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994Y1 -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 Google Patents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994Y1
KR800001994Y1 KR7904914U KR790004914U KR800001994Y1 KR 800001994 Y1 KR800001994 Y1 KR 800001994Y1 KR 7904914 U KR7904914 U KR 7904914U KR 790004914 U KR790004914 U KR 790004914U KR 800001994 Y1 KR800001994 Y1 KR 800001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utton
spring
closing
protru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순
Original Assignee
임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순 filed Critical 임장순
Priority to KR7904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9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제 1 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중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중 B-B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중 C-C선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본 고안은 수도전의 개폐변을 2개의 보턴으로 개폐될수 있게한 보턴개폐식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회전식 또는 레버식과는 달리 유출량을 보턴을 누르는 회수에 따라 2-3가지 정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도 3개의 보턴을 수직으로 눌러 크고작은 2개의 통수공을 각각 개폐함으로서 유출량을 2가지로 구분할 수 있게 한 것이 있었으나, 이들은 계속 눌러주고 있는 상태에서 물이 나오는 구조이고 그 구조는 많은 스프링의 탄발력만을 이용한 것이어서 장기 사용시 탄성노화로 인한 동작의 결함이 생겨 수명이 짧고 수압이 개전되는 쪽에 집중되어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 중앙의 용출부에 유출공(2)(2')이 천설된 공지의 수도전 몸체(1)상부에 사각통체(3)를 연설하여 중앙에는 스프링(4)이 상부에 권삽되고 링패킹(5)이 하부에 착설된 승강축(6)일측에 락크치차(7)를 형성하고, 그 승강축(6) 하단에는 상하밸브(8)(8')가 밸브시트(9)(9')에 착지된 밸브 삽지축(10) 상단부를 나착체결하여 유출공(2)(2')을 각각 개폐토록하고 락크치차(7) 일측으로는 축수(11)(11')에 축설한 회동축(12)에 3개의 일방치차(13)(13')를 축설하되 중간부 일방치차(13)는 승강축(6)의 락크치차(7)와 치합 구동되게하며, 회동축(12)전방에는 하부가 유동되게 축삽된 기복편(14)을 스프링(17)을 걸어 보턴쪽으로 탄발되게 탄설하고, 상부에 "ㄱ"자형 치차회동구(15)를 축핀(16)으로 유착하되 스트링(17')을 걸어 선단 겉고리부(15')가 전방 일방치차(13')의 치편에 탄접되게하며, 후방축수(11')에는형 멈치구(18) 중간부를 축핀(16')으로 유착하되 스프링(17")을 걸어 하단걸고리부(18')가 후방일방치차(13")의 치편에 탄접된 상태로 걸어 주도록하고, 일방치차군과 사각통체(3) 벽면에는 2개의 개전 및 폐쇄용 보턴(19)(19')을 설치하되 개전용 보턴(19)은 그 선단의 돌출봉(20)을 기복편(14)상부에 탄접시키고, 폐쇄용 보턴(19')은 그선단의 돌출봉(20)을형 멈치구(18) 상단부 전방에 근접되도록하고, 이에 별도의 "ㄴ"자형 돌출봉(20")을 연설하여 그 선단을 치차회동구(15)의 굴곡부선단 전방에 근접시킨 구조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3'는 뚜껑, 21,21'는 복귀스프링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도관에 설치 사용하게 되는데 그 사용시 개전할 때 개전용 보턴(19)을 누르면 그 선단의 돌출봉(20)이 기복편(14) 상단을 밀어 기복편(14)만이 회동축(12)을 기점으로 회동되나 이에 유착된 "ㄱ"자형 치차회동구(15)선단의 겉고리부(15')가 전방 일방치차(13')의 치편을 밀어 회동시키므로 그 회동축(12)은 이에 축착된 일방치차(13')가 회동된만큼 회동되고 따라서 동축에 축착된 중간일방치차(13)가 동시에 회동하면서 승강축(6)의 락크치차(7)를 밀어올려 하부에 연착된 상하 밸브(8)(8')가 동시에 개전된다.
이때 보턴(19)을 놓으면 보턴(19)을 복귀스프링(21)(21')에 의해 원위치로 탄발되고 하부가 회동축(12)에 유삽된 기복편(14)은 스프링(17)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며 동시에 "ㄱ"자형 치차회동구(15)는 선단이 치차표면을 미끄러져 원위치된다.
이때 개전정도는 개전보턴(19)을 눌러 주는 회수에 따라 승강축(6)의 승강정도가 달라지고 따라서 상하밸브(8)(8')는 유출공(2)(2')을 열어주는 정도에 차이가 생겨 유출량이 조절된다.
폐쇄시킬때 폐쇄보턴(19')을 누르면 그 선단의 돌출봉(20')은형 멈치구(18) 상단에 눌러주고 "ㄴ"자형 돌출봉(20")은 "ㄱ"자형 치차회동구(15) 후단을 밀어 그 선단의 걸고리부(18')(15')가 전후방의 일방치차(13')(13")를 걸고 있는 상태를 풀어 주게하여 승강봉(6)이 스프링(4)에 의해 하향탄발되어 다시 상하 밸브(8)(8')가 유출공(2)(2')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돌출봉(20')(20")의 동작은 돌출봉(20")이 약간 먼저 "ㄱ"자형 치차회동구(15)를 동작시키는 것이 역회동하기에 좋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작용으로서 2개의 유출공(2)(2')을 상하로 동시 개전시킴으로서 수압을 분산하여 부분품에 무리한 작동을 없애고 폐쇄시 적은 힘으로 폐쇄할 수 있으며 유출량을 다종으로 구분 유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치차를 이용함으로서 그 동작이 원활하고 정확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도전 몸체(1)의 사각통체(3) 중앙에 락크치차(7)가 형성된 승강축(6)을 스프링(4)으로 하향 탄설하여 그 하부에 착설된 상하 밸브(8)(8')가 유출공(2)(2')을 동시에 개폐토록 공지의 것에 있어서, 락크치차(7)일측에 설치한 회동축(12)에 3개의 일방치차(13)(13')(13")를 축설하여 중앙일방치차(13)는 락크치차(7)와 치합하며 전방 인방치차(13)에는 스프링(17)으로 탄설되고 개전용보턴(19)의 돌출봉(20)에 밀려작동되는 기복편(14)의 "ㄱ"자형 치차회동구(15)의 걸고리부(15')를 탄접시키며 후방 일방치차(13")에는 스프링(17")으로 탄설되어 폐쇄용 보턴(19')의 돌출봉(20)에 밀려 작동되는형 멈치구에(18)의 걸고리부(18')를 탄접시키며 돌출봉(20") 선단은 치차회동구(15)의 굴곡선단 전방에 근접시켜서 된 보턴 개폐식 수도전.
KR7904914U 1979-08-17 1979-08-17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KR800001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914U KR800001994Y1 (ko) 1979-08-17 1979-08-17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914U KR800001994Y1 (ko) 1979-08-17 1979-08-17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994Y1 true KR800001994Y1 (ko) 1980-12-12

Family

ID=1921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914U KR800001994Y1 (ko) 1979-08-17 1979-08-17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9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634827A1 (de) Selbstschlussventil fuer sanitaere anlagen
EP0915210A2 (de) Ablaufventil für Spülkästen
KR800001994Y1 (ko) 보턴 개폐식 수도전(栓)
US3936889A (en) Toilet flush mechanism
DE19748622A1 (de) Spülkastenablaufgarnitur
CN2138217Y (zh) 流量可调式脚手通用阀
DE361645C (de) Mit Gegendruckkammer und Druckentlastungsventil versehenes Durchgangsventil
DE873379C (de) Zuflussventil mit Schwimmersteuerung fuer Fluessigkeitsbehaelter, insbesondere Abortspuelkaesten
US2202249A (en) Mixing valve
AT139069B (de) Meß- und Zapfpumpe.
JPH0442627Y2 (ko)
DE1550313A1 (de) Sicherheitsventil
US3464595A (en) Liquid dispensing device
KR800001670Y1 (ko) 수 도 전
DE363813C (de) Im Ruhezustande wasserleerer Abtrittspuelkasten
KR830001265Y1 (ko) 이중밸브형 꼭지
DE741676C (de) Messstoepsel fuer Likoer- o. dgl. Flaschen
DE40689C (ko)
DE321218C (de) Klosett mit einer umklappbaren, als Geruchverschluss wirkenden Schuessel
DE3002381A1 (de) Klosettspuelkasten
KR890006563Y1 (ko) 자동 단수 장치
KR830001268Y1 (ko) 수도전
JPS6116457Y2 (ko)
DE605004C (de) Auslaufhahn
KR810002416Y1 (ko) 수도콕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