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982Y1 -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 Google Patents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982Y1
KR920002982Y1 KR2019880012321U KR880012321U KR920002982Y1 KR 920002982 Y1 KR920002982 Y1 KR 920002982Y1 KR 2019880012321 U KR2019880012321 U KR 2019880012321U KR 880012321 U KR880012321 U KR 880012321U KR 920002982 Y1 KR920002982 Y1 KR 920002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ubber
cap
circumferential surface
gas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799U (ko
Inventor
엄순천
Original Assignee
엄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순천 filed Critical 엄순천
Priority to KR2019880012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982Y1/ko
Publication of KR900003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부분을 확대한 작용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캡의 일부 절개한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전지 2, 2' : 홈
3, 3' : 축전지액 주입구 4, 4' : 고무캡
5 : 덮개판 6, 6' : 내향돌출부
7 : 공간
본 고안은 소형 축전지의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양호한 고무캡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고무캡의 내하단에 내향돌출부를 형성하여 고무캡의 내주면과 주입구의 외주면에 공간이 생기게 하여서 적은 가스압력에도 고무캡이 벌어져서 축전지의 파열을 방지하게 한 구성이다.
종래 축전지 가스배출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된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40-31878호의 구성에 있어서는 주입구의 외주면 일측에 가스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그 주면 전체를 감싸는 고무관이 둘려져 있는 것이므로 가스배출공의 크기에 해당하는 고무관의 내면적에만 가스압력이 미치므로 고압이 아니고서는 고무관이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압에 견디어 낼 수 있는 축전지의 외갑체를 구성하여야만 하고 또 고압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축전지가 파열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0-147073호의 구성에 있어서는 배기공의 상부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의하여 고무캡의 상부에 약간 수압면적을 이루고 있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고무캡의 내상부 코너이어서 적은 압력으로는 고무캡을 벌릴 수 없는 단점이 있는데다가 이를 축전지 산업에 이용함에 있어 그 출원전의 축전지의 구성을 변형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결함 때문에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고무캡의 내하단에 내향돌출부를 형성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전지(1)의 상면에 홈(2), (2')이 요설된 축전지액 주입구(3), (3')에 신축성이 양호한 고무캡(4), (4')을 씌우고 직사각형 덮개판(5)으로 덮어서 고무캡이 위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 것에 있어서, 고무캡(4), (4')의 내하단에 내향돌출부(6), (6')를 형성하여서 고무캡(4), (4')의 내주면과 주입구(3), (3')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7)이 형성되게한 구성이다.
이와같이 내향돌출부(6), (6')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7)은 홈(2), (2')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압력을 고무캡(4), (4')의 내주면 전체에 미치게 하므로 고무캡(4), (4')이 쉽게 벌어져서 가스를 배출하게되는 것인데 이는 가스압력을 받는 면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어떠한 구성의 기존 축전지라 하더라도 그 주입구에 본 고안의 캡만 씌우면 상기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축전지 구성의 변형없이 간단히 이용할 수 있는 경제성의 고안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 가스압력을 받는 면적이 작아서 발생하는 축전지 내의 고압에 의하여 축전지가 파열되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게한데 그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축전지(1)의 상면에 홈(2), (2')이 요설된 축전지액 주입구(3), (3')에 신축성이 양호한 고무캡(4), (4')을 씌우고 직사각형 덮개판(5)으로 덮은 것에 있어서, 고무캡(4), (4')의 내하단에 내향돌출부(6), (6')를 형성하여서 고무캡의 내주면과 주입구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7)을 형성하여서된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KR2019880012321U 1988-07-28 1988-07-28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KR920002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321U KR920002982Y1 (ko) 1988-07-28 1988-07-28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321U KR920002982Y1 (ko) 1988-07-28 1988-07-28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799U KR900003799U (ko) 1990-02-08
KR920002982Y1 true KR920002982Y1 (ko) 1992-05-11

Family

ID=1927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321U KR920002982Y1 (ko) 1988-07-28 1988-07-28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9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799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235A (ko) 워터 필터 카트리지
KR900012662A (ko) 가스 흡착 탑
US4010044A (en) Battery vent
KR920002982Y1 (ko) 축전지액 주입구의 캡
KR900700659A (ko) 전기화학적 전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습장치
KR850700291A (ko)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장치
KR950012696A (ko) 반도체 패키지
JPS6219568Y2 (ko)
KR20220101267A (ko)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액체용기
KR850002426Y1 (ko) 차량용 연축전지캡
JPH048608Y2 (ko)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KR810000420Y1 (ko) 축전지용 마개
KR200231017Y1 (ko) 약액누출방지용마개.
KR970005842Y1 (ko) 유체 저장탱크의 주입구 캡
KR960004333Y1 (ko) 액체누설 방지용 용기 속 캡
SU1671537A1 (ru) Емкость
KR820001202Y1 (ko) 축전지용 마개
KR970003538Y1 (ko) 에어매트용 공기 주입, 배출구
JPS5839646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870001505Y1 (ko) 탁주 유리병의 왕관용 패킹
KR920003667Y1 (ko) 자동 개폐식 용기 뚜껑
KR910000494Y1 (ko) 밀폐벽의 뚫음기능을 가진 약액압출용기마개의 구조
KR880001862Y1 (ko) 가스통 밸브의 안전캡
KR920001844Y1 (ko) 가스캔용 콕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