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08Y1 -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 Google Patents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08Y1
KR940002608Y1 KR2019910019916U KR910019916U KR940002608Y1 KR 940002608 Y1 KR940002608 Y1 KR 940002608Y1 KR 2019910019916 U KR2019910019916 U KR 2019910019916U KR 910019916 U KR910019916 U KR 910019916U KR 940002608 Y1 KR940002608 Y1 KR 940002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icrocomputer
supply unit
voltage
mai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253U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9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608Y1/ko
Publication of KR930012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2 : 레귤레이터
3 : 마이콤 4 : 주회로전원공급부
5 : 감전압검출부
본 고안은 마이콤을 이용하여 회로내에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원 공급회로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택스위치(SW1)의 동작에 따라 교류(AC) 또는 직류(DC)를 회로에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부(1)와, 선택된 전원을 소정의 전압으로 일전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2)와, 상술한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 시계(WH)를 동작시키고 단자(가-라)중 하나에 연결된 스위치(SW2)의 동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콤(3)과, 상술한 교류(AC) 또는 직류(DC)를 마이콤(3)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주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공급시키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1, Q2)로된 주회로 전원공급부(4)로 구성하여 주회로에 전원이 공급되었다.
R1-R3는 저항, C1, C2는 콘덴서를 각각 나타낸다.
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전원부(1)에서 레귤레이터(2)에 전원이 인가되고, 레귤레이터(2)에서는 소정의 전압, 예를들어 5V를 일정하게 마이콤(3)의 단자(가)에 인가시키고 이에 따라 시계(WH)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마이콤(3)의 단자(나)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2)를 온시키면 마이콤(3)의 단자(라)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주회로 전원공급부(4)에서는 마이콤(3)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며 트랜지스터(Q2)베이스단자가 "로우"가 되어 전원부(1)의 전원이 주회로에 인가되게 된다(단, 스위치(SW2)에 의해 마이콤의 잔자(나)가 '하이"이면 단자(라)도 "하이"이다).
그러나, 주회로에 인가될 전압이 10V 이상으로 요구된다고 가정할때, 전원부(1)의 인가전압이 8V로 떨어져서 공급될 경우 레귤레이터(2)는 마이콤(3)의 단자(가)에 5V를 인가하게 되어 시계(WH)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진다.
스위치(SW2)를 온시켜서 마이콤(3)의 단자(라)가 하이신호로 출력할때 주회로 전원 공급부(4)의 트랜지스터(Q1)가 도통하여,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주회로에*V의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 경우, 주회로에는 10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어야만 동작되므로 주회로는 동작하지 않고 전류의 소모가 계속되고, 특히 바테리 전원일 경우 계속 전류가 소모되어 레귤레이터(2)의 출력전압이 5V 이하로 되어 마이콤(3)이 동작되지 않게되므로 시계(WH)까지도 오프상태가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화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정상 동작 전압이하일 경우를 감지하여 소모되는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제 1 도의 회로에서 전원부(1)와 마이콤(3) 사이에 감전압검출부(5)를 연결시켜 구성한 것이다.
감전압검출부(5)는 전원부(1)의 출력전압이 정상 동작 전압, 예를들어 10V 이상일 경우에는 온되고 정상적인 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오프되는 제너다이오드(ZD1)와, 제너다이오드(ZD1)와, 제너다이오드(ZD1)의 동작 상태에 따라 마이콤(3)의 출력을 제어하여 주회로 전원공급부(4)에 의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2, Q4)로 구성된다.
R4-R7은 저항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정상적인 전압일때 전원부(1)의 출력전원이 레귤레이터(2)를 통해 소정의 전압, 예를들어 5V로 일정하게 되어 마이콤(3)의 단자(가)에 인가된다.
이때, 시계(WH)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스위치(SW2)를 온시키면 마이콤(3)의 단자(다)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된다.
감전압 감지부(5)에서는 제너다이오드(ZD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부(1)의 출력 전압으로 트랜지스터(Q3)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4)를 오프시킴으로써 마이콤(3)의 단자(다)는 하이상태가 된다.
따라서, 마이콤(3)의 출력단자(라)도 하이레벨이 되어 주회로 전원공급부(4)가 동작하여 전원부(1)의 출력전압이 주회로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전원부(1)의 출력전압이 주회로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전원부(1)의 출력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1)를 온시키지 못하는 전압, 예를들어 5V 이상이고 10V 미만인 감전압 상태가 될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고 마이콤(3)의 동작전압은 5V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마이콤(3)의 단자(다)의 전압이 저항(R2)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로우상태가 되어 마이콤(3)의 출력단자(라)도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주회로 전원공급부(4)내의 트랜지스터(Q1, Q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주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주회로에 공급되는 감전압에 의한 전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시계(WH)를 동작시키기 위한 마이콤(3)은 정상 동작되므로 시계(WH)는 계속 작동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전원공급회로에 감전압 검출부를 부가시켜 주회로에 인가되는 불필요한 전류의 소모를 없앨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약한 전류 소모만으로도 동작되는 시계를 상당한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류 또는 직류를 회로에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부(1)와, 상기 전원부(1)에서 공급된 전원을 소정의 전원으로 만들기위한 레귤레이터(2)와, 상기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 시계(WH)를 동작시키고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3)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원부(1)의 공급전원을 주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주회로 전원공급부(4)와, 상기 전원부(1)와 상기 마이콤(3)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부(1)의 공급전원이 감전압일 경우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콤(3)을 동작시켜 상기 주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감전압검출부(5)로 구성된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KR2019910019916U 1991-11-20 1991-11-20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KR940002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916U KR940002608Y1 (ko) 1991-11-20 1991-11-20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916U KR940002608Y1 (ko) 1991-11-20 1991-11-20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253U KR930012253U (ko) 1993-06-25
KR940002608Y1 true KR940002608Y1 (ko) 1994-04-21

Family

ID=1932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916U KR940002608Y1 (ko) 1991-11-20 1991-11-20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6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253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056A (en) Battery powered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wherein the clock frequency is switched dependent upon the battery voltage
KR100293310B1 (ko) 스위칭회로및스위칭회로작동방법
US4609982A (en) Power on-off control circuit
US6310497B1 (en) Power supply loss detector method and apparatus
CA2062845C (en) Switching voltage regulator with protective device against thermal breakdown
KR0167645B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
US5698971A (en) Device for detecting the end of battery life, power supply circuit having the device, and a portable machine having the power supply circuit
KR940002608Y1 (ko) 감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원공급회로
US5229654A (en) Power source control circuit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such power source control circuit
KR890001463Y1 (ko) 인자 장치
KR940002334Y1 (ko) 전원 제어회로
KR0146927B1 (ko) 전기보온밥솥
KR950002074Y1 (ko) 정전시 실시간 클럭소자의 오동작 방지회로
JPS63288309A (ja) 電子機器の電源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KR0114756Y1 (ko) 전자기기의 전압제어장치
JPH01269114A (ja) リセツト回路
KR0114855Y1 (ko) 배터리의 저전압 표시회로
JP2546812Y2 (ja) 電源回路
KR930007960Y1 (ko) 3상전원의 역상 및 결상 검출회로
KR890006042Y1 (ko) 전압 자동 제어 장치
KR960010917B1 (ko) 전원 온 및 오프 판별 회로
KR910002761Y1 (ko) 이상전원에 따른 시스템 보호회로
SU1377841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с резервированием
KR920008479Y1 (ko) 자동차용 전장품의 전원장치
KR0130010Y1 (ko) 파워 고장신호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