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415B1 -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415B1
KR810000415B1 KR7404324A KR740004324A KR810000415B1 KR 810000415 B1 KR810000415 B1 KR 810000415B1 KR 7404324 A KR7404324 A KR 7404324A KR 740004324 A KR740004324 A KR 740004324A KR 810000415 B1 KR810000415 B1 KR 81000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soluble
solid cont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교시 아이다
가즈마사 사이구사
준이찌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이께다 에쓰지
다이닛뽕 도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께다 에쓰지, 다이닛뽕 도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께다 에쓰지
Priority to KR740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415B1/ko

Links

Landscapes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본 발명은 수분산중합체(水分散重合體)롤 이루어진 피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용 가열건조도료로 서는, 아미노-알키드 수지도료, 아미노-아크릴수지도료가 또, 목공용 도료에 있어서는 산촉매경화 아미노-알키드 수지도료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용해, 희석에 유기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의 위생면, 화재의 위험성, 또는 배기공해의 문제등, 난점이 많아, 이것들의 개량이 요청되고 있었다. 그 개량책으로,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대개의 경우 수지농도가 충분치 못하며, 끝 마무리와 내구성(耐久性)에 난점이 있다. 또한 수매체(水媒體)중에서 유화제, 보호콜로이드의 존재하에서,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重合)하여 안정된 수분산 중합체를 얻어서 피복용 조성물로 하는 방법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산 피복용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건조필름은 대개, 그 유화제등으로 인하여, 고도의 내구성을 가진것을 얻기가 곤란하다. 또한 이를 개량한 것으로는 일본특공소 40-20189, 44-20630 및 45-15033의 방법 혹은 수용성수지를 에틸 셀로솔브등의 수혼화성 유기용제에 용해한 상태로, 중합성 단량체를 반응시켜, 블럭(Block) 또는 그라프트(Graft) 공중합수지를 제조한 후 이것을 수중에 분산시키는 방법등도 알려져 있으나, 모두 큰 결점이 있어, 상기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즉 유화제는 친수성이 큰데다 저분자량이며 또 일반적으로 증점제(曾粘劑)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산 소오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등은 고분자이지만 그 자신을 피막으로 하여도 내구성이 전혀없고, 더구나 이 증점제등은 수분산체의 휘발되지 않는 전체 고작 10중량%이하, 보통 1-5중량%인 까닭에 종래의 수분산성 피복조성물에서는 성능이 우수한 피막을 얻을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분자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저점도이며 또한 높은 수지농도의 아미노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물 또는 물수혼화성 유기용제 혼합계에 안정하게 분산하는 피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온에서 안정하나 가열 혹은 산성촉매의 존재하에서 속히 경화하는 뛰어난 경도(硬度) 내후성(耐朽性), 내오염성, 내충격성, 내수성을 나타내는 피복제로서 유용한 수분산 피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물 또는 물-수혼화성 유기용제 혼합계에 용해한 수용성 아미노 수지의 고형분 60-98중량%와 수용성 고분자중합체의 고형분 2-40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고형분농도 8-60중량%를 가진 수용성 생성물의 고형분 20-8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단량체의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 20-80중량부를 상기 수용성 생성물의 존재하에 중합개시제로 중합시켜 얻어지는 수분산 중합체로 이루어진 피복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징은, 그 자체를 피막으로 한 경우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수용성 생성물의 존재하에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지는 수분산 중합체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성 생성물은, 물 또는 물-수혼화성 유기용제 혼합계에, 용해시킨, 수용성 아미노 수지의 고형분 60-98중량%와,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의 고형분 2-40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고형분 8-60중량%의 수용성 생성물이다.
수용성 생성물의 형성에 있어서, 수용성 아미노수지의 고형분 60-98중량%, 바람직한 것은 70-90%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 2-40%, 바람직한 것은 10-30%가 쓰여진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의 양을, 2-40%로 규정한 것은, 아미노수지의 경화성능을 해치지않고, 더우기, 다음에 반응시키는 중합성 단량체의 유화, 분산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범위로서, 40%를 넘으면 점도(粘度)가 높아져서, 높은 수지농도를 얻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생성물은, 중합성단량체의 유화 또는 중합체의 양호한 분산을 얻기 위한 필수적인 성분이며, 이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단량체를 중합하였을 때, 균일하고도, 더욱 미세한 입자를 얻을수가 없고, 또 얻는다 하여도 분리, 응집(凝集)이 일어나기 쉽다.
상기 수용성 생성물은, 수용성아미노수지와 수용성고분자 중합체와의 블랜드에 의하여 얻어진다.
수용성아미노수지로서는, 멜라민, 벤조구아나민, 트리아진계화합물, 요소, 디에틸렌 요소, 디시안디등과 포름 알데히드와의 축합 또는 공축합(共縮合)에서, 얻어진다. 또 변성제(變性劑)로, 변성한 것도 사용된다. 보통아미노기-당량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당량수 0.5-2.0을 pH조절제(예컨대,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암모니아 1급, 2급, 3급 알칼아민류, 1급, 2급, 3급 옥시아민류, 염산, 인산, 수(蓚)산, 프탈산)을 사용하여 알킬리성 또는 산성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반응시킨다.
변성제는 주로 수용성, 저장안정성, 가요성(可撓性), 분산안정성을 개량하는데 사용되며, 예컨대 (i) 염기산 질소 유도체로서 테트라에틸렌펜타민, 구아닐요소, 탄산구아니딘,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등 (ii) 무기염기로는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iii) 1가 알코올로서는 탄소수 1-4까지의 알코올류, (iv) 구리콜, 디구리콜의 탄소수 1-4의 알킬모노에테르, (v) 다가(多價) 알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코올, 글리세린, 트라메틸올프로판등 (vi) 페놀류 (vii) 카르본산으로 의산(蟻酸), 초산(醋酸), 지방산등을 단독 아니면 2종이상 조합시켜 사용한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고분자란, 폴리옥시에틸렌 결함을 가진 포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산가 25-150을 가진 폴리에스테르수지,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예컨대 무수말레인산과 초산비닐,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등의 비닐에텔류, 스틸렌, α-메틸스틸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혹은 아타릴산,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등의 공중합체, 폴리비닐계유도체 예를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등, 폴리아크릴산과 그 유도체, 예컨대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혹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과, 무수말레인산, 아크릴라미드, 아크릴산소오다, 메타크릴산소오다,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피리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류와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와 폴리 N 메틸올아크릴아미드 혹은 이것들과 다른 그밖의 중합성단량체(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스테르 혹은 그들의 알킬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알킬,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에스테르등,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등이며, 그자신 수용성이나 또는 중화성(예컨대 암모니아, 1급, 2급, 3급 알킬아민, 1급, 2급, 3급 옥시아민, KOH, NaOH등)으로 중화하는데 따라 수용성으로 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수종으로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 중합성단량체는, 수용성 생성물의 개질(改質)과 피막에 고도의 내구성을 갖는 수분산 중합체를 얻기위해서, 수용성생성물의 존재하에서, 중합개시제에 의하여 중합되는 것이나, 사용되는 중합성 단량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이다. 이것은 물에 불용성일뿐만 아니라, 물에 가요성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시하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크로톤산등의 불포화 카르본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n-브틸, 아크릴산 tert-브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 산도데실, 아크릴산세틸, 아크릴산 히도록시에틸, 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 n-브틸, 메타크릴산 제3브틸, 메타크릴산 2에틸핵실, 메타크릴산도데실, 메타크릴산세틸,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스틸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틸렌등의 스틸렌계단량체,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브구리로니틀, 비닐스테아레이드, 아크릴알코올,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등이 있다. 상기 단량체는 상기 수용성생성물(고형분농도 8-60중량%)의 고형분 20-80중량부, 바람직한 것은 35-70중량부에 대하여, 20-80중량부, 바람직하기는 30-65중량부로 사용된다. 단량체가 20부 미만이면 수용성생성물의 개질의 효과가 작고, 한편 80부를 넘으면, 얻어지는 분산액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분리, 응집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또 수용성 반응생성물의 고형분농도 8-60%는, 분산중합체의 미세한 입자를 얻기 위한 필요한 범위이며 이범위외에서는 미세한 입자가 얻어지기 곤란하다.
본 발명의 수분산중합체 조성물은 유화, 분산안정제로서, 상기 수용성생성물의 존재하에서, 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성단량체를 공지의 유화중합, 현탁(懸濁) 중합법에 의한 중합으로 얻어지나, 특히 유화 중합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중합법에 의한 경우, 반응매체로서, 수용성 아미노수지를 용해한 물 또는 물과, 수혼화성 유기용제(예컨대,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제3-브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코올, 글리세린, 디글리코올, 에틸렌글리코올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코올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코올모노브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코올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코올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코올모노브틸에테르등)와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중합개시제로는 통상의 예컨대 과황산칼륨, 또는 암모늄, 과산화수소, 과탄산염과 같은 무기의 퍼옥사이드화합물, 아실퍼옥사이드(예로 과산화벤조일) 알킬히드로퍼옥사이드(예로 제3급 브틸히드로퍼옥사이드, P-메탄히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퍼옥사이드(예로 디 제3급 브틸퍼 옥사이드)와 같은 유기퍼옥사이드 화합물이 쓰여진다. 또 무기, 유기의 퍼옥사이드 화합물은 환원제와 조합시켜서 레독스 촉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환원제로는 예컨대 아황산 나트륨산성아황산나트륨등이 있다.
중합온도 또는 중합개시제의 양과 종류는 반응매체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되지만 대개는 중합온도로서 40-130℃ 바람직한 것은 50-100℃의 범위이고, 중합개시제는 단량체에 대하여 0.5-4.5중량% 바람직한 것은 0.5-3중량%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얻어지는 수분산체는 저분자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더우기 수지의 분자량이 크고, 수지농도가 높으므로, 종래의 수용성 수지 단독 또는 중합성 단량체의 유화중합으로 얻어지는, 수분산체에 비하여, 피막의 내수성 물리특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산 피복용 조성물은 물 또는 물-수혼화성 유기용제 혼합계에 분산하며, 또 용이하게 물 또는 수혼화성 유기용제에 의하여 희석되고, 상온에서 안정하며 가열에 따라 속히 경화되고, 피막으로서 뛰어난 경도, 내후성(耐候性), 내오염성, 밀착성, 내충격성, 내수성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피복용조성물의 구성성분의 하나인, 수용성 고분자중합체로서 그 자신이 수용성이며, 중화할 필요가 없는 고분자중합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결함을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무수말레인산과 초산비닐,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비닐에테르 또는 아크릴산 메틸과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톨리돈 혹은 아크릴산과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피리딘과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혹은 이들의 유도체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등을 사용한 경우, 경화촉진에, 산성촉매가 사용가능하며, 따라서 가열건조의 온도저하나 상온 경화가, 가능하게 된다.
산성촉매로는, 무기 및 유기산 및 무기 또는 유기염(예컨대 염산, 인산, P-톨루엔설폰산, 의산 트리브틸포스페이트, 염화암모늄, 히드록시아민염산염, 모르폴린 염산염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피복용 조성물은 피복제로서 유용한 것이며, 강판(鋼板), 알미늄, 아연, 동, 목재(합판 포함), 슬레이트등의 마무리 완성제로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목공가구용 피복제로서 유용한 것이다.
피복용 조성물은 통상의 도장방법, 예컨대 부랏쉬도장, 스프레이(spray)도장, 정전(靜電)도장, 풀로우 코우터(Flow Coater), 로울코우터(roll coater)도장등에 사용된다.
또한 피복용 조성물은 투명한 피복제로서 사용하는 이외에 안료, 염료, 아연, 알미늄, 동 등의 휠러(Filler)를 배합한 조색용 피복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실시예 1]
교반봉, 온도계, 냉각관, 적하(滴下) 깔때기를 갖춘 4개구 플라스크(내용량 1,000ml)에 멜라민 55g, 80% 파라포름 알데히드 99g을 평량하여 1% 탄산소다 약 3g로서, pH를 9로 조정하여 90℃로 30분간 가열한다. 이어 수산 약 3g을 가하여 pH 5.5로 조정하여 90℃로 60분간 반응시켜 메탄올 희석율 100%의 수용성 멜라민 수지를 얻는다.
따라 교반봉, 온도계를 비치한 4개구 플라스크(내용량 300ml)에 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코올 62.5g와 무수 말레인산 15.3g을 평량하여 19℃에서 2.5시간 반응시켜, 산기 120, 물 희석율 200%의 폴리 에스테르 수지를 얻는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75g을 앞서의 반응용기에 가하여 물 255g으로 희석하고 1.0%의 탄산소오다 약 2g로 pH 7.5로 조정하여 고형분 89.0%의 수용성 생성물을 얻는다. 이 반응계를 60℃오 유지하여 물 100에 용해시킨 과황산칼륨 4.2g을 가하고 즉시 스틸렌 60g, 아크릴산 브틸 80g,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60g, 메타크릴산메틸 30g을 혼합한 것을 적하 깔때기로 60분간에 걸쳐 적하시키고, 다시 같은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킨다. 다음으로 계(系)의 온도를 80℃로 승온시켜 다시 2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49.2%, 점도 : 가아드너(Gardner)G의 분산중합물 954g을 얻는다.
[실시예 2]
교반봉, 냉각관, 온도계, 적하깔때기를 갖춘 4개구 플라스크(내용량 1000ml)에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아미노수지를 물로 고형분 31%에 조정한 것 555g을 평량하여 무수말레인산/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제네랄 아닐린사제, 상품명 GANTREZ AN) 55g을 가하여 용해시켜 불휘발분 42%(253g)의 수용성 생성물용액을 얻었다. 반응계의 온도를 60℃에 유지하고 물 100g에 용해시킨, 과황산칼륨 4.2g을 가하고 즉시 스틸렌 60g, 아크릴산브틸 80g,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60g, 메타크릴산메틸 30g을 혼합한 것을 적하깔때기로 60분간에 걸쳐 적하하고, 다시 같은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킨다. 그 다음계의 온도를 80℃로 승온시켜 동 온도에서 다시 2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 48.6%, 점도 : 가아드너 I의 분산중합물 940g을 얻는다.
[실시예 3]
교반봉, 냉각판, 온도계, 적하깔때기를 갖춘 4개구 플라스크(내용량 1000ml)에 실시예 1로 얻은 수용성 아미노수지를 고형분 31%에 조정한 것 555g을 평량하여, 폴리비닐알코올(니혼 고오세이 가가구 고오교샤제 상품명 고오세노올) 55g을 가하여 불휘발분 42%(253g)의 수용성 생성물 용액을 얻는다. 반응계의 온도를 60℃로 유지하여 물 100g에 용해시킨 과황산칼륨 4.2g을 가하는 즉시 스틸렌 60g, 아크릴산브틸 80g,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60g, 메타크릴산메틸 30g을 혼합한 것을 적하깔때기로 60분간에 걸쳐 적하하고, 다시 같은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킨다. 다음에 계의 온도를 80℃로 승온하여, 다시 2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 48.6%, 점도 : 가아드너 G의 분산중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4]
교반봉, 냉각판, 온도계, 적하깔때기를 갖춘 4개구 플라스크(내용량 1000ml)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용성 아미노수지를 물로 고형분 32%로 조정시킨 것 560g을 평량하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유니온 카아바이트사제 상품명 CELLOSIZE) 35g을 가하여 불휘발분 35%(208g)의 수용성 생성물용액으로 하고, 다음에 반응계의 온도를 60℃로 유지하고 물 100g에 용해한 과황산칼륨 4.2g을 가하는 즉시 스틸렌 60g, 아크릴산브틸 80g,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60g, 메타크릴산메틸 30g을 혼합한것을 적하깔때기로 60분간 적하하고, 다시 같은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킨다. 다음에 계의 온도를 80℃로 승온하여 또다시 2시간 반응시킨다. 고형분 : 47.6%, 점도 : 가아드너 F의 분산중합물 922g을 얻는다.
[비교예 1]
프탈키드 133-60(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야자유변성 알키드수지의 용제용액) 70중량부와 멜란20(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브톡시 메틸올 멜라민의 용제용액)30중량부를 혼합한다.
[비교예 2]
프탈키드 2464(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사끼가이샤제 상품명, 열경화 아크릴수지의 용제용액) 70중량부와 멜라민 20,30중량부를 혼합한다.
실시예 1-실시예 4 및 비교예 1-비교예 2의 각 수지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루틸형 티탄백 67중량부를 혼합하여 백색에나멜로 하였다. 강판상에 130℃로 40분간 가열 접착시킨때의 도막의 특성을 표 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1
광택 수워드록커(Sward Rocker)치, 내충격시험은 JIS-K-5400에 준거하였음.
에리크센은 JIB-B-7729, JIS-K-7977에 준거함, 내비등수성(耐沸騰水性)은 비등수(沸騰水)(98℃<)에 담겨, 부풀음, 박리(剝離), 광택의 변화등에 관해서 관찰하였다. 내오염성은 루-즈에 의한 오염성을 20℃, RH 75%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오염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10% NaOH는 20℃, RH 75%의 환경에서 스팟트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분명하게 본 발명의 초성물에서 얻어진 피막은 종래의 용제용 멜라민 아크릴수지 조성물의 그것에 못지 않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였다.
[실시예 5]
냉각관, 교반봉, 온도계, 적하깔때기를 갖춘 4개구 플라스크(내용량 1000ml)에 물 110gr, 요소 45gr 멜라민 21gr 80% 파라포름알데히드 140gr을 평량하여 10% 탄산소다 4gr로 pH 9.0에 조정하여 80℃로서 30분간 반응시킨다. 이어서 온도 104℃로 올려 50cc 탈수한다. 이어 온도를 80℃로 내려 메탄올 104gr를 가하여 수산 약 2gr로 pH 5.0에 조정하여 60분간 반응시켜 수용성 아미노 수지를 만든다. 따로 아크릴 아미드 15gr, 아크릴산 15gr, 이소프로필 알코올 10gr, 물 80gr, 과황산칼륨 0.2gr를 가하여 70℃에서 6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계의 온도를 60℃로 내리는 동시에 10% 탄산소다 3gr로 pH 9.0에 재조정한 다음 상기 수용성 아미노 수지와 혼합하여 불휘발분 40%(190g)의 수용성 생성물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물 50gr에 용해한 과황산칼륨 1.0g을 가해서 즉시 아크릴니트릴 20gr 아크릴산 브틸 50gr, 스틸렌 20gr의 혼합물을 적하깔때기로 40분간 적하하고 다시 같은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을 시켜 계의 온도를 80℃로 승온하고, 다시 이 온도에서 180분간 반응을 계속하여 고형분 : 45.2%, 점도 : 가아드너 F의 분산중합물 618gr을 얻는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얻은 수용성 아미노수지를 고형분 45%로 조정한 것 350gr을 평량하여 여기에 실시에 1에서 얻은 폴리에스테르수지 40gr을 가하여 산을 약 1gr에서 pH 5.0으로 조정하여 불휘발분 45%(180g)의 수용성 생성물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물 100gr에 용해한 과황산 칼륨 1gr을 가하여 즉시 아크릴니트릴 20gr, 아크릴산브틸 50gr, 스틸렌 20gr의 혼합물을 적하깔때기로 40분간 적하하고, 다시금 같은 온도에서 60분간반응을 계속하여, 계의 온도를 80℃로 승온하고 다시 온도에서 180분간 반응을 계속하여 고형분 : 46%, 점도 : 가아드니 F의 분산중합물 587gr을 얻는다.
[비교예 3]
프랄키드 133-60, 55중량부와 멜란 11(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브톡시메틸을 요소의 용제용액) 45중량부를 혼합한다.
실시예 5-6, 비교예 3에 촉매로서 P-톨루엔 설폰산(메탄올 50% 용액) 5중량부를 혼합한다. 이것들을 합판상에 부랏쉬하여 3일간 방치후의 도막의 성질을 표 2에 표시한다.
[표 2]
Figure kpo00002
스워드록커치, 충격, 내수성은 JIS-K-5400에 준거함.
5% NaOH는 20℃, RH 75%의 환경에서 스팟트 시험함.
오염성은 장유(醬油)에 의한 오염성을 20℃, RH(상대습도) 75%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후의 오염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아세톤 저항성은 스팟트시험을 행하였다.

Claims (1)

  1. 물 또는 물-수혼화성 유기응제 혼합계에 용해한 수용성 아미노수지의 고형분 60-98중량%와 수용성 고분자중합체의 고형분 2-40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고형분 농도 8-60중량%를 가진 수용성 생성물의 고형분 20-8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20-80중량부를 상기 수용성 생성물의 존재하에서 중합개시제에 의하여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수분산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피복조성물(被覆組成物).
KR7404324A 1974-12-21 1974-12-21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KR81000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4324A KR810000415B1 (ko) 1974-12-21 1974-12-21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4324A KR810000415B1 (ko) 1974-12-21 1974-12-21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415B1 true KR810000415B1 (ko) 1981-04-29

Family

ID=1920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4324A KR810000415B1 (ko) 1974-12-21 1974-12-21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4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739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
US11643495B2 (en) Acrylic emulsions modified with functional (meth)acrylates to enable crosslinking
US447762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dispersions
CS232727B2 (en) Method of making aqueous dispersion of film-forming polymere
SI960004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mulsifier-free aqueous polymer dispersions
FI59258B (fi) Flytande ljusaekta lackkomposition av ett fenol-formaldehydharts och ett genomsynligt belaeggningsaemne
US4110291A (en) Copolymer emulsions for thickening acrylic polymer latices
US7338986B2 (en) UV curable low gloss additives for overprint varnish coating formulations and coatings therefrom
JPS5823847A (ja) 繊維素誘導体含有エマルシヨン組成物
US4049607A (en) Heat convertible coating compositions
JPH09503248A (ja) 水性ポリマー調合剤
JP2001519451A (ja) 擦り耐性ラテックス
KR810000415B1 (ko) 수분산계 피복조성물
JPH02238069A (ja) 水溶性多価金属化合物を含有する改善された含燐重合体組成物
JPH0674369B2 (ja) ビニル共重合体樹脂水分散液の製法
JP3895827B2 (ja) 共重合体水分散液及びこれを含む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
JPH07247460A (ja) 水性被覆材組成物
NO162969B (no)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stabile vandige dispersjoner av ketonharpikser, og anvendelse derav.
JP2871248B2 (ja) アミノ樹脂水性分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硬化性水性塗料
JPS6318632B2 (ko)
JPH0140846B2 (ko)
JPS598307B2 (ja) ネツコウカセイヒフクソセイブツ
JP2000204223A (ja) 一液架橋型樹脂組成物
JPS591754B2 (ja) スイセイヒフクソセイブツ
JPS591755B2 (ja) ミズブンサンセイヒフクソセイブ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