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202Y1 - 축전지용 마개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202Y1
KR820001202Y1 KR2019810003383U KR810003383U KR820001202Y1 KR 820001202 Y1 KR820001202 Y1 KR 820001202Y1 KR 2019810003383 U KR2019810003383 U KR 2019810003383U KR 810003383 U KR810003383 U KR 810003383U KR 820001202 Y1 KR820001202 Y1 KR 820001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p
stopper
storage battery
c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3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주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세방전자주식회사
정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자주식회사, 정평섭 filed Critical 세방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3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전지용 마개
제1도는 (a)는 본 고안의 축전지 카바의 평면도.
(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일부 종단면도.
(c)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마개의 단면도.
(d)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마개의 일부 상세단면도.
(e)는 P-P선 단면도로서 주액구의 요부상세 단면도.
(f)는 R-R선 상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마개를 사용하였을 때와 종래의 축전지용 마개를 사용하였을 때의 방치기간에 따른 축전지액의 비중을 비교한 그래프.
제3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마개를 사용하였을 때와 종래의 축전지용 마개를 사용하였을 때의 방치기간에 따른 시동능력 비교 그래프.
제4도 (a)는 종래 축전지 카바의 평면도.
(b)는 종래의 축전지용 마개의 일부 상세단면도.
(c)는 A-A선 단면도로서 주액구의 상세단면도.
(d)는 종래의 축전지용 마개의 단면도.
본 고안은 충전제 축전지(充電濟蓄電池, Half wet charged battery, 이하 H.W식 축전지라 약칭함)의 제조에 있어서 유통과 정에서의 극판의 산화를 방지하고 축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외부로 배출시키며 외부의 공기는 축전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축전지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라이 차지식 축전지(Dry charged battey)의 결점은 사용시 전해액 주입 후 극판에 액이 스며 들어 가는 시간(약 30분)동안 대기하여야 하고 드라이차지식 축전지를 차량에 장착한 후에도 액의 확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활성물질이 활성화되지 않아 초기시동이 만족스럽게 이루워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H.W식 축전지는 이미 극판내부에 액이 스며 들어 있는 상태(전체 전해액의 약 30-40%정도)로 젖어 있으므로 활성물질이 항시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주액 후 액이 극판에 흡수되는 대기시간이 필요없이 즉시 시동이 가능하고 초기시동능력도 드라이 차지에 비해 무리없이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 낮은 기온에서도 시동에 장애가 없어 자동차용 축전지의 기본 특성인 초기 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드라이차지식 축전지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저장 기간을 일반적인 H.W식 축전지에서는 그만큼 기대할 수가 없다.
이는 극판이 액에 젖어있으므로 음극판의 산화가 촉진 되기 때문이다. 즉, 출하 후 판매까지의 기간동안 산화의 급증으로 실제 사용시에는 축전지로서의 효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점에 착안하여 상기 서술한 종래의 H.W식 축전지의 초기시동능력의 장점과 저장기간중 극판의 산화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축전지 내부의 극판이 비록 젖어 있어도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주면 산화될수가 없고 비록 산화된 다하여도 축전지 내부에 있는 공기와의 반응만으로 산화하게 되므로 산화의 정도는 극히 미세하여 극판에 미치는 영향이란 무시해도 좋을 정도이다.
그러나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완전 밀봉하게 되면 축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지 못해 축전지 외벽이 부풀어올라 변형이 생기며 심한 경우에는 파손이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는 축전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전지 마개(1)의 내부 중앙에 통기공(2)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마개(1)의 통기공(2)외 주에 밀봉부(3)를 설하고 축전지 전조 카바(4)의 주액구(5)에 일정한 각도로 설한 스리트(slit)(6)를 마개(1)에 감합된 팩킹체(7)와 주액구면(8)이 한점(9)에서 접촉되게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시에는 마개(1)의 밀봉부(3)를 제거하면 통기공(3)이 마개(1) 외주에 형성되어 사용중 가스의배출을 가능케하고 또, 전조카바(4)의 주액구(5)에 일정한 각도를 가진 스리트(6)가 형성되어 있어 마개(1)에 감합된 연질고무제 팩킹체(7)와 주액구면(8)과 한점(9)에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기간중 전조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는 이 스리트(6)를 통하여 나오다가 마개(1)에 감합된 연질고무제인 팩킹체(7)와 스리트(6)가 접촉되는 한점(9)에 막히게 된다.
그러나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는 내부압이 걸려 있으므로 연질고무제인 팩킹체(7)가 미세하게 열리면서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지만, 반대로 외부의 공기는 대기압 상태이미로 스리트(6)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원고안은 도면 제2,3도와 같이, 방지기간에 따른 축전지액의 비중 및 시동능력이 종래의 고안보다 크게 향상되고 유통과정에서의 극판의 산화를 방지하고, 축전지 내부에서 발생는하는 가스는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지만 외부지 공기는 축전지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축전지 마개(1)의 내부 중앙에 통기공(2)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마개(1)의 통기공(2) 외주에 밀봉부(3)를 설하고 축전지 전조 카바(4)의 주액구(5)에 일정한 각도로 설한 스리트(slit)(6)를 마개(1)에 감합된 팩킹체(7)와 주액구면(8) 이 한점(9)에서 접촉되게 한 축전지용 마개.
KR2019810003383U 1981-05-12 1981-05-12 축전지용 마개 KR820001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383U KR820001202Y1 (ko) 1981-05-12 1981-05-12 축전지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383U KR820001202Y1 (ko) 1981-05-12 1981-05-12 축전지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202Y1 true KR820001202Y1 (ko) 1982-06-05

Family

ID=1922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3383U KR820001202Y1 (ko) 1981-05-12 1981-05-12 축전지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2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20001202Y1 (ko) 축전지용 마개
US3083256A (en) Battery vent plug
US4079172A (en) Galvanic cell having a high pressure vent closure
US3376166A (en) Deferred action dry cell battery structure
US4662533A (en) Safety valve device for enclosed cells
US3177096A (en) Electrical accumulator
JPH0942456A (ja) ドアミラー電動格納ユニットのシール構造
JP4872162B2 (ja) 制御弁式鉛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US4053686A (en) Epoxy sealed lead battery probe
JPH06111796A (ja) 偏平形電池
JP3006242B2 (ja) 小形シール鉛蓄電池
JPS5836822B2 (ja) マグネシウム乾電池
JPH048608Y2 (ko)
US4075399A (en) Battery vent seal
KR920002982Y1 (ko)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US3940287A (en) Primary dry cell with gas-venting passageway around the cathode mix
JPH0631644Y2 (ja) 密閉型鉛蓄電池
JPH0350037Y2 (ko)
KR810000420Y1 (ko) 축전지용 마개
JPH0654199U (ja) 密閉式蓄電池
JPH0416374Y2 (ko)
US4084039A (en) Gas venting battery plug
JPS5911404Y2 (ja) 蓄電池
JPH0113326Y2 (ko)
JPH042949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