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450Y1 - 옥수수 탈곡기 - Google Patents

옥수수 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450Y1
KR800001450Y1 KR7906347U KR790006347U KR800001450Y1 KR 800001450 Y1 KR800001450 Y1 KR 800001450Y1 KR 7906347 U KR7906347 U KR 7906347U KR 790006347 U KR790006347 U KR 790006347U KR 800001450 Y1 KR800001450 Y1 KR 800001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piece
frame
fixing fram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6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모
Original Assignee
최원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모 filed Critical 최원모
Priority to KR7906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 A01F11/06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for maize, e.g. removing kernels from co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옥수수 탈곡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외피를 벗겨낸 상태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요부 확대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은 기체 상부에 설치된 주입구로 옥수수자루를 넣기만 하면 옥수수의 알곡이 옥수수자루로부터 탈곡됨과 동시에 영글지 않은 쭉정이는 선별망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고 잘 영글은 옥수수 알곡만을 얻을수 있도록 된 옥수수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본 고안과 같은 장치가 없어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옥수수 알곡을 옥수수 자루로 부터 탈곡시켰던 것으로 이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었기 때문에 매우 비능률적이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사정코자 간편한 조작으로서 많은 량의 옥수수 알곡을 단시간내에 옥수수 자루로 부터 탈곡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기체(2)에 고착된 고정틀인데, 이 고정틀(1) 일측의 삽입공(3)에 유동편(4)의 삽입편(5)을 회동자재하게 끼우고, 그 상측으로는 상호 익편에 천공된 동공(6)(6a)을 일치시킨후 보울트를 삽입하여 유동편(4)측으로 부터 스프링(6b)을 탄지하고 조절넛트(6c)를 나합하였다.
7은 고정틀 (1)전면부에 나착된 고정편인데, 이 고정편(7)의 상부통공(8a)을 고정틀(1)의 타통공(8)과 일치시킨후 보울트 및 넛트로서 체착시켰으며, 고정편(7)의 하부익편(9a)은 유동편(4)의 하부익편(9)에 의해 이탈치 못하게 되어있다.
10은 고정틀(1) 내부 일측으로 삽설된 회전판인데, 이 회전판(10) 내면에는 다수의 돌편(11)이 돌설되어 있으며, 회전판(10)의 외측으로는 손잡이(12)가 장설된 풀리(10a)와 축봉(13)으로 연설되어 있다. 14는 고정틀(1) 하부에 위치되어 탈곡된 옥수수 알곡을 다른 곳으로 이탈치 못하도록 된 홉퍼인데, 이 하부에는 잘 영글은 옥수수 알곡만 선별할수 있도록 선별망(15)이 설치된 선별틀(16)이 장설되어 있다.
17, 17a은 선별틀(16)을 잡아주고 있는 유동간인데 그 중 한 유동간(17)은 기체(2)의 중간 지지간(18)과 선별틀(16)에 유설됨과 동시에 그 유동간(17) 상단부에 축설된 로울러(19)가 축봉(13)일측에 고착된 캠(18)에 밀접되어 있고 타 유동간(17a)은 상부 지지간(20)과 선별틀(16)에 유설되어 있다. 21은 기체(2)의 중간전면 지지간(22)과 선별틀(16)간에 탄설된 원복 스프링이다.
23은 선별틀(16) 일측에 장설되어 있는 잘 영글은 옥수수 알곡 배출부이고, 24는 선별틀(16)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잘 영글지 못한 옥수수 쭉정이 배출부이다. 25는 기체(2) 상부측에 있는 옥수수 자루 주입구이고, 26은 모우터(27)와 연동된 풀리이다. 28은 속대 배출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판(10)과 연동된 풀리(10a)와, 모우터(27) 축에 착설된 풀리(26)를 벨트로서 연결하고, 모우터(27)에 전원을 연결시키면, 모우터(27)의 회전력에 의해 본 고안이 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기체(2) 상부에 장설된 고정틀(1)과 유동편(4) 상부의 주입구(25)로 제 1 도와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옥수수 자루를 넣어 주면 풀리(10a)와 연동된 회전판(10)이 제 3 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회전판(10) 내면의 돌편(11)에 의해 주입된 옥수수가 고정틀(1)과 유동편(4)속으로 들어가면서 옥수수 자루의 알곡이 떨어져 하부로 낙하하게 되며 알곡이 다 떨어진 속대는 약간 하부로 내려가다가 회전판(10)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편(7) 전면으로 튕겨나가면서 기체(2) 전면 상부에 개구된 속대배출구(28)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옥수수 자루로 부터 탈곡된 알곡은 하부에 설치된 홉퍼(14)에 의해 선별틀(16)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선벽틀(16)은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별틀(16)측면과 기체(2)의 중간 지지간(18a)및 상부지지간(20)에 유동간(17)(17a)으로 유동자재하게 축설되어 있고, 유동간(17)상단의 로울러(19)가 축봉(13)에 착설된 캠(18)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캠(18)의 편심 운동에 의해 기체(2)의 중간 지지간(18a)에 축설된 유동간(17)의 중간부위를 축으로 평행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기체(2)의 중간 전면 지지간(22)과 선별틀(16)간에 탈설된 원복스프링(21)에 의하여 왕복 평행운동을 신속히 하게 된다.
따라서 선별틀(16)로 낙하된 옥수수 알곡 중 영글지 않은 쭉정이는 선별틀(16)의 선별망(15)사이로 낙하되어 배출부(24)로 배출되고 잘 영글은 알곡은 배출부(23)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된다. 특히 고정틀(1)에 유동자재하게 장설된 유동편(4)간의 폭을 조절자재하도록 조절넛트(6c)를 설치시켜 두므로서 옥수수 자루의 굵기에 따라 임의로 조절가능토록 되어 있으며, 유동편(4)의 삽입편(5)이 고정틀(1)의 삽입공(3)에 회동자재하게 삽설되어 있어 이 고정틀(1)의 삽입공(3)을 축으로 유동편(4)이 옥수수의 근소한 굵기에 따른 그 폭의 변화를 적정하게 자동 조절될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리(10a)에 착설된 손잡이(12)를 잡고 통상과 같이 돌려 수동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의 옥수수 자루 주입구(25)로 옥수수자루를 주입만 시켜주면 고정틀(1)과 유동편(4) 내에 삽설된 회전판(10)의 돌편(11)에 의해 옥수수 자루로 부터 알곡이 탈리되면서 낙하되어 다시 선별하여 잘 영글어진 알곡만 얻을수 있음과 동시에 알곡이 탈리된 속대는 회전판(10)의 회전력에 의해 약간 하부로 내려가면서 기체(2) 전면 상부에 개구된 배출구(28)로 튕겨지듯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다량의 옥수수 자루를 단시간내에 속대와 잘 영글어진 알곡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일손이 바쁜 농촌에서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어 농촌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실질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옥수수 자루의 알곡과 속대를 분리함에 있어서, 기체(2)상부에 고착된 고정틀(1)의 삽입공(3)에 유동편(4)의 삽입편(5)을 회동자재하게 삽설하고 그 상부측으로는 스프링(6b)으로 탄지된 조절넛트(6c)를 설치하였으며, 일측에 풀리(10a)를 장설하고 축봉(13)과 연동된 공지의 회전판(10)이 고정틀(1) 내측으로 삽설된 옥수수탈곡기.
KR7906347U 1979-10-22 1979-10-22 옥수수 탈곡기 KR800001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347U KR800001450Y1 (ko) 1979-10-22 1979-10-22 옥수수 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347U KR800001450Y1 (ko) 1979-10-22 1979-10-22 옥수수 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450Y1 true KR800001450Y1 (ko) 1980-09-13

Family

ID=1921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6347U KR800001450Y1 (ko) 1979-10-22 1979-10-22 옥수수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4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8784A (zh) * 2023-09-08 2023-10-13 黑龙江省农业科学院大庆分院 一种用于大豆玉米带状复合种植的脱粒装置
CN117178750A (zh) * 2023-11-01 2023-12-08 山东欣梦农业发展有限公司 玉米收获机籽粒回收和清选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8784A (zh) * 2023-09-08 2023-10-13 黑龙江省农业科学院大庆分院 一种用于大豆玉米带状复合种植的脱粒装置
CN116868784B (zh) * 2023-09-08 2023-11-21 黑龙江省农业科学院大庆分院 一种用于大豆玉米带状复合种植的脱粒装置
CN117178750A (zh) * 2023-11-01 2023-12-08 山东欣梦农业发展有限公司 玉米收获机籽粒回收和清选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1137C (en) Cleaning system for a combine
US5176574A (en) Combine cleaning system
CA1040960A (en) Back-flow retarding feed plate for rotary combine
JP2000300047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KR800001450Y1 (ko) 옥수수 탈곡기
US5041058A (en) Portable thrasher
JP6300862B2 (ja) 脱穀機
CN213463022U (zh) 脱粒筛选装置
US2768627A (en) Stone deflecting means for a cylinder and concave type thresher
US2422399A (en) Corn shelling and shredding, and separator machine
US2887226A (en) Combine attachment
JP2004180584A (ja) 脱穀機の穀稈処理構造
JP2000324936A (ja) 豆類脱粒機
KR850002338Y1 (ko) 시료채취용 탈곡기
US1021917A (en) Threshing-machine.
JPS5825807Y2 (ja) 脱穀機における排藁装置
SU1746930A1 (ru) Кукурузоуборочный агрегат
US2202760A (en) Clover and alfalfa hulling attachment for threshing machines and combines
JP3521496B2 (ja) 脱穀装置
JPS6112765Y2 (ko)
CN2341382Y (zh) 脱粒机清选装置
JPS5927734Y2 (ja) 脱穀機
JPS5831490Y2 (ja) コンバイン用脱穀部の受網支持装置
GB89669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reshing devices
JPS596673Y2 (ja) 脱穀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