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081B1 -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081B1
KR790001081B1 KR7702781A KR770002781A KR790001081B1 KR 790001081 B1 KR790001081 B1 KR 790001081B1 KR 7702781 A KR7702781 A KR 7702781A KR 770002781 A KR770002781 A KR 770002781A KR 790001081 B1 KR790001081 B1 KR 79000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icillin
reaction
preparing
ester
hydroxyphthal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70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석
천승훈
최중권
Original Assignee
한상준
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준, 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한상준
Priority to KR770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081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페니실린의 프탈리딜 에스텔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위 일반식 (I)에서 R은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이들 에스텔중의 일부는 알려져 있는 화합물로서 종래 이들의 제조는 주로 (1)페니실린산의 염(보기 : K염)과 3-브로모프탈라이드와의 작용 (2) 페니실린 아실클로라이드와 3-하이드록시프탈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하여 수행되었는데 〔영국특허 1364672 (1974. 8. 29), 서독특허 2228012(1972. 12. 28) 및 2228255 (1972. 12. 28), 일본특허공개공보소 48-5793 및 소 48-5794, 한국특허공보 77-16〕값비싼 NBS 브롬화(N-bromosuccinimide)로 얻어지는 3-브로모프탈라이드의 사용은 비경제적이며 페니실린 아실클로라이드와 3-하이드록시프탈라이드 와의 반응은 바람직하게 일어나지 않거나 에스텔의 수율이 지극히 낮아 비현실적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불리한 점을 극복할 수 있는 프탈리딜 에스텔의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그 제조방법은 페니실린 과 3-하이드록시프탈라이드를 옥시염화인(POCl3)의 존재하에 작용시켜 일반식(I)의 프탈리딜 에스텔을 얻는 것이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출발물질인구조식(Ⅱ)에서 부터 얻어지는 생성물질인 구조식(Ⅱ)의 반응을 메카니즘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R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R1은 K, Na 또는 H이다. 그리고 R2는 Cl 또는
Figure kpo00005
이다.
위에서 반응식으로 보인 반응기전은 발명자의 다음과 같은 별도시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즉 같은 조건하에서 페니실린의 아실클로리드와 3-히드록시프탈라이드를 반응시켰으나 에스텔화반응은 일어나지 않았고 또한 페니실린의 칼리움 염과 3-클로로프탈라이드를 같은 조건하에서 반응시켜 보았으나 역시 에스텔화 반응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 결과에서 미루어 볼때 본 에스텔화 반응은 페니실린의 아실클로라이드나 3-클로로프탈라이드를 거쳐서 간것이 아니고 중간체(4)를 거쳐서 진행된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이 중간체는 불필요없이 원하는 에스텔(1)을 양호한 수율로 얻을 수 있다.
프탈리딜 에스텔 (I)은 페니실란산 또는 이들의 염(Ⅱ)과 3-하이드록시프탈라이드 (Ⅲ)를 옥시염화인(POCl3)과 유기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된다.
유기염기로서는 피리딘, 퀴놀린, 트리에틸아민, N-메틸모폴린, 또는 유사한 염기를 사용할 수 있고 적당한 반응용매는 CH2Cl2, CHCl3, CH2ClCH2Cl 또는 CCl4이며, 반응온도는 -20℃내지 10℃가 적당하다.
[실시예 1]
페니실린 G의 K염(5.59g)을 CH2Cl2(20ml)에 현탁시키고 -10℃에서 POCl3(0.91ml)를 적가한후 3-히드록시프탈라이드(2.25g)을 피리딘(2.43ml)와 CH2Cl2(6ml)에 녹인 것을 상기온도에서 30분동안 적가한 다음 한시간에 걸쳐 온도를 0℃까지 올리고 그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끝나면 전체 반응액을 찬물로 5번, 포화중탄산소다 용액으로 2번, 그리고 다시 찬물로 2번 씻는다. 이 용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텔로 백색 분말상의 결정 4.89g(수율 70%)를 얻었다. 상기 생성물은 기지물질과 동일함이 확인되었다.
녹는점 162-3℃, Rf 값 0.57(벤젠 : 에틸아세테이트=7 : 3)
NMR : δ 1.49(2d, 6H), δ 3.64(s, 2H), δ 4.45 (d, 1H), δ 5.52(m, 2H), δ 6.30(d, 1H), δ 7.30(s, 5H), δ 7.43(d, 1H), δ 7.48 8.02(m, 4H)
[실시예 2]
페니실린 G의 K염(7.45g), 피리딘(4.85ml), 3-하이드록시프탈라이드(12.6g)을 CH2Cl2(24ml)에 넣고 -15℃에서 POCl3(1.81ml)와 CH2Cl2(2ml)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한 다음 한시간에 걸쳐 온도를 0℃까지 올리고 5℃이하에서 2.5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끝나면 전체 반응액을 찬물로 3번 씻고, 포화중탄산소다 용액으로 2번, 그리고 다시 찬물로 2번 씻는다. 이 용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텔로 백색 분말상의 결정 5.32g(수율 57%)을 얻었다. 이 물질은 실시예 (1)에서 얻은 물질과 동일하였다.

Claims (1)

  1. 옥시염화인(POCl3)과 유염기의 존재하에 페니실린 (Ⅱ)와 3-하이드록시프탈라이드 (Ⅲ)을 -20°-10℃에서 반응시켜 페니실린프탈리딜 에스텔(1)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위의 식에서 R은
    Figure kpo00008
    를 나타내고 R1은 K, Na이다.
KR7702781A 1977-11-30 1977-11-30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Expired KR79000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781A KR790001081B1 (ko) 1977-11-30 1977-11-30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781A KR790001081B1 (ko) 1977-11-30 1977-11-30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081B1 true KR790001081B1 (ko) 1979-08-26

Family

ID=1920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781A Expired KR790001081B1 (ko) 1977-11-30 1977-11-30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08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85000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пролина
EP2610250B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thylene disulfonate compound
US3751447A (en) Novel guanidinocaproic acid phenyl esters and their production
KR790001081B1 (ko) 페니실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Ballester-Rodes et al. N, N-Bis (2-Oxo-3-Oxazolidinyl) Phosphordiamidic Chloride (CLSPO): A New Strategy for the Ester Function Preparation
JPH082821B2 (ja) 1,4,5,8−テトラキス(ヒドロキシメチル)ナフタレ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110537A (en) Method of producing N1 -(2-tetrahydrofuryl)-5-fluorouracil
US407906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2H-cyclopenta (b) furan-2-one compounds
SU537082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диокисей тетраалкилэтилендифосфинов
US4324903A (en) Malonic esters
KR0145401B1 (ko) 실릴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4256547A (ja) ジハロゲン化プロスタサイクリン類の製造方法
KR940006531B1 (ko)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390549B1 (ko) 3-할로메틸-3-세펨의 제조방법
FI64136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2-(6-metoxi-2-naftyl)-propionsyra
US4058567A (en) Cyclopentene sulfoxides
US4325891A (en) Method for preparing ketopinic acid halides and the free acid thereof
US381341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beta dialkylamino-ethyl)-4-alkyl-7-carboethoxymethoxycoumarins
SU50385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торфумаровой кислоты
SU507563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эфиров -карбонил -аминокислот
KR860001312B1 (ko) 말론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90001851B1 (ko) 아미노알칸올에스테르의 신규 제조방법
Mazal et al. Sulphonates and carboxylates of (E)-and (Z)-3-(hydroxymethylene)-trans-hexahydro-2 (3H)-benzofuranone
JPH0678291B2 (ja) シアノ置換エノ−ルエ−テルの製法
JPH11292865A (ja) 医薬品の中間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7113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78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790727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7911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79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79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2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3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40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5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5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