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63B1 -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 Google Patents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63B1
KR810001763B1 KR7702448A KR770002448A KR810001763B1 KR 810001763 B1 KR810001763 B1 KR 810001763B1 KR 7702448 A KR7702448 A KR 7702448A KR 770002448 A KR770002448 A KR 770002448A KR 810001763 B1 KR810001763 B1 KR 81000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alloy
composite
contact
ti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타 시바다
Original Assignee
다나카야스 이치
주우가이 덴기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카야스 이치, 주우가이 덴기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카야스 이치
Priority to KR770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Landscapes

  • Conta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본 발명은 복합체의 전기 접점 재료, 즉 복수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소재를 복합하여 일체화한 새로운 전기 접점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과 이와 같은 전기 접점 재료를 사용한 복합 접점재에도 관계된다.
내부산화 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은-산화주석계 합금의 접점 재료는 본 출원의 발명자의 특허로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5호에 기술되었다. 이와 같은 합금은 내부산화에 의하여 모(母)금속내에 석출한 금속산화물을 갖으며 주석 1.5-10중량%, 인듐 0-6중량%, 0.5중량%이하의 미량의 철족(鐵族)금속과 잔부(殘部)의 은(銀)으로된 것이고 본 발명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험을 반복하여 은-산화주석계 합금이 그 여러 가지의 특성에 있어서 은-산화카드뮴(Ag-CdO)계 합금과 동등 또는 그 보다도 우월하다고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은-산화 주석계 합금은 내부 산화시 (산소 분위기에서 약 700도씨로 가열)의 외부로부터의 산소의 확산속도가 은-산화카드뮴계 합금보다 느리고, 거의 후자의 반밖에 되지 않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용적 또는 두께의 은-주석 합금을 내부산화하는데는 장시간을 요하고, 더욱이 내부 산화가 완전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볼 수가 있다.
은-산화주석계 합금에 있어서 고유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같은 불편을 해결하고 비교적 큰 용적의 은-산화주석계 합금접점 재료를 유리하게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각 비교적 단시간에 완전히 내부 산화되는 정도의 용적으로 박판(薄板), 선재(線材), 조립(組粒)과 같은 형상의 복수의 은-산화주석 합금소제(성분 : Ag-Sn, 1.5-10%-In 0.55% ; Ni 또는 Co 0.5% 이하)를 압력하에서 소망의 용적과 형상으로 합성하여 이것을 은의 융점 : 960도씨의 근방의 온도로 가열하여 복합제의 전기접점 재료를 얻는 것이다.
상술한 복수의 은-산화주석 합금소재의 합성시에, 은, 동 혹은 이들의 소재를 합성하여 열처리하면 후자를 베이스(base) 부재(部材)로 하고 은-산화주석 합금으로 피복시킨는 비교적 큰 용적 또는 두께의 복합접점제도 본 발명에 의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동을 어떠한 복합 접점재의 베이스 부재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열처리는 은과 동의 공정 온도 779도씨의 근방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은, 동 또는 이들 합금이 베이스 부재 부착의 유무에 관계없이 은-산화 주석합금의 전기 접점용 복합체재료는 다시 열간 압연혹은 압출성형하여 소망의 규격판 혹은 선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열처리를 열간 압연 혹은 압출 성형과 동시에 할 수도 있다. 내구시험을 하여본바, 이 발명에 의한 은-산화주석 합금의 복합체가 되는 전기 접점은 비교적 큰 용적을 갖는 경우 종래와 같이 전체를 일체로 하여 내부산화에서 얻은 동일 조성의 은-산화주석 합금 접점에 비하여, 특히 접촉 저항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비교적 큰 용적의 은-산화주석 합금을 당초부터 그 용적으로 일체화하고 내부산화하여 얻은 경우에는 그 내부산화는 불완전하게 되고 그 결과 접점의 내부에 갈수록 정도가 낮게 되는 반면 접점의 소모에 수반하여 접점 압력은 낮아지므로 접촉 저항은 커지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접촉 저항의 증대는 최종적으로 접점의 용착(溶着)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접점은 전체에 걸쳐 균일한 경도를 갖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함을 갖지 않으며 그 수명도 길고 또한 수명이 있는 한 접촉 저항도 거의 균일하다.
이 발명의 기초가 되는 것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상술한 조성을 갖는 은-산화주석계 합금중의 금속산화물은 700도씨 이상, 은의 융점 960도씨 이상에서도 안정하다는 것.
(2)은-산화주석 합금중에 분산하여 석출(析出)된 금속 산화물은 은-산화카드뮴 합금의 금속산화물 보다도 단단하고, 더욱이 그 입도(粒度)는 후자의 약 1/10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복합체 접점재를 압연 혹은 압출하여 성형하여도 그 금속 산화물의 합금내에서의 분산상(分散相)에 하등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며 미세하고 단단한 금속 산화물은 합금 소재가 압력하에서 합성될 때에 각 소재간의 연결부와 같은 역할을 하며 소재가 서로 활동(滑動)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재가 세정(洗淨)된 충당면(衝當面)이 청결하여 활성으로 보존되며, 이와 같은 효과는 이 발명의 복합 접점재가 베이스 부재로서 등을 합성하여 만들어질때에는 특히 현저하다.
(3)합금 복합체중에 생긴 외곡이 압연 혹은 압출되어 작업을 은의 융점가까이에서 할 수 있으므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열간압연 또는 압출형성에 의하여 합금중의 은의 입계(粒界)를 불연속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중량비에서 은-주석5%-인듐1.7%-닉켈0.3%의 합금을 두께 1밀리의 판으로 압연하였다. 이판을 폭 60밀리 길이 300밀리의 작은 친으로 절단하였다. 이 작은 판을 산소 10기압의 분위기중 700도씨로 40시간 내부산화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내부산화한 작은판의 양면을 초산 5% 수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이 작은판과 동규격의 하나의 은판과 전기한 작은판 10판을 은판이 제일 밑이 되도록 쌓았다. 이들의 판에 1T/cm2의 하중에 걸어서 800도씨로 10분간 가열하여 합성하였다. 이와 같이 합성하여 하나의 복합체 잉곳(ingot 鑄塊)으로된 판을 800도씨로 예비 가열하여 두께 2밀리의 판으로 압연하여 이판을 쳐 뽑아 6밀리의 접점을 얻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접점과 동일한 규격, 조성 및 구조를 가지고 일반의 내부산화로 만들어진 접점과의 대비로, 이 발명의 접점의 성능을 에이.에스.티.엠(A.S.T.M)접점시험으로 테스트 한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실시예 2]
전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된 합금을 직경 1밀리의 선으로 가공했다. 이 선을 길이 300밀리의 단선으로 절단했다. 이 단선을 700도씨로 산소 3기압의 분위기속에서 20시간내부산화하였다. 산으로 세정한 후 이것을 직경 50밀리의 다발로 하여 온도 800도씨로 열간 압출 가공하여 직경 6밀리의 와이어 6분을 얻었다. 그후 소둔(燒鈍)을 반복하면서 이것을 두께 0.5밀리, 폭 4밀리의 테이프상으로 가공하였다. 이 테이프의 일면에 동규격으로 구리-닉켈(30%으로 된 테이프를 약 850도씨로 가열하면서 압착하였다.
압착면은 공정조직(共晶組織)이 되어, 강고(强固)한 압착이 보장되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테이프상의 은-산화주석 합금의 복합체 접점재는, 종래의 일반적인 내부 산화법에 의한 은-사화주석 접점재 보다도 신율이 좋고 연속적으로 일정규격으로 절단하면서 접점합금에 용접할 수 있고, 종래의 것은 항장력이 낮고 균열(Crack)이 생기기 쉬우며, 또한 절단중 금이 갔다.
[실시예 2]
중량비로 은-주석8%-인듐3%-닉켈0.3%의 합금을 만들어 용해했다. 이것를 질소(N2)가스로 불어날려서 직경 0.3-1.5밀리의 조립(組粒)을 만들었다. 이것을 산화분위기 중에서 700도씨로 6시간 내부 산화 하였다. 산으로 씻은후, 직경 6밀리 두께 2밀리의 원판으로 하여 저면에 전중량의 1/10의 은분(銀粉)을 깔고 3톤으로 성형하여 900도씨로 3시간 산소기류 중에서 소결(燒結)하였다. 이것을 5톤의 하중으로 재성형 하였다.
시험의 결과 종래의 방법으로 된 같은 "디스크"(ddisc)형 접점에 비하여 이 발명으로 된 상기의 접점은 30-50%나 낮은 접촉저항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1)

  1. 비교적 용이하게 내부산화할 수 있는 크기의 복수의 합금 소재를 합성한 복합체로 된 비교적 큰 용적의 전기 접점재로서, 해당 합금소재는 비교적 단시간에 내부산화를 완료하여 석출한 금속산화물을 갖이며, 주석 1.5-10중량%, 인듐 0.5-6중량%, 0.5중량% 이하의 미량의 절족금속과 잔부의 은으로 되고, 복합체를 만드는 합금소재는 700도씨 이상 은의 융점 근방의 온도로서의 열처리에 의하여 서로 야금적으로 일체화하는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전기 접점 재료.
KR7702448A 1977-10-22 1977-10-22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KR81000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448A KR810001763B1 (ko) 1977-10-22 1977-10-22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448A KR810001763B1 (ko) 1977-10-22 1977-10-22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63B1 true KR810001763B1 (ko) 1981-11-11

Family

ID=1920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448A KR810001763B1 (ko) 1977-10-22 1977-10-22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6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7144B2 (ko)
US4243413A (en) Integrated Ag-SnO alloy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US2196302A (en) Silver copper alloy
US4980245A (en) Multi-element metallic composite article
EP0020760B1 (en) Method of preparing an electrical contact
US4452651A (en)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d their production method
US3922180A (en) Method for oxidation-hardening metal alloy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and structures therefrom
CN110391095B (zh) 单面内氧化银氧化锡氧化铟电接触材料及其制备方法
KR810001763B1 (ko) 복합체의 은-산화주석(Ag-SnO)계 합금 전기 접점 재료
US3674446A (e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US3525609A (en) Copper alloy material
CA1073022A (en) Integrated silver-tin oxid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CN114438359A (zh) 一种银氧化锡电接触材料的制备方法
US3017268A (en) Copper base alloys
JPS6048578B2 (ja) 電気接点材料
US3508320A (en)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12495B1 (en) Powder-metallurgically produc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S598010B2 (ja) 電気接点材料および製造方法
JPS5949660B2 (ja) 複合体のAg−SnO系合金電気接点材料
JPH055141A (ja) 銅又は銅銀合金−金属酸化物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57496B2 (ja) フクゴウデンキセツテンザイリヨウ
JPS598009B2 (ja) 電気接点材料の製造方法
JP3349518B2 (ja) Agー酸化物系複合電気接点材料の製造方法
KR940008068B1 (ko) 가공성이 좋은 Ag-SnO₂전기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JPS5910981B2 (ja) 電気接点材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