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682B1 -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682B1
KR800001682B1 KR7602070A KR760002070A KR800001682B1 KR 800001682 B1 KR800001682 B1 KR 800001682B1 KR 7602070 A KR7602070 A KR 7602070A KR 760002070 A KR760002070 A KR 760002070A KR 800001682 B1 KR800001682 B1 KR 80000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is
tert
hydrochloride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나토야 히로오키
프랭크린 터라 벤쟈민
도늘드 콘웨이 월터
Original Assignee
데이빗드 라슈
스터어링 드럭크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빗드 라슈, 스터어링 드럭크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데이빗드 라슈
Priority to KR760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682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온혈동물 내에서 오래 지속하는 교감신경흥분효과를 생성하는데 유용한 상응하는 알콜류를 제조하는데 중간물로서 필요한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콜의 에스텔은 유리염기 형태로 하기 구조식(I)을 갖는 α-(아미노-및 N-치환아미노-메틸-3,4디하이드록시벤질 알콜의 에스텔이다.
Figure kpo00001
구조식(I)에서 :
R은 tert-부틸이며 :
R1는 수소 또는 1-3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이며 :
Y는 1-22 탄소원자를 가진 알카노일, 4-22 탄소원자를 가지며 하나 또는 두개의 이중결합을 가진 알케노일, 4-10 탄소원자를 가지며 그 중의 3-7의 탄소원자가 사이클로알킬 내에 있으며 n은 0,1 또는 2인 사이클로알킬
Figure kpo00002
, 페녹시아세틸, 나프탈렌카보닐, 피리딘카보닐, n이 0,1 또는 2이며 페닐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1-4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 1-4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틸, 2-8 탄소원자를 가진 디알킬아미노, 또는 1-6 탄소원자구룹을 가진 알카노일아미노에 의하여 1-3개 치환된 페닐
Figure kpo00003
인 아실 멤버이며 :
Y1및 Y2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Y에서 정의한 아실멤버 중 어느 하나이며;
Y 및 Y1의 적어도 하나는 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R1이 구조식(I)에서 1-3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이면, 여기에는 메틸, 에틸, n-푸로필 및 이소푸로필이 포함된다.
Y, Y1또는 Y2가 구조식(I)에서 1-22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카노일이면, 여기에는 가지가 없거나 가지가 있는 알카노일, 양자가 포함되며 예를 들면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러릴, 이소발러릴, 2-메틸부타노일, 피발릴, 2-메틸펜타노일, 3,3-디메틸부타노일, 2,2-디메틸펜타노일, 도코사노일, 및 7,7-디-메틸옥사토일이다. 가지가 있는 (지상)알카노일기가 가지가 없는 알카노일기 보다 더 바람직하다.
Y, Y1또는 Y2가 구조식(I)에서 4-22 탄소원자를 가지며 하나 또는 두개의 이중결합을 가진 알케노일이면, 여기에는 예를 들면, 크로로닐, 9-옥타메카노일, 2,5-헥사디에노일, 3,6-옥사디에노일 10,13-옥타데카디에노일, 및 5,13-도코사디에노일이 포함된다.
Y, Y1또는 Y2가 구조식(I)에서 사이클로알킬
Figure kpo00004
이면 여기에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알칸카보닐 및 사이클로알칸알카노일기들이 포함되며 그것은 사이클로푸로판카보닐, 1-메틸사이클로푸로판카보닐, 사이클로푸로판아세틸, α-메틸사이클로푸로판아세틸, 1-메틸사이클로푸로판아세틸, 2-아밀사이클로푸로판아세틸, 사이클로푸로판푸로피오닐, α-메틸사이클로푸로판푸로피오닐, 2-이소부틸사이클로푸로판푸로피오닐, 2-헥실사이클로푸로판카보닐, 사이클로부탄푸로피오닐, 2-메틸사이클로부탄카보닐, 1,3-디메틸사이클로부탄카보닐, 3,3-디메틸사이클로부탄카보닐, 사이클로부탄아세틸, (2,2-디메틸-3-에틸사이클로부탄아세틸, 사이클로부탄푸로피오닐, 사이클로펜탄카보닐, 1-메틸-3-이소푸로필사이클로펜탄카보닐, 사이클로펜탄푸로피오닐, 사이클로헥산카보닐, 사이클로헥산아세틸, 4-메틸, 사이클로헥산아세틸, 사이클로헵탄카보닐, 4-메틸사이클로헵탄아세틸, 및 사이클로헵탄푸로피오닐이다.
Y, Y1또는 Y2가 구조식(I)에서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
Figure kpo00005
이면 여기에는 예를 들면 벤조일, 페닐아세틸, α-페닐푸로피오닐, β-페닐푸로피오닐, P-톨루일, m-톨루일, 0-톨루일, 0-에틸벤조일, P-tert-부틸벤조일, 3,4-디메틸벤조일, 2-메틸-4-에틸벤조일, 2,4,6-트리메틸벤조일, m-메틸페닐아세틸, P-이소부틸페닐아세틸, β-(P-에틸페닐)-푸로피오닐, P-아니소일, m-아니소일, 0-아니소일, m-이소푸로폭시벤조일, P-n-부톡시벤조일, 3-메톡시-4-에톡시벤조일, 3,4,5-트리메톡시벤조일, 2,4,6-트리에톡시벤조일, P-메톡시페닐아세틸, m-이소부톡시페닐아세틸, 3,4-디에톡시페닐아세틸, β-(3,4,5-트리메톡시페닐)푸로피오닐, 0-요도벤조일, m-부로모벤조일, P-클로로벤조일, P-불화벤조일, 2-부로모-4-클로로벤조일, 2,4,6-트리클로로벤조일, P-클로로페닐아세틸, α-(m-부로모페닐) 푸로피오닐, P-트리불화메틸벤조일, 2,4-디(트리불화메틸)벤조일, m-트리불화메틸페닐아세틸, β-(P-트리불화메틸페닐) 푸로피오닐, 2-메틸-4-메톡시-벤조일, 3-클로로-4-에톡시벤조일, β-(3-메틸-4-클로로-페닐) 푸로피오닐, P-디메틸아미노벤조일, m-디에틸아미노벤조일, P-디부틸아미노벤조일, P-(N-메틸-N-에틸아미노)-벤조일, 0-아세타미도벤조일, m-푸로피온아미도벤조일, P-헥사노일아미노벤조일, 3-클로로-4-아세타미도페닐아세틸, 및 P-아세타미도페닐푸로피오닐이 포함된다.
Y, Y1또는 Y2가 구조식(I)에서 나프탈렌카보닐이면, 여기에는 1-나프탈렌카보닐 및 2-나프탈렌카보닐이 포함된다.
Y, Y1또는 Y2가 구조식(I)에서 파이리딘보닐이면, 여기에는 피콜리노일(2-파이리딘카보닐), 니코티노일(3-파이리딘카보닐), 과 이소니코티노일(4-파이리딘카보닐)이 포함된다.
Y2가 수소인 상기한 구조식(I)의 상기 에스텔은 하기 구조식(III)의 유리염기 형태를 가진 에스텔케톤을 환원함으로 얻어진다.
Figure kpo00006
여기서 R, R1, Y 및 Y1은 각각 앞서 구조식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식(I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염기성 아미노기의 존재 때문에 상기 구조식(I)로 표시된 최종 생성물 및 본 발명의 하기 구조식(III)으로 표시되는 중간물의 유리염기 형태는 유기 및 무기산과 반응하여 산부가염을 형성한다. 산부가염 형태는 어떠한 유기 혹은 무기산으로도 만들어진다. 이들은 종래의 방법으로 얻어지며 예를 들면 염기를 산과 직접 혹합함으로서, 또는 이것이 부적당한 경우에는 염기 또는 산을 둘다 또는 그 중 하나를 물이나 유기 용매에 각각 녹여서 이 두 용액을 혼합함으로, 또는 염기와 산을 함께 한 용매에 녹임으로 얻을 수 있다. 만일 생성된 산부가염이 반응매질에 불용성이면 여과에 의하여 유리되며, 또는 잔유물로 산부가염이 남도록 반응매질을 증발시킴으로 유리된다. 이 염형태에서 산의 습기나 음이온은 그 자체가 새롭거나 제한되는 것이 아니므로 염기와 함께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산 음이온 또는 산과 같은 물질일 수 있다.
산부가염의 형성을 위한 대표적인 산은, 개미산, 식초산, 이소부티린산, α-머캡토푸로피온산, 트리플루오로아세틸산, 말린산, 후마린산, 석시닌산, 석신아민산, 타닌산, 글루타민산, 티타린산, 옥살산, 피로부신산, 시트린산, 락틴산, 글리콜린산, 글루코닌산, 사카린산, 아스콜빈산, 페니실린, 벤조인산, 프탈린산, 살리실산, 3,5-디니트로벤조인산, 안트라닐린산, 코린산, 2-피리딘카복실산, 파모인산, 3-하이드록시, 2-나프로산, 피크린산, 키닌산, 트로핀산, 3-인돌아세틴산, 바비루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부틸아소닌산, 메탄포스폰산, 산수지, 불화수소산, 염산, 부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과염소산, 질산, 황산, 인산, 비산 등이다.
모든 산 부가염은 무기염기와 반응에 의하여 유리염기형태의 원(源)으로 유용하다. 그러므로 주어진 염기 혹은 산부가염의 용해도, 분자량, 물리적 외형, 독성 등과 같은 특성은 당장에는 목적에 적합하지 못한 형태를 가지나 그것은 쉽게 다른, 더 적합한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약 목적을 위해 비교적 비독성이며 제약가용산 예를 들면 염산, 락틴산, 티타린산 등의 구조식(I)의 화합물의 산부가염이 물론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의 구조식(III)의 에스텔 케톤은 하기와 같은 구조식의 상용하는 알려지고 쉽게 얻을 수 있는 에스텔화되지 않은 케톤을 모노에스텔화 또는 디에스텔화 함으로써 얻어진다.
Figure kpo00007
여기서 R과 R1는 구조식(I)에서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Y1가 수소인 구조식(III)의 모노-에스텔케톤을 제조함에 있어서, 출발물질 3,4-디하이드록시페닐케톤(구조식 V)을 임의로 산 흡착 매질의 존재하에서, 페놀릭하이드록실을 아실화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에 따라 1롬 당량의 산무수물이나 적당한 카복실산(Y-OH)의 산할로겐화물로 처리한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3,4-디하이드록시페닐케톤(구조식 V)을 2롬 당량의 알카리금속 저급 알콕사이드, 예를 들면 소디움메톡사이드로 처리하고 생성된 알카리금속페놀레이트를 1몰 당량의 적합한 산할로겐화물, Y-할로겐, 예를 들면 산염화물 Y-Cl과 함께 반응시킨다. 출발물질 3,4-디하이드록시페닐케톤(구조식 V)에서 4-하이드록시기는 3-하이드록시기보다 쉽게 아실화된다. 그러므로 모노-아실화는 소망의 4-아실옥시-3-하이드록시페닐케톤(구조식(III)에서 Y1가 수소)이 산출된다.
Y 및 Y1이 모두 아실기인 일반식(III)의 디 에스텔케톤은, 3-하이드록시 4-아실옥시-페닐케톤(Y1이 수소인 일반식(III)을 산무수물이나 적당한 카복실산(Y-OH)의 산할로겐화물의 1몰당량으로 아실화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때 두번째 아실화 단계의 아실화제는 첫번째 단계의 아실화계와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다. 나중에 설명될 것이지만, 디-에스텔케콘(일반식 III)에서의 Y 및 Y1이 동일하기를 원한다면, 2당량의 아실화제를 사용하여 단일 공정에서 두개의 아실기를 유도함으로써 중간에 생성되는 모노-에스텔케톤을 분리하지 않고 요망하는 디-에스텔 케톤으로 직접 변하게 하여 상기 생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대체로 더 편리하다. 알칼리금속 페놀레이트 방법을 사용할 때는 출발 물질인 일반식 V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케톤은 물론 2당량의 알칼리금속 저급 알콕시드와 반응하여 페놀기의 수소 2개가 모두 알칼리금속으로 치환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되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9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3급-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화수소로포화된 150ml의 낙산 및 150ml의 염화부틸의 혼합물을 맑은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증기욕상에서 교반하고, 이 용액을 1시간 동안 증기상에서 가열하였다. 반응혼합물로부터 감압하에서 약 50ml의 용제를 증류하여 이를 냉각시켰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여 결정 고체를 분리하고 이를 에텔로 잘 세척한 다음 러버댐(rubberdam) 하에서 하룻밤 동안 흡인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31g의 3,4-비스(부티릴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백색 결정 고체로서 얻어졌으며, 이 결정은 212-215℃(분해, 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실시예 2]
질소분위기하에서 20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26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섞은 혼합물에 17g의 나트륨 메톡사이드를 가하였다. 감압하에서 증류시켜 50ml의 액체를 제거한 다음 이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질소분위기하에 5-25℃에서 24g의 염화 이소부틸을 신속히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70℃로 가열하고 용제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유물을 400ml의 에텔 내에서 슬러리화 시키고 이 슬러리를 여과하여 약 10g의 불용성 고체를 제거하였다. 여액 내의 에텔층을 분리시키고 희석된 수용성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3,4-비스(이소부티릴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의 에텔 용액이 얻어졌다. 이 용액에 25ml의 물에 염산 4ml를 가한 용액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진탕시켰다. 형성된 결정을 여과기 상에서 모아 70℃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8.5g의 3,4-비스(이소부티릴옥시) 페닐 tert-부틸 아미노 메틸케톤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백색 결정 분말로서 얻어졌으며 이 결정은 221-223℃(분해, 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실시예 3]
25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 케톤하이드로클로라이드, 100g의 염화이소발레릴 및 100g의 이소발레린산의 혼합물을 증기욕상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약 25℃)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하고, 가열한 다음 뜨거울 때 여과하여 18g의 고체를 제거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발건조시키고 생성된 잔유물을 소량의 식초산을 함유하는 이소푸로필 아세테이트로부터 결정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11.2g의 3,4-비스(이소발레릴옥시) 페닐 tert-부틸 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백색 결정고체로서 얻어졌고, 이 결정은 220-222℃(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이 화합물의 시료를 이소푸로필알콜로부터 재결정 시킨 후의 융점은 224-225℃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 기술된 것에 유사한 방법으로 공정을 진행시켜, 26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17g의 나트륨메톡사이드와 반응시키며, 생성된 나트륨 페놀레이트 염을 25g의 3,3-디메틸 부타노일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7.0g의 3,4-비스(3,3-디메틸 부타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결정고체로서 생성케 하였으며 이 결정은 225-228℃(분해, 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실시예 5]
질소분위기 하에 26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0ml에 녹인 17g의 나트륨 메톡사이드와 혼합시키고, 50ml의 용제를 감압하여 40℃에서 증류해 버렸다. 다음 31g의 P-톨루일클로라이드를 5-10℃에서 적가하였다.
감압하에서 반응혼합물로부터 용제를 증류하고, 여기서 얻어진 잔유물을 물과 에텔의 혼합물 내에서 슬러리화한 다음, 이 슬러리를 여과하여 9.5g의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3,4-비스(P-톨루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을 함유한, 여액 내의 에텔층을 분리하여 물과 희석된 수산화나트륨으로 세척한 다음, 4ml의 농염산을 30ml의 용량이 되도록 물로 희석한 용액과 함께 진탕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생성된 침전을 여과기상에 모으고 에텔로 세척한 다음 이소푸로필 알콜로부터 재결정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14.0g이 3,4-비스(P-톨루일옥시) 페닐 ters-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백색 결정 고체로서 얻어졌으며, 이 결정은 221-224℃(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이 염의 25℃ 물에 대한 용해도는 0.1% 이하였다.
[실시예 6]
질소분위기하에서 8.1g의 나트륨 메톡사이드를 20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인 13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에 가하고, 50ml의 용제를 감압하에서 반응혼합물로부터 증류시켰다.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이소발레릴 클로라이드 7.8g을 20-25℃에서 적가하고, 이 반응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제를 감압하여서 증류해 버리고, 생성된 잔유물을 물 500ml, 3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ml 및 에텔 200ml의 혼합물 내에 넣는다. 에텔층을 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수용액층을 식초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된 침전을 여과기상에서 분리하여 물과 n-헥산으로 잘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12g의 3-하이드록시-4-(이소발레릴옥시) 페닐 tert-부틸 아미노메틸케톤이 얻어졌다. 이 염기를 500ml의 무수 에틸알콜 내에서 슬러리화하여, 교반하면서 68% 메탄설폰산을 슬러리 내에서 계속하여 산성 반응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양만큼(5ml) 가하고, 침전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침전을 여과기에서 분리하고 에틸알콜과 에텔로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8.1g의 3-하이드록시-4-(이소발레릴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가 백색 결정 고체로서 얻어졌고 이것은 242-245℃(분해, 미보정치)에서 용융되었다.
[실시예 7]
13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5ml의 0-톨루일클로라이드 및 35ml의 트리플로로 식초산의 혼합물을 증기요 상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더니 생성되는 잔유물이 결정화하였다. 조제의 3,4-비스(0-톨루일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트리플로로 식초산을 무수 에텔 내에서 슬러리화하고, 이 슬러리를 수산화암모니움으로 처리하여 염기성으로 하였다. 에텔층을 분리시키고 처음에 희석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다음에 물로 세척하였다. 에텔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이소푸로필 알콜 50ml에 녹인 4.5g의 메탄설폰산으로 슬러리화하였다. 침전된 결정 고체를 여과기 상에서 분리하여 100ml의 이소푸로필알콜로부터 재결정시켜 70℃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15.8g의 3,4-비스(0-톨루일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가 백색 결정 고체로서 얻어졌고, 이것은 134-137℃(분해, 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이 메탄설포네이트(15.5g)를 실시예 5에 기술한 것에 유사한 공정에 따라 촉매적으로 수소 첨가하였더니 12.8g의 3,4-비스(0-톨루일옥시)-α-tert-부틸아미노메틸)-벤질알콜 메탄설포네이트가 백색 결정 고체로서 얻어졌고, 이것은 151-153℃(미보정치)에서 용융되었다.
[실시예 8]
50g의 3,4-비스(젠질옥시)-α-브로모푸로피오네이트, 50ml의 tert-부틸아민, 25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1500ml의 물에 쏟아 부었다. 3,4-비스(벤질옥시)페닐 1-(tert-부틸아미노)에틸케톤인 고체가 침전되었고 이것은 융점이 157-159℃(미보정치)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0g으로 전환되었다. 이 염을 두개의 벤질기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수소의 이론양이 흡수될 때까지 2g의 10% 석탄-팔라디움 수소첨가 촉매의 존재하에 95% 에틸알콜 250ml 내에서 촉매적으로 수소 첨가시켰다. 이 환원 반응에는 약 1시간 반이 소요되었다. 이소푸로필 알콜에 슬러리화한 후에 생성된 생성물은 3,4-디하이드록시페닐 1-(tert-부틸아미노)에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서 백색 결정 고체이며 중량 28g으로 237-239℃(분해, 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13.5g의 3,4-디하이드록시페닐 1-(tert-부틸 아미노)에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8g의 이소발레릴 클로라이드 및 50ml의 트리플로로 초산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반응혼합물로부터 감압하에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켰다. 생성된 잔유물을 디에틸에텔-회수산화암모니움 내에서 슬러리화시켰다. 에텔층을 분리하여 처음에 희석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다음에 물로 세척시킨 다음 증발시켜 잔유물을 생성시키고, 이 잔유물을 50ml의 이소푸로필 알콜과 4ml의 농염산에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생성된 잔유물을 이소푸로필 아세테이트로부터 결정시켜 13g의 3,4-비스-(이소발레릴옥시)페닐 1-(tert-부틸아미노)에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결정 교체로서 생성시켰고, 이 결정은 181-183℃(미보정치)에서 용융하였다.
[실시예 9]
3,4-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18-221℃(미보정치)
[실시예 10]
3,4-비스(피발릴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43-244℃(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11]
3,4-비스(3-메틸펜타노일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139-140℃(미보정치)
[실시예 12]
3,4-비스(2,2-디메틸펜타노일옥시)페닐-tert-부틸 아미노 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83-185℃(미보정치)
[실시예 13]
3,4-비스(데카노일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35℃ 이상에서 서서히 분해
[실시예 14]
3,4-비스(옥타데카노일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180=185℃(미보정치)
[실시예 15]
3,4-비스(1-메틸 싸이클로푸로판카보닐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53-255℃(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16]
3,4-비스(싸이클로헥산카보닐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04-210℃(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17]
3,4-비스(벤조일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15-218℃(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18]
3,4-비스(P-아니소일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05-208℃(미보정치)
[실시예 19]
3-하이드록시-4-(피발릴옥시) 페닐 tert-부틸 아미노 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68-270℃(분해, 미보정치)와 메탄 설포네이트. 융점 : 260-263℃(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20]
3-하이드록시-4-(3,3-디메틸부타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톡 메탄설포네이트. 융점 ; 240-245℃(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21]
3-하이드록시-4-(P-톨루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 융점 : 265℃(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22]
3-(이소발레릴옥시)-4-(피발릴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16-220℃(미보정치)
[실시예 23]
3,4-비스(m-톨루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15-218℃(미보정치)
[실시예 24]
3,4-비스(2,4-디메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 융점 ; 120-123℃(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25]
3,4-비스(2,5-디메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 융점 : 134-137℃(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26]
3,4-비스(3,4-디메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 융점 : 119-122℃(미보정치)
[실시예 27]
3,4-비스(3,5-디메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 융점 : 123-128℃(미보정치)
[실시예 28]
3,4-비스(P-톨릴아세톡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05-208℃(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29]
3,4-비스(P-메톡시페닐아세톡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융점 : 204-207℃(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30]
3-하이드록시-4-(벤조일옥시) 페닐 tent-부틸아미노 메틸 케톤, 융점 : 150-165.℃(분해, 미보정치) 및 그의 메탄 설포네이트의 융점 : 245℃(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31]
3-하이드록시-4-(P-아니소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 케톤의 융점 : 170-175℃(분해, 미보정치) 및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융점 235℃(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32]
3-아세트옥시-4-(P-톨루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 케톤 메탄 설포네이트의 융점 : 204-207℃(미보정치)
[실시예 33]
3-(P-톨루일옥시)-4-(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의 융점 : 205-210℃(분해, 미보정치)
[실시예 34]
3-벤조일옥시-4-(P-톨루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레이트의 융점 : 115℃(미보정치)
[실시예 35]
3,4-비스(P-톨루일옥시) 페닐 1-(tert-부틸아미노) 에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융점 : 225-228℃(분해, 미보정치)
다음 화합물들은 상술한 방법으로 얻은 일반식 II의 에스텔 케톤을 나타낸다.
3,4-비스(테트라데카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 설포네이트
3,4-비스(도코사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 메틸케톤메탄 설포네이트
3,4-비스(사이클로프로판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사이클로부탄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사이클로펜탄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사이클로프로판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1-메틸-3-이소프로필사이클로펜탄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1,3-디메틸부탄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2-아밀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2,2-디메틸-3-에틸사이클로부탄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사이클로헥산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4-메틸사이클로헵탄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2-이소부틸사이클로프로판프로피오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3,4-비스(사이클로헵탄프로피오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α-메틸사이클로프로판사이클로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3,4-비스(P-tert-부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메틸-4-에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P-에톡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P-아세트아미도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3,4-비스(3,4,5-트리부톡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3,5-디메톡시-4-에톡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브로모-5-클로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3,4-트리클로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
3,4-비스(2,3,5-트리폴로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3.5-비스(트리플로로메틸) 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에톡시-5-플로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6-디메틸-4-프로폭시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클로로-3-메톡시-4-메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페닐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P-에틸페닐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5-디메틸-4-메톡시페닐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3,4-비스(2-브로모-4,5-디에톡시페닐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β-페닐프로피오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β-(2-브로모-4-메톡시페닐) 프로피오닐옥시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2-나프탈렌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펜옥시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P-디에틸아미노벤조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니코티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크로로나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9-옥타데세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비스(5,13-도코사디에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7,7-디메틸옥사토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도데카노일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2,2,17,17-테트라메틸옥타데카노일옥시0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1-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사이클로헵탄카보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이클로헥산아세트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사이클로펜탄프로피오닐옥시) 페닐 tert-부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니코티노일옥시) 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하이드록시-4-(2,3,4-트리클로로벤조일옥시) 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데카노일옥시)-4-(피발틸옥시) 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0-톨루일옥시)-4-(P-톨루일옥시) 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3,4,5-트리메톡시벤조일옥시)-4-(피발릴옥시) 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러이드
3-(이소발레릴옥시)-4-(P-톨루일옥시) 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3,3-디메틸부탄카보닐옥시)-4-(P-톨루일옥시) 페닐 tert-메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도코사노일옥시)-4-(P-톨루일옥시) 메틸 tert-메틸아미노메틸 케톤 메탄설포네이트
3-(P-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트옥시)-4-(7,7-디메틸옥타노일옥시) 페닐 tert-메틸아미노메틸 케톤 메탄설포네이트
3-(니코티노일옥시)-4-(P-톨루일옥시) 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9-옥타데세노일옥시)-4-(니코티노일) 옥시페닐 tert-무틸아미노메틸케톤 메탄설포네이트
3-(1,3-디메틸사이클로부탄카보닐옥시)-4-(이소발레릴옥시) 페닐 tert-메틸아미노메틸 케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Claims (1)

  1. 구조식(V)의 화합물을 모노에스텔화 또는 디에스텔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염기 형태의 구조식(III)의 에스텔 케톤류 또는 그 산부가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8
    상기 식에서,
    R은 3급-부틸이고 :
    R1은 수소 또는 1-3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이고;
    Y는 1-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카노일, 4-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하나 또는 두개의 이중결합을 가진 알케노일, 총 4-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그 중 3-7개가 사이클로알킬 내에 있는 환내 탄소원자인 사이클로알킬
    Figure kpo00009
    (여기서 n은 0,1 또는 2), 페녹시아세틸, 나프탈렌카보닐, 피리딘카보닐, 또는 페닐(여기서 n은 0,1 또는 2이고 페닐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또는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콕시, 할로겐, 트리플로로메틸, 2-8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디알킬아미노 또는 1-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카노일 아미노기에 의해 1-3개 치환됨)인 아실맴버이고; Y1은 수소 또는 Y에 대해 정의된 아실맴버 중의 하나이며, Y와 Y1중 적어도 하나는 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진다.
KR7602070A 1976-08-24 1976-08-24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KR80000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070A KR800001682B1 (ko) 1976-08-24 1976-08-24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070A KR800001682B1 (ko) 1976-08-24 1976-08-24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000501A Division KR800001681B1 (ko) 1970-04-06 1970-04-06 α-(아미노-및 N-치환아미노-메틸)-3,4-디하이드록시벤질 알콜의 에스텔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682B1 true KR800001682B1 (ko) 1980-12-31

Family

ID=1920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070A KR800001682B1 (ko) 1976-08-24 1976-08-24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68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57799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ароматических бис-(эфиров ангидридов)
DE1954266A1 (de) Neue Chromon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870001537B1 (ko)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SU479290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2-(фурилметил)-6,7бензоморфанов
EP0080819B1 (en) 11-0-alkylerythromycin a derivatives
KR800001682B1 (ko) α-아미노메틸-3-(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4-하이드록시벤질케톤의 제조방법
CH412889A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Methyl-3-oxypyridinen
JPS5814434B2 (ja) τ−ピロン製造のための中間体
JP2774834B2 (ja) ピリダジノン類の製造方法
CH622777A5 (ko)
US4467119A (en) Phenolic antioxidant
US4097522A (en) Synthesis of m-benzoyl-hydratropic acid
HU213315B (en) Process for producing arylacetic acids and their alkali metal salts
CH646679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5-dimethyl-bicyclo(3,2,1)octanol-8.
AT392782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pha-(p-tent.- butylphenyl)-4-(hydroxydiphenylmethyl)-1- piperidinobutanol
JPS6399024A (ja) アリ−ルおよびヘテロアリ−ルアルカン酸の製造方法
Corral et al. Synthesis of 3-mercaptothiophene-2-and 4-carboxylic Acids
US4174451A (en) 2-Furyl-(3,4-dimethyl-2-pyridyl)-carbinol
KR800001681B1 (ko) α-(아미노-및 N-치환아미노-메틸)-3,4-디하이드록시벤질 알콜의 에스텔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JPH0481576B2 (ko)
JP3983979B2 (ja) 3−(ヒドロキシメチル)クロメン−4−オン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55307B2 (ja) ジヒドロキシピペリジンジカルボキシレートの脱水法
EP0069880B1 (de) Cyclopentanon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Isomerisierung
JPS6032783A (ja) 含フッ素クマリン類
DE260076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11- dihydro-11-oxodibenz eckige klammer auf b,e eckige klammer zu -oxepin-alkansaeu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