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208Y1 -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 Google Patents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208Y1
KR810002208Y1 KR2019800008190U KR800008190U KR810002208Y1 KR 810002208 Y1 KR810002208 Y1 KR 810002208Y1 KR 2019800008190 U KR2019800008190 U KR 2019800008190U KR 800008190 U KR800008190 U KR 800008190U KR 810002208 Y1 KR810002208 Y1 KR 810002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power
alarm
stat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8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명
Original Assignee
김윤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명 filed Critical 김윤명
Priority to KR2019800008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각종 전기제품의 정전이나 통전상태를 용이하게 검지하여 경보를 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제품에 정상적인 전원이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향기기를 제외한 일반적인 전기제품에 있어서는 통전상태를 단순히 전기제품의 일측에 설치된 파이롯드램프 등에 의하여 급, 정전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관찰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전기제품의 급, 정전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제품이 가스 배출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가동시켜 주어야 하는 제품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급전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는 전혀 감지할 수 없는 폐단이 있어 귀중한 인명이나 재산상의 손실이 초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류 전원을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한 다음, 이 신호에 의하여 경보기에 대하여 병열로 접속된 PNP형 트란지스터로 구성된 스위칭회로를 정전 또는 통전상태에 따라 선택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게 하여 줌으로써 정전 또는 통전의 상태가 변화됨에 따라 정전 또는 통전상태에 대하여 자체 경보를 발하게 하여 육안에 의한 직접적인 식별 없이 경보음에 의하여 정전이나 통전상태를 극히 간편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측(AC)에 정류다이오드(D1)를 접속하고 이에 통전표시램프(LED1)와 저항(R1)을 접속 연결하여 통전상태를 표시토록 함과 동시에 저항(R2)과 정전점검표시램프(LED2)를 직류전원(B)측에 선택스위치(SW)의 정전점검용접점(a)에 바이어스저항(R3)(R4)를 통하여 접속된 트란지스터(TR1)의 콜렉터측에 접속하여 교류전원(AC)을 정류 다이오드(D1)(D2)를 통하여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촉하고, 트란지스터(TR2)의 에미터측에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선택스위치(SW)의 정전점검용 접점(a)을 접속함과 동시에 트란지스터(TR2)의 콜렉터측에 경보기(1)을 접속 연결한다.
또한 다이오드(D1)에 저항(R5)을 통하여 트란지스터(TR3)의 베이스를 접속하고 트란지스터(TR3)의 콜렉터측에 저항(R6)을 통하여 트란지스터(TR4)의 베이스를 접속 연결함과 동시에 트란지스터(TR4)의 에미터측을 선택스위치(SW)의 통전점검용접점(b)에 접속하고 트란지스터(TR4)의 콜렉터측에 경보기(1)를 접속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C1, C2는 평활용콘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정점점검시와 통전점검시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먼저 정전점검시에는 선택스위치(SW)를 정전점검용접점(a)에 접속하고 전기제품(도면중 생략)에 급전시킴과 동시에 교류원측(AC)에 교류전원을 인가하여 다이오드(D1)에 의하여 반파정류되어 통전표시램프(LED1)가 점등되어 통전상태를 표시하여 줌과 동시에 선택스위치(SW)가 정전점검용접점(a)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직류전원(B) 전압은 바이어스저항(R3)(R4)를 통하여 트란지스터(TR1)를 도통시켜 정전점검표시램프(LED2)도 점등되어 본 고안이 정전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상태로 조작되어 있음을 표시하여 주게 되며, 또한 다이오드(D1)로 반파 정률된 신호는 순방향 다이오드(D2)를 통하여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을 상승시켜 주어 트란지스터(TR2)는 턴 : 오프 된 상태로 되어 경보기(1)의 전원(B)를 차단시켜 주게 됨으로써 경보기(1)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이오드(D1)를 통한 반파정류 신호는 저항(R5)을 통하여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있는 상태이나 이의 콜렉터측에 접속되어 있는 트란지스터(TR4)는 선택스위치(SW)에 의하여 전원축과 차단된 상태이므로서 트란지스터(TR4)는 차단상태가 되어 경보기(1)는 역시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전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전이 되게 되면 다이오드(D1)를 통한 전압은 "0"으로 되고 이에 따라 통전표시램프(LED1)와 정전접점표시램프(LED2)가 소동되게 되며, 다이오드(D2)를 통한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트란지스터(TR2)의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가 포화상태가 되어 경보기(1)가 동작하여 정전된 상태를 경보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전상태를 점검, 경보한후 사용자가 선택스위치(SW)를 정전점검용접점(a)로부터 통전점검용접점(b)로 절환시키게 되면 정전시 다이오드(D1) 저항(R5)을 통한 트란지스터(TR3)는 턴.오프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트란지스터(TR3)도 턴. 오프된 상태가 되어 경보기(1)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선택스위치(SW)를 통전점검용접점(b)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교류전원(AC)이 통전되게 되면 통전표시램프(LED1)가 다시 점등되어 교류전원(AC)가 통전되고 있음을 표시하게 되고, 다이오드(D1)으로 정류된 반파정류전압은 저항(R5)을 통하여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란지스터(TR3)가 턴.온 사항이 되어 트란지스터(TR4)도 포화상태가 됨으로써 경보기(1)에는 전원(B)이 인가되어 경보를 발하여 교류전원(AC)의 통전을 알리게 되게 됨과 동시에 선택스위치(SW)는 통전점검용접점(b)에 절환되어 있는 상태이어서 정정점검표시램프(LED2)가 소동된 상태로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선택스위치(SW)가 통전점검용접점(b)에 절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직류전원(B)인 밧데리의 용량을 점검코저 할 때에는 선택스위치(SW)를 정전점검용접점(a)로 절환시킨 다음 교류전원측(AC)에 교류전원을 인가하여 정전점검용표시램프(LED2)의 점등여부에 따라 직류전원(B)의 소모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며 이때 직류전원(B)의 전압이 정전점검표시램프(LED2)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트란지스터(TR1)의 바이어스전압 이하인 상태에서는 트란지스터(TR1)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정전점검표시램프(LED2)도 소등된 상태가 됨으로써 직류전원(B)인 밧데리의 소모상태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경보기(1)를 항상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교류전원에 따라 동작하는 4석의 트란지스터로 구성된 정전 및 통전검지용 스위칭회로를 경보기와 전원 사이에 병열로 접속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전기제품 등의 통전이나 정전상태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검지경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급전을 요하는 가스배출기나 경보기 등과 취사용 가전제품 등에 널리 사용하여 사용시의 정전이나 정전되었다가 다시 통전(급전)되는 상태를 용이하게 검지 경보할 수 있는 특징을 지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택스위치(SW)의 정전점검용접점(a)와 통전점검용접점(b)에 각각 트란지스터(TR2)와 트란지스터(TR3)(TR4)로 구성된 스위칭회로(A)(B)를 경보기(1)에 대하여 병열로 접속 연결한 다음, 각 스위칭회로(A)(B)의 트란지스터(TR2)와 (TR3)의 베이스를 다이오드(D1)를 통하여 교류전원(AC)에 접속 연결하여서 된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KR2019800008190U 1980-12-19 1980-12-19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KR810002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190U KR810002208Y1 (ko) 1980-12-19 1980-12-19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190U KR810002208Y1 (ko) 1980-12-19 1980-12-19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208Y1 true KR810002208Y1 (ko) 1981-11-30

Family

ID=1921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8190U KR810002208Y1 (ko) 1980-12-19 1980-12-19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2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047A (en) Lamp failure detection apparatus
US7535375B2 (en) Lamp or LED failure monitoring system
KR810002208Y1 (ko) 정전 및 통전 감지 경보회로
US3505664A (en) Switch condition indicator
KR19980019587U (ko)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JP3733491B2 (ja) 火災警報器
JPH04181176A (ja) 断線検知回路
KR101810426B1 (ko) 듀얼 모드 전원 공급 장치
US5925888A (en) Optocoupler input expansion circuit
KR100323495B1 (ko) 수배전반 경보신호 송출회로
KR0146927B1 (ko) 전기보온밥솥
JPH067514B2 (ja) 放電灯回路異常状態検出装置
KR940002334Y1 (ko) 전원 제어회로
JPS6041676Y2 (ja) ランプ故障検知器
JPH0944775A (ja) 防災監視制御盤
JPS59193161A (ja) 電磁ハンマ−ソレノイドコイルの断線検出回路をそなえた電気集塵機
JP3113380B2 (ja) 警報装置
JPH01252114A (ja) 電源異常表示装置
JPS6226972Y2 (ko)
JP3012394B2 (ja) 警報装置
KR950003817B1 (ko) 온수기의 전지확인 램프 구동방법 및 그 장치
JPH0218655Y2 (ko)
JPS62108169A (ja) 電池電圧低下表示回路
KR0127531Y1 (ko) Ac 110v/220v 자동변환회로
KR870003379Y1 (ko)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