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500B1 -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500B1
KR820001500B1 KR7803818A KR780003818A KR820001500B1 KR 820001500 B1 KR820001500 B1 KR 820001500B1 KR 7803818 A KR7803818 A KR 7803818A KR 780003818 A KR780003818 A KR 780003818A KR 820001500 B1 KR820001500 B1 KR 82000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ine
gate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까오 야마시다
다까오 스가야
노리유끼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야쓰이 지쯔이찌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쓰이 지쯔이찌,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야쓰이 지쯔이찌
Priority to KR780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도면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재봉틀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재봉틀의 기틀을 생략하고, 그 재봉틀의 주요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마찬가지로 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대략 4-4선에 연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대략 5-5선에 연하는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대략 6-6선에 연하는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대략 7-7선에 연하고, 또 일부 생략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마찬가지로 제3도에 있어서의 대략 8-8선에 연하는 단면도.
제9도는 재봉틀의 주요기구를 구성하는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여러 가지의 꿰맨줄의 모양의 형성에 있어서의 캠체의 구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
제11도는 선택된 꿰맨줄 모양의 형성에 있어서 그 꿰맨 모양에 대응하여 미리 정하여진 순서에 따라서 스탭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선도.
제12도는 캠체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작동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 정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제11도의 블록선도중의 모양 선택수단의 작동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아트.
제15도, 제7도 및 제19도는 각기 다른 3개의 꿰맨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순서회로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제16도, 제18도 및 제20도는 각기 제15도, 제17도 및 제19도에 표시되어 있는 순서회로의 작동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아트.
본 발명은 재봉틀에 있어서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늘의 가로방향요동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개의 바늘위치정보가 기록된 제1의 정보담지체와, 그 정보담지체의 바늘위치정보를 택일적으로 취출하여 바늘의 가로방향요동위치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1의 주사체와, 송치의 보내기 운동을 조절하는 보내기 조절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개의 보내기 정보가 상기 제1의 정보담지체의 여러개의 바늘위치정보와 각기 대응하여 기록된 제2의 정보담지체와, 상기 제1의 주사체에 의해서 취출되는 바늘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보내기 정보를 상기 제2의 정보담지체에서 택일적으로 취출하여 상기 보내기 조절기의 설정위치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2의 주사체와를 갖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정보담지체가 단일의 스탭모우터에 의해서 일정한 위상차로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별개로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재봉틀에 있어서, 바늘의 가로방향요동위치를 조작하는 시기와 보내기 조절기를 조작하는 시기와는 주축의 회전각에 있어서 대략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바늘위치정보담지체와 보내기정보담지체와는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일정한 위상차로 구동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양정보담지체를 스탭모우터로 구동하는 타입의 기지의 재봉틀에 있어서, 각 정보담지체마다 1개의 스탭모우터가 사용되고, 각기 별개의 구동제어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기지의 타입의 재봉틀의 제품화에 있어서는, 2개의 스탭모우터를 각 정보담지체와 함께 재봉틀기틀중의 한정된 스페이스내에 배치하는 것이 해결되어야 할 큰 문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그 주된 목적은, 종래 재봉틀의 상기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일의 스탭모우터에 의해서 2개의 정보담지체가 일정한 위상차로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별개로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단일의 스탭모우터 채용의 재봉틀의 실현을 가능케 하고, 또 그 스탭모우터의 구동제어수단이 간단화하게 된 염가의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 장치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재봉틀(10)은 각주(脚注)(11)를 지지하는 베드(12)를 가지며, 브라킷아암(13)이 상기 각주에서 뻗어져 베드의 윗쪽으로 내뻗혀 있다. 베드(12)에 인접하여 보조판(14)이 부착되고, 베드와 협동하여 넓은 가공지지면을 형성하고 있다.
브라킷아암(13)은 윗쪽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이 개구는 윗덮개(15)에 의해서 덮어져 있고, 그 윗덮개에는 표시판(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판은 형성가능한 모든 꿰맨줄 모양을 가시적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후기와 같이 선택된 특정의 꿰맨줄 모양의 1개를 표시한다.
한쌍의 푸시버튼(17),(18)은 상기 표시판(16)의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꿰맨줄 모양의 각 표시의 윗쪽에는 일련의 표시램프(19)가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선택된 1개의 꿰맨줄 모양에 대응하는 램프만이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그 선택된 꿰맨줄 모양을 지시한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4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주축(20)은 브라킷아암(
13)에 축지되어 있으며, 그 우단부에는 핸드휘일(21), 도시하지 않는 전동모우터에 벨트(22)에 의하여 연결된 구동플리(23) 및 공지의 타이밍 플리(24)가 고정되어 있다. 하단에 바늘(25)이 고정된 침봉(26)은 상기 브라킷아암(13)에 추착된 공지의 침봉 받침틀(27)에 상하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주축(20)의 회전에 동기해서 상하 왕복함과 동시에 침봉받침틀과 함께 가로방향으로 요동가능하다. 상기 베드(12)안에 있어서 송대(28)에 고착된 송치(29)는 베드(12)에 고정된 침판(30)의 개구를 통해서 그 침판 상면에서 돌출가능하며, 주축(20)과 동기하여 공지의 헝겊 보내기 운동을 하는 것이다. 보내기 조절기(31)는 상기 베드(12)에 지승된 보내기 조절축(82)에 고정되고, 상기 송치(29)의 헝겊보내기 운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송대(28)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주(11) 안에는 한쌍의 지지브라킷(33),(34)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한쪽의 브라킷(33)에는 스탭모우터(35)가 고정되고, 그 출력축(36)은 다른쪽의 브라킷(34)에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그 한쌍의 브라킷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36)에는, 바늘의 가로 방향 요동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많은 바늘위치 정보가 각기 기록된 일련의 단상(段狀) 캠면(39)을 외주연에 갖는 제2의 캠체(40)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 캠체(38),(40)는 각기 바늘위치 정보담지체 및 보내기 정보담지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양캠체의 사이에는 돌출부(41)를 갖는 대략 환상의 중간체(42)가 제2의 캠체(40)가 보스부의 유감(遊嵌)되고, 양캠체에 각기 형성된 투공(43),(44)에 상기 돌출부(41)가 감합되어 있다. 그 양투공(43),(44)의 각폭은 돌출부(41)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체(42)는 양캠체(38),(40)에 대하여 각기 미리 정해진 각도, 본 실시예의 경우 어느쪽의 캠체에 대해서도 약 10도만 상대적으로 희동가능하다. 제1의 코일스프링(45)은 1단으로 상기 제2의 캠체(40)에 계지되고, 타단으로 중간체(42)에 계지되어 있으며, 중간체(42)를 제2의 캠체에 대하여 제9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약한 스프링힘에 의해 부세(付勢)한다. 제2의 코일스프링(46)은 1단으로 상기 제1의 캠체(38)에 계지되고, 타단으로 중간체(42)에 계지되어 있으며, 중간체에 대해서 제1의 캠체(38)를 제9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약한 스프링힘에 의해 부세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의 캠체(38)는 제2의 캠체(40)에 대하여 늘 미리 정해진 상대적 각도위치에 보지되고, 그 각도위치에 있어서 양투공(43),(44)은 대략 합치되어 있으며, 지금 가령 제1의 캠체(38)가 고정되었다고 하면, 제2의 캠체(40)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어느 것도 약 10도만 단독으로 회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중간체(42), 제1 및 제2의 코일스프링(45),(46), 양캠체의 투공(43),
(44)은, 상기 제1 및 제2의 캠체(38),(40)를 늘 소정의 각도위치에 보지함과 동시에 그 각도위치에서 양캠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보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스탭모우터(35)는, 그 출력측(36)의 1회전 중의 180스탭의 정지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양캠체(38),(40)는 2도의 단위 각도 범위에 대하여 1개의 캠면을 가지며, 전체로서 각기 180의 바늘위치정보 및 180의 보내기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접촉자축(47)은 한쪽의 브라킷(33)에 고정되며, 다른쪽의 브라킷(34)의 구멍(48)에 감합되어 있고, 그 접촉자축(47)에는 제1의 캠체(38)에 상대하는 제1의 접촉자(49) 및 제2의 캠체(40)에 상대하는 제2의 접촉자(50)가 각기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양접촉자(49),(50)는 후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2의 캠체(38),(40)의 단상 캠체(37),(39)에 각기 순차적으로 계합하고, 그 캠면의 높이에 따라서 바늘(25)의 가로 방향 요동위치 및 보내기 조절기(31)의 설정위치가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면접촉자(49),(50)는 제1 및 제2의 캠체(38),(40)에 각기 기록된 바늘위치정보 및 보내기 정보를 택일적으로 취출하는 주사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2의 접촉자(50)는 접촉자축(47)에 따라서 이동가능하지만, 제1의 접촉자(49)는 접촉자축(47)에 따른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잡아당기는 스프링(51)은 상기 제1의 접촉자(49)와 브라킷(34)와의 사이에 장설되고, 그 접촉자(49)를 제1의 캠체(38)에서 해리(解離)가 되도록 부세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잡아당기는 스프링(52)은 상기 제2의 접촉자(50)를 제2의 캠체(40)에서 해리되도록 부세되어 있다.
제1의 조절부체(53)는 상기 출력축(36)에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그 일단에는 제1의 운동전달부체(54)가 추착되어 있으며, 그 운동전달부체는 상기 제1의 접촉자(49)의 원호상 정면(圓弧狀頂面)에 계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55)은 상기 조절부체(53)와 브라킷(34)과의 사이에 장착되고, 그 조절부체를 제2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그 일측연이 상기 브라킷(34)에 고정된 핀(56)에 당접함으로써 조절부체(53)의 그것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는 그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체(54)는 제1의 접촉자(49)에 그 축(47)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서 계합하여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조절부체(57
)도 출력축(36)에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1단에는 제2의 운동전달부체(50)가 추착되어 있으며, 그 운동전달부체는 상기 제2의 접촉자(50)의 원호상 정면에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59)이 상기 조절부체(57)와 브라킷(33)과의 사이에 장착되고, 그 조절부체를 제4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그 일측연이 상기 브라킷(33)에 고정된 핀(60)에 당접함으로써 조절부체(57)의 그것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체(58)는 제2의 접촉자(50)에 그 축(47)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계합되어 있다.
제1의 작동체(61) 및 제1의 연계아암(62)은 상기 브라킷(34)에 고정된 추축(63)에 각기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작동체(61)의 1단은 상기 운동전달부체(54)의 원호상 정면에 계합하고, 타단에는 작동조(作動爪)(64)가 추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계아암(62)의 1단은 링크(65)를 통하여 상기 침봉 받침틀(27)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계핀(66)이 고정되어 있다. 그 연계핀(66)은 상기 작동체(61)와 작동조(64)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작동조(64)와 상기 브라킷(34
)과의 사이에 장설된 약한 당기는 스프링(67)의 작동에 의해 늘 상기 작동체(61)와 작동조(64)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작동체(68) 및 제2의 연계아암(69)은 상기 브라킷(33)에 고정된 추축(70)에 각기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작동체(68)의 1단은 상기 운동전달부체(58)의 원호상 정면에 계합하고, 타단에는 작동조(71)가 추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계아암(69)의 1단은 후기하는 링크기구를 개하여 상기 보내기 조절축(8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계핀(72)이 고정되어 있다. 그 연계핀(72)은 상기 작동체(68)와 작동조(71)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작동조(71)와 상기 브라킷(33)과의 사이에 장설된 약하게 당기는 스프링(73)의 작용으로 늘 상기 작동체(68)와 작동조(71)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다.
상기 링크기구에 대하여 제4도 및 제6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상기 각주(
11)에 고정된 지지판(74)에는 짧은 링크(75)가 추착되고, 그 링키(75)와 상기 연계아암(69)과는 작동링크(76)를 개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계아암(69), 작동링크(76), 짧은링크(75)에 의해 평행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링크
(76)에 고정된 핀(77)은 상기 지지판(74)에 추착된 2차 레버(78)에 감합하고, 그 2차 레버(78)는 다른 링크(70)를 개하여 상기 보내기 조절축(32)에 고정된 아암(8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계아암(69)이 회동되면, 2회동에 연동하여 보내기 조절축(32)이 회동되고, 보내기 조절기(31)가 제어된다.
또, 제2도 내지 제4도 및 제7도에 있어서, 동일 형상의 한쌍의 작동캠(81
),(82)이 180도의 각 위상차를 가지고 주축(20)에 고정되며, 그 한쌍의 작동캠에 중간하측부가 각기 상대하는 한쌍의 작동레버(83)(84)가 브라킷아암(13)에 고정된 지지판(85)에 지지된 축(86)에 각기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양 장착레버와 지지판(85)과의 사이에 각기 장설된 당기는 스프링(87)의 작용에 의해 각 작동캠(81),(82)에 계합되어 있다.
한쌍의 밀착 코일스프링(88)(89)은 일단으로 각기 상기 작동레버(83)(84)에 고정되고, 하단으로 상기 작동조(64)(71)의 조부(爪部)에 이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90)는 부착판(91)에 의해 브라킷아암(13)에 고정되고, 그 아마추어(92)에는 안내부체(93)와 작동연간(94)과가 축핀(9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안내부체(93)와 작동연간(94)과는 핀(96)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다(제9도 참조). 그리고 그 안내부체(93)에는 한쌍의 소공(97)(98)과 한쌍의 옆홈(99)(100)이 천설되어 있으며 그 소공 및 옆홈속에 상기 1쌍의 코일스프링(88)(89)의 절곡계지무가 각기 삽통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양코일 스프링은 작동레버(83)(84)의 요동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며 수평면내에 있어서의 회동은 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양코일 스프링(88)(89)은 상기 당기는 스프링(51)(52)에서 각기 큰 스프링 정수를 가지고 있으며, 작동레버(83)이 최고로 상승된 상태(제7도 참조)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61)와 연계아암(62)는 제2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부세되며, 운동전달부체(54)를 개하여 접촉자(49)가 당기는 스프링(5
1)의 작용에 버티어 캠체(38)의 캠면에 계합된다. 마찬가지로 작동레버(84)가 최고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체(68)과 연계아암(69)는 제4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부세되고, 운동전달부체(58)를 개하여 접촉자(52)가 당기는 스프링(52)의 작용에 버티어 캠체(40)의 캠면에 계합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83)(84)가 작동캠(81)(82)의 작용에 의해 사방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작동조(64)(71)에 부세되는 코일스프링(88)(89)의 힘을 감소하고, 작동레버(83)(84)는 양코일스프링이 자연 길이로 달한 후에도 사방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자(49)(50)을 당기는 스프링(51)(52)의 작용에 버티어 각기 캠체(38)(40)에 계합시키는 부세력이 일시적으로 소멸했을 때, 양접촉자(49),
(50)는 상기 당기는 스프링(51),(52)의 작용으로 각기 캠체(38),(40)에서 이탈한다. 접촉자(49),(50)의 이 이탈작동은 상기 작동캠(81),(82)에 의해 제어되고, 주축(20)의 회전에 관하여 대략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행해진다. 그 접촉자(
49)의 이탈작동시에 작동체(61)는 운동전달체(54)를 개하여 제2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지만 연계아암(62)은 회동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당기는 스프링(67)의 힘이 미약하고, 운동전달체(54)의 상기 회동에 관련해서 작동조(64
)가 당기는 스프링(67)의 작용으로 연결핀(66)을 개하여 연계아암(62)을 침봉받침틀(27) 및 링크(65)의 이동저항에 버티어 추종회동시키지 않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바늘(25)이 침봉받침틀(26)과 함께 접촉자(49)의 캠체(38)로부터의 이탈마다 유동하는 일은 없다. 같은 이유에 의해, 접촉자(50)의 캠체(40)에서의 이탈시에 연계아암(69)이 회동되지 않고, 보내기 조절기(31)가 유동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호울더(101)가 각주(11)에 고정되고, 그 홀더에는 제1 및 제2의 수동다이얼(102),(103)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 다이얼은 각기 링크(104),(105)를 개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조절부체(53),(57)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동레버(106)는 하단으로 상기 홀더(10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의 홀더에 고정된 안내핀(10
7)에 감합하는 장공(108)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제동편(109)이 추착되어 있다. 그 제동레버(106)는 그것과 홀더(101)와의 사이에 장설된 당기는 스프링(110)의 작용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늘 제동편(109)이 상기 양 다이얼(102),(103)의 외주연에 압접하고, 이들의 다이얼을 코일스프링(55),(59)의 작용에 버티어 임의의 위치에 보지한다. 또 상기 제동레버(106)는 상단으로 상기 작동연간(9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90)가 여자될 때 당기는 스프링(110)의 작용에 버티어 회동되고, 제동편(109)의 수동다이얼(102),(103)에 대한 제동작용을 해제한다.
또 제3도와 제4도에 있어서, 푸시버튼(111)이 브라킷아암(13)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레버(112)의 1단에 고정되고, 작업자가 압압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13)의 악부전방에 노출되어 있다. 조작레버(112)는 타단으로 링크(118)를 개하여 상기 브라킷(33)에 추착된 2아암레버(114)의 1아암에 연결되어 있다. 그 2아암레버의 다른 아암에는 제2의 접촉자950)에 고정된 핀(115)에 감합하는 슬로트가 형성되어 있다. 당기는 스프링(116)은 조작레버(112)를 제3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그 조작레버의 일부가 브라킷아암(13)에 당접함으로써 그것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고, 그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50)는 제2의 캠체(40)의 캠면(39)에 계합가능하다. 또 제9도에 있어서, 조절부체(57
)에는 상기 캠체(40)의 후방에 후퇴보내기용의 캠면(117)이 형성되고, 그 캠면의 전방에는 조절부체(57)의 회동축선에서 등반경을 가지며 일정한 미소후퇴 보내기용의 캠면이 형성된 캠부체(118)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푸시버튼(111)이 약간 압압되었을 때 접촉자(50)가 상기 캠부체(118)에 상대하도록 이동되며, 상기 푸시버튼(111)이 완전히 압압된 때 접촉자(50)가 상기 캠면(117)에 상대하도록 이동된다.
또, 제10도에 있어서, 상기 캠체(38),(40)의 단상캠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각 꿰맨줄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바늘위치정보 및 보내기 정보는 양캠체(38),(40)가 대응하는 각 구획내에 기록되어 있다. 즉, 직선꿰맨줄(A)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1개의 바늘위치정보와 1개의 보내기 정보가 필요하며, 이 양 정보는 양캠체(38),(40)의 단위 각도 2도의 범위내에 있어서의 캠면으로서 기록되고, 그 캠면을 기준으로 하여 지그재그 꿰맨줄(B)의 형성에 필요한 2개의 바늘위치정보와 2개의 보내기 정보는 각기 캠체(38),(40)의 각도범위 6∼10도 내에 2개의 캠면으로서 기록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꿰맨줄 모양(C) 내지 (G)의 각기의 형성에 필요한 일군의 정보에 대응하는 일군의 캠면이 양캠체의 한정된 일구획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꿰맨줄 모양(D) 또는 (E)에 관한 난의 기재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개의 꿰맨줄 모양을 구성하는 복수의 꿰맨줄의 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바늘위치 또는 보내기 정보에 대응하는 캠면은 반드시 각 꿰맨줄의 배치순에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에는 형성할 수 있는 꿰맨줄 모양의 수와 동등한 수의 슬리트(119)를 갖는 위치결정판(12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트의 각기는 각 꿰맨줄 모양의 형성을 위한 첫 번째의 바늘위치 및 보내기 정보에 관한 캠면의 각도범위, 즉, 제10도에 있어서의 각 꿰맨줄 모양에 관한 난의 최상렬이 각도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위치결정판(120)을 끼고 서로 대향하는 발광체(예컨대, 발광다이오우드)와 수광소자(受光素子)(예컨대, 포오토 트랜지스터)와를 갖는 겁출체(121)가 상기 브라킷(34)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판(120)이 회전되어서 상기 슬리트(119)의 한 개가 그 검출체(121)를 통과할 때마다 1개의 펄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결정판(120)과 검출체(121)와는 모양검출기(122)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위치결정판(120)은 또 다른 1개의 슬리트(123)를 갖고 있으며, 그것에 관련하여 다른 검출체(124)가 브라킷(34)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검출체(124)와 위치결정판(120)과는 후기의 작용을 이루는 개시모양검출기(125)를 구성하고 있다.
제3도 및 제8도에 있어서, 주축(20)에는 반원호상의 셔터(126)가 고정되고, 그 셔터를 협지하여 서로 대향하는 발광체와 수광소자를 갖는 검출체(127)가 브라킷아암(13)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검출체와 셔터와는 타이밍펄스 발생기(12
8)를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셔터(129)와 검출체(130)와가 각기 주축(20) 및 아암(13)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은 위치결정 펄스발생기(131)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11도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17)의 압압에 의해 폐성(閉成)되는 제1의 모양선택스위치(140)는 인버어터(141)를 개하여 플립플롭(142)의 세트단자에 접속되고, 그 플립플롭의 출력선(143)은 지연회로(144)를 통하여 앤드게이트(145)의 입력선(14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게이트(145)의 출력선(14
7)은 오어게이트(148)에 접속된 출력선(149)을 갖는 앤드게이트(150)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푸시버튼(18)의 압압에 의해 폐성되는 제2의 모양선택스위치(
151)는 인버어터(152)를 개하여 플립플롭(153)의 세트단자에 접속되고, 그 플립플롭의 출력선(154)은 지연회로(155)를 통하여 앤드게이트(156)의 입력선(15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게이트(156)의 출력선(158)은 오어게이트(159)에 접속된 출력선(160)을 갖는 앤드게이트(16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모양검출기(
122)의 출력선(162)은, 상기 플립플롭(142),(158)의 리세트단자에 각기 접속된 앤드게이트(164),(164)에 오어게이트(165)를 개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한 개시모양검출기(125)의 출력선(166)은 다른 플립플롭(167)의 리세트단자에 접속되고, 그 플립플롭의 세트단자는 1단으로 정전압공급원(VC)에 접속되며, 타단으로 접지된 저항(168)과 콘덴서(169)의 직렬회로에 있어서의 그 저항과 콘덴서의 접속점(170)에 인버어터(171)를 개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플립플롭(167)의 한쪽의 출력선(172)은, 출력선(173)이 상기 오어게이트(148)에 접속된 앤드게이트(174)에 지연회로(175)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클록펄스발생기(176)는, 상기 앤드게이트(510),(161),(174)의 각 지방의 입력단자에 선(1
77)을 개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3개의 플립플롭(142),(153),(172)은, 세트단자에 고레벨의 신호가 공급되고 또 리세트단자에 저레벨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 출력선(143),(154),(172) 위에 각기 고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그 출력신호는, 세트단자에 저레벨의 신호가 주어지고 또 리세트단자에 고레벨의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 소멸한다. 그리고, 상기 각 플립플롭의 출력선(143),(154),(172)은, 오어게이트(178)의 3본의 입력선(179),(180),(181)에 각기 접속되고, 그 오어게이트의 출력선은,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182)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는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90)를 일시적으로 여자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183)의 베이스에 저항을 개하여 출력신호를 공급한다.
상기한 스탭모우터(35)는 4개의 계자코일(184) 내지 (187)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각 코일에 접속된 4개의 트랜지스터(188) 내지 (191)를 포함하는 구동수단(192)에 의해 구동된다. 카운터(193)는 상기 오어게이트(148),(159)에 각기 접속된 2개의 입력선(194),(195)과 디코우터(196)에 접속된 2개의 출력선(197),(1
98)을 가지고 있으며, 10진수의 1에서 4까지 순환적으로 계수 가능하며, 계수치가 4에 달했을 때 상기 출력선(197),(198)에는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 그 카운터(193)는 입력선(194)에 1개의 고레벨 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그 계수치가 1개씩 증가하도록 계수하고, 반대로 입력선(195)에 1개의 고레벨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그 계수치가 1개씩 감소되도록 계수한다. 그리고, 그 계수치에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선(197),(198)위에 나타난다. 상기 디코우터(196)는 4본의 출력선
(199) 내지 (202)를 가지며, 상기 카운터(193)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어느 1본의 출력선 위에 출력신호를 순환적으로 발생한다. 그 4본의 출력선은, 근접하는 2본의 선을 한쌍으로 하여 각기 4개의 오어게이트(203) 내지 (206)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의 출력선은 상기 4개의 트랜지스터(188) 내지 (191)의 베이스에 각기 저항을 개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193)의 계수치가 각기 10진수의 1,2,3 및 4인데 대응하여 상기 디코우더(196)의 4개의 출력선(199) 내지 (202) 위에는, 각기 0100,10010,0001 및 1000인 디지털 코우드 신호가 나타나고, 그 신호에 따라서 4개의 트랜지스터(188) 내지 (191)이 2개씩 온상태에 달하고, 스탭모우터(35)가 구동되며, 그 출력단(36)이 카운터(193)으로 공급되는 1개의 펄스신호에 대하여 2회 회전된다.
또, 상기 앤드게이트(145),(156)의 출력선(147),(158)은 오어게이트(207)의 입력선(208),(209)에 각기 접속되고 그 게이트의 출력선은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10)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는 3개의 플립플롭(211),(212),(213)의 각 클리어단자 CL에 각기 출력신호를 공급한다. 그 플립플롭은 각기 3개의 입력단자(J),(T),(K)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의 입력단자(K)는 어느 것도 접지되어 있다. 제 1 및 제3의 플립플롭(211),(213)의 각 입력단자(T)는, 상기 모양검출기(122)의 출력선(162)에 접속된 입력선(214)을 가진 인버어터(215)의 출력선(216)에 각기 접속되며, 또 제2의 플립플롭(212)의 입력단자(T)는 상기 출력선(16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플립플롭(211) 및 (213)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1
는 선(217),(218)을 개하여 상기 앤드게이트(
145),(15)에 각기 접속되며, 플립플롭(212)의 출력단자 Q는 선(219)를 개하여 상기 플립플롭(213)의 입력단자(T)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앤드게이트(164)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플립플롭은 그 크리어단자(CL)에 저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그 출력단자
Figure kpo00002
에는 고레벨의 전위를 발생하고 다른쪽의 출력단자 Q에는 실질적으로 전위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클리어단자(CL) 및 입력단자(J)에 고레벨의 전위가 공급되며 또 입력단자(T)에 고레벨에서 저레벨에의 전위의 변화가 생겼을 때 그 출력단자(Q)에는 고(高)레벨의 전압이 발생하고 그 출력단자
Figure kpo00003
에는 실질적으로 전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선(208),(209)에 각기 접속된 한쌍의 입력선(208),(209)을 갖는 모양 선택카운터(220)는 그 리세트단자가 상기 플립플롭(167)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4
에 선(211)을 개하여 접속되고, 5분의 출력선(222)내지 (226)을 개하여 디코우더(227)에 접속되어 있다. 그 카운터(220)는 10진수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 꿰맨줄 모양의 수, 즉22까지 순환적으로 계수 가능하며, 계수치가 22에 달했을 때, 또는 상기 리세트단자에 저레벨의 전위가 공급되었을 때 상기 출력선(222)내지 (226)에는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 카운터(220)는, 입력선(208)에 1개의 고레벨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그 계수치가 1개씩 증가하도록 계수하고 반대로 입력선(209)에 1개의 고(高)레벨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그 계수치가 감소하도록 계수한다. 그리고, 그 계수치가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선(222) 내지 (226)위에 나타난다. 제11도에 있어서 점선(228)에서 왼쪽의 부분이 모양 선택수단에 해당한다.
또 상기 디코우더(227)는 22본의 출력선(229) 내지 (250)을 가지며, 상기 가운데(220)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어느 것인가 1본의 출력선위에 고레벨신호를 순환적으로 발생한다. 그 22본의 출력선은 각기 일단이 저항을 개하여 접지되고 또 상기 표시램프(19)(제1도 참조)로서 작용하는 발광다이오우드(19A)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판(16)과 협동하는 표시수단(251)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22본의 출력선(229) 내지 (250)은 오어게이트(252)를 개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각종 꿰맨줄 모양에 대응하는 순서회로(253),(254),(255) 등에 접속되어 있다. 그 각 순서회로로 부터의 한쌍의 출력신호는 오어게이트(256),(257)를 각기 개하여 상기 오어게이트(159),(148)의 입력선(258),(259)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푸시버튼(111)이 압압되었을 때 폐성되는 제1의 스위치(260) 및 상기 푸시버튼(111)이 완전히 압압되었을 때에만 개방되는 제2의 스위치(261)와의 직렬회로가 일단에 저항을 개하여 정전압공급원 VC에 접속되고, 또 하단에 접지되어 있다. 앤드게이트(262)의 한쪽의 입력선(263)은 상기 제1의 스위치(260)와 저항과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선(264)은 상기 타이밍펄스발생기(12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앤드게이트(262)의 출력선(265)은 상기 시이켄스회로(253),(254),(255) 등에 각기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켄스회로(253)는, 상기 앤드게이트(262)와 오어게이트(25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받는 앤드게이트(266)와, 상기 오어게이트(256),(257)에 출력선이 각기 접속된 앤드게이트(267),(268)와로 이루어지고, 그 양 앤드게이트(
267),(268)의 입력선의 한쪽은 각기 앤드게이트(266)이 출력선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선은 함께 접지되어 있으며, 직선봉(直線縫)이 선택되었을때에 유효하게 딘다. 지그재그를 위한 시이켄스회로(254)는, 상기 선(232),(265)위에 발생하는 신호를 받는 앤드게이트(269)와 그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펄스를 발생하는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70)와, 그 펄스를 받는 입력단자(T)와 정전압공급원 VC에 접속된 2개의 입력단자(J),(K)와를 갖는 플립플롭(271)과, 그 플립플롭의 출력단자 Q 또는
Figure kpo00005
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받고 또 출력선이 상기 오어게이트(256),(257)에 각기 접속된 2개의 앤드게이트(272),(273)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플립플롭(271)의 클리어단자(CL)는 상기 오어게이트(178)의 출력이 선(274)을 개하여 공급되는 인버어터(275)의 출력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클리어단자(CL)가 저레벨의 신호를 받을때에 출력단자(Q)에는, 저레벨의 전위가 발생하고 출력단자(
Figure kpo00006
)에는 고레벨의 전위를 발생하고, 클리어단자(CL)가 고레벨의 신호를 받고 또 입력단자(T)에 고레벨에서 저레벨의 전위의 변화가 발생했을 때 양 출력단자 Q,
Figure kpo00007
에는 그때까지 발생하고 있었던 전위의 레벨과는 반대의 레벨의 전위가 발생한다.
3점 지그재그 꿰매기를 위한 시이켄스회로(255) 및 기타의 시이켄스회로의 실예가 제15도, 제17도 및 제19도에 표시되어 있지만 이들에 대한 설명은 후기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 장치의 작동상태는 아래와 같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전원스위치가 투입되었을 때 제11도에 있어서의 플립플롭(142),(153)은 리세트된다. 상기 출력선(172)위에 나타난 신호에 의하여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182)에서 펄스신호가 발생하고,트랜지스터(183)가 일시적으로 온하고, 전자 솔레노이드(90)가 여자된다.
그것에 의해 안내부제(93)가 제2도 및 제4도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코일스프링(88),(89)의 하단부를 수반해서 이동되고, 그 코일스프링이 작동조(64),(71)와의 작동관계를 해제한다. 따라서, 접촉자(49),(50)가 인장스프링(51),(52)의 작용에 의해 캠체(38),(40)에서 각기 이탈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90)의 일시적 여자는 작동연간(94)를 개하여 제동레버(106)를 인장스프링(110)의 작용에 버티어, 회동시켜, 수동다이얼(102),(103
)에 대한 제동편(109)의 작용을 일시적으로 해방한다. 그후 상기 솔레노이드(90)가 소자(消磁)되었을 때, 인장스프링(110)의 작용에 의해 안내부체(93) 및 제동편(109)은 도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코일스프링(88),(89)은 각기 자연길이의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작동조(64),(71)에 그 스프링의 힘이 주어지지 않고, 그 하단절곡부는 작동레버(83),(84)가 최하접근방에 강하하여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작동조(64),(71)의 상방으로 위치한다(제12도 참조).
이러한 상태로 이행한후, 상기 플립플롭(167)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지연회로(175)를 통해서 앤드게이트(174)로 입력되고, 그 앤드게이트는 클록펄스발생기(176)로부터 클록펄스가 발생할때마다 출렬신호를 오어게이트(148)를 개하여 카운터(193)의 입력선(194)위에 공급한다. 그 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터(193)가 계수된 후에 대응하는 신호가 디코우더(196)에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그 출력선(199) 내지 (202)의 1본에 순환적으로 고레벨의 신호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스탭모우터(35)의 계자코일(184)내지 (187)의 2개가 트랜지스터(188) 내지 (191)의 선택적 온동작에 의해 순환적으로 여자되고, 그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은 상기 클록펄스가 발생할때마다 캠체(38),(40) 및 위치결정체(120)에 수반해서 2회씩 회전한다. 그 위치결정체(120)의 슬리트(123)가 검출체(124)에 대향했을 때 개시 모양검출기(125)는 선(166)위에 고레벨의 신호를 발생하고, 플립플롭(167)이 리세트되어서 선(172)위의 고레벨신호는 소멸한다. 그 신호에 소멸은 앤드게이트(174)를 닫고 스탭보우터(35)를 정지시킨다. 또, 모양선택카운터(2
20)는, 상기 전원이 투입된 직후의 플립플롭(167)의 세트상태에 있어서 단자에 접속된 선(221)위에 나타나는 저레벨의 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선(222)내지 (226)위에는 고레벨신호 즉 출력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 상태에 대응하여 디코우더(227)의 출력선중의 1본의 선(229)위에만 출력신호가 공급되고, 표시수단(
251)중의 직선봉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우드만이 접동되고, 또 직선봉을 위한 시이켄스회로(253)가 유효화된다. 또, 상기 스탭모우터(35)가 정지했을 때, 제1 및 제2의 캠체(38),(40)는 직선을 위한 캠면이 접촉자(49),(50)에 각기 상대하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 위치결정체(120)의 슬리트(119)의 1개가 검출체(121)에 대향한다. 모양검출기(122)는 선(162)위에 고레벨의 신호를 공급하고, 플립플롭(142)
,(153)은 리세트상태로 보지된다. 이상의 상태에 의해 재봉틀은 전원 투입후에 직선봉을 위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준비된다.
이러한 상태로 재봉틀이 운전되면 직선봉이 수행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주축(20)의 최초의 1회전 동안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83),(84)는 작동캠(81),(82)의 작용으로 180도의 각위상차로 코일스프링(88),(89)과 함께 하강한다. 그 코일스프링의 하단 절곡부는, 각기 작동조(64),(71)에 상방에서 계지한후 다시 하강되므로 그 작동조를 약한 인장스프링(67),(73)에 버티어 단독으로 회동시켜(제12도 참조), 그 각 작동조의 조부(爪部)하방에 달한다. 그리고, 주축(20)의 2회전째 이후에 있어서는, 상기 작동레버(83),(84)의 승강에 따라서 코일스프링(88),(89)은 작동조(64),(71)와의 계합, 해리(解離)를 반복하고, 접촉자(49),(
50)에 인장스프링(51),(52)에 버티는 힘이 단속적으로 부여된다. 따라서, 제1의 접촉자(49)는, 캠동작(81)의 작용으로, 바늘(25)이 상사점(上死點)근방에 위치할 때 제1의 캠체(38)에서 최대로 이탈되고, 또 제2의 접촉자(50)는 바늘(25)이 하사점(下死點)근방에 위치할 때 제2의 캠체(40)에서 최대로 이탈된다. 그리고, 바늘이 하사점에 달했을 때 셔터(126)가 검출체(127)에서 벗어나고, 타이밍 펄스발생기(128)는 선(264)위에 고레벨의 펄스신호를 공급한다. 이 신호에 응답하여 앤드게이트(265),(266)를 개하여 고레벨신호가 한쌍의 앤드게이트(267),(268)에 공급되지만, 이들 양게이트의 각 다른쪽의 입력선이 함께 접지되어 있으므로 오어게이트(256),(257)에는 고레벨의 신호가 전혀 입력되지 않고, 카운터(193)는 그 계수치를 변경하지 않고, 스탭모우터(35)는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양접촉자(49),(50)는 각기 제10도의 표중의 직선 꿰맨줄(A)에 대응하는 단일의 캠면과의 계합, 해리를 반복하고, 직선봉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한 이유에 의해, 접촉자(49),(50)의 캠체(38),(40)로부터의 이탈운동이 연계아암(62),(69)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침봉받침틀(27) 및 보내기조절기(31)는 직선봉 수행시에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 제1의 수동다이얼(102)이 회동조작되고, 운동전달부체(54)가 제2도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이동되었다 하더라도, 직선봉용의 캠면에 계합한 접촉자(49)의 배면이 스탭모우터의 출력축(36
)의 중심을 반경으로 하는 극면과 합치되어 있으므로 침봉받침틀(27)은 이동하지 않고, 바늘(25)는 상기 캠면에 의해 결정된 동일 가로 방향위치로 가공포를 관통한다. 그러나, 제2의 수동다이얼(108)의 회동조작되어서 운동전달부체(58)가 제4도에 표시하는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었을 때, 직선봉용의 캠면에 계합한 제2의 접촉자(50)의 배면이 접촉자측(47)에 근접됨에 따라서 상기 출력축(36)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짧게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체(68)를 개하여 연계아암(69)이 회동되고, 보내기 조절기(31)가 송치(送齒)에 의해 가공포에 부여되는 보내기 운동량을 감소하도록 회동된다. 따라서 수동다이얼(103)의 조작에 의해 임의와 송량(送量)에 의한 직선봉이 가능하다.
다음에 다른 꿰맨줄 모양의 선택조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3도에 표시된 타임차아트는 모양 선택스위치(104)의 조작으로 선(143),(47),(276),(162),(2
16),(217)위에 각기 나타나는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한 직선봉시의 상태가 시점 t0에 있어서 나타내어져 있다. 시점 t1에 있어서 푸시버튼(17)의 압압에 의해 모양선택스위치(140)가 폐성되었을 때, 플립플롭(142)이 세트되고, 선(143)위에는 고레벨의 신호가 발생하고, 그 신호는 적어도 상기 푸시버튼(17)이 압압되고 있는동안 계속된다. 플립플롭(211)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8
에 접속된 선(217)위에는 고레벨의 신호가 발생되어 있으므로, 앤드게이트(145)의 출력선(147)위에는 약간 늦어서 고레벨의 신호가 공급된다. 그 신호는 선(208)을 개하여 모양선택카운터(220)에 입력되고, 그 카운터에 의한 계수치가 10진수의 1로 되고, 디코우더(227)를 개하여 출력선(280)위에만 고레벨신호가 발생한다. 또 출력선(147)위에 나타난 신호는 오어게이트(207)를 개하여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10)에 공급되고, 그 출력선(276)위에 일정한 기간 고레벨신호가 나타난다. 또, 앤드게이트(150)에서는 클록펄스발생기(176)로부터의 일련의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며, 오어게이트(148)를 개하여 카운터(193)에 입력되고, 그 카운터에 의한 계수치가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스탭모우터(35)는 구동수단(192)에 의해 구동되며, 그 출력축(36)이 상기 클록펄스발생기(176)에서 1개의 펄스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2번씩 제9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 경우, 상기 플립플롭(142)의 출력선(143)에 나타나는 출력신호가 선(179)을 개하여 오어게이트(178)에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전원투입시와 마찬가지로, 전자 솔레노이드가 일시적으로 여자되고, 접촉자(49),(50)가 캠체(38),(40)에서 각기 이탈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체(120)의 회전에 의해 모양검출기(122)의 출력선(162)위의 고레벨신호는 일단 소멸하지만, 슬리트(119)의 다음의 1개가 검출체(121)에 시점 t2에 있어서 상대했을 때, 그 출력선(162)위에는 다시 고레벨신호가 발생한다. 그 신호는 선(214)을 개하여 인버어터(215)에 공급되고, 그 출력선(216)위에 고레벨에서 저레벨에의 전위의 변화가 발생하고, 플립플롭(211)의 출력선(220)위에 신호는 소멸한다. 그에 의해, 앤드게이트(145)의 출력선(147)위의 신호로 소멸하고, 카운터(193)의 입력선(194)에의 신호의 공급이 중단하여 스탭모우터(35)가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그러나,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10)의 출력선(276)위의 고레벨신호가 시점 t3에 있어서 소멸했을 때, 플립플롭(211)의 출력선(217)위에는 고레벨의 신호가 다시 나타나고, 앤드게이트(145)의 출력선(147)위에도 고레벨의 신호가 발생한다. 그 신호의 발생에 의해 스탭모우터(35)의 구동이 재개되고, 또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10)가 직시 새로운 펄스신호를 선(276)위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양검출기(122)의 출력선(162)위의 신호는 일단 소멸된 후 시점 t4에 있어서 다시 발생하고, 플립플롭(211)의 출력선(217)위의 신호가 저레벨로 변화하여 앤드게이트(145)의 출력선(147)위의 신호를 소멸시킨다. 이 시점 t4에 있어서의 각선상의 신호변화는 시점 t2에 있어서의 신호의 변화와 동일하며, 푸시버튼(17)이 압압되어 있는 동안 시점 t2에서 t4까지의 신호변화가 반복해서 생기고, 모양카운터(220)는 그 계수치를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디코우더
(227)는 그 출력선의 1개에 순차적으로 고레벨신호가 발생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그재그 쒜매기를 수행하는 것을 희망할 때, 제1도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판(16)위의 지그재그 꿰맨줄의 형상에 대응하는 표시램프(19)가 점등한 것을 인식하여 상기 푸시버튼(17)의 압압을 해제하면 된다. 상기 표시램프(19)의 점등위치가 변화하는 것은 제13도에 있어서 선(147)위에 저레벨에서 고레벨에의 신호변화가 발생할 때이다.
지금 가령 시점 t5에 있어서 지그재그 꿰맨줄의 형상에 대응하는 표시램프가 점등하고, 시점 t6에 있어서 푸시버턴(17)의 압압을 해제했다고 하면, 앤드게이트(145)의 출력선(147)의 고레벨신호가 소멸할 때까지 모양검출기(122)에서 선(162)위에 다음의 펄스신호가 나타날때까지 스탭모우터(35)가 구동된다. 그리고, 시점 t7에 있어서, 플립플롭(142)은 모양검출기(122)으로 부터의 고레벨신호의 발생에 응답한 앤드게이트(163)의 출력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동시에 플립플롭(211)에서 앤드게이트(145)에의 입력도 정지되고, 스탭모우터(35)는 정지한다. 또, 가령 시점 t8에 있어서 푸시버튼(17)의 압압을 해제했다고 하면, 상기 스탭모우터(35)가 즉시 정지하는 것은 제13도에서 명백하다. 이 스탭모우터의 정지시에 상기 캠체(38),(40)는 각기 접촉자(49),(50)에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는 지그재그 꿰맨줄(B)의 난의 상단에 기재된 반경을 갖는 캠면에 상대한다. 그리고, 모양선택카운터(220)는 입력선(208)을 개하여 3개의 펄스신호가 공급되었으므로 디코우더(227)는 그 제4번째의 출력선(232)위에 고레벨신호를 발생하고 있으며, 지그재그 꿰매기를 위한 시이켄스회로(254)가 유효화된다.
그후 재봉틀이 운전되면, 상기와 같이, 주축(20)의 최초의 1회전이내에 상기 코일스프링(88),(89)이 작동조(64),(71)에 대해서 각기 작용상태로 복귀하고, 그 이후에 있어서 접촉자(49),(50)가 캠체(38),(40)에 대하여 승강운동한다.
다른 한편, 타이밍 펄스발생기(128)는 재봉틀 운전중 바늘(25)에 대략 최하점에 달할때마다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시이켄스회로(254)중의 플립플롭(271)의 클리어단자(CL)에는 상기한 모양 선택조작시에 일단 저레벨의 신호가 입력된 후 고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타이밍 펄스발생기로부터의 제1번째의 펄스신호가 발생했을 때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70)로 부터의 펄스의 발생에 응답하여 앤드게이트(278)에서 직시 출력신호가 발생하고, 오어게이트(257),(148
)를 개하여 카운터(198)에 입력되고, 스탭모우터(35)가 구동되어서 그 출력축(36
)이 시계방향으로 두 번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70)로부터의 펄스가 소멸한 시점에 있어서 플립플롭(271)의 출력단자 Q,
Figure kpo00009
에 생기는 전위의 레벨이 반전하고, 그 출력단자
Figure kpo00010
에 고레벨의 전위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다음의 펄스가 상기 타이밍 펄스발생기(128)에서 공급되었을 때 앤드게이트(
272)에서 곧 출력신호가 발생하고, 오어게이트(256),(159)를 개하여 카운터(18)에 공급되고, 스탭모우터(35)가 구동되어서 그 출력축(36)이 전번과는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2번 회전한다. 그리고,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70)로부터의 펄스신호가 소멸한 시점에 있어서 플립플롭(271)의 출력이 반전하고, 그후 펄스발생기(128)에서 세 번째의 펄스가 발생했을 때 앤드게이트(273)에서 출력신호가 오어게이트(257),(148)를 개하여 카운터(193)에 공급되고, 스탭모우터(35)의 출력측(36)이 시계방향으로 2번 회전한다. 이후 재봉틀의 운전중 그 출력축(36)의 왕복회동이 반복되고, 그 출력축에 고정된 제2의 캠체(40)도 왕복회동을 행한다. 이 출력축(36)이 회동되었을 때, 즉, 타이밍 펄스발생기(128)에서 펄스신호가 공급될 때, 바늘(25)은 대략 최하점에 있으며 송치(29)는 헤드(12)의 상면에서 강하하고 있으며, 또 제1의 접촉자(49)는 통상 제1의 캠체(38)에 코일스프링(88)의 작용에 의해 압접하고 제2의 접촉자(50)는 인장스프링(52)의 작용에 의해 통상 제2의 캠체(40)에서 이탈되어 있다. 따라서, 재봉틀 운전중에 있어서 스탭모우터
(35)가 구동되어서 그 출력축(36)이 회전할 때, 제2의 캠체(40)는 그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지만 제1의 캠체(38)는 회전할 수 없고, 코일스프링(45) 또는 (46)의 작용에 버티어 정지하고 있다. 그 제1의 캠체(38)에 대한 제2의 캠체(40)의 상대적 회전은, 양 캠체(38),(40)에 형성된 투공(43),(44), 그 양투공에 감입된 돌출부(41)를 가는 중간체(42) 및 상기 코일스프링(45),(46)에 의해서 허용된다. 즉,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이 제4도 및 제9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의 캠체(38) 및 중간체(42)가 정지한 상태로 제2의 캠체(40)만이 코일스프링(45)의 작용에 버티어 회전되고, 또 반대로, 상기 출력축(3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의 캠체(38)만이 정지된 상태로, 제2의 캠체(40)가 중간체(42)와 함께 코일스프링(46)의 작용에 버티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25)이 상승하여 상기 제1의 접촉자(49)가 코일스프링(
88)의 작용에서 해제되어서 제1의 캠체(88)에서 이탈했을 때, 제1의 캠체(38)는 코일스프링(45) 또는 (46)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고, 중간체(42)의 돌출부(41)가 양 캠체의 투공(43),(44)에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계합한 상태로 된다. 상기 접촉자(49)가 캠체(38)에서 이탈하는 시점은 그 캠체의 캠면의 높이에 의해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캠(81),(82)이 180도의 각 위상차로 주축(20)에 고정되어 (제7도참조)있으므로, 제1의 캠체(38)는 제2의 캠체(40)에 대하여 주축의 회전각으로서 실질적으로 180도의 위상차로 회전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접촉자(49),(50)가 주축(20)의 회전에 동기하여 교호적으로 캠체(38) 및 (40)과의 계합, 해리를 하는 것을 이용하여, 2개의 캠체(39),(40)가 1개의 스탭모우터(35)에 의해 일정한 위상차로 두 번씩 왕복회동되고, 지그재그 꿰매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지그재그 꿰맨줄의 진폭 및 송량은, 제1 및 제2의 수동다이얼(102),(103)의 조작으로 각기 임의로 변경가능하며, 이를 다이얼을 하등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대진폭, 최대송량으로 지그재그 꿰맨줄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설명에서 명백하다.
또, 제2도 내지 제8도에 표시되어 있는 각 부재의 위치는, 직선 꿰매기 수행시에 있어서 바늘이 가공포에 쑤셔지는 직전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지그재그 꿰맨줄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작동상태가 상기에 설명되어 있다. 최근의 가정용 재봉틀은 통상, 바늘정위치 정지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재봉틀 정지시에는 바늘이 대략 최상점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재봉틀에 있어서도 위치결정 펄스발생기(131)(제3도 참조)에서 발생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바늘(25)이 대략 최상점으로 재봉틀이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생략하지만, 바늘(25)이 대략 최상점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지그재그 꿰맨줄 선택조작이 행해졌다고 한다면, 작동레버(83)가 가장 강화되어 있으므로, 전자 솔레노이드(90)의 여자가 종료했을 때, 코일스프링(88)의 하단절곡부는 작동조(64)의 조부의 하방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재봉틀의 운전개시에 따라서 접촉자(49)가 주축(20)의 1회전째부터 그 코일스프링(88)의 작용을 받고, 제1번째의 꿰맨줄 형성시로부터 곧 캠체(38)의 캠면의 영양이 꿰맨줄을 형성하기 위해 발생하게 된다. 다만, 제1번째의 꿰맨줄 형성직전의 송량은, 재봉틀 정지시에 접촉자(50)가 계합하고 있었던 캠면의 영향을 받는다. 또, 재봉틀 운전중에 접촉자(49)가 캠체(38)에서 이탈될 때, 바늘(25)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제4도, 제9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지봉(止縫) 및 반봉(返縫)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한다. 상기 지그재그 꿰매기의 수행시에 푸시버튼(111)을 약간 압압 조작하면, 접촉자(50)는 접촉자축(47)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고, 조절부체(57)에 고정된 캠부체(118)에 단속적으로 계합한다. 그 접촉자(50)의 이동과 동시에, 제11도에 있어서의 제1의 스위치(260)가 폐성되고, 선(263)위에 그때까지 나타나 있었던 고레벨 신호가 소멸되고, 앤드게이트(262)의 출력선(265), 즉, 앤드게이트(269)의 1개의 입력선에는 타이밍펄스발생기(128)로부터의 펄스에 응답하는 펄스신호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
)의 회전이 정지되고, 접촉자(49)는 캠체(38)의 동일캠면과 단속적으로 계합한다. 따라서, 그 캠면에 대응하는 바늘위치 및 상기 캠부체(118)에 대응하는 미소역 소량으로 지봉이 수행된다. 이때, 수동다이얼(103)의 조작으로 조절부체(57)가 여하한 위치로 이동하여 있다해도 가공포에는 일정한 역송량운동이 부여된다. 또, 상기 푸시버턴(111)이 완전히 압압되면, 접촉자(50)는 또 후방으로 조절부체(57)의 캠면(117)과 단속적으로 계합한다. 그 접촉자(50)의 이동과 동시에, 제2의 스위치(261)가 개방되고, 시이켄스회로(254)중의 앤드게이트(269)에는 다시 타이밍펄스발생기(128)로부터의 펄스에 응답하는 고레벨신호가 입력되게 되고, 상기 태양에 의해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86)이 왕복하등된다. 따라서, 후퇴 송량으로 지그재그 꿰매기가 수행되지만, 그 후퇴송량은 상기 캠면(117)에 계합하는 접촉자(5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수동다이얼(103)의 조작으로 설정된 전진 송량과 동 등의 후퇴 송량이 가공포에 부여된다.
다음에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는 꿰매기 줄모양(c)의 형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꿰맨줄 모양을 1개 형성하기 위해서는 6개의 꿰맨줄의 필요하지만, 제1의 캠체(38)에 4개의 캠면을 형성하고, 또 최후란에 표시된 시이켄스에 따라서 그 캠체를 스탭회전시키면, 6개의 각 꿰맨줄에 대응하는 6개의 캠면은 불필요하며, 2개의 캠면이 생략 가능하다. 지금, 상기 푸시버튼(17)의 압압으로 제1도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판(16)위의 상기 꿰맨줄 모양(c)의 형상에 대응하는 표시램프(16)위의 상기 꿰맨줄 모양(c)의 형상에 대응하는 표시램프(19)가 점등했을 때 상기 푸시버튼의 압압을 해제하면, 접촉자(49),(50)는 각기 캠체(38),(4
0)의 제10도에 있어서의 각도범위 10도 내지 12도에 있어서의 캠면에 상대하고, 또 제15도에 표시되어 있는 시이켄스회로가 유효화된다. 그 꿰맨줄 모양(c)의 선택을 위한 조작이 행해지기 직전에 있어서, 상기 모양 림출기(122)에서 고레벨신호가 선(162)위에 나타나 있을 때에는, 상기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이 반복되지만, 모양 걸출기(122)에서 상기 고레벨신호가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3도에 있어서의 선(162),(216)위에 나타나는 신호가 대략 시점 t0내지 t1사이에 있어서 점선과 같이 발생하고 그 이후에 있어서는 전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5도에 표시되어 있는 시이켄스회로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앤드게이트(280)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제11도에 나타내는 앤드게이트(262)의 출력선(265)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상기 디코우더(227)의 1개의 출력선(233)에 접속되어 있다. 그 앤드게이트(280)의 출력선(281)은 한쌍의 앤드게이트(282),(283)의 각 한쪽의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됨과 동시에, 인버어터(284)를 개하여 카운터(285)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 카운터(285)의 2본의 출력선(286),(287)은 앤드게이트(288)에 접속되고, 그 앤드게이트의 출력은 노어게이트(289)를 개하여 상기 카운터(285)의 리세트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 카운터는, 10진수의 1에서 3까지 순환적으로 계수가능하며, 계수치가 3에 달했을 때 앤드게이트(288)로부터의 고레벨신호에 응답하는 입력이 그 리세트 단자에 공급되고, 출력선(286),(287)위의 출력신호가 소멸되도록 동작한다. 플립플롭(290)의 1개의 입력단자(T)는 상기 카운터(285)의 한쪽의 출력선(287)에 접속하고, 다른 입력단자(J),(K)는 정전압공급원(VC)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플립플롭(290)은 상기 시이켄스회로(254)중의 플립플롭(271)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그리고, 그 플립플롭의 한쌍의 출력단자 Q,
Figure kpo00011
는 선(291),(292)를 개하여 상기 앤드게이트(282),(288)의 각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되어 있으며, 그 양 앤드게이트로부터의 각 출력은 제11도에 표시되어 있는 한쌍의 오너게이트(25
6),(257)에 선(293),(294)을 개하여 각기 공급된다. 또, 상기 플립플롭(290)의 클리어단자(CL) 및 상기 노어게이트(289)에는, 제11도에 표시되어 있는 노어게이트(178)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인버어터(295)를 개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각기 공급된다.
상기 꿰맨줄 모양(C)을 형성하도록 재봉틀이 운전될 경우, 상기 펄스발생기(128)으로부터의 타이망펄스의 공급에 응답하여 상기 앤드게이트(280)의 출력선(281)위에는 제16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 같은 펄스신호가 나타난다. 그 펄스신호에 관련해서, 카운터(285)의 출력선(286),(287)의 및 플립플롭(290)의 출력선(291),(292)위에는 각기 제16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 같은 출력신호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제16도에 있어서의 기간 P1에 있어서는 상기 앤드게이트(20)로부터의 펄스신호에 응답하는 3개의 펄스신호가 앤드게이트(283)의 출력선(294)위에 나타나고, 기간 P2에 있어서는 앤드게이트(282)의 출력선(293)위에 3개의 펄스신호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타이밍펄스발생기(128)에 있어서 발생하는 펄스에 응답하는 펄스신호가 3개씩 교호적으로 출력선(294) 및 (293)위에 나타난다. 따라서, 제11도에 있어서의 카운터(193)에는 입력선(194),(195)를 개하여 상기 펄스신호에 응답하는 입력신호가 3개씩 교호적으로 공급되고, 스탭모우터(35)는, 그 출력축(36)이 3스텝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과 3스텝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교호적으로 반복하도록 구동된다.
이 스탭모우터(35)의 구동에 관련해서 양 캠체(38),(40)이 상기 일정한 위상차를 갖는 회전을 행함으로써 꿰맨줄 모양(C)이 형성된다.
다음에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는 꿰맨줄 모양(D)의 형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꿰맨줄 모양을 1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5개의 꿰맨줄이 필요하다. 이 5개의 꿰맨줄의 각기에 대응하는 5개의 캠면을 지금 가령 양 캠체의 각도범위 138 내지 148도내에 그 각 꿰맨줄의 형성순으로 각기 형성하였다고 하면, 제1번째에서 제5번째의 꿰맨줄의 형성, 즉, 꿰맨줄 모양(D)의 1개만의 형성은, 상기 스탭모우터(35)를 그 출력축(36)이 2번씩 간헐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하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캠면 배치에 있어서 그 꿰맨줄 모양(D)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제5번째의 꿰맨줄의 형성후에 다음의 같은 꿰맨줄 모양의 제1번째의 꿰맨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탭모우터가 그 출력축(36)을 다른 방향으로 10도 1스탭당 큰 각도에 걸치는 회전을 약간의 시간내에 있어서 행하는 것은 그 스탭모우터에 매우 우수한 성능을 요구한다. 일반적인 가정용 재봉틀에 있어서 그 주축 매분 1000회전 정도의 속도로 구동되는 것이 보통이고, 상기 접촉자(49),(50)의 승강운동을 고려하면, 0.03초이내에 1스탭 상기 스탭모우터의 출력축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재봉틀의 기틀내에 비치 가능한 크기를 가진 스탭모우터에의 그와 같은 응답성의 요구는 너무나 가혹한 것이며 실제상 불가능하다.
본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는 시이켄스에 따라서 스탭모우터(35)를 구동함으로써 그 출력축(36)이 1스탭당 최고 1도 회전된다. 즉, 1개의 꿰맨줄모양(D)을 구성하는 5개의 꿰맨줄에 관한 것으로, 각 캠체의 각도범위 138 내지 제148도내에 있어서의 5개의 캠면이 각기 제1,5,2,4,3번째의 꿰맨줄에 대응하도록 순번으로 형성 배치되어 있으며, 스탭모우터(35)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로서 제17도에 표시되어 있는 시이켄스회로가 사용된다. 그 제17도에 있어서, 앤드게이트(296)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제11도에 표시하는 앤드게이트(262)의 출력선(265)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상기 디코우더(227)의 1개의 출력선, 예컨대, (243)에 접속되어 있다. 그 앤드게이트(296)의 출력선(297)은 입력단자(A)가 접지된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98)의 입력단자(B)에 접속되고, 그 출력단자(Q)에 발생하는 펄스출력은 선(299)을 개하여 오어게이트(300)에 공급된다. 입력단자(A)가 접지된 다른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01)의 입력단자(B)는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98)의 출력단자(Q)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01)의 펄스출력을 선(302)을 개하여 받는 입력단자(A)를 갖는 제3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03)는 그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을 선(304)을 개하여 상기 오어게이트(3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98)의 클리어단자(CL) 및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03)의 입력단자(B)는 각기 저항을 개하여 정전압공급원(VC)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오어게이트(300)의 출력선(305)은 한쌍의 앤드게이트(3
06),(307)의 각 한쪽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그 앤드게이트의 각 출력은, 각기 선(308),(309)을 개하여 제11도에 있어서의 오어게이트(256),(257)에 공급된다.
상기 오어게이트(300)의 출력신호가 인버어터(310)를 통해서 입력되는 카운터(311)는 3본의 출력선(312)내지 (314)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2본의 출력선(312),(313)은 각기 인버어터(315),(316)를 개하여 앤드게이트(317)의 입력선에 접속되고, 나머지의 출력선(314)은 직접적으로 상기 앤드게이트(317)의 입력선의 접속되어 있다. 또 그 3본의 출력선(312) 내지 (314)위에 발생하는 신호는 다른 앤드게이트(318)에도 공급되어 있으며, 양 앤드게이트(317),(318)의 출력신호는 노어게이트(319)에 공급된다. 그 노어게이트의 출력선(320)은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01),(303)의 클리어단자(CL)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카운터(311)의 출력선(314)위에 발생하는 신호는 한쪽에 있어서 상기 앤드게이트(306)에 직접적으로 공급되고, 타방에 있어서 인버어터(322)를 개하여 상기 앤드게이트(307)에 공급된다.
상기 카운터(311)는 10진수의 1에서 8까지 순환적으로 계수 가능하며, 계수치가 8에 달했을 때 상기 출력선(312) 내지 (314)에는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 그 카운터(311)의 리세트단자는, 제11도에 있어서의 오어게이트(178)의 출력이 선(274)을 개하여 공급되는 인버어터(321)의 출력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리세트단자에 고레벨에서 저레벨에의 전위의 변화가 발생했을 때 그 카운터는 리세트되고, 그 출력선(312) 내지 (314)에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기 3개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98),(301),(303)는 모두 같은 동작을 한다. 즉, 클리어단자(CL) 또는 입력단자(B)에 저레벨의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및 입력단자(A)에 고레벨의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그 출력단자(Q)에는 저레벨의 전위가 생기고, 그 출력단자(Q)에서는 출력펄스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클리어단자(CL)에 고레벨의 신호가 공급되고, 또 입력단자(B)에 저레벨에서 고레벨에의 전위변화가 발생하면, 출력단자(Q)에 일정 시간폭을 가진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또 클리어단자 (CL)에 마찬가지로 고레벨의 신호가 공급되고, 또 입력단자(B)에 고레벨의 신호가 공급되어 있는 사이에 입력단자(A)에 고레벨에서 저레벨에의 전위변화가 발생하면, 출력단자(Q)에 일정시간폭을 가진 펄스신호가 진펄스신호가 발생한다.
제18도는 상기 시이켄스회로에 관한 타임차아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앤드게이트(296)의 출력선(297)위에 상기 타이밍펄스의 공급에 응답하는 펄스신호가 나타났을때, 상기 3개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의 각 출력선(299),(301),(
304), 오어게이트(300)의 출력선(305), 카운터(311)의 출력선(312),(313),(314), 노어게이트(319)의 출력선(320), 및 한쌍의 앤드게이트(306),(307)의 출력선(308
),(309)위에 각기 나타나는 신호 변화가 개시되어 있다.
이 타임차아트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298)
,(303)의 각 출력펄스의 시간폭은 작고, 나머지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트(301)의 출력펄스의 시간폭은 비교적 큰 것이다. 그리고, 상기 꿰맨줄 모양(D)의 선택조작후의 재봉틀의 운전개시후에, 상기 펄스발생기(128)로부터의 타이밍 펄스의 공급에 응답하여 상기 앤드게이트(296)의 출력선(297)위에 펄스신호가 나타나고, 그 펄스신호에 관련하여 오어게이트(300)의 출력선(305)위에 출력펄스가 나타나지만, 그 제3번째 및 제7번째의 출력펄스가 각기 소멸하는 시점 t1,t2에 있어서, 즉 카운터(311)의 계수치가 10진수의 3 및 7에 달했을 때, 노어게이트(319)의 출력선(320)위의 신호가 고레벨에서 저레벨로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2개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01),(303)는 상기 시점 t1및 t2직후에 있어서는 출력펄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선(305)위에 나타나는 오어게이트(30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펄스신호가, 카운터(311)의 제3번째의 출력선(314)위에 나타나는 신호의 레벨의 변화에 관련해서 앤드게이트(306),(307)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출력된다. 환언하면, 재봉틀 운전개시점 t0에서 카운터(311)에 의한 계수치가 10진수의 4에 달한 시점 t1까지의 사이, 앤드게이트(307)의 선(309)위에 발생하는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스탭모우터(3
5)가 구동되고, 그 출력축(36)이 반시계 방향으로 2스탭 회전된다. 그 출력축(36)의 1스탭당의 회전각도가 4도인 것은 명백하다. 또, 상기 시점 t1에서 시점 t3까지의 사이, 앤드게이트(306)의 선(308)위에 발생하는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스탭모우터(35)가 구동되고, 그 출력축(36)이 시계방향으로 3스탭 회전된다. 그 출력축의 시계방향에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회전각이, 제1의 스탭에 있어서, 2도, 제2도의 스탭에 있어서 4도, 제3의 스탭에 있어서 2도인 것은 제18도에 있어서의 선(308) 및 (309) 위에 나타나는 펄스신호에 의해 이해된다. 그리고, 시점 t3이후에 있어서는 스탭모우터(35)는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스탭모우터(35)의 구동, 및 주축(20)의 회전에 동기한 접촉자(49),(50)의 교호적 승강운동에 의해, 양캠체(38),(40)가 일정한 위상차로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서 회전하고, 꿰맨줄모양(D)이 재봉틀운전중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는 꿰맨줄 모양(E)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꿰맨줄 모양을 1개 형성하기 위해서는 6개의 꿰맨줄이 필요하며, 그 각 꿰맨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6개의 캠면의 캠체(38),(40)의 각도범위 18 내지 30도 안에, 각기 제1,6,2,5,3,4번째의 꿰맨줄에 대응하도록 형성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꿰맨줄 모양(E)이 선택되었을 때 유효화되고, 스탭모우터를 제10도에 있어서의 꿰맨줄 모양(E),(F),(G)의 란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회로로서, 제19도에 표시되어 있는 시이켄스회로가 사용된다.
제19도에 있어서, 앤드게이트(323)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제11도에 표시하는 앤드게이트(262) 위 출력선(265)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상기 디코우더(227)의 다른 1개의 출력선, 예컨대 235에 접속되어 있다. 그 앤드게이트(32
3)의 출력선(324)은 입력단자(A)가 접지된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25)의 입력단자(B)에 접속되며, 그 출력단자(Q)에 생기는 펄스출력은 선(326)을 개하여 오어게이트(327)에 공급된다. 입력단자(A)가 접지된 다른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
328)의 입력단자(B)는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25)의 출력단자(Q)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28)의 펄스출력을 선(329)을 개하여 받는 입력단자(A)를 갖는 제3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30)는, 그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을 선(331)을 개하여 상기 오어게이트(327)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25) 클리어단자(CL) 및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30)의 입력단자(B)는 각기 저항을 개하여 정전압공급원(VC)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오어게이트(327)의 출력선(332)은 한쌍의 앤드게이트(333),(324)의 각 한쪽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그 앤드게이트의 각 출력은, 각기 선(335),(336)을 개하여 제11도에 있어서의 오어게이트(256),(257)에 공급된다. 상기 오어게이트(327)의 출력신호가 인버어터(337)을 통해서 입력되는 카운터(338)는 3본의 출력선(339) 내지 (341)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제1 및 제3의 출력선(339),(341)은 앤드게이트
(34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이 앤드게이트(343)을 개하여 상기 카운터(338)의 리세트단자에 공급된다. 또, 그 카운터의 제3의 출력선(341)에 나타나는 출력신호는 플립플롭(344)의 입력단자(T)에 직접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인버어터(345)를 개하여 상기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28),(330)의 각 클리어단자(CL)에 각기 공급된다. 상기 플립플롭(344)의 다른 입력단자(J),(K)는 모두 다 저항을 개하여 정전압공급원(VC)에 접속되고, 또 그 출력단자(Q)에 접속된 선(346)에 나타나는 신호는 직접적으로 상기 앤드게이트(333)에 공급됨과 동시에 인버어터(347)를 개하여 낸드게이트(334)에 공급된다. 또, 상기 노어게이트(343)의 입력단자 및 플립플롭(344)의 클리어단자(CL)에는, 제11도에 있어서의 오어게이트(178)의 출력신호가 선(274)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또 인버어터(348)를 개하여 각기 공급된다.
상기 카운터(338)는 10진수의 1에서 적어도 5까지 계수 가능하며, 그 계수치가 5에 달하고, 즉 그 3본에 출력선(339) 내지 (341) 위에 「101」인 디지털코우드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즉시 리세트 되어서 000인 디지털코우드신호가 출력된다. 또, 상기 3개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325),(328),(330)는 상기 제17도에 있어서의 멀티바이브레이터(298),(301),(303)와 각기 꼭 같은 상태로 동작하고, 또 상기 플립플롭(344)은 제11도에 있어서의 플립플롭(271)과 꼭같은 상태로 동작한다.
제20도는 제19도에 있어서의 시이켄스회로에 관한 타임차아트를 표시한 것으로, 상기 앤드게이트(323)의 출력선(324)위에 상기 타이밍펄스의 공급에 응답하는 펄스신호가 나타났을 때, 상기 3개의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의 각 출력선(326),(329),(331), 오어게이트(327)의 출력선(332), 카운터(338)의 출력선(33
9),(340),(341), 플립플롭(344)의 출력선(346) 및 한쌍의 앤드게이트(333),(334)의 출력선(335),(336)위에 각기 나타나는 신호의 변화가 개시되어 있다. 이 타임차아트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꿰맨줄 모양(E)의 선택조작후의 재봉틀의 운전개시점에서 카운터(338)에 의한 계수치가 10진수의 5에 달한 시점 N1까지의 사이, 앤드게이트(334)의 출력선(336)위에 발생하는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스탭모우터(35)가 구동되고, 그 출력축(36)이 반시계 방향으로 3스탭 회전된다. 또 상기 시점 N1에서 시점 N3까지의 사이, 앤드게이트(333)의 선(335)위에 발생하는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스탭모우터가 계속해서 구동되고, 그 출력축(36)이 시계 방향으로 3스탭회전된다. 그 출력축(36)의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에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회전각이, 각기 제 1 및 제2의 스탭에 있어서 4도, 제3의 스탭에 있어서 2도인 것은, 제20도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점 N2이후에 있어서 스탭모우터(35)는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따라서, 캠체(38),(40)가 제10도에 있어서의 꿰맨줄 모양(E)의 란에 표시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서 회전하고, 꿰맨줄 모양(E)이 재봉틀 운전중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또한 제10도에 있어서의 꿰맨줄 모양(F) 또는 (G)는 상기 제19도에 표시되어 있는 시이켄스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꿰맨줄 모양(E)의 형성의 경우와 같은 상태로 형성되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1개의 꿰맨줄 모양이 6개 이상의 꿰맨줄로 이루어지는 모양의 형성에 대하여 고찰하면, 홀수개의 꿰맨줄로 이루어지는 꿰맨줄 모양의 형성을 위한 캠체(38),(40)의 구동은, 상기 꿰맨줄 모양(D)의 형성에 유사한 순서에 따라서 행해지고, 짝수개의 꿰맨줄로 이루어지는 꿰맨줄 모양의 형성을 위한 캠체(38),(
40)의 구동은, 상기 꿰맨줄 모양(E)의 형성에 유사한 순서에 따라서 행해지면 좋다는 것을 이해할 수가 있다.
최후로, 제11도 및 제14도에 있어서, 푸시버튼(18)의 조작으로 꿰맨줄 모양의 선택을 행하는 경우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푸시 버튼(17)의 조작에 의한 꿰맨줄 모양의 선택의 경우에는, 한쪽에 있어서 카운터(193)에는 선(194)을 개하여 펄스신호가 단속적으로 공급되고, 그 카운터의 계수치가 증가함으로써 스탭모우터(35)가 그 출력축(36)의 반시계 방향에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구동되고, 다른편에 있어서는, 모양 선택카운터(220)에는 선(208)을 개하여 다른 펄스신호가 공급되고, 그 카운터의 계수치가 증가함으로써 제11도에 있어서의 표시램프(19)의 점등이 순차 왼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푸시버튼(18)이 압압된 경우에는 상기한 경우와 반대로 스탭모우터(35)는 출력축(3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하고, 또 표시램프(19)의 점등이 제1도에 있어서 순차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제14도에 있어서의 타임차아트에는, 이 경우에 있어서의 선(154),(158),(276),(162),(219),(218)위에 각기 나타나는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동도에 의하면, 푸시버튼(18)이 조작되었을 때의 모양선택작동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주의를 요하는 것은, 상기 푸시버튼(18)을 압압하는 직전에 있어서 모양검출기(122)의 출력선(162)위의 신호가 고레벨인가 저레벨인가에 의해서 모양 선택작동이 약간 다르다. 즉 제9도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체(120)의 슬리트(119)의 임의의 1개가 검출체(121)에 상대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푸시버튼(18)이 압압된 경우에는, 제14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된 것 같은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선(162),(219) 및 (216)위에는 상기 푸시버튼(18)의 압압개시점 부근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된 신호의 변화가 일어난다. 왜냐하면,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이 위치 결정체(120)을 수반해서 시계방향에의 회전을 개시한후, 지금까지 선택되어 있었던 꿰맨줄 모양에 대응하는 1개의 슬리트(119)가 먼저 최초로 검출체(121)에 상대하고, 모양검출기
(122)의 출력선(162)위에 시점 t에 있어서 필스신호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지금 만약 그 펄스 신호의 발생에 응답하여 선(158)위의 신호가 변화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면, 선(158)위에 나타나는 신호는 시점 t에 있어서 고레벨에서 저레벨에로 변화하고, 또 시점 t에 있어서 다시 저레벨에서 고레벨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선(158)위에는 시점 t1'내지 t2'사이에 있어서 2개의 펄스신호가 나타나게 되고, 캠체(38),(40)의 회전위치에 대응한 꿰맨줄모양과, 표시램프(19)의 회전위치에 대응한 꿰맨줄 모양과, 표시램프(19)의 점등에 의해 지시되는 꿰맨줄 모양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11도에 있어서의 블록선도에 있어서는, 상기 불편이 일어나지 않도록 2개의 플립플롭(212),(213)이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에 제2의 캠체(40)가 고정되고 또 제1의 캠체(38)가 유감되어 있지만, 반대로 제1의 캠체(38)를 고정하고 제2의 캠체(40)를 유감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의 접촉자(49)가 캠체(38)에서 이탈되었을 때 스탭모우터(35)에 의해 그 캠체(38)가 회전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 제10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꿰맨줄 모양에 대양하는 1군의 캠면이 양 캠체(38),(40)의 독립한 각 구획내에 각기 형성되어있지만, 일부가 상호 중합하는 구획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 동일한 캠면이 다른 2개의 꿰맨줄 모양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게 된다. 또,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의 1스탭당의 최고회전각도가 4도이므로 상기 양캠체(38),(40)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기 적어도 4도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면 된다. 또, 상기 양캠체(38),(40)의 각 캠면은, 상기 스탭모우터(35)의 출력축(36)의 중심으로 하는 반경을 가지고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완전히 평탄하게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기 스탭모우터(35)는 항시 여자되어 있지만, 제2의 캠체(40)가 회전되고, 또 그 캠체에 접촉자(50)가 계합한후 스탭모우터(35)의 여자를 차단해도 된다. 이상의 기술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1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의 가능하다. 부언하면, 정보담지체로서 본실시에 있어서의 탭체에 대신하여, 자기적 또는 광학적정보기록체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바늘의 가로방향요동위치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개의 바늘 위치정보가 기록된 제1의 정보담지체와, 그 정보담지체의 바늘위치정보를 택일적으로 취출하여 바늘의 가로방향요동위치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1의 주사체와, 송치의 보내기운동을 조절하는 보내기조절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개의 보내기 정보가 상기 제1의 정보담지체의 여러개의 바늘위치정보와 각기 대응하여 기록된 제2의 정보 담지체와, 상기 제1의 주사체에 의해서 취출되는 바늘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보내기 정보를 상기 제2의 정보담지체에서 택일적으로 취출하여 상기 보내기조절기의 설정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의 주사체와를 가진 재봉틀에 있어서, 단일의 스탭모우터의 출력축 또는 그 출력축과 연동하는 축에 상기 제1 및 제2의 정보담지체의 어느 한쪽을 고정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정보담지체를 유감하고, 상기축에 고정된 한쪽의 정보담지체에 대하여 다른쪽의 정보담지체를 늘 소정의 상대적 각도위치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그 소정의 각도위치에서 정역양방향으로 각기 예정된 각도범위 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보지수단과, 재봉틀의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상기 다른쪽의 남보담지체의 회동을 일시적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그 정보담지체에 작동적으로 관계하는 저지수단과를 설치하고, 그 저지수단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다른쪽의 정보담지체의 회동이 저지된 상태에 있어서 구동제어수단의 작용으로 상기 한쪽의 정보담지체가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정역 어느 한쪽으로 상기 예정된 각도 범위내에 있어서 회동되고, 그후 상기 저지수단의 작용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다른쪽의 정보담지체가 보지수단의 작용으로 추종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만일의 스탭모우터에 의해서만 제1 및 제2의 정보담지체가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 주축 우회전과 동기하여 각기 별개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재봉틀에 있어서와 같이 양정보담지체를 각기 별개로 구동하기 위한 2개의 스탭모우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1개의 스탭모우터를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스탭모우터의 구동제어수단도 생략할 수 있다. 또, 그 결과로서 재봉틀내의 한정된 스페이스내에의 스탭모우터 및 정보담지체의 배치가 매우 용이하게되고, 스탭모우터가 재봉틀내에 내장된 재봉틀이 염가로 제공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의 가로방향요동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개의 바늘위치정보를 기록한 제1의 정보담지체와 그 정보담지체의 바늘위치정보를 택일적으로 취출하여 바늘의 가로방향 요동위치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1의 주사체와, 송치(送齒)의 보내기운동을 조절하는 보내기조절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개의 보내기정보가 상기 제1의 정보담지체의 여러개의 바늘 위치정보와 각기 대응하여 기록된 제2의 정보담지체와, 상기 제1의 주사체에 의하여 취출되는 바늘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보내기정보를 상기 제2의 정보담지체에서 택일적으로 취출하여 상기 보내기조절기의 설정위치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2의 주사체와를 가진 재봉틀에 있어서, 출력축 또는 그 출력축과 연동하는 축에 상기 제1 및 제2의 정보담지체의 어느 한쪽이 고정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정보담지체가 유감된 1개의 스탭모우터와 상기 축에 고정된 한쪽의 정보담지체에 대하여 다른쪽의 정보담지체를 늘 소정의 상대적 각도위치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그 소정의 각도위치에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예정된 각도범위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보지수단과, 상기 다른쪽의 정보담지체에 작동적으로 관계하고 재봉틀의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그 정보담지체의 회동을 일시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저지수단과, 그 저지수단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다른쪽의 정보담지체의 회동이 저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정보담지체를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정역의 어느 방향으로 상기 예전된 각도 범위내에 있어서 회동되도록 상기 스탭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과를 설치하고, 상기 1개의 스탭모우터에 의해 제1 및 제2의 정보담지체가 일정한 위상차로써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별개로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KR7803818A 1978-12-19 1978-12-19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KR82000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818A KR820001500B1 (ko) 1978-12-19 1978-12-19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818A KR820001500B1 (ko) 1978-12-19 1978-12-19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500B1 true KR820001500B1 (ko) 1982-08-25

Family

ID=1920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818A KR820001500B1 (ko) 1978-12-19 1978-12-19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5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5131A (en) Electronic control arrangement for sewing machines
CA1046613A (en) Pattern selection system for sewing machines
KR820001500B1 (ko) 재봉틀의 정보담지체 구동장치
AU560875B2 (en) A feeding mechanism in a sewing machine
CA1082790A (en) Knitting machine coupled with the program reading device
JPH0372316B2 (ko)
CA1091791A (en) Electronic control package for sewing machine
US2929344A (en) Zigzag sewing machine
JPH0154068B2 (ko)
JPS6044944B2 (ja) ミシンにおける情報担持体駆動装置
JP3897641B2 (ja) ミシン
JPS6044946B2 (ja) ミシンにおける多模様縫装置
KR820001440B1 (ko) 재봉틀의 바늘 위치 제어장치
US4503793A (en) Bobbin winding actuation by buttonhole selection
US4265188A (en) Electric sewing machine
US4235176A (en) Stitch pattern generating system for a sewing machine
JPS609830B2 (ja) 電気ミシン
KR820001501B1 (ko) 재봉틀의 바늘 요동기구
US4326472A (en) Needle oscillating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JPS6044947B2 (ja) ミシンにおける止め縫装置
CN101445999A (zh) 圆头锁眼缝纫机
KR100405180B1 (ko) 자수기
JPS6044945B2 (ja) 多模様縫ミシン
JPS6319198B2 (ko)
JPS6044948B2 (ja) ミシンにおける針揺動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