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880Y1 - 배관부품(配菅部品) - Google Patents

배관부품(配菅部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880Y1
KR800001880Y1 KR7905647U KR790005647U KR800001880Y1 KR 800001880 Y1 KR800001880 Y1 KR 800001880Y1 KR 7905647 U KR7905647 U KR 7905647U KR 790005647 U KR790005647 U KR 790005647U KR 800001880 Y1 KR800001880 Y1 KR 800001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fluid
branch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5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오 기가와
마사소우 사사노
다게시 이시하라
요시도 세도
Original Assignee
히로 게이다로우
구보다뎃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 게이다로우, 구보다뎃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 게이다로우
Priority to KR7905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관부품(配管部品)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배관도.
제 2 도는 동 배관부품의 일부절결 측면도.
제 3 도는 동 평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A-A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B-B 단면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요부정면도.
제 7 도는 횡단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9 도는 동 평면도.
제 10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관접합부를 장착한 예의 일부절결 정면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평면도.
제 12 도는 제 10 도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 13 도는 제 10 도의 부분측면도.
본 고안은 배수계통에 사용되는 배관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배수관에 필요로 되었던 통기관의 제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배수관속에 배수되는 사용수(使用水)에 의하여 관내에서 발생하는 불괘음을 제거하고, 또한 중고층(中高層) 건축물에 있어서 입관내(立管內)에 발생하는 고부하(高負荷)에 의한 트랩(Trap)에의 악영향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용 배관은 입관(立管)과 횡지관(橫枝管)을 Y자관, T자관 등의 접속관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입관은 배수량, 냄새방지, 통기성능 등에서 중고층 건축물의 경우, 잡(雜)배수용관, 오수관(汚水管), 통기관의 3종류의 관을 채용하거나, 배수관과 통기관에 의한 2종류의 관을 채용(採用)하는 소위 합류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배수배관에서는, 특히 중고층 건축물의 경우, 입관내의 고부하(高負荷)시에 있어서 각종의 위생주방 기기류의 봉수(封水)장치의 트랩에 그 깊이 이상의 압력변화가 생겨서, 충분한 봉수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 특히 저층(低層)에서의 사용배수에 의한 발생음은 상상하는 이상이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파이프축 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파이프축을 착설한다해도 관내를 유하(流下)하는 유체음(流體音)에 대하여 아무런 효과가 없다.
따라서 발생음의 해결에 대하여는 발생원을 어떻게 없애는 가에 달려있으며, 이것없이는 근본적인 해결을 하등 바랄수 없는 것이다.
이런 것을 해결하는 배관으로서, 입관의 배수의 유속저하(流速低下) 효과 및 입관이 고부하(高負荷)일때, 횡지관에 배설된 봉수장치의 효과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횡지관과 입관과의 접속 상당위치에 방해판을 착설하는 수단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것 또한 아직 완전하다고 단언할 수 없고, 특히 일관식(一管式)합류방식의 채용에는 의문점이 많다.
또한 배수관에 통기관을 사용한 것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것은 배관부품이 고가가 되어, 그 시공에는 시간을 요하며, 파이프축 등의 필요공간도 크게되어서 한정된 공간의 효과적 사용이 곤란한 것이며, 통기관자체의 부식의 위험을 초래하기 쉬우며, 또 관내 공기압의 현저한 변동이나 자체 사이펀 등에 의한 트랩의 봉수파괴가 발생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려고 신규로 창작된 것으로서, 그 특징적 구조는, 상하의 개구(開口)접합부와, 이 개구접합부 사이에 형성된 대경(大徑)의 주관부와, 이 주관부에서 상기 각 개구접합부에 향해감에 따라서 가늘어지도록 형성된 상하의 끝이 가늘어진 모양의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관부에, 지관접합부를 개구(開口)접합하고, 상기 주관부 내벽에는 지관접합부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유체(流體)에 원심작용을 부여하기 위한 날개체를 착설한 점에 있다.
다음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에 의하여 상술하고, 상기 본 고안의 목적 및 그 목적달성을 위한 구조 등을 명백히 하겠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배관부품을 사용하여 중고층 건물에 배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1)은 입관이며 이것은 각 슬라브(2) 상당위치에서 배관부품(3)에 의해 접합되고, 이 배관부품(3)에는 횡지관(4)을 개재하여 싱크대(5), 세면기(6), 변기(7)등의 각종 위생주방기기류가 연통 연설된다.
또한 배관부품(3)은 상기 슬라브 상당위치에 횡지관분기 상당위치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배관부품(3)은 제 2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의 입관(1)(1)을 접합시킬 개구접합부(8)(9)와, 이 개구접합부(8)(9)사이에 형성된 대경(大徑)의 주관부(10)와, 이 주관부(10)로부터 상기 각 개구접합부(8)(9)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된 끝이 가늘어진 모양의 테이퍼부(11)(12)를 구비하고, 주관부(10)의 상단 근처에는 횡지관(4)을 접합시킬 지관접합부(13)가 이 주관부(10)의 중심을 향하여 개구 접합된다.
상기 주관부(10)는 개구접합부(8)(9)와 횡단면 형상에 있어서 동심(同心)상으로 되고, 또한 그 내경은 개구접합부(8)(9)에 대하여 1.2∼2.0배 정도로 되어있다.
또 테이퍼부(11)(12)는 주관부(10)의 관축심(管軸心)에 대하여 25∼60°의 끝이 가늘어진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관접합부(13)는 주관부(10)에 대하여 그 축심에 직교(直交)하는 수직방향에 위치시켜지며, 또한 이 지관접합부(13)의 수구(受口)(14) 내경은 주관부(10) 내경보다도 작게되어 있다.
주관부(10)의 내벽에는, 지관접합부(13)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유체에 원심작용을 주기위한 날개체(15)가 10∼60°의 하향구배를 갖고 또한 내벽을 따라서 1/2∼1원주에 걸쳐서 나선형상으로 장착되고, 또, 이 날개체(15)의 시단부(始端部) 및 종단부(終端部)는 각기의 선단으로 이등됨에 따라서 내벽측을 따라서 좁아지게 되도록 구성한다.
날개체(15)의 단면(斷面)은 관축심에 대하여 90°± 5°의 각도로 되어있으며, 그 최대폭 X는 이것의 단부 가장자리에서 이 단부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관내벽까지의 거리 Y가 입관(1)(1)의 내경보다도 동등(同等)이상이 되게 형성되고, 또한 주관부(10) 내벽에서 개구접합부(8)(9)의 내벽까지의 거리 Z보다도 크게 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지관부 접합부(13)의 주관부(10)에 대한 개구단부(16)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부의 테이퍼부(11)를 따라서 유하(流下)된 유체를 주관부(10)내에도 인도하기 위한 도수판(導水板)(17)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이 도수판(17)은 도시한 것과 같은것 혹은 초생달 모양의 것으로 된다.
또 개구단부(16)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지관접합부(13)로부터의 유체가 날개체(15)위에 유하(流下)되게 곡면(18)이 형성되며, 이 곡면(18)은 대경부(10)에 대하여 10R∼100R의 곡율(曲率)을 나타내나, 수평상태로부터 60°정도까지의 경사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하면, 횡지관(4)으로부터 흘러들어온 유체는 지관접합부(13)를 거쳐 그 곡면(18)으로부터 주관부(10)내에로 유입하여 날개체(15)위에 흘러서 떨어진다.
주관부(10)는 상하의 입관(1)보다도 1.2∼2.0배로 되고 충분한 공간이 있기 때문에, 횡지관(4)으로부터의 유체는 그 유압부에 있어서 주관부(10)를 봉수(封水)하는 일없이, 또 위쪽의 입관(1)으로부터의 유체에 의해서 저해됨이 없이 유입할 수 있다.
이와같이하여 날개체(15)위에 흘러 떨어진 유체는, 그 대부부분이, 날개체(15)의 원심작용을 받아서 강제적으로 선회시켜지기 때문에, 잔여유체도 그 선회하는 유체에 의해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선회력이 주어져서 내벽에 뿌려지면서, 하부의 테이퍼부(12)의 끝이 가늘게된 형상의 내벽에서 소용돌이 형상으로 되어서 개구접합부(9)에서 아래쪽의 입관(1)내에로 도입된다.
따라서 날개체(15)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관벽(管壁)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유하시켜지는 동안에, 유체는 그 유하속도가 제어된다.
또 동시에 유체는 층류(層流)로 되기때문에, 공기와 완전히 분리되어서 주관부(10) 및 상하의 입관(1)(1)의 중앙에 상하로 연속된 공기층이 형성되어, 입관(1)의 최상부에 개방된 대기에 연통한다.
그러므로 관내 공기압력의 발생이 적어져서, 입관내의 고부하를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하유체에 의한 발생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원리에 의해서 입관(1)내에도 도입된 유체는 그 속을 선회층류(旋回層流)로 되어서 유하한 후, 개구접합부(8)에 도달한다.
그리고 그 유량이 통상의 경우에는, 상부의 테이퍼부(11)가 25°∼60°의 적당한 테이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내벽을 따라서 주관부(10) 내벽으로 도입된다.
이 경우, 개구단부(16)에는 도수판(17)이 동설되고 또한 곡면(18) 혹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유체는 지관접합부(13)에 유입되는 일이 없으며, 또 여기서부터 유체의 주관부(10)내로의 유입의 저지되는 일없이 유하한다.
유량이 매우 많은 경우에는, 관 중심부로부터의 일부의 유체가 테이퍼부(11) 내벽을 따르지 않고 수직으로 유하된다.
그리고 어느쪽의 경우에도 이 유체는 주관부(10)의 하부에 있는 날개체(15)에 의해서 선회력이 부여되어, 유속(流速)이 감속되면서 내벽을 따라서 하부의 테이퍼부(12)로부터 아래쪽의 입관(1)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통기관을 사용하여 일없이 입관(1)내의 고부하를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배수음(排水音)을 저하시켜, 횡지관(4)으로부터의 유체를 적절히 주관부(10)내에 유하시킬 수가 있고, 세면장, 변기등의 각종 위생주방기구에서의 트랩의 봉수효과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관접합부(13)는 주관부(10)의 중심을 향하여 또한 좌우대칭으로 2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각 횡지관(4)이 동일 축심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7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각 실의 변기(7)등을 대칭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시공이 간단하다. 또 배관부품의 설치공간도 작게하여도 된다.
제 8 도, 제 9 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것은 지관접합부(13A)(13A),(13B)(13B)를 상하 2단으로 배치하고 있다. 위쪽의 지관접합부(13A)(13A)는 주로 좌우의 주거로부터 화장실등의 오수배수(汚水排水)를 받아넣고, 아래쪽의 지관접합부(13B)(13B)는 부억등의 잡(雜)배수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때 위쪽의 지관접합부(13A)에서 주관부(10)에 유입한 배수가 포물선을 그리며 유하하여 아래쪽에 대면하는 지관접합부(13B)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들면 배수의 유속(流速)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곡면(18A)의 크기를 바꾸어서 배수가 꼭 날개체위에 유하하도록 하면 좋은 것이다.
하부의 지관접합부(13B)(13B)의 곡면(18B)(18B)은 작게하고, 상부의 지관접합부(13A)(13A)의 곡면(18A)(18A)은 크게하여 각 지관접합부로 부터의 유체가 날개체(15)위로 유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관접합부는 상기 같이 상하 2단으로 하고, 그 상하의 접합부의 방향이 직교(直交)하도록 한 배치관계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그 수는 필요에 따라서 적의 결정하면 된다.
또 지관접합부는 상기의 예에서는 주관부(10)에 대하여 그 중심부를 향해서 개구 접합되어 있으나, 그외에, 중심에서 편심(偏心)시켜서 개구 접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제 10 도, 제 11 도, 제 12 도, 제 13 도에는 주관부(10)에 대하여 접선(接線)방향으로 한쌍의 지관접합부(13A)(13A)를 장착한 예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지관접합부(13A)(13A)를 접선방향으로 장착한 경우에는, 횡지관(4)4)을 거쳐온 유체는 주관부(10)에 대하여 그 접선방향으로부터 주관부(10)내에 유입하기 때문에, 유체의 선회력이 증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그 실용적 가치는 극히 큰 것이다.
1. 주관부를 대경(大徑)으로 구성하고 있기때문에, 종래의 입관과 같은 직경의 배관부품과 비교하여, 횡지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배관부품내에서 봉수(封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입관부 내벽에 날개체를 장착하여도 상하 입관의 직경이상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2. 주관부 상단에 위쪽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진 형상의 상부 테이퍼부가 있으므로, 위쪽의 입관으로부터 유하되어온 유체를 이 테이퍼부를 따라서 주관부 내벽으로부터 날개체에 도입할 수가 있다.
3. 주관부 하단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진 형상의 하부 테이퍼부가 있으므로, 날개체에 의해서 선회력이 부여된 유체를 층류(層流)로 하고, 보다 강력하게 관내벽에 밀착시켜, 동시에 유하속도를 저하시켜서 관내 압력부하를 줄일 수가 있다.
4. 주관부 내벽에, 지관접합부 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유체에 선회력을 부여하는 날개체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서 유하유체에 선회력을 부여하여, 관내벽을 따라 유하시키는 것에 의해, 유체속도를 제어하고 또한 관증앙에 신정(伸頂)통기관과 통하는 공기층을 만들어, 관내 압력부하를 줄일 수가 있다.
5. 입관, 횡지관의 배관공정을 극히 용이하게 할수 있고, 더우기 종래 필요하였던 통기관을 폐지할 수 있으며, 일관(一管)에 의한 배관이 가능하게되고, 이것은 특히 고층건축에서의 배관중량, 배관비를 경감할 수 있는 점에서 현저하게 유리하다.

Claims (1)

  1. 상하의 개구접합부(8)(9)와 이 개구접합부(8)(9) 사이에 형성된 대경(大徑)의 주관부(10)와, 이 주관부(10)에서 상기 각 개구접합부(8)(9)로 향해갈수록 가늘게 되도록 형성된 상하의 끝이 가늘어진 형상의 테이퍼부(11)(12)를 구비하고, 상기 주관부(10)에 지관접합부(13)를 개구 접합한 배관부품에 있어서, 상기 주관부(10) 내벽에는 지관접합부(13)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유체에 원심작용을 주기 위한 날개체(15)를 착설하여서 되는 배관부품.
KR7905647U 1979-09-17 1979-09-17 배관부품(配菅部品) KR800001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5647U KR800001880Y1 (ko) 1979-09-17 1979-09-17 배관부품(配菅部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5647U KR800001880Y1 (ko) 1979-09-17 1979-09-17 배관부품(配菅部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0761 Division 1974-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880Y1 true KR800001880Y1 (ko) 1980-11-26

Family

ID=1921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5647U KR800001880Y1 (ko) 1979-09-17 1979-09-17 배관부품(配菅部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8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754A (en) Drainpipe joint
US2065523A (en) Method of uniting fluid streams and device therefor
JP2002302977A (ja) サイホン型排水システム
KR800001880Y1 (ko) 배관부품(配菅部品)
KR102205301B1 (ko) 벽걸이형 사이펀식 변기
JP2002294780A (ja) 排水合流管
JPS6026895B2 (ja) 排水トラツプにおける水封機能維持装置
JPH1143975A (ja) 浴室ユニットの浴槽排水構造
JPS6131539A (ja) 排水集合管
JPH11269951A (ja) 管継手
JPH0312846Y2 (ko)
US1204462A (en) Cesspool.
US2266035A (en) Plumbing
KR200376794Y1 (ko)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JP2000008468A (ja) 排水管用継手
JPS6243033Y2 (ko)
JPS5848468Y2 (ja) 排水集合管
JPS6323497Y2 (ko)
JP2944975B2 (ja) 排水用集合管
US3141472A (en) Trap and drain manifold
US1708381A (en) Drainage device
JPH07139019A (ja) 通気口付き管継手
JPS6329015Y2 (ko)
JPS6240229Y2 (ko)
KR880002486Y1 (ko) 저낙차 대 사이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