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94Y1 -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 Google Patents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94Y1
KR900002494Y1 KR2019870021566U KR870021566U KR900002494Y1 KR 900002494 Y1 KR900002494 Y1 KR 900002494Y1 KR 2019870021566 U KR2019870021566 U KR 2019870021566U KR 870021566 U KR870021566 U KR 870021566U KR 900002494 Y1 KR900002494 Y1 KR 900002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lay
buzzer
l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1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158U (ko
Inventor
옥한석
Original Assignee
옥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한석 filed Critical 옥한석
Priority to KR2019870021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494Y1/ko
Publication of KR8900141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1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 레스터겸용 안전콘센트 회로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IN : 전압입력단자 T1: 트랜스
RY1, RY2: 릴레이 TR1: 트랜지스터
Jack1, Jack2 : 테스터짹 D1~D4: 다이오드
R1~R8: 저항 C1~C3: 콘덴서
IC : 집적회로 LED1~LED3: 발광다이오드
PL1, PL2: 발광램프 BZ : 부저
SW1: 절환스위치 SW2: 전원스위치
SW3: 연동스위치 VR1: 가변저항
SW4: 절환스위치
본 고안은 테스터 겸용 안전콘센트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 즉 부하측에 과부하가 걸렸을때 릴레이를 구동시켜 과부하 표시 및 부저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테스터로도 사용할 수 있게한 테스터겸용 안전콘센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센트는 단순히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끼우면 바로 가전기기에 전원이 인가되게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콘센트의 출력측에 과부하가 걸렸을 경우 기기를 망가트리거나 화재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전압이 입력되는 단자에 정전압정류부, 램프표시회로, 전압콘트롤회로, 부저구동회로를 연결하여 출력측에 과부하가 걸렸을때 표시램프 및 경보음을 발하게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게함으로써 기기의 고장 및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전압 100V/220V가 입력되는 전압입력단자(V-IN)에는 퓨우즈(Fuse) 트랜스(T1) 다이오드(D1)(D2) 콘덴서(C1)(C2) 전원스위치(SW2)로 구성하여 입력되는 AC 전압을 DC전압으로 바꾸어주는 정전압정류부(가)와, 전원전압을 점검하는 절환스위치(SW1) 저항(R1)(R2) 표시램프(PL1)(PL2)로 구성된 전원표시부(나)와, 상기 정전압정류부(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사용전압을 표시해주는 릴레이(RY1)발광다이오드(LED1)(LED2) 저항(R3)으로 구성된 램프표시부(다)와, 상기 정전압정류부(가)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집적회로(IC) 다이오드(D3)(D4) 저항(R4~R7) 가변저항(VR1) 발광다이오드(LED3), 절환스위치(SW4) 저항(R9) 및 프로우브(Probe)와 연결되는 테스터짹(Jack1)(Jack2) 연동스위치(SW3)로 구성된 전압콘르롤부(라)와, 상기 정전압 정류부(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부저(BZ)를 일정시간 구동시키는 부저(BZ) 트랜지스터(TR1) 콘덴서(C3) 저항(R8) 릴레이(RY2)로 구성된 부저구동부(마)로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입력 단자(V-IN)로부터 AC 100V 또는 200V로 전압이 인가되면 이 입력전압은 정전압정류부(가)의 퓨우즈(Fuse) 및 절환스위치(SW1) 전원표시부(나)의 절환스위치(SW1) 저항(R1)을 통하여 표시램프(PL1)에 인가되어 표시램프(PL1)를 점등시켜 주어 입력전압이 110V임을 알려줌과 동시에 부하출력단에 과부하가 안결려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입력이 220V 일 경우에는 정전압정류부(가)의 트랜스(T1) 일차측과 절환스위치(SW2), 저항(R2)을 통하여 표시램프(PL2)에 인가시켜 표시램프(PL2)를 점등시키게 된다.
그러나 부하 즉 출력단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정전압정류부(가)의 퓨우즈(Fuse)가 단락되고 이 입력전압은 트랜스(T1)의 1차측을 통하여 2차측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2차측에서는 1차측 전압과 비례하여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입력전압이 220V일 경우 14V와 9V가 출력되고 입력전압이 110V일 경우 1V와 4.5V가 출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출력된 전압은 다이오드(D1)(D2) 콘덴서(C1)(C2)에 의하여 DC전압을 정류되어 전원스위치(SW2)를 통하여 램프표시회로(다)의 릴레이(RY1)와 전압콘트롤부(라)에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램프표시부(다)의 릴레이(RY1)의 코일 및 릴레이단자(P)에 인가된 전압은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릴레이(RY)의 접점단자(P)를 접점(C)에서 접점(B)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정전압정류부(가)로부터 정류된 전압은 릴레이(RY1)의 접점단자(P)를 통하여 발광다이오드(LED2)에 인가되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LED2)는 점등되어 상기 정전압 정류부(가)로부터 220V 전압이 인가됨을 알려주게 되고 반면에 정전압정류부(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램프표시부(다)의 릴레이(RY1)코일 및 릴레이접점단자(P)에 인가되지만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 릴레이(RY1)를 구동시키지 못하여 릴레이(RY1)의 접점단자(P)가 접점(C)에 그대로 위치하고 있을때는 상기 인가되는 전압이 릴레이(RY1)의 접점단자(P)를 통하여 발광다이오드(LED1)에 인가되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게 되어 현재 입력단자(V-IN)의 전압이 110V가 입력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정전압정류부(가)의 다이오드(D2) 콘덴서(C2)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테스터짹(Jack1)(Jack2)을 통하여 전압콘트롤부(라)의 집접회로(IC)에 인가됨과 동시에 부저구동부(마)에 인가되게 되는데 이때 전압콘트롤부(라)의 집적회로(IC)에서는 다이오드(D3)(D4) 저항(R4~R6) 가변저항(VR1)에 의하여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발광 다이오드(LED3)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부저구동부(마)에 인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부저구동부(마)에서는 상기 정전압정류부(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릴레이(RY2)의 릴레이코일에 인가되게 되어 릴레이(RY2)는 구동하여 릴레이(RY2)의 접점단자(P)를 접점(C)에서 접점(B)로 이동시키게 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는 로우신호 상태가 되어 상기 정전압정류부(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자와 베이스단자를 통하여 콘덴서(C3)에 충전이 되기때문에 릴레이(RY2)는 구동하지 않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게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자에는 하이전압이 되어 부저(BZ)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알려주게 된다.
즉 콘덴서(C3)의 충전되는 시간동안 경보음을 울리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콘덴서(C3)에 충전이 완료되게 되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하이상태가 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오프상태가 되어 상기 정전압 정류부(가)의 전압은 릴레이(RY3)에 인가되게 되므로 릴레이(RY3)는 구동하여 다시 릴레이(RY3)의 접점단자(P)를 접점(C)에서 접점(B)로 접속시켜 주기때문에 다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된 콘덴서(C3)를 다시 충전시켜주게 되면서 부저(BZ)를 다시 구동시켜 경보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정전압정부(가)의 전원스위치(SW2)를 오프시키면 전압은 차단되게 되어 상기 부저구동부(마)의 릴레이(RY2)에는 전원이 차단되게 되므로 릴레이(RY2)의 접점단자(P)는 접점(B)에서 접점(C)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을 릴레이접점(C) 접점단자(P)를 통하여 방전시켜 주게 되어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110V 및 220V 절환스위치(SW4) 저항(R8)을 가진 프로우브(probe)을 연결하여줌으로써 110V 및 220V 용의 전원전압을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입력전압단자에 정전압정류부 전원표시부 램프표시회로 전원콘트롤부와 부저구동부를 연결하여줌으로써 출력측에 과부하가 걸렸을때 램프표시회로 및 부저구동부를 구동시켜 주게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하여 사겆넹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콘센트를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입력단자(V-IN)에는 퓨우즈(Fuse) 트랜스(T1) 다이오드(D1)(D2) 콘덴서(C1)(C2) 전원스위치(SW2)로 구성된 정전압정류부(가)와 절환스위치(SW1) 저항(R1)(R2) 표시램프(PL1)(PL2)로 구성된 전원표시부(나)와 릴레이(RY1)발광다이오드(LED1)(LED2) 저항(R3)으로 구성된 램프표시부(다)와 집적회로(IC) 다이오드(D3)(D4) 저항(R4~R2) 가변저항(VR1), 저항(R9) 절환스위치(SW4) 및 프로우브(Probe)와 연결되는 테스터짹(Jack1)(Jack2) 연동스위치(SW3)로 구성된 전압콘르롤부(라)와, 상기 정전압 정류부(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부저(BZ)를 일정시간 구동시키는 부저(BZ) 트랜지스터(TR1) 콘덴서(C3) 저항(R8) 릴레이(RY2)로 구성된 부저구동부(마)를 연결하여 과부하가 걸렸을때 표시램프 및 부저의 경보음을 발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KR2019870021566U 1987-12-07 1987-12-07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KR900002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566U KR900002494Y1 (ko) 1987-12-07 1987-12-07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566U KR900002494Y1 (ko) 1987-12-07 1987-12-07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158U KR890014158U (ko) 1989-08-10
KR900002494Y1 true KR900002494Y1 (ko) 1990-03-30

Family

ID=1927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1566U KR900002494Y1 (ko) 1987-12-07 1987-12-07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4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158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494Y1 (ko) 테스터겸용 안전 콘센트 회로
JP2018092950A (ja) 照明器具
KR19980019587U (ko) 이상전압보호기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KR200449395Y1 (ko) 자가 충전 비상조명등의 선택 가능한 충전장치
US11641130B2 (en) Converter unit using a status lamp
JPH0127399Y2 (ko)
US11729886B2 (en) Duration select switch for an emergency lighting converter
KR850001548Y1 (ko) 바테리의 충전 감지회로
KR920008889Y1 (ko) 전자레인지의 접지불량 감지회로
KR200318831Y1 (ko) 유도등의 전원 입력 상태 표시 회로
JPH0218655Y2 (ko)
RU1800407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KR20230123431A (ko) 감시 장치 및 전기 장치
SU114799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ндикации пол рности и рода тока
JPS5925026Y2 (ja) 電圧調整器の試験装置
JPH0241744Y2 (ko)
RU2218576C1 (ru) Указатель напряжения
KR950003817B1 (ko) 온수기의 전지확인 램프 구동방법 및 그 장치
RU2300775C1 (ru) Указатель низ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светозвуковой
GB2331588A (en) Electrical test device
GB2117126A (en) Circuit testing device
KR890001717Y1 (ko) 과충전 방지를 위한 점멸표시회로
JPH0353574Y2 (ko)
KR0127531Y1 (ko) Ac 110v/220v 자동변환회로
GB2340246A (en) Hot water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