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334Y1 - 전원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334Y1
KR940002334Y1 KR2019910015975U KR910015975U KR940002334Y1 KR 940002334 Y1 KR940002334 Y1 KR 940002334Y1 KR 2019910015975 U KR2019910015975 U KR 2019910015975U KR 910015975 U KR910015975 U KR 910015975U KR 940002334 Y1 KR940002334 Y1 KR 940002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icrocomputer
transistor
backlight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224U (ko
Inventor
김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5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334Y1/ko
Publication of KR930007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제어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교류/직류 겸용 제품에서의 전원단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전원 제어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 마이콤의 제어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0 : 마이콤 30 : 입력전원 감지부
TR1, TR2, Q1∼Qn: 트랜지스터 LED1∼LEDn: 백라이팅 LED
본 고안은 교류전원과 건전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전기제품에서 건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하는 전원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전원과 건전지를 겸용해서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포터블(Portable)제품이 많으나 최근에는 포터블제품의 출력도 커져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교류/직류 겸용 제품에서의 전원단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전원코드를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과 건전지로 부터의 직류전원이 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교류전원 입력시에는 브릿지 다이오드(BD1)에 의해 전파정류된 전원이 스위치(SW1)를 통해 레귤레이터(1)로 인가되어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정전압이 된 후 시스템 콘트롤용 마이콤(2)과 시스템 회로부(3)와 백라이팅 LED(Back Lighting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표시부(4)로 인가되어지고, 건전지(BAT)에 의한 직류전원 입력시에는 이 전원이 그대로 스위치(SW1)를 통해 레귤레이터(1)로 인가되어 교류전원 입력시와 동일하게 각부분으로 인가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교류나 직류전원이 구별이 없이 전원이 입력되면 레귤레이터를 통해 각부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교류나 직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전력소비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최근에 교류전원 사용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건전지를 사용하게되면 전류소모가 많아 건전지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바, 입력전원이 교류인지 직류인지를 판별하여 건전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소비전류가 많은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건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전원 제어회로도로서, 시스템 콘트롤용 마이콤을 구비하고 표시부에 백라이팅 조명이 내장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랜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전파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직류전원 공급용 건전지(BAT)와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 및 건전지(BAT)에 고정단자(a)(b)가 연결된 스위치(SW1)와, 스위치(SW1)의 가동단자(c)에 연결되어 마이콤(4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회로(10)와, 마이콤(40)에 접속된 전원스위치(SW2)와, 마이콤(40)의 제어에 따라 제품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회로부(20)의 구성을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특징부는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마이콤(40)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입력전원이 교류인지 직류인지를 감지해 마이콤(40)에 전달하는 입력전원 감지부(30)와, 입력전원 감지부(30)의 출력 및 전원스위치(SW2)의 온,오프에 따라 전원스위칭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40)과, 마이콤(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 회로부(20)와 백라이팅 회로(60)로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50)와, 전원스위칭부(50)의 동작에 따라 표시부의 백라이팅 조명을 온,오프 및 그 밝기을 조절하는 백라이팅 회로(60)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전원 감지부(30)는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TR1)와 그 베이스를 접속된 전압분배저항(R1)(R2)과,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 되어 마이콤(40)에 전원 감지전압이 인가되게 하는 트랜지스터(TR2)와, 트랜지스터(TR1)(TR2) 사이에 접속된 저항(R3) 및 트랜지스터(TR2)에 접속된 궤환저항(R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전원 스위칭부(50)는 직렬 접속된 제 1 스위치(SW3)와 제 2 스위치(SW4)로 구성되어 있고, 백라이팅회로(60)는 제 2 스위치(SW4)의 일측에 접속된 전압분배저항(R5)(R6)과, 분배전압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Qn)가 온,오프됨에 따라 합성저항 값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저항(RA1∼RAn)(RB1∼RBn)과, 저항(RA1∼RAn)(RB1∼RBn)에 접속되어 저항값에 변화함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 백 라이팅 LED(LED1∼LEDn)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 3 도의 신호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마이콤이 내장된 제품에서는 마이콤의 기능에 클럭기능과 타이머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항상 마이콤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며, 이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를 위해 백라이팅 조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에서는 입력전원이 전원토드를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인지 건전지로부터의 직류전원인지를 마이콤에서 판단하여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교류가 입력되면 백라이팅 조명의 밝기를 전원 온시에 비해 절반으로 어둡게 하고, 직류가 입력되면 백라이팅 조명을 소등시켜 백라이팅으로 인한 전류소모를 막도록 하였다.
먼저, 제품에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이 전원은 브릿지 다이오드(BD1)를 통해 전파정류된 후 스위치(SW1)를 통해 정전압회로(10)로 인가되고, 정전압회로(10)에서 출력된 동작전원(Vcc)에 의해 마이콤(40)이 동작하게 된다.
아울러 브릿지 다이오드(BD1)를 거친 전원이 저항(R1)(R2)에 의해 강하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로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도통되고, 이로인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위가 낮아지므로 트랜지스터(TR2)도 도통되어 정전압회로(10)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마이콤(40)의 입력단자(A)로 인가된다.
마이콤(40)에서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계(101)에서 입력단자(A)를 통해 고전위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판별하고, 고전위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102)에서 출력단자(B)를 통해 고전위신호를 출력하여 전원스위칭부(50)의 제 1 스위치(SW3)를 온시킨다.
다음에 단계(103)에서 전원스위치(SW2)가 온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온되었으면, 단계(104)에서 출력단자(C)를 통해 고전위신호를 출력하여 제 2 스위치(SW4)를 온시킨다.
그러므로, 시스템 회로부(20)와 백라이팅회로(60)로 전원이 공급되고, 동시에 제 1 및 제 2 스위치(SW3)(SW4)를 통한 전원이 저항(R5)(R6)에 의해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1∼Qn)의 베이스로 인가되며, 이로인해 트랜지스터(Q1∼Qn)들이 도통되므로 백라이팅 LED(LED1∼LEDn)에 접속된 저항값이 저항(RA1∼RAn)(RB1∼RBn)과, 저항(RA1∼RAn)(RB1∼RBn)의 합성저항값(RA//RB)이 되어 백라이팅 조명은 100% 밝기로 점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스위치(SW2)가 오프되면, 마이콤(40)은 제 3 도의 단계(105)를 수행하여 출력단자(C)를 통해 저전위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 2 도 스위치(SW4)가 오프되므로 시스템 회로부(20)에는 전원이 차단되어 제품은 동작하지 않게 되며, 아울러 트랜지스터(Q1∼Qn)가 모두 오프되므로 백라이팅 LED(LED1∼LEDn)에 접속된 저항값이 저항(RA1∼RAn)값이 되어 백라이팅 조명이 50% 밝기로 점등된다.
한편, 제품이 건전지에 의해 동작할 경우에는 건전기(BAT)로 부터의 직류전원이 스위치(SW1)를 통해 정전압회로(10)로 인가되고, 이때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므로 입력전원 감지부(30)의 두 트랜지스터(TR1)(TR2)가 모두 오프되면서 정전압회로(10)에서 출력된 전원이 차단되어 마이콤(40)의 입력단자(A)에는 저전위신호가 인가된다.
마이콤(40)에서는 상기 입력단자(A)를 통해 저전위신호가 입력도면,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제 3 도는 단계(106)에서 전원스위치(SW2)가 온되었는지를 판별하게되고, 전원스위치(SW2)가 온 되었으면 단계(107)에서 출력단자(B)(C)를 통해 고전위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및 제 2 스위치(SW3)(SW4)를 모두 온시키며, 이로인해 시스템 회로부(20)와 백라이팅회로(60)로 전원이 공급됨은 물론 트랜지스터(Q1~Qn)도 도통되므로 백라이팅 LED(LED1~LEDn)에 접속된 저항값이 저항(RA1~RAn)(RB1~RBn)의 병렬저항값(RA//RB)이 되어 백라이팅 조명은 100% 밝기로 점등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원스위치(SW2)가 오프되면, 마이콤(40)은 제 3 도의 단계(108)를 수행하여 출력단자(B)(C)를 통해 저전위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 1 및 제 2 스위치(SW3)(SW4)가 모두 오프되므로 시스템회로부(20)와 백라이팅회로(60)로 공급되던 전원이 모두 차단되며, 아울러 백라이팅 조명도 소등되어 표시부에서는 기능표시 LED자체의 표시로서만 동작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건전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소비전류가 많은 부분으로의 전원을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부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건전지의 수명을 연장시켜 자주 바꿔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앰은 물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류전원과 건전지를 겸용해서 사용하는 전기제품에 있어서, 입력전원이 교류인지 직류인지를 검출하여 마이콤(40)에 전달하는 입력전원 감지부(30)와, 입력전원 감지부(30)의 출력 및 전원 스위치(SW2)의 온,오프에 따라 전원 스위칭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40)과, 마이콤(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 회로부(20)와 백라이팅회로(60)로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칭부(50)와, 전원스위칭부(50)의 동작에 따라 백라이팅 조명을 온,오프 및 그 밝기를 조절하는 백라이팅(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원 감지부(30)는 통상의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TR1)와,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된 전압분배저항(R1)(R2)과, 트랜지스터(TR1)의 동작에 따라 온, 오프되어 마이콤(40)에 전원감지전압이 인가되게 하는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사이에 접속된 저항(R3) 및 트랜지스터(TR2)에 접속된 궤환 저항(R4)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50)는 상기 마이콤(4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백라이팅회로(60)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치(SW3)와, 상기 마이콤(4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백라이팅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SW4)가 직렬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회로.
KR2019910015975U 1991-09-30 1991-09-30 전원 제어회로 KR940002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975U KR940002334Y1 (ko) 1991-09-30 1991-09-30 전원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975U KR940002334Y1 (ko) 1991-09-30 1991-09-30 전원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224U KR930007224U (ko) 1993-04-24
KR940002334Y1 true KR940002334Y1 (ko) 1994-04-13

Family

ID=1931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975U KR940002334Y1 (ko) 1991-09-30 1991-09-30 전원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640B1 (ko) * 2000-07-14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640B1 (ko) * 2000-07-14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224U (ko) 199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091B2 (en) Electronic switch for a bi-level fluorescent lamp fixture
US5361017A (en) Instrument panel and EL lamp thereof
JPH10164770A (ja) 照明装置
KR940002334Y1 (ko) 전원 제어회로
KR100459443B1 (ko)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 구동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57489A (ko)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시청각 시스템용 장치
KR100258381B1 (ko) 전자식 냉장고의 릴레이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5121318B2 (ja) 電源装置及び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及び誘導灯装置
KR19980015556A (ko) 전자제품의 마이컴으로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KR940002608Y1 (ko)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KR0114855Y1 (ko) 배터리의 저전압 표시회로
KR200201660Y1 (ko)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기회로를 갖는 리미트스위치
AU2003229273A1 (en) Circuit for operating a light signal
KR910007182Y1 (ko) 컬러 tv의 전원구동 표시회로
KR0129996Y1 (ko) 램프 밝기 제어회로
KR950002415B1 (ko) 자동판매기의 전등 점멸회로
KR900000529B1 (ko) 전자식 에어콘의 콘트롤 회로
KR910001945Y1 (ko) 딤머 제어회로
JPH06265848A (ja)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H0710789U (ja) 発光素子輝度調整装置
KR930007364Y1 (ko) 전열기의 다단온도 비교회로
KR0129176Y1 (ko) 마이컴의 기능선택 스위칭 회로
JPH10307557A (ja) バッテリーインジケーターを兼用したパワーledの駆動回路
KR880002038Y1 (ko) 리모콘 텔레비젼용 전원회로에서의 매스터스위치 '온/오프'표시회로
JPH01116692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