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587U -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587U
KR19980019587U KR2019960032751U KR19960032751U KR19980019587U KR 19980019587 U KR19980019587 U KR 19980019587U KR 2019960032751 U KR2019960032751 U KR 2019960032751U KR 19960032751 U KR19960032751 U KR 19960032751U KR 19980019587 U KR19980019587 U KR 199800195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vervoltage
predetermined
power suppl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2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587U/ko
Publication of KR19980019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587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직류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공급하는 보조전원과;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과전압인지를 판별하는 과전압감지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저전압인지를 판별하는 저전압감지부와; 상기 과전압감지부로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과전압상태여부를 표시시키는 과전압표시부와; 상기 저전압감지부로부터의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저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저전압표시부와; 상기 과전압감지부로부터 과전압상태가 감지되거나 저전압감지부로부터 저전압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소정의 전원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차단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출력단의 저전압 및 과전압을 감지할 수 있고, 이상전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소정의 이상상태를 표시시킬 수 있고, 이상전압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본 고안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출력되는 전원전압을 감지하여 저전압 또는 과전압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이상전압상태를 표시하고,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기기에는 소정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는 정류기를 통해 교류전원(AC)을 직류로 정류(DC)하여 기기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출력단에 접속된 밧데리의 과충전에 의한 과전압 등을 제어하기 위해 소정의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로서, 도면부호 D1은 제너다이오드, R1∼R3은 저항, 10은 PWM제어기, 20은 SCR을 각각 나타낸다.
먼저, 전압입력단(Vin)으로 부터 입력된 전원전압이 전압출력단(Vout)을 통해 소정의 부하에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제너다이오드(D1)는 비도통상태로 있게 되고, 분압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하이레벨의 이네이블제어신호로서 PWM제어기(10)의 이네이블제어신호입력단(c)으로 입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PWM제어기(10)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되어 스위칭제어신호출력단(a)을 통해 소정의 스위칭제어펄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되어 부하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출력단에 접속된 부하(예컨대, 밧데리)의 전압이 소정의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제너다이오드(D1)가 도통하게 된다. 따라서 분압저항(R1)을 통해 소정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저항(R1)의 양단에는 소정의 스위칭온전압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같이 발생된 스위칭온전압은 SCR(D2)의 게이트에 인가됨으로써, SCR(D2)은 도통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PWM제어기(10)의 이네이블제어신호입력단(c)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로우레벨로 반전되게 된다. 따라서 PWM제어기(10)는 그 동작이 디스에이블됨으로써, 스위칭제어신호출력단(a)을 통해 로우레벨의 스위칭오프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PWM제어기(10)로 부터 소정의 스위칭오프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공급장치는 그 동작을 중단하게 되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보호회로는 제너다이오드(D1)의 항복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나, 제너다이오드(D1)의 오차로 인해 제어하고자하는 과전압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전압보호회로가 동작되어 출력전원이 차단되게 되더라도 사용자는 그 원인을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출력단의 단락 등에 의한 저전압에 대한 보호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전원공급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출력단의 저전압 및 과전압을 감지할 수 있고, 이상전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소정의 이상상태를 표시시킬수 있고, 이상전압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원부110: PWM제어부
120: 보조전원130: 정류부
140: 과전압감지부150: 저전압감지부
160: 과전압표시부170: 저전압표시부
180: 전원차단제어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는, 소정의 직류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공급하는 보조전원과; 정류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과전압인지를 판별하는 과전압감지부와; 상기 정류부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저전압인지를 판별하는 저전압감지부와; 상기 과전압감지부로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과전압상태여부를 표시시키는 과전압표시부와; 상기 저전압감지부로부터의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저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저전압표시부와; 상기 과전압감지부로부터 과전압상태가 감지되거나 저전압감지부로 저전압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류부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소정의 전원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차단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감지회로는 일단이 정류부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업시키는 제1분압저항과; 일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분압저항과;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으로 분압시키는 기준전압공급저항과; 일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준전압다이오드와; 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과 제2분압저항간에 접속되어 정류부로부터 소정의 비교신호가 입력되고, 비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과 기준전압다이오드간에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과전압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와; 게이트는 상기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드레인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로 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와; 일단은 상기 보조전원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1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1구동전압공급저항과; 일단은 상기 제1구동전압공급저항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보조전원으로 부터의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2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구동전압공급저항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감지회로는 일단이 정류부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1분압저항과; 일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분압저항과;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으로 분압시키는 기준전압공급저항과; 일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준전압다이오드와; 비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과 제2분압저항간에 접속되어 정류부 소정의 비교신호가 입력되고, 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과 기준전압다이오드간에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저전압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와; 게이트는 상기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드레인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로 부터의 전압감지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와; 일단은 상기 보조전원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1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1구동전압공급저항과; 일단은 상기 제1구동전압공급저항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보조전원으로 부터의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2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구동전압공급저항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표시부는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전압강하시키는 표시저항과; 애노드가 상기 표시저항의 타단과 접속되어 소정의 과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과전압표시램프와; 베이스는 상기 과전압감지부의 과전압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는 상기 과전압표시램프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과전압감지부로 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과전압표시램프의 점등을 온오프 스위칭제어하는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표시부는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전압강하시키는 표시저항과; 애노드가 상기 표시저항의 타단과 접속되어 소정의 저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저전압표시램프와; 베이스는 상기 저전압감지부의 저전압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는 상기 저전압표시램프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저전압감지부의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압표시램프의 점등을 온오프 스위칭제어하는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제어부는 애노드가 상기 과전압감지부로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와 접속되어, 상기 과전압감지신호를 일정의 출력방향으로 제어하는 과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와; 애노드가 상기 저전압감지부 저전압감지신호와 접속되어, 상기 저전압감지신호를 일정의 출력방향으로 제어하는 저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와; 애노드가 상기 과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 및 저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캐소드가 접지와 접속되어, 과전압감지신호 또는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한 전압이상상태를 표시시키는 전압이상상태표시발광다이오드와; 콜렉터는 상기 PWM제어부의 소정의 이네이블제어신호입력단과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전압이상상태표시발광다이오드의 발광신호를 수광하여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압이상상태제어수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직류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공급하는 보조전원과; 정류부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과전압인지를 판별하는 과전압감지부와; 상기 정류부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저전압인지를 판별하는 저전압감지부와; 상기 과전압감지부로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과전압상태여부를 표시시키는 과전압표시부와; 상기 저전압감지부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저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저전압표시부와; 상기 과전압감지부로부터 과전압상태가 감지되거나 저전압감지부 저전압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류부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소정의 전원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차단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출력단의 저전압 및 과전압을 감지할 수 있고, 이상전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고, 이상전압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신규한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는 보조전원(120)과, 과전압감지부(140), 저전압감지부(150), 과전압표시부(160), 저전압표시부(170)및, 전원차단제어부(180)를 구비하여, 출력단의 저전압 및 과전압을 감지할 수 있고, 이상전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고, 이상전압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첫 번째는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이 과전압상태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먼저, 정상적인 상태에서 과전압감지부(140)의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I11)의 비반전신호입력단(+)의 기준전압레벨은 반전신호입력단(-)보다 높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I11)의 출력단으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어 과전압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11)가 스위칭온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같이 과전압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11)가 스위칭온상태로 있게 되면, 과전압표시부(160)의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Q12)는 베이스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스위칭오프되어, 과전압표시램프(LED11)가 소등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정류부의 출력단)이 과전압상태가 되면, 분압저항 R11과 R12에 의해 분압되어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I11)의 반전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감지전압이 비반전신호입력단(+)보다 상승하게 됨으로써,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I11)는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11)가 스위칭오프되게 되고, 과전압표시부(160)의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Q12)는 베이스에 구동전압공급저항 R14와 R15에 의해 분압된 소정의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스위칭온되게 된다. 따라서, 과전압표시부(160)의 과전압표시램프(LED11)가 점등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전압공급저항 R14와 R15에 의해 분압된 소정의 하이레벨신호는 과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D12)를 통해 전압이상상태표시발광다이오드(LED13)에 공급됨으로써, 전압이상상태가 표시되게 된다.
두 번째는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이 저전압상태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먼저, 정상적인 상태에서 저전압감지부(150)의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I21)의 비반전신호입력단(+)의 비교전압레벨은 반전신호입력단(-)의 기준전압레벨보다 높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I21)의 출력단으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어 저전압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21)가 스위칭온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같이 저전압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21)가 스위칭온상태로 있게 되면, 저전압표시부(170)의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Q22)는 베이스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스위칭오프되어, 저전압표시램프(LED12)가 소등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정류부의 출력단)이 저전압상태가 되면, 분압저항 R21과 R22에 의해 분압되어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I21)의 비전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감지전압이 반전신호입력단(-)보다 낮아지게 됨으로써,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I21)는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21)가 스위칭오프되게 되고, 저전압표시부(170)의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Q22)는 베이스에 구동전압공급저항 R24와 R25에 의해 분압된 소정의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스위칭온되게 된다. 따라서, 저전압표시부(170)의 저전압표시램프(LED12)가 점등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전압공급저항 R24와 R25에 의해 분압된 소정의 하이레벨신호는 저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D22)를 통해 전압이상상태표시발광다이오드(LED13)에 공급됨으로써, 전압이상상태가 표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차단제어부(180)의 전압이상상태표시발광다이오드(LED13)가 발광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전압이상상태제어수광다이오드(LED10)가 스위칭온됨으로써, PWM제어부(110)의 동작이 디스에이블되게 된다.
따라서, 전압이상상태가 발생하게 되면, PWM제어부(110)는 스위칭오프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전원공급을 차단시킨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보호회로는 제너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나, 제너다이오드의 오차로 인해 제어하고자하는 과전압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과, 과전압보호회로가 동작되어 출력전원이 차단되게 되더라도 사용자는 그 원인을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출력단의 단락 등에 의한 저전압에 대한 보호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전원공급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출력단의 저전압 및 과전압을 감지할 수 있고, 이상전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고, 이상전압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교류전원(AC)을 소정의 직류전압(Vout)으로 정류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정류부(130)와, 상기 정류부(130)의 소정의 기능동작을 제어하는 PWM제어부(110)를 구비한 전원공급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직류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공급하는 보조전원(120)과;
    상기 정류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과전압인지를 판별하는 과전압감지부(140)와;
    상기 정류부(13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저전압인지를 판별하는 저전압감지부(150)와;
    상기 과전압감지부(140)로 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과전압상태여부를 표시시키는 과전압표시부(160)와;
    상기 저전압감지부(150)로 부터의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저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저전압표시부(170)와;
    상기 과전압감지부(140)로 부터 과전압상태가 감지되거나 저전압감지부(150)로 부터 저전압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정류부(130)로 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소정의 전원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차단제어부(18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감지회로(140)는 일단이 정류부(130)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130)로 부터의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1분압저항(R11)과;
    일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R11)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130)로 부터의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분압저항(R12)과;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120)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으로 분압시키는 기준전압공급저항(R13)과;
    일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R13)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준전압다이오드(D11)와;
    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R11)과 제2분압저항(R12)간에 접속되어 정류부로(130)로 부터 소정의 비교신호가 입력되고, 비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R13)과 기준전압다이오드(D11)간에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과전압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I11)와;
    게이트는 상기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I11)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드레인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과전압감지연산증폭기(I11)로 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11)와;
    일단은 상기 보조전원(120)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11)의 소스와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1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1구동전압공급저항(R14)과;
    일단은 상기 제1구동전압공급저항(R14)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보조전원(120)으로 부터의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2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구동전압공급저항(R15)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감지회로(150)는 일단이 정류부(130)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130)로 부터의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1분압저항(R21)과;
    일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R21)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정류부(130)로 부터의 비교전압을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분압저항(R22)과;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120)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으로 분압시키는 기준전압공급저항(R23)과;
    일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R23)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준전압다이오드(D21)와;
    비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제1분압저항(R21)과 제2분압저항(R22)간에 접속되어 정류부로(130)로 부터 소정의 비교신호가 입력되고, 반전신호입력단(+)은 상기 기준전압공급저항(R23)과 기준전압다이오드(D21)간에 접속되어 소정의 기준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저전압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I21)와;
    게이트는 상기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I21)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드레인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저전압감지연산증폭기(I21)로 부터의 전압감지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21)와;
    일단은 상기 보조전원(120)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신호구동트랜지스터(Q21)의 소스와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1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1구동전압공급저항(R24)과;
    일단은 상기 제1구동전압공급저항(R24)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보조전원(120)으로 부터의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제2구동전압으로 분압시키는 제2구동전압공급저항(R25)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표시부(160)는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120)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전압강하시키는 표시저항(R16)과;
    애노드가 상기 표시저항(R16)의 타단과 접속되어 소정의 과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과전압표시램프(LED11)와;
    베이스는 상기 과전압감지부(140)의 과전압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는 상기 과전압표시램프(LED11)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과전압감지부(140)로 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과전압표시램프(LED11)의 점등을 온오프 스위칭제어하는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Q1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표시부(170)는 일단이 상기 보조전원(120)과 접속되어 보조전원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전압강하시키는 표시저항(R26)과;
    애노드가 상기 표시저항(R26)의 타단과 접속되어 소정의 저전압상태를 표시시키는 저전압표시램프(LED12)와;
    베이스는 상기 저전압감지부(150)의 저전압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는 상기 저전압표시램프(LED12)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저전압감지부(150)로 부터의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압표시램프(LED12)의 점등을 온오프 스위칭제어하는 표시등구동트랜지스터(Q2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제어부(180)는 애노드가 상기 과전압감지부(140)로 부터의 과전압감지신호와 접속되어, 상기 과전압감지신호를 일정의 출력방향으로 제어하는 과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D12)와;
    애노드가 상기 저전압감지부(150)로 부터의 저전압감지신호와 접속되어, 상기 저전압감지신호를 일정의 출력방향으로 제어하는 저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D22)와;
    애노드가 상기 과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D12) 및 저전압신호방향제어다이오드(D22)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캐소드가 접지와 접속되어, 과전압감지신호 또는 저전압감지신호에 기초한 전압이상상태를 표시시키는 전압이상상태표시발광다이오드(LED13)와;
    콜렉터는 상기 PWM제어부(100)의 소정의 이네이블제어신호입력단(W1)과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와 접속되어, 상기 전압이상상태표시발광다이오드(LED13)의 발광신호를 수광하여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압이상상태제어수광다이오드(LED1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KR2019960032751U 1996-10-04 1996-10-04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KR199800195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751U KR19980019587U (ko) 1996-10-04 1996-10-04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751U KR19980019587U (ko) 1996-10-04 1996-10-04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587U true KR19980019587U (ko) 1998-07-15

Family

ID=5397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751U KR19980019587U (ko) 1996-10-04 1996-10-04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587U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016A (ko) * 1998-12-03 2000-07-05 윤종용 과전압 및 저전압에 의한 부하의 손상을 방지하는 전원공급기제어장치
KR20020008666A (ko) * 2000-07-25 2002-01-31 김홍기 과전류 보호기능을 구비한 스위칭모드형 전원공급장치
KR100434663B1 (ko) * 2001-11-07 2004-06-07 휴먼엘텍 주식회사 표시 기능을 구비한 회로 차단 장치
KR100571257B1 (ko) * 1999-12-18 2006-04-13 주식회사 케이티 직류 전원 공급 확인 장치
KR100590928B1 (ko) * 2000-12-29 2006-06-1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압강하 방지용 회로
KR100618240B1 (ko) * 1999-12-29 2006-09-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스위칭 구동형 전원공급기의 이상동작 검출회로
KR100646897B1 (ko) * 2004-10-19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과열보호 장치
KR100841431B1 (ko) * 2006-09-26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차단기능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과전압차단방법
KR101325446B1 (ko) * 2011-12-21 2013-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스타터의 전원 공급장치 및 전원상태 감시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016A (ko) * 1998-12-03 2000-07-05 윤종용 과전압 및 저전압에 의한 부하의 손상을 방지하는 전원공급기제어장치
KR100571257B1 (ko) * 1999-12-18 2006-04-13 주식회사 케이티 직류 전원 공급 확인 장치
KR100618240B1 (ko) * 1999-12-29 2006-09-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스위칭 구동형 전원공급기의 이상동작 검출회로
KR20020008666A (ko) * 2000-07-25 2002-01-31 김홍기 과전류 보호기능을 구비한 스위칭모드형 전원공급장치
KR100590928B1 (ko) * 2000-12-29 2006-06-1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압강하 방지용 회로
KR100434663B1 (ko) * 2001-11-07 2004-06-07 휴먼엘텍 주식회사 표시 기능을 구비한 회로 차단 장치
KR100646897B1 (ko) * 2004-10-19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과열보호 장치
KR100841431B1 (ko) * 2006-09-26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차단기능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과전압차단방법
KR101325446B1 (ko) * 2011-12-21 2013-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스타터의 전원 공급장치 및 전원상태 감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523B2 (en) Power supply capable of protecting electric device circuit
US6356027B1 (en) 0-10V dimming interface protection circuit
JP2012507116A (ja) 0〜10v/dali統合型の減光インタフェース回路
WO1999056504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US7375936B2 (en) Leakage detecting device
JP2007157423A (ja) 電源装置
US20080024138A1 (en) Identifying apparatus for ac power supply arrangement
KR19980019587U (ko)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US7446483B2 (en) Backlight light source drive device
KR100824178B1 (ko) 사일런트 전류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08098495A (ja) Led故障検出装置
KR0123006B1 (ko) 전력변환장치
EP0063356B1 (en) Time switch arrangement
EP3755122B1 (en) Duration select switch for an emergency lighting converter
KR20010087638A (ko) 전기/전자 기기의 전원 차단 원인 분석 장치
KR900000827Y1 (ko) 과전압 및 과열방지회로
US11641130B2 (en) Converter unit using a status lamp
KR200318831Y1 (ko) 유도등의 전원 입력 상태 표시 회로
CN220207828U (zh) 一种信号灯的故障检测电路
KR910002761Y1 (ko) 이상전원에 따른 시스템 보호회로
KR910007046Y1 (ko) 전원 단락시 ac입력 차단 회로
KR900002494Y1 (ko)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KR200339653Y1 (ko) 공급 전원단(b+) 감지 회로
KR950000975Y1 (ko) 화재경보기 수신반의 감지선 연결상태 표시 및 전원전압 표시회로
KR940002334Y1 (ko) 전원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