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967B1 - 트랜스퍼 프레스 - Google Patents

트랜스퍼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967B1
KR820000967B1 KR7802864A KR780002864A KR820000967B1 KR 820000967 B1 KR820000967 B1 KR 820000967B1 KR 7802864 A KR7802864 A KR 7802864A KR 780002864 A KR780002864 A KR 780002864A KR 820000967 B1 KR820000967 B1 KR 82000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lank
press machine
press
fe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오조오 이마니시
후미아기 우메자와
도시야 이시다
하르쓰구 나가야마
Original Assignee
아이다 게이노스게
아이다 엔지니어링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다 게이노스게, 아이다 엔지니어링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다 게이노스게
Priority to KR780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9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랜스퍼 프레스
제1도는 본 발명의 트랜스퍼 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동 평면도.
제3도는 블랭크 공급기구로서 일부를 절단한 정면도.
제4도는 블랭크 공급기구 중에서 자성부자 및 블랭크지지 고정구를 작동하는 실린더의 단면도.
제5도는 중심선 위쪽의 톱니받침 및 수송프레임은 귀환끝을 중심선 아래쪽의 톱니받침 및 수송프레임은 전진끝을 보여주는 블랭크 수송기구의 평면도.
제6도는 수송프레임이 귀환점에 도달한 블랭크 수송기구의 정면도.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 방향에서 절단한 측면도.
제8도는 제6도의 Ⅷ-Ⅷ선 방향에서 절단한 측면도.
제9도는 이중 블랭크 검출기구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제10도는 이중 블랭크 검출기구의 평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XI-XI선 방향에서 절단한 측면도.
제12a도는 트랜스퍼 작동의 개략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12b는 3차원 및 2차원 트랜스퍼 작동의 전환기구로서 부분단면 측면도.
제13도는 동 정면도.
제14도는 3차원 및 2차원 작동을 일으키게 하는 캠을 연결한 실린더 부분의 단면도.
제15도는 클램프 내부의 부속 다단식 전환기구의 개략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16a, b, c, d도는 동 전환기구의 상세한 단면도, a에서 d까지는 어느 것이나 같은 기구로서 전환범위가 상이함을 설명하고 있다.
제17도는 금형교환기구 평면도.
제18도는 제17도 ⅩⅤⅢ-ⅩⅤⅢ선 방향에서 본 일부단면 측면도.
제19도는 운반차와 궤도의 연결부의 상세한 것을 보여주는 부분단면 측면도.
제20도는 볼스터의 바퀴케이스에 마련한 멈춤판의 정면도.
제21도는 톱니받침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제22도는 톱니받침과 보조톱니받침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톱니받침의 연결기구 정면도.
제23도는 제22도에서 톱니받침과 보조톱니받침이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4도는 톱니받침 연결기구 중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기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25도는 동 평면도.
제26도는 금형 냉각유회로의 연결기구로서 부분단면 측면도.
제27도는 제26도 ⅩⅩⅤⅡ-ⅩⅩⅤⅡ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28도는 쿠션 압력조정기구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29도는 쿠션 압력조정기구의 측면도.
제30도는 프레스 자동운전의 프로그램 제어기구의 약도.
제31도는 동 자동운전의 순서도.
제32도는 프레스 자동운전의 고정처리 순서도.
본 발명은 전자동식 트랜스퍼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트랜스퍼 가공에서의 블랭크(blank) 재료 공급으로부터 가공품이 완성되기 까지의 각종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각종 기구와 그것들을 통제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어기구를 구비한 일련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프레스로 가공하지 않을 수 없는 부품(제품)이 다양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래의 다량 생산에 대한 축적수단으로는 여러 가지 불합리한 점이 발생하였다. 예를들면, 재고품의 종류가 불어나고 보관장소 및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는 문제와 아울러 제품의 출고, 입고하는 문제등 말하자면 관리비는 증액하게 된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 적시에 각 부품을 조립라인에 공급하는 것이 요청되게 되었다.
이에 보답하기 위하여 또는 조립라인의 전기요구에 맞추어 적시에 각 부품을 공급하기 위하여는 장치하는 준비시간이 짧고 생산성이 우수한 전자동의 프레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망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랜스퍼 프레스는 프레스가공으로 제조하여야 하는 각종 부품의 재료인 블랭크를 1장씩 프레스 기계에 공급하기 위한 블랭크 공급기구와 블랭크 공급기구에서 프레스 기계까지 블랭크를 수송하기 위한 불랭크 수송기구, 프레스 기계에 공급한 블랭크를 프레스 기계의 베드 위에 마련된 각 스태지(stage)의 금형에 차례로 보내주기 위한 트랜스퍼 수송기구, 제조할 부품을 바꾸는 경우에 금형을 교환하기 위한 금형교환기구, 금형을 교환할 때 트랜스퍼 수송기구에 포함된 톱니받침도 떼어내어서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한 톱니받침교환기구, 금형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회로를 교환하는 금형에 연결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러기 위한 금형냉각유 회로연결기구 및 트랜스퍼 가공에 필요하고 프레스 기계의 베드부에 맞붙여진 다이쿠션의 압력조정기구등의 각종 기구와 프레스 기계등을 블랭크의 수송 및 가공 상태와를 관련함에 있어 통제해야 할 프레스 자동운전의 프로그램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서 본 도면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 프레스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블랭크 공급기구(10)은 프레스 기계(1)의 좌측에 배치되었으며, 프레스 기계(1)와 블랭크 공급기구(10)와의 사이에 블랭크 수송기구(20)가 배치되었고 트랜스퍼 수송기구(10)는 컬럼(colum)(8)부에 배치되어 있어 프레스 기계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다.
금형교환기구는 본 도면으로 말하자면 프레스기계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이지 않으나 제2도(평면도)에서 보여주고 있다.
금형냉각유회로 전환기구는 슬라이드(4), 금형(6)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쿠션압력조정기구는 베드(2)의 수직한 벽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도는 트랜스퍼 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프레스 기계(1)의 뒤쪽에 금형교환기구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도에서 블랭크 공급기구는 틀(111)에 고정된 진공실린더(110)의 피사톤로드(112)에 진공컵(114)을 장치하고, 매거지인(103)에 실려있는 블랭크(106)를 위쪽의 것부터 차례로 흡착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매거지인(103)은 레일(101)에 맞붙여진 로울러(102)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블랭크 받침(107)이 있고 매거지인(103)의 저부에는 구멍(105)를 마련하여 블랭크(106)를 밀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실린더(108)의 피스톤로드(109)가 출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전기한 리프트실린더(108)는 블랭크(106)의 상부면의 높이를 일정한 범위내에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101)부에 고정되어 그 피스톤로드(109)의 스트로우크(stroke)를 탐지하기 위한 검파기를 구비하고 있다.
적재된 블랭크(106)의 상부 측면에 블랭크(106)를 분리 시키기 위한 마그네토플로우터(117)를 이동하기 자유롭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4도를 참조하여 마그네토플로우터(117), 블랭크 지지구(118), 플레이트(119)(이하 마그네토플로우터 등이라 칭함)는 로드(138)에 고정되고 이 로드(138)에는 피스톤(137)을 고정하였으며 피스톤(137)은 피스톤로드(116)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로드(116)에는 그 개구부(開口部)에 덮개(139)를 고정하였으며, 피스톤(137)과 덮개(139)와의 사이에 용수철(141)을 짜넣고 있다,
전기한 피스톤(137)과 덮개(139)와의 사이에 관(140)을 짜넣고 있어 피스톤(137)과 관(140)사이 또는 단구부(135)와 피스톤(137)의 사이에는 스릿(143)에 상당하는 만큼의 거리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로드(116)에는 피스톤(31)이 고정되었으며 피스톤(131)은 실린더(115)에 삽입되어 있다.
공기구멍(132)으로 압력유체가 공급이 되어 마그네토플로우터등이 전진하게 되고 블랭크(106)의 측면에 부딪힌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파기의 신호에 따라 공기구멍(132),(142)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유체의 공급을 중지하면 용수철(141)의 작용으로 스릿(143)이 관(140)과 피스톤(137)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그 스릿에 상당하는 만큼의 거리가 블랭크(106)와 마그네토플로우터(117)와의 사이에 생긴다. 이때의 마그네토플로우터등의 위치가 정규의 위치이다.
블랭크 지지구(118)는 프레이트(119)에 축(120)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자유롭도록 맞붙여 졌으며 블랭크멤버(106)가 리프트실린더(108)에 의하여 밀어올려져서 블랭크지지구(118)의 위치를 통과할때에는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블랭크(106)가 감소하면서 나아가되 어떤 일정량으로 되면 블랭크(106)는 블랭크지지구(118)로 지지되고 피스톤로드(109)는 하강하며 공백의 매거지인 레일(101)위를 주행하여 꺼내어지고 그 대신 블랭크(106)를 적재하고 있는 매거지인(103)이 공급이 된다. 이 동안에도 중단하지 않고 블랭크(106)의 공급은 계속된다.
진공컵(114)에 흡착된 블랭크(106)는 진공실린더(110)로 상승하며 상승된 위치에서 다음에 설명하는 진공수송장치의 진공컵이 상이한 장소에서 흡착되어 인수 인도가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에 이 작동을 반복한다.
블랭크 수송기구는 톱니받침(7)의 왕복운동과 제6도에서의 실린더(162) 및 (162)의 수직진동을 진공컵(164)에 부여함에 따라 진공컵(164)에 흡착된 블랭크(106)를 블랭크 공급기구에서 프레스 기계의 제1스태지까지 보내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제5도에서 컬럼(8)에 톱니받침(7)의 클램프(clamp) 또는 언클램프(unclamp) 동작을 시키는 클램프장치(150) 및 (151)를 고정하고 이것과 피이트바아안내(152)와를 연결하여 피이트바아안내(152)의 안내용 홈안에 보조피이드바아(153)를 지지하게 한다.
전기한 피이드바아(7)는 좌단은 보조피이드바아(153)와 또 우단은 보조피이드바아(304)에 각기 연결핀(307) 및 (307)로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에 대하여는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제7도에서 보조피이트바아(153)에 마련한 구동핀(157)은 수송용 프레임에 고정된 안내봉으로 안내되어 있는 슬라이딩멤버(156)의 구멍에 지지되어 있다.
제6도 및 제8도에서 수송프레임(154)은 아암(158)이 마련되어 있어 그 아암(158)에 맞붙여진 로울러(161)는 레일(159)에 마련한 안내홈에 물려있다. 레일(159)은 브리지(160)에 고정되었으며, 브리지(160)는 실린더(162) 및 (162)를 개재하여 블랭크 공급기구의 틀(111)과 프레스 기계의 컬럼(8)에 맞붙여지고 있다.
제7도에서 수송프레임(154) 및 (154)에 연결봉(163)을 고정하고 이 연결봉(163)에 진공컵(164)을 프레스 기계안의 금형과 동일한 피치에 장치한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클램프장치(150) 및 (151)의 위쪽에서 피이드바아와 평행하는 받침대(165)대 마련하고 프레스 기계의 각 스태지에 관통하는 아이들스태지에 상당하는 위치에 위쪽으로 향하도록 진공컵(166)을 고정한다.
제9도에서 제11도까지는 동시적으로 2장 또는 2장 이상의 블랭크를 리프팅하는 것을 검출하고 또 경우에 따라서 블랭크 전부를 리프팅하기 위한 기구임을 보여주고 있다.
제9도에서 블랭크의 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블랭크수신봉(170) 위의 블랭크를 접촉멤버(176), 회전이 자유로운 레버(174), 실린더(177) 및 근접스위치(185)를 사용하여 검사하고 2장 이상의 경우는 그 블랭크를 찔러서 아래로 떨어뜨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계틀(171)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된 레버(175)의 선단을 접촉멤버(176)로 하고 타단의 근처와 실린더(177)의 피스턴로드(178)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맞붙이고 그 다음에 조작레버(184)를 마련한다. 실린더(177)는 기계틀(171)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다.
근접스위치(185)를 조작멤버(184)에 따라 운전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하고 레버(174)에 맞닿은 위치에 조정나사(186) 및 쿠션측(181)을 마련한다.
블랭크가 2장 이상인 경우에 아래로 찌러 떨어지게 하기 위한 슬라이더(187)는 기계틀(171)에 고정된 축(175)에 따라 안내되고 있다. 슬라이더(187)의 보텀(bottom)은 요동막대(189)에 마련한 포크상의 감압부(190)와 연결핀(188)을 개재하여 감합되어 있다.
요동막대(189)의 일단은 기계틀(171)에 핀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맞붙여 있으며 요동막대(189)의 중심부와 실린더(191)의 피스턴봉(192)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3도에서 진공컵(114)으로 흡착되며 진공실린더(110)로 리프트된 블랭크(106)는 제6도에서 진공컵(164)에 이송되어(진공컵(114)와 진공컵(164)는 블랭크(106)의 상이한 위치에서 흡착한다.), 수송프레임의 전진 작동에 따라 트랜스퍼 가공에 있어서의 피이드스트로우크 분만큼 전진한다.
실린더(162)의 작용에 따라 블랭크(106)는 하강하며 받침대(165)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컵(166)에 이송된다. 블랭크(106)를 방출한 진공컵(164)은 상승한 다음 수송용프레임(154)의 복귀작동에 따라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온다. 계속 진공컵(164)은 실린더(162)의 작용으로 하강하여 진공컵(114)에 흡착되어 있는 블랭크(106) 및 진공컵(166)에 흡착되어 있는 블랭크(106)를 받아들이고 실린더(162)의 작용으로 상승한 다음 전진하다.
다시 진공컵(164)은 하강하여 블랭크(106)를 진공컵(166)에 이송하고 상승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받침대(165) 위의 블랭크(106)는 제9도에서 근접스위치(186)로 검사하며, 2장 이상의 경우에는 슬라이더(187)로 떼어버려진다.
이와같은 일련의 동작으로 블랭크는 1장씩, 프레스 기계의 제1스태지에 계속 수송된다.
제12도에서 제14도까지는 2차원 수송 및 3차원 수송의 전환기구, 즉 2차원 수송 및 3차원 수송에서의 피이드바아의 클램프하거나 언클램프하는 작동을 전환하기 위한 기구임을 보여주고 있다.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조정나사(202)의 상부에 장치되어 있는 프레이트(205)에 캠호울더(206)를 마련하였으며 캠호울더(206)는 슬라이더(4)의 수직벽에 안내되어서 상하로 미끌어질수 있는 구조로 되었고 캠호울더(206)의 가로방향의 흠(207)에는 캠(208)이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짜넣어져 있다. 캠(208)은 2차원 캠(210)과 3차원 캠(209)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캠(208) 및 (208)의 내측면에는 실린더(206) 및 (206)를 고정하였으며 실린더(216) 및 (216)의 피스톤봉(219) 및 (219)는 연결봉(220)으로 연결되어 있다. 캠(208)의 양측에는 캠(208)의 전환을 검지하기 위한 한계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크라운(3)에 브래킷(214)을 고정하고 이것에 레버(212)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맞붙인다. 레버(212)는 일단에 캠에 대응하는 로울러(213)를 구비하였으며 타단은 길다란 막대 및 랙구동기구를 개재하여 클램프 및 언클램프케이스에 연결하고 있다.
캠(208)은 조정나사(202)에 따라 이동하므로 프레스기계가 틀의 높이를 조절하여도 캠(208)과 로울러(213)의 상대적 위치는 바뀌지 않는다.
2차원 캠(210) 및 3차원 캠(209)른 실린더(216)의 작용에 따라 선택된다.
제12a도, 제15도, 제16도에서는 트랜스퍼 가공에서 다루어져야 할 블랭크 등의 대소에 맞추어서 1쌍의 피이드바아(7) 및 (7)의 클램프의 안의 넓이를 조정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제12a도에서 캠기구, 길다란 막대, 클램프 구동 케이스, 클램프유닛을 개재하여 프레스기계의 슬라이더 상하작동을 이용하여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 작동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5도에서 클램프 구동케이스(231)는 2개의 복식실린더(233) 및 (23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복식실린더(233)는 제16도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간막이벽(238)의 양측에 각각 실린더를 형성하며 이 2개의 실린더의 스트로우크는 (S1) 및 (S2) (S1≠S2)로 형성되어 있다. 복식실린더의 한쪽의 피스톤봉(235)은 컬럼(8)에 다른쪽의 피스톤봉(234)은 클램프 구동케이스(231)의 벽면에 각기 고정되어 있다.
제15도에서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승강작동으로 구동하는 구동측(232)과 피이드바아(7)는 랙구동기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6도에서 클램프 구동케이스의 변위는 양 실린더의 스트로우크(S1) 및 (S2)의 조합에 따라 네 개의 종류로 되며, 각 변위의 2배가 1쌍의 피이드바아(7) 및 (7)의 안의 넓이를 조정하는 양이 된다.
제17도에서 제20도까지는 프레스 기계(1)의 금형을 반출 혹은 반입하기 위한 금형교환기구를 보여주고 있다. 제17도에서 금형을 실은 볼스터(5)는 전후방향으로, 또 대차(臺車)(270)는 볼스터(5)를 태우고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대차(270)는 2대 있고, 연결봉(272)으로 서로 연결하고 있다.
베드(2)의 후부에 이것과 동일한 높이로 접속한 레일(250)을 마련한다. 레일(250)의 후방에 이것과 직교하는 바닥레일(251)을 마련한다. 레일(250)은 볼수터(5)의 주행용으로 또 바닥레일(251)은 대차(270)의 주행용으로 한다.
제18도에서 볼스터(5)는 바퀴(52)가 있어 주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베드(2)에는 볼스터의 정위치에서 바퀴(52)에 대응하는 위치로 승강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볼스터(5)가 주행할때면 전기한 승강장치는 상승시켜 둔다.
볼스터(5)에 연결판(256)을 고정하고 그 바닥에 U자형의 홈을 마련하여 슬라이더(254)에 마련한 로울러(264)와 착탈이 자유롭도록 물리게 하고 있다. 슬라이더(254)의 바닥에 레일(255)을 삽입한 로울러(256)와 가설대(252)의 안내홈(253)의 내면벽에 접한 로울러(257)을 마련한다. 슬라이더(254)에는 로울러(259)를 장착한 상하방향의 홈(258)이 있다. 로울러(259)는 모우터(263) 및 체인스프로킷(261)(260)을 개재하여 안내홈(253) 안을 왕복하는 체인(262)에 연결되어 있다.
제17도에서 자동추진운반차(270)는 모우터(292)로 바닥레일(251)에 평행으로 왕복하는 체인(288)과 접속되었으며 바닥레일(251) 위를 주행한다.
자동추진운반차(270)는 그 상부면에 레일(250) 및 (250)와 평행하고 2가닥의 레일(250) 및 (250)은 같은 거리 및 같은 높이로 된 크로스레일을 갖고 있다. 크로스레일(271)의 레일(250)쪽으로 관통구멍(275)을 마련하였으며 그 내부에는 볼스터(5)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장치를 짜넣고 있다. 이 스토퍼 장치에서 제지판(276)과 감합홈(285)은 감합홈의 바닥과 내부측면에서 상호접촉하고 있으므로 볼스터(5)의 주행방향과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스터(5)가 움직이는 것을 콘트롤 할 수 있다. 제지판(276)의 작동은 실린더(281)와 용수철(280)에 의하여 주행한다.
제17도에서 바닥레일(251)과 슬라이더(254)의 주행통로의 교차하는 위치에서 연결레일(273)을 마련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고 바닥레일(251)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연결의 작동을 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그밖에 볼스터(5) 및 자동추진운반차(270)의 주행을 통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검지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금형 교환기구에 의하면 프레스 기계(1)내의 이미 사용된 금형을 운반하는 볼스터(5)를 자동추진운반차(270) 위에 적재하여 레일(250) 및 크로스레일(271) 위를 주행하게 하며 이어 다음에 사용할 금형을 실은 또다른 볼스터(5)를 운반할 자동추진운반차(270)를 프레스기계(1)의 후방까지 주행시켜 볼스터(5)를 레일(250)위를 통해서 프레스 기계 안으로 주행시킴으로써 금형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자동추진운반차(270) 및 볼스터(5)의 주행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금형을 프레스 기계에 장치하는 것은 종래의 클램핑 장치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21-25도에서 금형교환을 할 때 피이드바아(7)를 좌우의 컬럼 사이에서 착탈시키며 금형과 함께 교환하기 위한 피이드바아 교환기구를 보여주고 있다.
제21도에서 우측 컬럼(82)에 피이드바아(7)의 전진 또는 복귀하는 작동을 시키기 위한 트랜스퍼유닛(300)과 그 양쪽으로 피이드바아(7)에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 작동을 시키기 위한 클램프유닛(301) 및 (302)를 설치한다.
좌측 컬럼(81)에 클램프유닛(151)을 마련하고 클램프유닛(301),(302),(151)에 각각 피이드바아안내(303),(152)를 연결하여 피이드안내(303) 및 (152)에 마련한 홈에 각기 보조피이드바아(304) 및 (153)과 피이드바아(7)의 양단을 맞물려서 조합하고 연결핀(307) 및 (307)로 연결한다.
피이드바아안내의 바닥에는 요(凹)홈이 있으며, 이 요홈을 이용하여 트랜스퍼 구동용의 슬라이더(306)와 보조 피이드바아(304)를 핀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밖의 것은 종래의 트랜스퍼 구동기구 및 클램프기구를 이용한다.
제22도에서 볼스터(5)안에 고정된 리프트실린더(65)로 아래의 공통프레이트(63)를 저지시키고 이 공통프레이트(63)에 고정된 받침대(66)로 피이드바아를 지지시킨다. 제23도에서 금형을 교환할때는 리프트실린더(63)를 작용시켜서 공통프레이트(63)와 받침대(66)를 개재하여 피이드바아(7)를 상승시켜 연결핀(307)에서 분리한다.
제24도, 25도에서 고속 운전시의 피이드바아(7)와 보조피이드바아(304)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 보여주고 있다. 보조피이드바아(304)에 유압(油壓) 실린더(310), 피스톤(313)을 마련하고 보조피이드바아(304)의 단부(段部)의 상부면과 피스톤봉에 고정된 헤드프레이트(316)의 하부면과 사이에 탄성체(315)를 장착하였다.
유압실린더(310)에 압유를 공급하여 주어 원주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하여 탄성체(315)를 축방향으로 압축시킨다.
제26도에서 금형에 공급하여야 할 냉각유회로의 전환기구를 보여주고 있다. 금형을 교환할 때 슬라이더(4)의 상하운동을 이용하여 냉각유회로의 연결을 자동적으로 수해아기 위한 기구이다. 슬라이더(4)에 첵밸브(321)를 고무시이트(329)를 개재하여 고정한다. 첵밸브(321)는 내부에 플러그체(323)와 스프링(324)을 구비하며 프러그체(323)의 선단과 첵밸브 구멍의 저면부와는 서로 밀봉면을 형성하고 있다.
스프링(324)은 플러그체(323)를 밀고 전기한 밀봉면을 밀봉한다. 플러그체(323)는 관통구멍(325)과 가로뚫린 구멍(326)이 있으며 전기한 밀봉면이 열렸을때에 냉각유의 통로가 된다. 첵밸브(321)는 캠을 구비하여 플러그체(323) 및 스프링(324)이 내장되어 있는 챔버를 관통한 송유관(320)에 접속되었으며, 송유관(320)은 냉각유의 공급원에 접속되고 있다. 공통프레임(67)에 첵밸브(3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요공(凹孔)(671)을 마련하고 요공에서 공통프레임(67)을 지나서 위틀(61)의 냉각유공급부까지 통로를 형성하게 되어있다.
위틀 공통프레이트(67)의 하부면에서 요공(671)을 관통하여 유량조정용의 조정보울트(68)를 틀어 넣었으며, 그 선단은 플러그체(323)에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금형을 떼어낼때는 슬라이더(4)가 상승함에 따라 플러그체(323)의 선단이 조정보울트(68)의 선단에서 분리하여 스프링(324)의 작용에 따라 밀봉면(322)이 밀봉되어서 금형으로 보내는 냉각유의 공급이 중단된다.
반대로 금형을 장치할때는 슬라이더(4)의 하강동작에 따라 플러그(323)는 조정보울트(68)로 밀어올려서 밀봉면은 열리게되며 금형으로 보내는 냉각유의 회로가 열리어 냉각유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28도 및 제29도에는 금형교환작업과 연동하여 트랜스퍼가공에 사용하는 베드(2)안의 쿠션실린더(346)에의 압력조정기구를 보여주고 있다.
트랜스퍼 가공의 각 스태지는 각기 쿠션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압력조정기구를 필요로 한다. 볼스터의 주행동작을 이용하여 조정기(345)를 작동시켜서 필요로 하는 압력유체의 압력을 얻으려 하는 기구이다.
베드의 전부 측면에 레버(341)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맞붙이고 레버의 한쪽단부에 돌기(343)를 마련하여 아래의 공통프레이트(63)에 마련한 조정보울트(340)에 대응시키며 다른쪽 단부에는 나사봉(344)을 마련하여 베드(2)의 수직벽에 고정한 조정기밸브에 접촉시킨다. 베드(2)의 수직벽에 리미트스위치(351)를 고정하고 레버(341)에 접촉시킨다.
금형을 떼어낼때는 볼스터(5)는 상승하며 아래의 공통플레이트(63)도 상승하므로 돌기(343)가 조정보울트(340)에서 분리되어 레버(34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리미트스위치(351)가 레버(341)에서 분리되어 나사봉(344)이 조정기로부터 분리하여 리미트스위치(351)의 신호에 따라 삼방전자변(三方電磁辯)(348)이 작동하여 쿠션실린더(346)부의 압력유체를 배출시켜서 볼스터(5)는 주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며 볼스터(5)는 프레스 기계(1) 안에서 밖으로 주행한다.
삼방전자변(348)의 작동은 리미트스위치(351)의 신호에 의하지 않고 볼스터 주행전에 작동하여도 무방하다. 볼스터가 프레스 기계내에 주행할때는 전기한 바와는 반대로 레버(34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삼방전자변의 작용으로 압력유체 회로가 열리게 된다.
조정보울트(340)를 회전시켜서 보울트의 돌출길이를 변경조정함에 따라 레버(341)를 개재하여 조정기(345)의 작용으로 필요하는 압력을 얻을 수 있다.
제30도에서 제32도까지는 프레스 자동운전의 프로그램 제어기구를 보여주고 있다. 프레스기계를 자동운전하게 함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90)는 예컨데 16 비트(bit) 또는 1킬로워드(kilo/word)의 자성코어기억기로 구성되어 있다.
연산장치(91)는 전기의 기억장치(90)의 기억내용을 연속적으로 읽어내어 해독하며, 이 해독 결과에 따라서 프레스 기계의 제어요소 921-92N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서 프레스 기계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프레스의 각 확인점에 마련한 검지기 931-93N에서 발신하는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전기한 기억내용의 해독결과와 비교하고 프레스 기계가 프로그램에서 지시한데로 작동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잘못 작동하였을 경우에는 표시신호를 후술하는 표시의 출력유닛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한 제어요소 921-92N로서는 예컨데 전자스위치 및 전자밸브 같은 것이 있으며, 연산장치(91)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요소 921-92N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로서 출력유닛(92)을 구성하고 있다.
또 전기한 검지기 931-93N에 연결된 입력유닛(93)은 검파기 931-93N의 출력신호 및 자동운전보턴을 ON하여 주면 연산장치(91)에서 사용하는 DC 5V를 공급하여 소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전기한 검지기 931-93N는 각기 제어요소 921-92N와 대응한 위치에 설치하도록 한다. 표시출력유닛(95)은 연산장치(91)의 표시신호를 증폭시키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유닛(95)으로 트랜지스터가 지시한 BCD코드(Binary Coded Decimal)를 표시장치(96)의 해독기(961) 및 (962)에 입력하고 해독기(961) 및 (962)로 교환하여 표시패널(963) 및 (964)에 수자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더우기 수자가 두자리수일 경우에는 표시출력유닛(95)의 출력은 8개로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전기와 같이 구성한 본 기구의 작동을 제31도 및 제32도에서 보여주는 순서도에 따라 설명한다.
전원을 넣으면 기억장치(90)에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조작원이 자동운전보턴(94)을 ON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프레스 기계의 자동적인 운전이 시작된다.
전원을 넣어서 부터 자동운전보턴(94)을 ON하기까지는 표시채널(963)에 “1”숫자가 표시되며 “1” 즉 “조작원에 의한 보턴조작대기”라고 하는 표시를 한다.
자동운전보턴(94)이 ON이 되면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레스기계의 슬라이더가 상사점(上死點)에서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에는 자동운전표시등(97)을 점등하고 자동운전에 들어갔다는 것을 표시한다.
지금 제31도에서와 같이 프레스슬라이더가 상사점에서 정지하고 있지않고 검지기의 출력신호 “E2”로서 입력되어 있으면, 제32도에서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자동운전표시등(97)을 소등하고 슬라이더가 상사점에서 정지하고 있지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2”를 표시패널(963)에 표시하여, 프레스슬라이더가 상사점에서 정지하고 있지않으므로 자동운전을 정지하고 있다는 요지를 조종자에게 알린다.
조종자가 수동조작으로 프레스슬라이더를 상사점에서 정지시키고 다시 자동운전보턴(94)을 “ON”하게 하면 제32도의 도중의 자동운전보턴신호를 수신하여 “E2”로 나아가 다시 자동운전표시등(97)을 점등시켜서 프레스슬라이더가 상사점에 정지하고 있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슬라이더의 상사점에서 정지되어 있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클램프틀이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그 다음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여서 프레스 기계의 초기조건을 모두 검사한다.
따라서 전술한바와 같은 초기조건을 검사하므로서 조종원은 극히 단시간내에 조건이 불비한 부품을 발견할 수 있어서 새로운 자동동작을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자동운전을 하기위한 초기조건이 이루어지면 각각의 자동조작을 같은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프로그램제어에 의한 자동운전을 수행할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지금 연산장치(91)가 기억장치(90)에서 “언클램프틀”의 프로그램을 판독하면, 이 판독결과에 따라 출력유닛(92)의 제어요소(릴레이) 92N가 작동하며, 이 제어요소(92N)의 접촉점(92n)에 접속된 전자밸브(98)가 작동한다.
다음에, 실제로 “언클램프틀”이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지기(93N)가 작동하며 입력유닛(93)에서 일정한 신호가 입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요소(92N)를 작동시켜서 전자밸브(98)를 교환하고 유압을 제거하여 틀을 언클램프하여 검지기(93N)가 “언클램프틀”이 작동하고 있었는지를 검사하기 까지는 시간이 걸리므로 그 동안에는 표시패널(968) 및 (964)에 따라 “26” 표시를 하여 “언클램프틀을 작동하고 있는 도중이다”를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언클램프틀”이 확인된 다음에 다음 작동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자동운전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을 다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랜스퍼기구에서, 각 스태지중의 어떤 스태지에 블랭크가 공급이 되지않은 경우에도 각 스태지에 마련한 블랭크 유무확인용의 검지기와 기억장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2) 트랜스퍼 수송기구가, 2차원 수송 및 3차원 수송과의 전환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3) 2차원 및 3차원 수송전환기구는, 전기한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의 측면벽에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2차원 제어용의 캠면과 3차원 제어용의 캠면을 구비하는 캠, 전기한 피이드바아에 연결되어서, 이것을 구동하는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 구동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드에 일단을 고정하였으며, 타단에는 캠면과 접촉하는 로울러를 마련하여 중간부를 프레스기에 고정한 레버 전기한 로울러와 접촉한 캠의 2차원 제어용 캠면과 3차원 제어용 캠면과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전기한 캠을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등을 구비하고 있다.
(4) 트랜스퍼 수송기구에서 피이드바아에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하는 작동을 하게 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케이스는, 복식실린더의 피스톤봉의 한쪽을 프레스 기게의 컬럼에 고정하고 다른 쪽을 클램프 구동케이스의 측면벽에 고정함에 따라 복식실린더로 지지되고 있는 것과 전기 실린더는 양측에 스트로우크 길이가 다른 실린더를 구성하고 각각의 실린더에 2개의 구멍을 내어 선택하여 이들 구멍에 압력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송유관을 마련하였다.
(5) 금형교환기구에서, 금형을 싣고 주행하는 볼수터는 모우터, 스프로킷에 의하여 구동되는 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착탈이 자유롭도록 물린 연결판을 구비하고 있고, 볼스터 주행용의 레일은 프레스 기계의 베드에서 그 후방으로 연장하고 프레스 기계의 베드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였으며 볼스터를 태우고 주행하는 자동추진운반차는 주행용의 차량과 볼스터 주행용의 크로스레일을 구비하여, 모우터 및 스프로킷으로 구동하는 체인에 몰리고 있고 또 자동추진운반차의 주행용 레일은 전기한 볼스터의 주행용 레일과 직각 방향으로 바닥면에 부설되었으며 전기한 슬라이더의 통과하는 부분을 궤도홈을 내어 자동추진운반차가 주행할때는 궤도홈을 메우기 위한 연결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6) 자동추진운반차는 2대 마련하고 있고 서로 연결봉으로 연결되어 있다.
(7) 피이드바아 교환기구에서 보조피이드바아는 클램프유닛에 연결된 피이드바아 안내의 홈에 들어맞추었으며, 프레스 기계의 프레임에 고정된 트랜스퍼유닛에 한쪽끝을 연결하고 피이드바아와 연결된 쪽의 끝부분에 스태지파아트와 피이드바아의 연결용 연결핀을 마련하였으며 피이드바아는 프레스 기계의 내부폭보다 짧게, 양쪽끝에 보조피이드바아의 스태지파아트와 조합하기 위한 스태지파아트와 전기한 연결핀용의 구멍이 나있고, 피이드바아를 승강시켜서 피이드바아와 보조피이드바아와의 착탈을 시키기 위한 리프트실린더를 볼스터에 고정하고, 전기한 리프트실린더의 피스톤로드로 아래쪽 틀 공통프레이트를 지지시켜 아래쪽 틀 공통프레이트에 피이드바아의 받침대를 고정하고, 이 받침대로 피이드바아를 지지시키는 것이다.
(8) 보조피이드바아는 피이드바아에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 작동을 시키기 위한 클램프유닛과 연결된 피이드바아가이드의 홈에 잘맞추고, 피이드바아안내에 마련한 전기한 홈의 저면부에 요공을 뚫어 이 요공을 통하여 보조피이드바아와 피이드바아에 전진 또는 복귀하는 작동을 시키기 위한 트랜스퍼유닛의 슬라이더를 핀으로 연결하였다.
(9) 피이드바아 교환기구에서 보조피이드바아에 마련한 연결핀은 보조피이드바아에 장착한 피스톤과 그로드부에 고정된 헤드프레이트, 헤드프레이트와 보조피이드바아의 스태지파아트의 사이에 장착한 탄성체, 보조피이드바아의 스태지파아트에 마련된 전기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력유체 공급용의 급유관을 구비하였다.
(10) 금형 냉각유회로 연결기구에서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에 고무시이트를 개재하여 고정한 첵밸브는 시일면과 옆으로 뚫린 구멍 및 관통구멍이 있는 프러그와, 프러그를 밀어서 프러그를 삽입하고 있는 홈저면부의 시일면과 전기한 프러그의 시일면과를 시일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내장하고 있고, 또 위쪽 틀 공통 프레이트는 전기한 첵벨브를 삽입하기 위한 요공이 있으며, 이 요공에서 금형으로 마련하고 있는 냉각유통로에 과통한 냉각유통로가 있어 위쪽틀 공통프레이트 하부면에서 요공을 관통하여 조정보울트를 틀어넣고 프러그의 선단면에 접촉시킨다.
(11) 자동운전의 프로그램 제어기구는 프레스기의 작동을 기억하게 하는 기억장치.
이 기억장치에서 판독한 기억내용에 근거하여 프레스 기계의 제어요소에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프레스 기계의 작업상태를 입력하여 전기 기억내용과 비교하는 연산장치, 프레스의 작업상태와 기억내용이 일치하지 않을때, 이 일치하지 않은 작업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Claims (1)

  1. 프레스 기계에 블랭크를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기구와 그 블랭크 공급기구에서 프레스 기계의 제1스태지 블랭크를 수송하는 블랭크 수송기구, 프레스 기계의 각 스태지 사이에 설치한 교환이 가능한 피이드바아를 포함하는 이송공급기구, 프레스 기계의 금형을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금형교환기구, 금형교환기구와 연동하여 피이드바아를 금형과 함께 교환하는 피이드바아 교환기구, 금형을 교환할때 떼어내어야 할 금형에 장치한 금형냉각유회로와 냉각유 공급회로의 연결을 분리하고 새로이 장착해야할 금형내의 금형냉각유회로와를 연결하는 금형냉각유회로 연결기구,프레스 기계의 쿠션실린더에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는 쿠션압력 조정기구 및 이송공급기구, 금형교환기구, 피이드바아교환기구, 금형냉각유회로 연결기구의 작동을 블랭크 가공개수와 관련하여 통제하는 프레스 자동운전의 프로그램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프레스.
KR7802864A 1978-09-20 1978-09-20 트랜스퍼 프레스 KR82000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864A KR820000967B1 (ko) 1978-09-20 1978-09-20 트랜스퍼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864A KR820000967B1 (ko) 1978-09-20 1978-09-20 트랜스퍼 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967B1 true KR820000967B1 (ko) 1982-05-31

Family

ID=1920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864A KR820000967B1 (ko) 1978-09-20 1978-09-20 트랜스퍼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85B1 (ko) * 2011-01-07 2011-09-14 영림기계 (주) 프레스 가공 라인 및 이에 적용되는 리프트 및 트레이 셔틀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85B1 (ko) * 2011-01-07 2011-09-14 영림기계 (주) 프레스 가공 라인 및 이에 적용되는 리프트 및 트레이 셔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4688B2 (ko)
CN108747413B (zh) 全自动法兰加工流水线
US9126567B2 (en) Tire inflating device
US4745253A (en) Device and process designed to automatically hold up and fix in position the parts cut out of a workpiece during electroerosion machining to rough dimensions and application involving the automatic removal of the cutout parts
CN106111832B (zh) 一种冲床运料机械手
CN107792690B (zh) 一种高效胶印机送纸装置
CN212313023U (zh) 一种伺服调控自动丝印机
KR930009931B1 (ko) 자동다이 교환을 위한 다수의 레일조각으로 분할된 트랜스퍼 급송 레일의 자동분리 및 재접합 시스템이 설치되는 트랜스퍼 급송 프레스장치
KR820000967B1 (ko) 트랜스퍼 프레스
CN109079047B (zh) 冲压机器人自动上下料设备
DE2900526A1 (de) Stufenpresse
CN211490676U (zh) 一种板材位置矫正装置
JP2002273533A (ja) パンチングプレスにおける金型交換装置
CN106624693A (zh) 电磁阀部分组装机的电磁上料机构
US4771535A (en) Disk insertion apparatus for inserting a disk into a rim element of a disk wheel
JP2001087826A (ja) プレス金型移動装置における位置決め構造
JP2735143B2 (ja) 押出プレス用ダイ交換装置
JP3901283B2 (ja) パンチングプレスにおける金型交換装置
CN111136498A (zh) 一种板材位置矫正装置
KR20160097990A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KR940002977B1 (ko) 셔틀 로보트
CN114590430B (zh) 一种全自动气调容器封口机
CN117208559B (zh) 一种内胆水管上料系统
CN220146962U (zh) 一种机动车号牌制作装置
KR101153327B1 (ko) 문형구조의 소형 탭핑 센터용 자동팔레트교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