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379Y1 -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379Y1
KR870003379Y1 KR2019850001621U KR850001621U KR870003379Y1 KR 870003379 Y1 KR870003379 Y1 KR 870003379Y1 KR 2019850001621 U KR2019850001621 U KR 2019850001621U KR 850001621 U KR850001621 U KR 850001621U KR 870003379 Y1 KR870003379 Y1 KR 870003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winding
current
termi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148U (ko
Inventor
장철수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1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379Y1/ko
Publication of KR860011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히이터 CT : 변류기
AL : 경보수단 R : 전류제한용 저항
본 고안은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이터의 단선을 변류기로써 검지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각종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전기히이터는 단순히 전원에 직결되어 있으므로 히이터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히이터와 제어장치중 어느 부분이 이상인지를 즉각적으로 감득할 수 없으며 테스터기로써 일일이 점검해야 했다.
따라서 히이터의 이상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없으며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히이터가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휴지(休止) 시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 많은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히이터의 단선시 이를 변류기(Current Transformer)로 감지하여 경보수단으로 표시하므로써 히이터의 이상 유무를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하려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히이터(H)와 전원단자(1)(2) 사이에 1차 권선(T1)과 전류권선(T2) 및 전압권선(T3)을 보유하는 변류기(CT)를 설치하여, 1차 권선(T1)의 일측단자(3)는 전류제한용 저항(R)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와 히이터(H)의 일측단자(5)에 접속하고, 1차 권선(T1)의 타측단자(4)와 전류권선(T2)의 일측단자(7)를 전원단자(2)에 공접하며, 전류권선(T2)의 타측단자(8)를 히이터(H)의 단자(6)에 접속하고, 전압권선(T3)의 양측단자(9)(10)에는 경보수단(AL)을 접속한 것이다.
상기 경보수단(AL)으로서는 파일로드램프나 부져 또는 멜로디 IC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전원단자(1)(2)에 전원이 인가되면, 히이터(H)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변류기(CT)의 1차 권선(T1)에는 전류제한용 저항(R)에 의해 전류가 제한되어 미소한 전류가 흐르게 되고, 히이터(H)의 양측단자(5)(6)간에는 전류권선(T2)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히이터(A)는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전류권선(T2)과 전압권선(T3)의 자속은 서로 상쇄되어 전압권선(T3)에는 전압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전압권선(T3)의 양측단자(9)(10)에 연결된 경보수단(AL)은 동작하지 않는다.
히이터(H)가 단선되면, 1차권선(T1)과 저항(R) 및 전원에 의한 폐회로가 구성되어 1차권선(T1)의 양측단자(3)(4)에는 전원이 인가되므로 전압권선(T3)에는 전압이 발생되어 양측단자(9)(10)에 연결된 경보수단(AL)이 동작하여 경보를 발하게 된다.
즉, 경보수단(AL)으로서 파이롯트램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램프가 점등되며, 부저를 사용한 경우에는 부저에서 경보음이 발생되고, 멜로디 IC를 사용한 경우에는 멜로디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히이터(H)의 단선 유무를 변류기(CT)로써 감지하여 단선시에는 경보수단(AL)에 의해 경보를 발하도록 하였으므로 히이터의 단선시이를 조기에 발견하여 히이터(H)를 보수 및 교환하므로써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이터(H)가 설치된 기계장치의 휴지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히이터(H)와 전원단자(1)(2)의 사이에 변류기(CT)를 설치하여, 변류기(CT)의 1차 권선(T1)의 일단은 전류제한용 저항(R)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와 히이터(H)의 일단에 접속하고, 타단은 전류권선(T2)의 일단과 전원단자(2)에 공접하며, 전류권선(T2)의 타단을 히이터(H)의 타단에 접속하고, 전압권선(T3)의 양단에는 경보수단(AL)을 접속하여서 된 전기 히이터의 단선 경보장치.
KR2019850001621U 1985-02-18 1985-02-18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KR870003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621U KR870003379Y1 (ko) 1985-02-18 1985-02-18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621U KR870003379Y1 (ko) 1985-02-18 1985-02-18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148U KR860011148U (ko) 1986-09-10
KR870003379Y1 true KR870003379Y1 (ko) 1987-10-15

Family

ID=1924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621U KR870003379Y1 (ko) 1985-02-18 1985-02-18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3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148U (ko)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2709B2 (en) Sensor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fluid medium
US397325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hanges 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ensor devices
US2994073A (en) Fault annunciator
US3797008A (en) Fire detecting system
US3898513A (en) Automotive vehicle electrical load supervisory system
US4255738A (en) Device for detecting unwanted signal combinations of two signal lamps in traffic lights
US4996625A (en) Power source unit for image recording apparatus
KR870003379Y1 (ko) 전기 히이터의 단선경보 장치
KR860006307A (ko) 저항용접기 제어 시스템의 2차 도체 감시장치
US5416399A (en) On-site electric motor start-up diagnostic tool
JP2665567B2 (ja) 断線検知回路
JP2007072908A (ja) Plcのミューティング装置
JPH04351422A (ja) 変流器2次回路の開放検出装置
US2355752A (en) Electronic alarm
JP2006337156A (ja) 温度検出回路
JPH08264094A (ja) 断線検出機能付きリレー出力回路
JPH06103872A (ja) 電磁継電器の接点異常検出方法及び電磁継電器
KR970001115B1 (ko) 호이스트조작회로에 있어서의 이상검출장치
KR100270105B1 (ko) 모터브레이크 감지장치
JPH0361869A (ja) 回路断線判別方法
JP2022045506A (ja) 踏切警報灯の断続リレー
JPH09101336A (ja) 制御機器用駆動装置
KR930005196Y1 (ko) 에스커레이터의 전압강하 감지장치
JPS63115073A (ja) 電気機器の動作監視装置
KR920005484Y1 (ko) 전동공구의 과부하 상태 표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