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73B1 -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73B1
KR800001073B1 KR7904182A KR790004182A KR800001073B1 KR 800001073 B1 KR800001073 B1 KR 800001073B1 KR 7904182 A KR7904182 A KR 7904182A KR 790004182 A KR790004182 A KR 790004182A KR 800001073 B1 KR800001073 B1 KR 80000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l
mother
paint
paper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추형
Original Assignee
박추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추형 filed Critical 박추형
Priority to KR790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73B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천연의 진주자개무늬가구에 비하여 거의 손색이 없는 외관과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는 인공적인 진주박자개 무늬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한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연의 진주자개무늬 가구가 있으나 이것은 진주자개를 일일이 수공으로 작업하여 장식해내야하므로 그 재료비는 물론 수공비가 많이 소요될뿐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대량생산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제품가격이 너무나 고가여서 대중성을 결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최근에는 자개가루를 이용한 무늬판의 가공방법이 특허공보 제266호 제245-246면에 게재공고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박지표면에 도료를 칠한 다음 자재설 또는 자개가루를 살포하여 혼합용착시킨 도료층 위에 다시 도료만을 수회 재도포하여 건조시켜서 얻은 판상체에 임의도안이나 모양을 접착제로 접착시키고 이를 연마가공한 것이므로, 자개설이나 자개가루가 살포되므로 도료와의 혼합상태가 불균일하고 살포된 자개재료 위에 도료를 다시 수회 재도층시키므로 자개재료의 노출도가 불충분하여 광택도가 불량하므로 천연자개와 같은 광택을 얻을 수 없고 또 임의 도안이나 모양을 별도로 절단하여 접착제로 접착시키므로 전체적인 정밀도나 작업성이 불량하며 기타 이 경우 천연자개와 같은 색채와 광채를 나타나게 할려면 많은 손질을 요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그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는바 공정별로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겸하여 먼저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진주박 도층공정) :
감광원지를 기지(基紙)로 하고 이 기지 위에 액상 진주박(백색 내지 은색임), 투명 랙커, 신나, 실리콘 오일, “엠. 아이. 비이. 케이”(M.I.B.K)로 조성된 진주박 도료를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층한다.
제2공정(진주박 착색공정) :
상기 제1공정이 끝난 진주박도층 위에 황색, 적색, 녹색 기타 이와 유사한 3색의 안료로 된 착색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교호로 줄무늬가 형성되게 착색하고 건조되기전에 이착색층을 못머리(釘頭)를 이용하여 교란 연마시켜서 천연진주조개와 유사한 착색무늬를 형성시키고 주요장식무늬에 정부분에는 추가적인 착색진주박 도료를 도착시킨 후 약 40℃ 내외의 온도로 약 30-60분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제3공정(장식무늬 형성공정) :
제2공정이 끝난 것 위에 PVC 계수지를 전색재로하는 흑색 인쇄잉크로 소망하는 인위적 장식무늬(예컨데 공작무늬 등)를 스크린 인쇄하고 인쇄층을 건조시킨 후 호마이커를 1-2mm 정도 두께로 도층하고 그 위에 실리콘 수지계 필름을 깔고 로울러로 가압한 다음 건조후 필름을 제거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3개공정의 결합에 의하여 비로소 소기의 인공자개무늬지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진주박도료의 각 성분은 공지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조성은 그 위에 착색되는 각종 착색안료와 장식 무늬형성용 인쇄잉크와 친화성이 특히 좋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수명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다.
신나는 랙커의 용제이며 랙커는 진주박의 전색제이며 실리콘오일은 내열제인 동시에 진주박의 광택을 살리게 하고 내후성등을 향상시키며 MIBK는 이들 전체적 원료의 공통적용제 내지 분산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진주박의 광택 보조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차종제품의 기지로서는 모조지 등을 사용하나 이 경우에는 많은 양의 도료가 흡수되어 광택성이 빈약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감광원지를 사용하므로 도료흡수가 거의 없어 풍부한 광택을 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2공정에서 사용하는 안료는 천연진주에서 발생하는 빛깔에 해당하는 안료들인바, 이들 안료는 약 40℃ 내외의 온도에서 약 30-60분간 가열하는 경우 가장 이상적으로 건조되어 균열 발생 기타 건조후 부작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이 온도 이하에서는 건조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생산 능률면에서 불합리하고 이 온도 이상에서는 건조시간이 너무 단축되어 일종의 강제건조로 인한 균열의 발생이나 착색 진주박 도료층이 기지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또 주요무늬형성예정부에는 미리 그 주요무늬가 갖는 독특한 기타 색상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특수 색상이 추가된 별도의 진주박도료를 도층시켜둠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 제2공정에서 줄무늬착색층을 교란 연마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데 통상의 T형 못(釘)을 적당한 개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박은 목재를 사용하는 바 이 경우 못머리(釘頭)는 약 1mm 이하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갖도록 연마한 것을 사용하고 이들 못머리를 착색층에 접촉시키고 일정한 마찰력하에 임의 방향으로 교란시켜 이들 3가지 색채가 마치 천연자개에서 발하는 색채와 흡사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매우 얇은 못머리 위로 진주박이 올라오게 되므로 이 교란작업이 끝난후 건조되면 대부분의 진주박은 표면층에 떠오르게 되어 있어 그만큼 광택도가 좋아진다.
만약 이 경우 종래처럼 빛을 사용하여 교란시키면 진주박은 밀려다니기만 하고 부상(浮上)되지 않아서 광택도가 저하된다.
제3공정에서 PVC계수지를 전색제로 하는 흑색 인쇄잉크를 사용하여야만 그 아래에 먼저 도층된 진주박무늬층과의 친화성이 가장 좋고 따라서 스크린 인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양층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박리되지 않게할 수 있음을 실험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흑색 인쇄잉크는 각진주박무늬의 경계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호마이커는 일반적으로 휘니슈·코오팅용으로 공지된 것이나 그것이 건조되기 전에 실리콘수지계 필름을 깔고 가압시키면서 건조시키면 그 표면에 진주자개 독특한 광택과 유사한 빛을 발생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품은 얼핏 보아 천연제품인지 인공제품인지 식별할 수 없을 정도의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이상 3개공정은 서로 순서적이며 유기적인 관계와 상호작용에 의하여 최종제품의 품질이 천연제품에 거의 손색이 없을 정도의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재료비가 매우 저렴하고 작업이 용이하므로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대중성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Figure kpo00001
조성된 진주박도료를 감광원지위 균일하게 도층한다.
(2) 위 도층위에 황색, 녹색, 적색의 세가지 안료 각 약 3gr와 상기 (1)의 진주박도료로 조성된 착색제를 사용하여 1cm 간격으로 교호로 줄무늬를 착색시킨 다음 주요무늬예정부에 상기 3색중 선택된 한가지색을 더 진하게 첨가한 착색 진주박도료를 도층하고 약 40℃의 온도로 약 45분간 건조시킨다.
(3) 국내 삼성화학공업주식회사에서 판매하는 스크린인쇄용 특수잉크(PVC수지, 아농, 키실렌, 신나, 흑색안료로 조성된 것)를 사용하여 소정된 장식무늬(공작무늬, 꽃무늬, 호랑이무늬 등)를 상기 진주박 착색층 위에 스크린프린팅하고 다시 그 위에 호마이카를 1-2mm 두께 도층한 후 실리콘 수지계 필름을 깔고 로울러로 가압하면서 건조시킨 다음 필름을 분리 제거시켜서 소망하는 진주박자개무늬지를 완성시킨다.

Claims (1)

  1. 감광지로 된 기지(基地)위에 액상 진주박, 투명랙커, 신나, 실리콘오일 및 MIBK로 조성된 진주박도료(백색 또는 은색)로 임의 모양으로 도층함을 제1공정(진주박 도료도층 공정)으로 하고, 그 위에 황색, 적색, 녹색 또는 이와 유사한 색의 안료와 전기한 진주박도료로 조성된 착색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줄무늬를 교대로 착색한 후 주요무늬형성 예정부에는 추가 착색제를 보충 도충한 다음 약 40℃ 내외의 온도로 약 30-60분간 가연 건조시킴을 제2공정(진주무늬 착색공정)으로 하고, PVC계수지를 전색제로 하는 흑색 인쇄잉크로 장식무늬를 스크린 인쇄하고 건조후 호마이카 약 1-2mm 정도 두께로 도층한 위에 실리콘수지계 필름을 깔고 로울러로 가압한 다음 필름을 제거시킴을 제3공정(장식무늬 형성 공정)으로 하는 3개 공정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KR7904182A 1979-11-29 1979-11-29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KR80000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182A KR800001073B1 (ko) 1979-11-29 1979-11-29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182A KR800001073B1 (ko) 1979-11-29 1979-11-29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73B1 true KR800001073B1 (ko) 1980-10-04

Family

ID=1921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182A KR800001073B1 (ko) 1979-11-29 1979-11-29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897B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ornamental surface on a substrate
US2029377A (en) Decorative patent leath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800001073B1 (ko) 가구용 진주박 자개무늬지의 제조방법
US1898500A (en) Enamel decorating process
US5965234A (en) Flexible wall covering
US2066497A (en) Art of decorating glass
JP3968447B2 (ja) 内外装用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691165B2 (ja) 建築板の化粧方法
US1711330A (en) Surface ornamentation
US1699413A (en) Method of ornamenting plates or blocks
KR820000090B1 (ko) 칠보화병의 제조법
JPS5950619B2 (ja) 陶磁器の装飾技法
RU205104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изделиях
KR20230030199A (ko) 자개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20043114A (ko) 자개 문양 및 칠 문양을 넣은 도자기의 제조방법
JPS6151074B2 (ko)
KR870001690B1 (ko) 화장판의 제조방법
USRE16963E (en) Hugo manovii
GB623973A (en) A new or improved method relating to decoration of ceramic articles
KR20000013064A (ko) 입체감 및 금속감을 나타내는 지점토 및 점토 판화의 제조방법
JPS61118284A (ja) 立体化粧材の製造方法
KR100905751B1 (ko) 전사용 용지, 전사용 용지의 제조방법 및 전사용 용지를이용한 채색무늬 형성방법
JPS6058040B2 (ja) 漆塗塗膜の風合を有する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43790B2 (ja) 多彩色塗装面の形成方法
RO112176B1 (ro) AMESTEC CROMATIC Șl PROCEDEU PENTRU REALIZAREA PICTURI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