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977B1 - 셔틀 로보트 - Google Patents

셔틀 로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77B1
KR940002977B1 KR1019920004702A KR920004702A KR940002977B1 KR 940002977 B1 KR940002977 B1 KR 940002977B1 KR 1019920004702 A KR1019920004702 A KR 1019920004702A KR 920004702 A KR920004702 A KR 920004702A KR 940002977 B1 KR940002977 B1 KR 94000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ifting
link
shuttle robo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391A (ko
Inventor
이윤태
윤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아정기
마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아정기, 마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아정기
Priority to KR101992000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977B1/ko
Publication of KR93001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3Drive arrangements for movable carriers, e.g. 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셔틀 로보트
제1도는 본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탠 평면도 및 정면도.
제2도는 소재 공급부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구동부를 나타낸 구성도.
제4도는 중간링크부를 나타낸 구성도.
제5도는 종동부를 나타낸 구성도.
제6도는 소재 이송부를 나타낸 구성도.
제7도는 소재 이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스 2 : 소재
3 : 턴테이블 4 : 가이드판
7 : 센서 9 : 영구 자석
10 : 근접 센서 11 : 베이스 플레이트
13 : 회전판 14 : 가이드 포스트
15 : 시프팅블럭 16 : 시프팅파이프
17 : 아암 18 : 타이밍 벨트
20,30,34 : 시프팅 링크 21 : 편심 링크
22 : 컨넥팅 로드 23,29,33 : 링크
24,35 : 큐션 실린더 26 : 감속기
28,32 : 브라켓 31 : 벨트 커버
36 : 체인 37 : 스프라켓
38 : 아암 홀더 블럭 40 : 아암블럭
41 : 전자석 42 : 흡착패드
43 : 리미트 스위치
본 발명은 프레스 라인의 헤드 프레스상에 소재를 1매씩 자동 공급시켜주기 위한 셔틀 로보트(shuttle robot)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소재 공급부에 적재된 소재를 1매씩 순차적을 자동이송시키면서 프레스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재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프레스 성형하기 위해 프레스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고정 테이블상에 적정량의 소재를 적재시킨다음 적재된 소재들을 수작업에 의해 고정 테이블위에서 센터링작업을 한 후, 흡착구를 갖는 로딩 유니트를 통하여 1매씩의 소재를 프레스 측으로 이송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기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이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를 고정테이블상에 적정높이를 적재시킨 상태에서 로딩 유니트가 소재를 1매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킴에 따라 적재된 소재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 로딩 유니트의 싸이클 타임(Cycle time)이 길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둘째, 고정테이블상에 적재된 소재를 전부 이송시킨 경우에는 기기의 동작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고정테이블상에 소재를 적재시켜 주어야 되었으므로 소재 장착시간이 길어지게 됨을 물론 연속작업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셋째, 적재된 소재의 센터링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수작업으로 이를 실시하여 줌에 따라 이들 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넷째, 소재를 1매씩 정확하게 프레스 이송시켜 주도록 하는 소재의 2중 검출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다수매의 소재가 한꺼번에 프레스로 이송되는 경우가 번번히 발생되어 고가의 금형이 파손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소재 공급부에 소재를 적재시켜 놓음에 따라 소재이송부가 1매의 소재만을 프레스로 이송시켜 프레스 성형함과 동시에 프레스 성형된 성형품을 차기프레스로 자동 이송시키면서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상면에 180°위상을 가지고 한쌍의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소재를 적재시키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소재공급부에 적재된 소재를 흡착시켜 프레스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다라 정,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타이밍 벨트상에 고정된 소재이송부와, 상기 소재이송부가 소재의 직하방에 위치됨에 따라 소재를 흡착하거나 흡착된 소재를 소재이송부에 의해 다음 스텝으로 이송시킨 후 이를 하금형내에 장착시키기 위해 회전판과 힌지결합된 편심링크에 컨넥팅로드를 연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된 링크와 시프팅링크를 통해 시프팅블럭을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시켜 주기 위해 브라켓에 힌지 결합된 링크와 시프팅링크를 통해 시프팅링크를 승강시키는 중간 링크부 및 종동부로 구성된 셔틀 로보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면상 "A"로 나타낸 블럭은 직렬로 설치된 다수대의 프레스(1)에 소재(2)를 순차적으로 공급시켜주기 위한 소재공급부이고, "B"는 소재 공급부에 의해 이송되어온 소재(2)를 프레스(1)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소재 이송부 및 중간링크부 그리고 종동부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상기 소재이송부 및 중간링크부 그리고 종동부로 동력을 전달시키는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부(部)를 해당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제2도는 소재공급부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제1도의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소재공급부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3)상에 180°위치차를 가지고 한쌍의 가이드판(4)이 설치되어 있어 가이드판(4)사이에 적재된 소재(2)를 소재 이송부가 1매씩 흡착한 후 프레스(1)로 공급시킴에 따라 가이드판(4)사이에 적재된 소재(2)는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와같이 연속적으로 가이드판(4)사이에 적재된 소재를 프레스(1)로 공급시킨 다음 소재(2)를 다시 공급할 경우에는 소재의 적재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데, 이때 소재 공급부는 소재(2)의 적재시간을 두지 않고 계속해서 소재의 공급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가이드판(4)은 잔량의 소재(2)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턴테이블(3)의 하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의 로드에 고정된 승강판(6)은 소재가 공급됨에 따라 1스텝씩 상승하여 소재(2)를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후 일측의 가이드판(4)사이에 위치된 소재(2)가 소진되면 가이드판(4)과 직교되게 설치된 센서(7)가 이를 감지하여 턴테이블(3)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8)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구동축(8a)이 180°회전하여 또다른 가이드판사이에 적재된 소재를 소재이송부에 의해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가이드판(4)에는 상부에 영구자석(9)이 고정되어 있어 승강판(6)에 의해 소재(2)가 상승될때 영구자석(9)의 극성에 따라 차례로 적재된 소재가 상호 분리되므로 소재 이송부가 정확히 1매의 소재만을 흡착하게 된다.
또한 소재공급부의 소재 이송 경로상에는 근접되게 근접센서(10)가 설치되어 있어 이송되는 소재(2)의 매수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소재 이송부에 의해 소재(2)가 근접센서(10)를 통과할 때 소재(2)의 저면과 근접센서(10)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다수매의 소재가 한꺼번에 프레스(1)로 이송되어 금형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제3도는 구동부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제1도의 "C"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고정된 감속기(12)에 회전판(1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회전수가 감속기(12)에 의해 감속된채 회전판(13)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 포스트(14)에 안내되어 승강하는 시프팅블럭(15)에는 시프팅파이프(16)가 고정되어 있고 시프팅 파이프(16)의 상하방향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아암(17)이 고정되는 타이밍 벨트(18)가 위치되도록 벨트 풀리(19a)(19b)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시프팅블럭(15)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시프팅링크(20)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13)과 편심되게 결합된 편심링크(21)의 일단이 컨넥팅로드(22)와 연결되어 있고 컨넥팅로드(22)와 시프팅 블럭(15)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힌지 결합된 한쌍의 링크(23)가 결합되어 있어 편심링크(21)가 컨텍팅로드(22)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길때 링크(23)가 시프팅 링크(20)를 통해 시프팅 블럭(15)을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시프팅 블럭(15)가 베이스 플레이트(11)사이에는 큐션 실린더(24)가 설치되어 있어 시프팅 블럭(15)의 하강시에 충격을 흡수해 주도록 되어 있다.
또 벨트 풀리(19a)가 고정된 구동축(25)과 또다른 감속기(26)사이는 커플링(27)으로 연결되어 있어 감속기(6)의 동력이 편심된 커플링(27)을 통해 구동축(25)에 전달되어 벨트 풀리(19a)를 회전시키므로서 아암(17)이 고정된 타이밍 벨트(18)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4도는 중간 링크부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회전판(13)의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해 브라켓(28)과 컨넥팅 로드(22)사이에 링크(29)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링크(29)의 다른 일단은 시프팅 파이프(16)와 힌지 결합된 시프팅 링크(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링크(21)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시프팅 블럭(15)과 시프팅 파이프(16)가 승강운동을 할때 중간 링크부는 이를 보조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5도는 종동부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구동부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벨트풀리(19b)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18)를 보호하기 위해 벨트 커버(31)가 외측으로 설치되어 있고 브라켓(32)과 컨넥팅 로드(22)의 끝단사이에는 링크(3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링크(33)의 다른 일단은 시프팅 파이프(16)와 힌지 결합된 시프팅 링크(34)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컨넥팅 로드(22)의 끝단과 브라켓(32)의 저면에 고정된 큐션 실린더(35)사이에는 체인(36)이 스프라켓(37)에 감겨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컨넥팅로드(22)가 진퇴함에 따라 시프팅 블럭(15)과 베이스 플레이트(11)사이에 설치된 큐션 실린더(24) 및 브라켓(32)의 저면에 설치되어 컨넥팅 로드(22)의 끝단과 체인(36)으로 연결된 큐션 실린더(35)에 의해 시프팅 블럭(15)과 시프팅 파이프(16)가 더욱 안정되게 작동을 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6도는 소재이송부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제1도의 "D"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소재공급부와 프레스(1)사이, 그리고 프레스와 프레스사이에 설치되어 소재공급부에 위치된 소재를 순차적으로 흡착하여 프레스(1)로 이송시키거나 프레스 성형된 소재를 다음 고정의 프레스로 이송시키는 소재이송부는 아암홀더블럭(38)이 피치 유지용 파이프(39)로 타이밍 벨트(18)와 고정되어 타이밍 벨트(18)가 이동함에 따라 상호 연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아암홀더블럭에는 한쌍의 아암(17)이 아암블럭(4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아암(17)에는 소재(2)를 흡착하기 위한 전자석(41)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아암(17)에는 적어도 1개이상의 흡착패드(42)가 고정되어 있고 아암홀더블럭(38)에는 리미트 스위치(4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공압호스(44)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패드(42)가 소재(2)와 접속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43)가 온되어 다음 공정을 수행하고 흡착패드(42)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즉 소재(2)를 흡착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43)가 오프되어 다음 동작을 중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은 타이밍 벨트(18)를 이송시키는 감속기(26)가 아암(17)을 도면상 좌측으로 1/2피치(1,050㎜) 이송시킨 다음 우측으로 1피치(2,100㎜) 이송시킨 후 다시 좌측으로 1/2 피치 이송시키고 1싸이클(Cycle)을 완료하게 되는 것으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7도는 소재이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먼저 본발명의 셔틀 로보트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전에 수동으로 작동하면서 기기의 동작상태를 점검한 후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즉시 이를 조치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에 1싸이클을 자동으로 동작시킨 다음 연속적으로 자동 동작시키게 된다.
이는 셔틀 로보트가 연속적으로 작동될때 에러가 발셍되어 기기가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수동으로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반의 스위치와 조작반의 전원스위치(도시는 생략함)를 온시킨 다음 사용하고자 하는 프레스(1)의 대수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소재의 이송속도의 선택은 중속이다.
그후 공급에어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확인하고 운전준비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기동조건은 소재공급부는 정위치이고 프레스(1)는 원점위치이어야 한다.
수동/자동 절환 스위치(도시는 생략함)를 수동으로 선정하고 아암(17)수동 승강보조스위치를 조작하여 아암의 상승우치(상사점)을 조정한 다음 아암(17)의 좌행버튼 조작으로 원점위치에서 좌행으로 50㎜ 이상 이송시킨 후 원점 복귀스위치(도시는 생략함)를 누름에 따라 아암(17)이 자동으로 원점위치에 복귀되는지를 점검해야 되는데, 이때 아암(17)의 원위치 복귀는 타이밍 벨트(18)를 이송시키는 감속기(26)의 제어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아암(17)이 초기위치보다 우측에 위치하거나 우측으로 이송하였을 경우에는 반드시 아암좌행스위치를 조작하여 아암(17)의 초기위치를 보정시켜 주어야 된다.
아암(17)의 위치를 보정한 후 피치 확인스위치 및 반송 방식스위치(도시는 생략됨)를 중간위치에 선정하고 아암좌행버튼 조작으로 1/2피치 이송시킨다.
그 후 아암수동 승강보조버튼을 조작하면 감속기(12)에 의해 회전판(13)이 회전하여 회전판(13)에 편심되게 힌지 결합된 편심링크(21)가 컨넥팅 로드(22)를 잡아 당기게 되고, 이에따라 링크(23)가 시프팅링크(20)를 잡아 당기게 되므로 시프팅링크(20)에 고정된 아암(17)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1매의 소재(2)를 흡착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소재의 흡착방식을 흡착패드(42)를 사용할 것인지 전자석(41)을 이용할 것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암 수동 승강보조버튼으로 아암 상승위치를 조작한 다음 반송방식스위치를 직접으로 절환시키고 아암스위치를 죄행에서 우행으로 절환시킴과 동시에 누르면 아암(17)이 우행으로 1피치 이송된다.
즉, 소재공급부에서 흡착된 소재를 첫번째 프레스로 이송시키게 된다. 아암 수동 승강보조버튼조작으로 아암(17)이 하사점까지 내려가면 아암승강스위치를 언클램프 승강위치로 절환시키고 누르게 되므로 아암(17)의 흡착패드나 전자석에 흡착된 소재가 분리되어 금형내에 장착된다.
그 후 아암 승강수동 보조버튼으로 아암(17)을 상사점위치로 조정하여 반송방식스위치를 중간위치로 절환시키면 편심링크(21)가 컨넥팅로드(22)를 밀게 되고, 이에따라 링크(23)가 시프팅 링크(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시프팅링크(20)가 상승되면 아암스위치를 좌행으로 선정함과 동시에 누르게 되므로 감속기(26)에 의해 벨트 풀리(19a)가 역방향으로 1/2피치 회전하게 된다.
이에따라 아암(17)이 좌행으로 1/2피치 이송된 다음 최초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1싸이클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같이 수동조작으로 셔틀 로보트의 기동조건을 만족시킨 다음 수동 및 자동절환스위치와 사용 프레스의 선택스위치를 자동위치로 선정하여 1싸이클의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으로 1싸이클을 기동시킨 후 작동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자동운전조작을 시행하게 되는데, 자동으로 연속작업중에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싸이클 정지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누름으로서 작동중인 싸이클을 종료한 후 자동으로 기기의 동작이 중단된다.
셔틀 로보트가 자동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펴보면, 소재공급부의 가이드판(4)상에 적재된 소재(2)가 유압실린더(5)의 작동으로 상승되어 가이드판(4)의 상부에 고정된 영구자석(9)의 자기 부상에 의해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판(4)의 직교되는 부위에 설치된 한쌍의 센서(7)에 의해 감지되면 감속기(26)가 벨트 풀리(19a)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타이밍벨트(18)상에 고정된 각 아암(17)이 1/2피치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아암(17)이 1/2피치 이송되어 정지함에 따라 타이밍 벨트(18)를 이송시키기 위한 감속기(26)의 구동은 중단되고 시프팅블럭(15)에 고정된 시프팅 파이프(16)를 승강시키기 위한 감속기(12)가 반시계방향으로 1회전하게 되므로 회전판(13)과 편심되게 결합된 편심링크(21)가 컨넥팅 로드(22)를 잡아 당기게 된다.
이에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브라켓(28)(32)에 힌지 결합된 링크(23)(29)(3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시프팅링크(20)(30)(34)를 잡아 당기게 되므로 시프팅 파이프(16)가 일정거리(행정거리는 60㎜정도로 가변시킬 수 있음)하강되어 아암(17)에 고정된 전자석(41)이 소재공급부의 가이드판(4)사이에 위치된 소재(2)를 홀딩하게 되는데, 이때 아암(17)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흡착 패드(42)가 고정되어 있어 흡착패드(42)가 공압에 의해 소재(2)와 접속함에 따라 진공이 발생되므로 아암홀더 블럭(38)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43)가 온되어 다음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시프팅 블럭(15) 하강시에 시프팅 블럭(15)은 한쌍의 가이드 포스트(14)에 결합되어 있고 시프팅 블럭(14)과 베이스 플레이트(11)사이에는 큐션 실린더(24)가 설치되어 있어 시프팅 블럭(15)의 동작이 더욱 원활해지게 된다.
그러나 만약 전자석(41)이 소재(2)를 흡착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시프팅 블럭(15)에 의해 아암(17)이 반복해서 3회 승강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하고 그래도 소재를 흡착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아암(17)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적색경고등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부저를 울려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게 된다.
이와같이 아암(17)이 1매의 소재(2)를 흡착한 상태에서 당겨져 있던 컨넥팅 로드(22)를 밀면서 회전판(13)이 최초의 상태로 환원되면 링크(23)(29)(3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시프팅 링크(20)(30)(34)를 밀어 올리게 되므로 시프팅 블럭(15)은 큐션 실린더(24)의 복원력에 의해 안정되게 상승된다.
그 후 회전판(15)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12)의 구동은 중단되고 구동축(25)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12)의 구동은 중단되고 구동축(25)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26)가 타이밍 벨트(18)의 1피치만큼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타이밍 벨트(18)에 고정된 각 아암(17)이 제1도의 우측방향으로 1피치만큼 이송되어 흡착된 소재(2)를 프레스(1)의 금형 상부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때 전자석(41)에 흡착된 소재(2)가 2매 이상일 경우에는 소재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된 근접 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소재이송부를 최초의 상태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2매 이상의 소재(2)가 한꺼번에 금형내로 공급되어 성형시킬 경우에 금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후 아암(17)이 1매의 소재(2)를 흡착하여 프레스(1)의 금형상부에 위치되면 타이밍 벨트(18)를 이송시키기 위한 감속기(26)의 구동은 중단되고 시프팅 블럭(15)을 승강시키기 위한 감속기(12)가 전술한 바와 같이 1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링크(21)와 힌지 결합된 링크(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프팅 링크(20)가 하강시킴과 동시에 전자석(41)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공압의 공급을 중단시키면 아암(17)에 흡착된 소재(2)가 프레스의 금형내에 장착 완료된다.
이와같이 1매의 소재(2)를 공급한 상태에서 회전판(13)이 계속해서 회전하여 편심링크(21)가 컨넥팅 로드(22)를 밀게 되면 시프팅블럭(15)은 상사점까지 상승하게 되므로 감속기(12)의 구동은 중단되고, 반대로 타이밍 벨트(18)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26)가 1/2피치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최초의 상태, 즉 초기에 1매의 소재를 첫번째 프레스(1)내에 공급시키고 1싸이클을 완료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아암(17)에 의해 소재공급부의 소재(2)는 1번째 프레스로 그리고 1번째 프레스에 있는 소재는 1차 가공된 후 2번째 프레스로…계속해서 순차적으로 이송되므로 성형완료된 제품이 종동부의 일측에 차례로 쌓이게 된다.
한편 소재공급부의 유압실린더(5) 작동으로 승강판(6)이 한 스텝씩 상승하여 소재(2)를 센서(7)의 감지위치까지 상승시켜 1매씩 공급하다가 센서(7)가 소재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즉 가이드판(4)사이에 위치되었던 소재(7)를 전부 공급시킨 경우에는 턴테이블(3)이 회전실린더(8)에 의해 180°회전되어 또다른 가이드판 사이에 위치된 소재를 순차적으로 공급시키게 되는데, 이때 유압실린더(5)를 작동시켜 승강판(6)을 하사점에 위치시키고 소재의 공급을 완료시키고 난 가이드판사이에는 작업자가 소재를 채워주므로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장접을 가지게 된다.
첫째, 소재(2)를 턴테이블(3)상에 고정된 가이드판(4)사이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아암(17)이 소재를 순차적으로 1개씩 프레스(1)를 공급함에 따라 승강판(6)이 나머지 소재를 항상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켜 주게 되므로 싸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둘째, 일측의 가이드판(4)상에 적재된 소재를 전부 공급시키고 난 후에는 턴테이블이 180°회전하여 다른 일측의 가이드판에 적재된 소재를 공급시키게 되므로 연속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셋째, 소재공급부의 일측에 근접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다수매의 소재가 한꺼번에 프레스로 공급될 경우에는 기기의 동작이 중단되므로 고가의 금형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기기의 자동화로 고가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게 됨을 물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9)

  1.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3)상면에 180°위상차를 가지고 한쌍의 가이드판(4)이 설치되어 소재(2)를 적재시키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소재공급부에 적재된 소재를 흡착시켜 프레스(1)로 이송시키기 위해 감속기(26)의 구동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이송되는 타이밍벨트(18)에 고정된 소재이송부와, 상기 소재이송부가 소재의 직하방에 위치됨에 따라 소재를 흡착하거나 흡착된 소재를 소재이송부에 의해 다음 스텝으로 이송시킨 후 이를 하금형내에 장착시키기 위해 회전판(13)과 편심되게 힌지결합된 편심링크(21)에 컨넥팅로드(22)를 연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힌지결합된 링크(23)와 시프팅 링크(20)을 통해 시프팅 블럭(15)을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시켜주기 위해 브라켓(28)(32)에 힌지결합된 링크(29)(33)와 시프팅 링크(30)(34)를 통해 시프팅 파이프(16)를 승강시켜주는 중간링크부 및 종동부로 구성된 셔틀로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소재공급부의 가이드판 상부에 한쌍의 영구자석(9)을 고정하여 자기 부상에 의해 소재(2)와 소재사이가 이격되도록 된 셔틀 로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판(4)과 90°교차되게 한쌍의 센서(7)를 설치하여 가이드판(4)사이의 소재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셔틀 로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소재공급부의 소재이송경로상에 근접되게 근접센서(10)를 설치하여 이송되는 소재(2)의 매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셔틀 로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시프팅 블럭(15)이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고정된 가이드 포스트(14)에 결합되어 안내되면서 승강될수 있는 셔틀 로보트.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시프팅 블럭(15)과 베이스 플레이트(11)사이에 큐션 실린더(24)를 설치하여서 된 셔틀 로보트.
  7. 제1항에 있어서, 소재이송부는 타이밍 벨트(18)에 아암홀더블럭(38)을 고정하여 상기 아암홀더블럭에 아암(17)이 고정된 아암블럭(40)을 결합하고 상기 아암(17)에는 소재를 흡착하기 위한 전자석(41)을 고정하여서 된 셔틀 로보트.
  8. 제7항에 있어서, 아암(17)에 흡착패드(42)를 설치하고 아암홀더블럭(38)에는 리미트 스위치(43)를 설치하여 흡착패드(42)가 소재(2)와 접속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43)가 온되어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셔틀 로보트.
  9. 제1항에 있어서, 종동부의 벨트 커버(31)에 스프라켓(37)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함과 함께 큐션 실린더(35)를 그 하방으로 체결하고 컨넥팅 로드(22)와 큐션 실린더(35)사이에는 스프라켓(27)에 감싸여지도록 체인(36)을 연결하여서 된 셔틀 로보트.
KR1019920004702A 1992-03-21 1992-03-21 셔틀 로보트 KR94000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702A KR940002977B1 (ko) 1992-03-21 1992-03-21 셔틀 로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702A KR940002977B1 (ko) 1992-03-21 1992-03-21 셔틀 로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391A KR930019391A (ko) 1993-10-18
KR940002977B1 true KR940002977B1 (ko) 1994-04-09

Family

ID=1933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702A KR940002977B1 (ko) 1992-03-21 1992-03-21 셔틀 로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952B1 (ko) * 2008-01-11 2009-12-28 주식회사기린산업 패널이송용 흡착장치
KR101064485B1 (ko) * 2011-01-07 2011-09-14 영림기계 (주) 프레스 가공 라인 및 이에 적용되는 리프트 및 트레이 셔틀 어셈블리
CN108581428A (zh) * 2018-05-11 2018-09-28 浙舞产业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舞台管件专用压管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952B1 (ko) * 2008-01-11 2009-12-28 주식회사기린산업 패널이송용 흡착장치
KR101064485B1 (ko) * 2011-01-07 2011-09-14 영림기계 (주) 프레스 가공 라인 및 이에 적용되는 리프트 및 트레이 셔틀 어셈블리
CN108581428A (zh) * 2018-05-11 2018-09-28 浙舞产业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舞台管件专用压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391A (ko) 199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41765B (zh) 一种多用途的上料装置及上料方法
CN109941766B (zh) 一种上料装置及上料方法
CN113247622A (zh) 一种玻璃上片用的上片设备及其使用方法
KR940002977B1 (ko) 셔틀 로보트
CN210635406U (zh) 一种多用途的上料装置
CN210635405U (zh) 一种上料装置
KR102199633B1 (ko) 반전유닛을 포함하는 박스스택용 피딩장치 및 피딩방법
KR101665868B1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CN218946885U (zh) 一种插头与外壳自动组装用设备
JP2677082B2 (ja) パレタイザのアタッチメント交換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タッチメント受渡し装置
CN213769166U (zh) 一种自动上纸装置及其打包机
CN220362297U (zh) 具有辅助上料装置的机床
CN117594352B (zh) 一种铁芯叠片设备
CN219928081U (zh) 一种用于玻璃板输送辊道的光伏玻璃的升降装置
KR100331620B1 (ko) 프레스 성형용 패널의 공정간 자동 이송 투입장치
CN111531899B (zh) 一种冰箱门密封条的全自动焊接生产线
CN114211246B (zh) 一种门锁壳体组件自动组装设备及组装方法
CN210285991U (zh) 一种堆料机行程自动控制装置
CN219602568U (zh) 一种进料缓存一体式流水线组
CN220560842U (zh) 用于塑封组件的自动组装设备
CN220200668U (zh) 一种板材上料机
CN220548561U (zh) 一种注塑模架加工系统
CN217348447U (zh) 一种面膜自动叠膜装置
CN214779029U (zh) 输送装置
CN217971433U (zh) 一种成品码垛用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