메틸 아미노벤젠 디아조늄 붕소불화수소산염 3중량부
폴리비닐알콜(Kura Shiki Payon Co., Kurare Poval 224)
평균중합도 2400, 가수분해율 88% 10중량부
물 300중량부
[실시예 3]
실시예 1의 조성 1의 수용액 대신 다음의 조성 3을 가진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에 의해 두께 약 0.5㎛의 감광성 박층상에 모자이크 모양의 형광체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조성 3
염화 4-니트로 나프탈린-1-디아조튬, 염화아연복염 1중량부
폴리비닐알콜(Kura Shiki Payon Co., Kurare Poval 224) 2중량부
물 60중량부
[실시예 4]
하기의 조성 4를 가진 수용액을 글라스판에 회전 도포법에 의해 도포하여 적외선 가열에 의해 두께 1~2㎛4의 감광성 박층을 형성시켰다.
조성 4
p-디메틸 아미노벤젠 디아조늄 붕소불화 수소산염 1중량부
물 20중량부
그 감광성 박층에 초고압 수은등으로부터의 강도 5mw/㎠의 광을 칼러 브라운관용의 새도우마스크의 구멍을 통하여 1분간 조사했다.
이어서 감광성 박층의 표면에 칼러브라운관용 녹색 발광성 형광체를 산포하여 감광성 박층의 분말 입자의 수용능력이 있는 부분에 형광체 입자를 부착시켜 잔여의 형광체 입자를 에어스프레이에 의해 제거했다. 이와같이 하여 감광성 박층의 광조사를 받은 부분에만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체 도포층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조성 4의 수용액 대신 하기의 조성 5~조성 13을 가진 9종류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같은 조작을 한 결과 어는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도 감광성 박층의 광조사를 받은 부분에만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체 도포층을 얻었다.
조성 5
p-디메틸 아미노벤젠 디아조늄 붕소불화수소산염 1중량부
아라비아고무 4중량부
물 80중량부
조성 6
p-디메틸 아미노벤젠 디아조늄 붕소불화수소산염 1중량부
폴리(N-비닐피로리돈 (GAF社製)폴리비닐 피로리돈 K-90) 3중량부
물 60중량부
조성 7
p-디메틸 아미노 벤젠디아조늄 붕소불화수소산염 1중량부
아크릴아미드-디아세톤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아크릴 아미드와 이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화의 몰비 5대 3, 수용액 중 25℃에 있어서의 극한 점도수[n]=3.0 3중량부
물 60중량부
조성 8
염화 p-메톡시 벤젠디아조늄·염화아연복염 1중량부
물 60중량부
조성 9
염화 p-메톡시 벤젠디아조늄, 염화아연복염 1중량부
폴리비닐알콜(Kura Shiki Payon Co., Kurare Poval 224) 3중량부
물 60중량부
조성 10
염화 p-디메틸 아미노벤젠 디아조늄, 염화아연복염 1중량부
물 20중량부
조성 11
염화 o-메톡시 벤젠디아조늄 염화아연복염 1중량부
물 20중량부
조성 12
황산 4- 디아조 디페닐아민 1중량부
물 20중량부
조성 13
유산 4- 디아조 디페닐아민 1중량부
아라비아고무 3중량부
물 60중량부
[실시예 6]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조성 2를 가진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4과 같은 조작에 의해 감광성 박층의 표면의 광조사를 받은 부분에 선택적으로 도포된 형광체 도포층을 얻었다. 이어서 20~22℃에 있어서 이 형광체 도포층에 수분으로 포화된 36℃의 공기를 수초간 불어대어 형광체층 및 감광성 박층을 축축하게 한후 건조시킴으로써 형광체를 감광성 박층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7]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조성 2를 가진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감광성 박층의 표면의 광조사를 받을 부분에 선택적으로 도포된 형광체층을 얻었다. 이어서 20~22℃에 있어서 이 형광체 도포층에 이소프로필 알콜로 포화된 40℃의 공기를 수초간 접촉시켜 형광체층 및 감광성 박층을 이소프로필 알콜에 의해 축축하게 한후 건조시켰다. 이어서 이미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와 같은 종류의 형광체분말을 재차 층에 접촉시킨 후 층에 부착되지 않은 형광체의 입자를 에어 스프레이에 의해 층으로부터 제거했다. 이 2회째의 더스팅 조작에 의해 감광성 박층의 광조사를 받을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형광체의 도포량은 2.0㎎/㎠에서 3.6㎎/㎠로 증가했다.
[실시예 8]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조성 2를 가진 수용액을 사용함과 동시에 형광체 분말대신 탄소분말, 산화 제2철분말 코발트 블루분말, 수단(유기안료의 일종)의 분말, 인디고틴 분말 및 콘고 레드분말을 각각 사용하여 실시예 4와 같은 조작을 하여 어느 분말을 사용했든 경우에도 감광성 박층의 광조사를 받은 부분에만 분체가 도포된 각각의 분말의 도포층을 얻었다.
[실시예 9]
하기의 조성 14,15를 가진 수용액을 페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도포에 의해 도포되어 적외선 가열에 의해 두께 0.5~0.7㎛의 감광성 박층을 형성시켰다.
조성 14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 5.00중량부
코포리머 및 메틸비닐에텔 그리고 "간트래즈" 머릭익앤
하이드라이드 0.50중량부
(G.A.F.社製 간트레즈 AN-179)
블록 코로피머 및 프로피렌 글리콜 그리고 에틸렌 옥사이드 0.01중량부
(旭電化工業 K.K 製 비이온 계면활성제 프루로닉-92)
물 94.49중량부
조성 15
p-디아조 디메틸 아닐린 크로라이드 징크 크로라이드 5.00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켈 및 앨지닉산 0.50중량부
(君津化學工業 K.K 製 기미로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옥시드 블록 공중합체 0.01중량부
물 94.49중량부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에 의해 감광성 박층상에 모자이크 모양의 형광체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제3a~f도에 의거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인치의 칼러브라운관의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조성 16
염화 p-디메틸 벤젠 디아조늄·염화아면복염 4%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텔 0.4%
도덴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다 0.004%
에틸알콜 3%
순수한 물 92.596%
으로 조성된 감광제 박층(5)을 막두께 0.5-1.2㎛의 범위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그리고 도시하지않은 새도우 마스크에 의해 로광한다. 이경우 광원의 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새도우 마스크까지의 거리 p=230㎜, 새도우 마스크로부터의 감광제 박층(5)의 도포면 즉,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서의 거리 q=12.10mm, 스트라이프용 새도우 마스크의 횡(橫) 핏치 Bp=0.77mm로 했을때 통상의 스트라이프형 칼러 수상관의 형관면의 로광위치 즉, G, B, R 의 전자총의 위치에 상당하는 로광위치보다도
Figure kpo00002
만큼 각각 변위시켜 각각 변위시킨 위치에서 로광을 하여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위 블랙 스트라이프를 형성하는 위치에만 광을 쏘여 로광후의 감광층(5a)을 형성한다. 이 경우 로광을 할때 이 로광영역의 크기는 페이스 플레이트(1)의 화면 중앙부에서는, 작게, 그 주변부에서는 크게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광원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술과, 광강도를 보정하는 필터를 사용하여 로광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중앙의 광원의 실효적인 크기를 2.2mm, 광강도를 0.3mw/cm2, 주변부의 광원의 실효적인 크기를 1.2mm, 광강도를 0.24mw/㎠ 로 하여 새도우 마스크의 크기를 중앙부에서는 0.219mm, 주변부에서는 0.185mm로 약 120초간 로광한다. 이 경우 중앙부에서 0.090mm, 주변부에서 0.150mm의 크기만큼 로광되어 광이 쏘여진 부분의 감광층(5a)은 디아조늄이 분해되어 점착성을 가지며 물질 수용성을 갖도록 된다. 그리고 로광후 페이스 플레이트(1)에서 새도우 마스크를 제거하여 제3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광흡수 물질인 입경이 약 0.5~0.9㎛의 흑연분(9)을 불어부치면 광이 쏘여진 감광층에 측연분이 부착된다.
그 다음에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가볍게 공기를 불어 부치면, 광이 쏘여지지 않했던 부분의 흑연분은 제거되어 제3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랙 스트라이크의 패턴(9')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광원을 전자총의 배실위치에 상당하는 위치로 변위시켜 페이스 플레이트(1)에 새도우 마스크를 장착하여 중앙부와 주변부 공히 실효 광원의 크기 1.5mmø, 광강도를 중앙부에서 0.3mw/㎠, 주변부에서 0.21mw/㎠로 하여 약 120초간 로광한다.
이 경우 제3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이 쏘여진 부분의 감광층(5a)은 점착성을 가지며 물질 수용성을 갖도록 된다. 그리고 로광 후 페이스 플레이트(1)에서 새도우 마스크를 제거하여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녹색의 형광체(6)를 불어 부친후에 가볍게 공기를 불어대면 제3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광되지 않았던 부분의 녹(綠)의 형광체는 제거되어 녹의 형광체 패턴이 형성된다. 이하 같은 방법에 의해 이것을 청(B), 적(R)에 관해 반복하는 것에 의해 블랙 스트라이프형의 형광면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 블랙스트라이프형의 형광면을 암모니아 증기에 10~20초 폭로하는 것에 의해 물에 대하여 불용성으로 되므로 이 페이스 플레이트(1)를 필밍(filming)알미늄의 종착을 행하여 형광면이 완성된다.
이와같은 형성방법에 의하면, 블랙스트라이프 패턴, 형광체 패턴이 완전한 건조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매우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0에 의한 형광면의 형성방법에 의하면, 블랙스트라이프의 광흡수성 물질층을 매우 간단한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블랙스트라이프의 패턴을 형광면보다 먼저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형광면 패턴의 첨예각이 매우 양호해지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

  1. 칼러브라운관의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도형상 분체도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조늄염을 감광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로광에 의해 점착성을 발하는 감광성 조성물을 칼러브라운관의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도포시켜 박층(5)으로 하는 공정 및 그 박층(5)에 접촉시켜 도형상의 로광을 하여 로광부에 점착성을 발하게 한 후 분체입자를 상기한 로광 후의 박층(5)에 로광부에 분체입자를 부착시키는 것을 최소한 1회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상 분체도포층의 형성방법.
KR7801059A 1978-04-13 1978-04-13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KR82000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059A KR820001527B1 (ko) 1978-04-13 1978-04-13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KR1019820002193A KR830000111B1 (ko) 1978-04-13 1982-05-19 스트라이프 형상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059A KR820001527B1 (ko) 1978-04-13 1978-04-13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2193A Division KR830000111B1 (ko) 1978-04-13 1982-05-19 스트라이프 형상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527B1 true KR820001527B1 (ko) 1982-08-27

Family

ID=1920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1059A KR820001527B1 (ko) 1978-04-13 1978-04-13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52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3842A (en) Process for forming patternwise coated powder layer
US4276363A (en) Process for forming phosphor screens with treated phosphors
US4269918A (en) Process for forming patternwise coated powder layer
US3589907A (en) Photosensitive lacquer and the use of this lacquer in manufacturing picture screens for cathode-ray tubes
KR820001527B1 (ko) 도형상 분체도포층(圖形狀粉體塗布層)의 형성방법
JPH01302348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カラー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
US4247612A (en) Method of forming fluorescent screens of color picture tubes
KR900008198B1 (ko) 칼라 수상관의 형광면 형성방법
JPS6337930B2 (ko)
JPS6150302B2 (ko)
KR860000936B1 (ko) 음극선관 형광면의 형성 방법
EP0025211B1 (en) Method of forming fluorescent screens of color picture tubes
EP0025553B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s
KR830000111B1 (ko) 스트라이프 형상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방법
KR830000681B1 (ko) 형광면 형성방법
JPS6223420B2 (ko)
KR100450215B1 (ko) 접착력보강형광막용슬러리및형광막패턴형성방법
JPS6020425A (ja) 螢光面製作方法
KR830000490B1 (ko) 도형상 분체도포층의 형성방법
KR840000559B1 (ko) 감광성 조성물
KR840000558B1 (ko) 컬러수상관 형광면의 형성방법
KR830000414B1 (ko) 칼러수상관 형광면 형성법
KR860000434B1 (ko) 형광면 형성방법
GB2029976A (en) Method of forming fluorescent screens of color picture tubes
JPS5949278A (ja) カラ−受像管「けい」光面形成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