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043B1 -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 Google Patents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043B1
KR790001043B1 KR740003400A KR740003400A KR790001043B1 KR 790001043 B1 KR790001043 B1 KR 790001043B1 KR 740003400 A KR740003400 A KR 740003400A KR 740003400 A KR740003400 A KR 740003400A KR 790001043 B1 KR790001043 B1 KR 79000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ress
mold
parts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도시 사노
기사부로우 스스기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가나메
미쓰비시 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가나메, 미쓰비시 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가나메
Priority to KR74000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0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제1도는 종래의 코올게이트 가공방식을 표시한 설명도.
제2도는 종래의 R꾸부림 내지 플랜지 꾸부림 방식을 표시한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프래스의 전체 정면도로서, 제4도의 A-A선 화살표방향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프래스의 전체의 측면도.
제5도는 제6도의 B-B선에 대응하는 금형박스부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표시한 금형박스부의 측면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일부 확대도.
제8도는 제7도의 C-C선 방향에서 본 저면도.
제9도는 제5도의 D-D선 단면도.
제10도는 수형부(受型部)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표시한 수형부의 일부 생략 정면도.
제12도는 보올스터(bolster) 대차(臺車)의 일부 생략 정면도.
제13도는 플랜지용 금형의 장착상태도.
제14도는 R꾸부림용 금형의 장착상태도.
제15도는 코올게이트 가공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16도는 R꾸부림 및 플랜지 꾸부림 가공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본 발명은 프레스 압금형(押金型)의 착탈을 프레스 압반(壓盤)하부에 형성한 손잡이의 기계조작에 의해서 착탈 자재케함과 동시에 이 손잡이가 요면(凹면)의 압형(押 型)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베드위를 이동하는 보올스터대차 위에 지지되는 받침금형 일부의 블록형부분을 받침금형의 가동 손잡이로도 겸용할 수 있게하여 R꾸부림가공, 플랜지 꾸부림가공 및 코올게이트 가공등 여러종류의 소성(塑性)가공을 한대(一臺)로 달성할 수 있게 하여 프래스의 범용화(汎用化)를 기도하는 자재금형 장비의 프래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레스는 글자 그대로 누르는 것을 주체로 하고, 제1도 내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압금형(1A)~(1C) 및 받침금형 (2A)~(2C)은 램(3) 내지 베드(4)에 각기 보울트(5)(6)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제2도(a)에 표시한 플랜지 꾸부림 가공, 또는 제2도(b)에 표시한 R꾸부림가공 등에서의 여러가지의 다양한 금형은, 어느 것이나 각기 소요의 금형을 그때마다 프레스기의 압반(壓盤)과 베드에 대하여 보울트 등으로 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코올게이트 가공을 할 경우에는, 꾸부림 각도 θ, 폭 B, 높이 H 및 판의 두께 T를 각각 소망의 치수로 유지하여, 이들의 치수가 틀릴 경우는, 압금형(1A) 및 받침금형(2A)을 함께 교환하는 한편, 그 이외의 치수 조정은 압금형(1A)과 받침금형(2A)의 사이에 박판(7)을 개재시켜서 하고 있었다. 이와같이 하여 실시하고 있는 금형교환이나 금형 형성의 작업은 인력을 주체로 하여 실시되고 있으므로, 극히 많은 노력이 소비되어, 2인 이상의 공동작업으로 되어 비능률적이고 안전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금형 및 박판의 부착 오차에서 생기는 가공정도(精度)저하 등의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R꾸부림가공 및 플랜지 꾸부림가공 등과 같은 소성(塑性)가공에 있어서는, 압금형(1B), (1C)을 철면(凸面)으로 하고, 받침금형(2B),(2C)을 요면(凹面)으로 하여 각종의 가공을 하고 있으며, 압금형(1B),(1C)의 선단의 형상은 그들의 각종 가공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램에 의해 구동되는 압반과의 접촉부는 압반 하부에 형성된 보울트 고정용 결합구멍에 대하여 어느 금형이나 합치되도록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코올게이트 가공의 경우에는, 압금형(1A)을 요면(凹面)으로 하고, 받침금형(2A)을 철면(凸面)으로 하여 받침금형(2A)의 철면 전후 양측의 수평부에서의 수평부의 형성에 의해서 코올게이트 판의 폭 치수 내지 높이 치수의 유지를 꾀하고 있으나, 이러한 코올게이트 가공에 있어서, 코옭이트판에 요구되는 형상은, 코올게이트 판의 정점(頂點) 각도(θ)가 동일한 경우에는 폭 내지 높이는 2종 정도의 변화가 요구되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R꾸부림 가공 및 플랜지 꾸부림 가공 등과 같이 압형을 철면으로 하고 받침형을 요면으로 하는 여러가지의 다양한 프레스 가공 및, 코올게이트 가공과 같이 압형을 요면으로 하고 받침을 철면으로 하여 압형의 수평부에서의 가압에 의해서 피가공물에 수평부를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등과 같이, 프레스에 의해서 행하는 광범위한 판금의 소성가공을, 이들의 금형을 기계조작에 의해서 자재로 착탈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한대의 프레스기계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게 하여 프레스의 범용화를 기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을 프레스 관부(冠部)와 이 프레스 관부를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스가교(架橋)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프레스가교 하부에 착설된 베드의 위쪽에서 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압반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설하고, 받침 금형을 지지하는 가동보울스터를 상기 베드위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재케 부착하여 이 가동보올스터가 상기 프레스 가교의 외측에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일반 하부에 2개의 가동압형(可動押型) 부품을 서로 접근이반(接近離反)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양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 대향면의 사이에 공간이 점위(占位)하는 요면압형을 양 가동압형 부품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 금형을 향하여 이동하는 압금형의 상부에 설치한 단면 T자형 두부와 교합하는 교합 크램프부를 상기 양가동압형 부품에 형성하여 상기 양 가동압형 부품을 손잡이로서 겸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가동압형 부품의 접근이반 이동에 의해서 양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 대향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과 동시에 상기 압금형을 착탈자재케 하는 한편, 상기 받침형의 전후 양측에 구비한 2개의 단면이 장방형인 블록을 상기 반침금형에 밀접 이동하여 받침금형의 일부로 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을 회전하여 그 긴쪽 가장자리와 짧은 쪽 카장자리를 교환할수 있게 한 것으로, 또한 프래스 관부와 이 프레스 관부를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스 가교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 프레스 가교 하부에 설치한 베드의 위쪽에서 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압반을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에 배설하고, 받침금형을 지지하는 가동보올스터를 상기 베드위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자재케 부착하여 이 가동보올스터가 상기프레스 가교의 바깥축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압반하부에 2개의 가동압형 부품을 부착함과 동시에 양 가동압형 부품의 바깥축 가장자리에 복수단(段)의 구배면을 연속 형성하고 또한 이들의 구배면과 각각 접촉하는 쐬기부품을 복수 연결하여 쐬기부품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압형 부품이 접근이반 이동할 수 있게하고, 상기 양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 대향면의 사이에 공간이 점위(占位)하는 요면압형(凹面押型)을 양 가동압형 부품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금형을 향하여 이동하는 압금형 상부에 착설한 단면 T자형 두부와 교합하는 교합 크램프부를 상기 양 가동압형 부품의 접근이반 이동에 의해서 양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 대향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과 동시에 상기 압금형을 착탈 자재케 하는 한편, 상기 받침금형의 전후 양측에 구비한 2개의 단면이 장방형인 블록을 상기 받침금형에 밀접 이동하여 받침금형의 일부로 함과 동시에 상기 양 블록을 양 단면축(兩端面軸)으로 서로 접근이반 이동하는 수평 실린더 위에 회전 자재케 저지하고 또한 상기 수평실린더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양 블록을 상승이반 이동한 상태하에서 동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양 블록의 긴쪽 가장자리와 짧은쪽 가장자리를 교환할 수 있게한 것이다.
다음에, 제3도~제16도에 표시한 일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3,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부에 지지된 수평의 프레스관부(11)와 이 프레스관부(11)를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12)으로 프레스가교(13)를 구성하고, 이 프레스가교(13)의 하부에 베드(14)를 설치하는 한편, 프레스관부(11)의 하면에 부착된 램(15)에 의해서 베드(14)의 위쪽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압반(16)이 사이드프레임(12)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R꾸부림 가공을 압금형(1C), 플랜지 꾸부림 압금형(1B)내지 코올게이트 가공용 금형(1A)등 각종의 압금형을 지지 내지는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압금형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금형박스(17)가 보울트(18)에 의해서 압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이들 각종의 압금형의 가압력(加壓力)을 받아서 피가공물 판금(10)을 소망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받침금형은, 베드(14)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자재케 부착된 가공보올스터(19)에 지지되어 있다. 이 가동보올스터(19)는, 프레스 가교의 바깥측에 이동하여 가동보올스터 대차(19)위에의 각종 받침금형의 착탈을 프레스 가교 바깥축에서 할 수 있게, 좌우 양단의 스프로킷(20)(21)에 체인(22)이 장착되어, 체인(22)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보올스터대차(19)를 궤도(23)위에서 가교(13)바깥축으로 이동한다.
제5~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철면으로 선단이 형성된 각종의 압금형(1B),(1C)의 상부에는 단면 T자형 두부(24)가 형성되어, 이 두부(24)와 교합하는 교합램프부(25)를 형성한 2개의 가동압형부품(26)을 각기의 교합크램프부(25)가 대향되도록 하여 압반(16) 하부에 금형박스(17)를 개재해서 구비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가동압형 부품(26)은, 코올게이트 가공과 같이 요면의 압금형(1A)에 의해서 소성 가공할 경우에는, 양 가동압형 부품(26)의 내측면(26a)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양 가동압형 부품(26)이 코올게이트 가공용 압형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가동압형 부품(26)은, 압금형(1B),(1C)의 지지를 위한 손잡이부와 동시에 그 자체로 압형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가동압형부품(26)에 의해서 각종의 압금형(1B),(1C)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것과 내축면(26a)의 간격 조정을 위해서, 이들의 가동압형 부품(26)이 서로 접근이반 이동되게 하고 있으며, 이 접근 이반 이동을 하기 위해, 각기의 가동압형 부품(26)은, 금형박스(17)의 하면에 소정 간격마다에 안내보올트(27)에 의해서 부착된 지지부품(28)에 의해서 이동자재케 지지되고, 또한 금형박스 하부에 돌설된 안내부 (29)와 양 가동압형 부품(26)의 바깥축의 사이에 쐬기부품(30)이 부착되어 있다.
가동압형 부품(26) 바깥축에는 안내부(29)에 향하여 경사되는 구배면(31)이 복수단 연설되고, 이 구배면과 접촉되게 상기 쐬기부품(30)이 부착되어 있다.
쐬기부품(30)은 구배면(31)과 접촉함과 동시에 연결봉(32)에 의해서 복수개 연결되어, 또한,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동프레임에 형성된 개미구(溝)내지 T자형 구(35)에 쐐기부품(30)의 돌부(突部)가 접동 자재케 삽입되어 있다.
쐐기부품(30)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압반(16)에 고착된 지지너트부(33), 축수(36) 및 드러스트 축수(37)에 지지된 스크류축(34)이 쐐기부품(30)의 단부에 부착되고, 유압모우터(38)의 회전을 커플링(39) 및 연동체인(40)에 의해서 양 스크류축934)에 전달하고 있다.
(40)은 셀신 발진기이며, 한 쪽의 스크류축(40)에 부착되어, 스크류축(40)의 회전수를 가동압형 부품(26)의 변위량으로서 조작반(도시생략)위의 게이지에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원격 조작에 의해서 개폐 형성이 가능하다.
받침금형(2A),(2B),(2C)의 지지수단은, 제10도~제12도에 표시한 구성에 의해서 된다.
받침금형(2A)~(2C)의 전후 양측에는 단면이 장방형의 블록(41)이 각각 가동보올스터(19)위에 지지되어 있고, 각각의 블록(41)의 양단 양축(42)은, 양 블록(41)을 서로접근이반 이동하기 위해서, 각형(角形) 수평실린더(43)위의 자동조심형(調心形)의 축수(44)에 지지되고, 또한 양 각형 수평실린더(43)의 피스톤의 두부가 서로 고정결합판(45)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양 각형 수평실린더(43)는 슬라이드판(46)위에 프래스의 전후 방향으로 접동 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블록을 상하 이동하기 위해서, 양 슬라이드판(46)과 가동보올스터 대차(19)의 좌우 양단에 돌설된 브래킷(47)과의 사이에는, 전후 2개의 수직실린더(4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블록을 상하 이동하기 위해서, 양 슬라이드판(46)과 가동보올스터 대차(19)의 좌우 양단에 돌설된 브래킷(47)과의 사이에는, 전후 2개의 수직실린더(48)가 부착되어 있다.
양 수평실린더(43) 및 양 수직실린더(48)에는 각각 유압 공급관을 직렬 내지는 평행으로 접속하여, 양 수평실린더(43) 또는 양 수직실린더(48)가 동시에 구동되고, 양 블록(41)을 동시에 회전 내지 접근이반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 양 블록(41)을 회전하기 위해서, 보올스터대차의 좌우의 어느한쪽 단면, 도면에서는 좌측에 유압모우터(49)가 부착되어, 이 유압모우터(49)에 부착된 스프로킷(50)과 양 블록의 단면측에 부착된 스프로킷(51)이 체인(52)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동보올스터 대차는, 이를 베드(14)위에 고정할 때에는 보올스터대차(19)의 하면이 직접 베드 상면과 접촉하고, 또한 이를 프래스 가교(13)의 바깥축으로 이동할 때는 보올스터대차(19)가 상승하기 때문에,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보올스터대차의 전후 양측에 각각 수개의 차륜(53)이, 일단이 회전 자재케 지지되고 또한 타단에 유압실린더(54)에 의해 구동되는 링(55)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제13도 및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랜지 금형(1B) 내지 R금형(1C)등의 철면(凸面)으로 된 압형을 금형박스(17)에 부착하여 가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압형(1B),(1C)을 압반(16)의 하부에 부착하려면, 양 가동압형 부품(26)의 교합크램프부(25)의 사이에 각종 압형의 두부를 삽입한다.
두부가 삽입된 상태하에서 유압모우터(38)를 구동하여 스크류축(34)을 회전하고, 쐐기부품(30)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구배면(31)을 개재해서 양 가동압형 부품(26)을 서로 접근이동(제13,14도중 화살표(가)방향으로 이동)하고, 압형부품(26)에 형성된 교합크램프부(25)와 두부(24)를 교합하여 압형(1B),(1C)을 가동압형 부품(26)에 대하여 일체화 한다.
한편 받침형(受型)을 보올스터대차(19)위에 설치하려면, 보올스터대차(19)를 프래스가교(13)의 바깥축으로 이동된 상태하에서 보올스터대차(19)위에 올려 놓는다.
제13,14도에 표시한 받침형에는, 하면에 철부(凸部)가 설치되고, 이 철부가 보올스터대차(19) 상면의 요구(凹溝)내에 감입(嵌入)되게 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받침형을 올려놓은 후 수평실린더(43)을 구동하여 블록 (41)을 서로 접근 이동하여, 양 블록(41)을 받침형의 전후 축면에 밀접시켜 받침형과 보올스터대차(19)와의 체결을 한다.
제16도(a)는 금형박스(17)의 하면에 R형(1C)내지 플랜지형(1B)등의 압금형을 부착하고, 요상구(凹狀溝)를 형성한 받침금형에의 가압에 의해서 판(板)부품의 소성변형을 하도록 한 경우를 표시한 것으로 실선으로 표시한 플랜지형의 압형(1B) 및 받침형(2B)에 의한 경우의 피가공물(10)은 제16도(b)의 실선과 같이 되고, 가상선으로 표시한 R형의 압형(1C) 및 받침형(2C)에 의한 경우의 피가공물은 제16도(b)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소성 가공된다.
다음에, 제1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코올게이트 꾸부림 가공을 할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유압모우터(38)를 구동하여 스크류축(34)을 회전하여, 쐐기부품(3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구배면(31)을 개재하여 양 가동압형 부품(26)을 서로 접근 내지 이반 이동하고, 양 가동압형 부품(26)의 내측단면(26a)의 사이의 거리를 소망의 거리로 설정한다.
한편, 받침금형(1A)의 설정은, 보올스터대차(19)위에 받침금형(1A)을 올려놓은 후 수평실린더(43)를 구동하여 블록(41)을 서로 접근 이동하고, 양 블록(41)을 받침형(1A)의 전후의 양 측면에 밀접시켜서 받침형(1A)의 보올스터대차(19)에의 체결을 한다.
이런 상태가 제15도에 표시한 실선의 상태일 경우 피가공물(10)은 폭이 B1, 높이가 H1으로 소성 가공된다.
이 상태에서 폭을 B2, 높이를 H2로 변화시킬 경우에는, 양 가동압형부품(26)을 서로 이반 이동하는 한평, 양수평실린더(44)를 동시에 구동하여 양블록(41)을 서로 이반 이동시키고, 또한 수직실린더(48)를 구동해서 양블록(41)을 상승시켜서, 제10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양 블록(41)을 이동시킨다.
이 상태하에서 유압모우터(49)를 구동하여 장방형 단면의 블록(41)을 회전하고, 블록(41)의 짧은 가장자리 m과 긴쪽 가장자리 n과를 교환한다.
따라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짧은 가장자리 m이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던 상태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짧은 가장자리 m이 수직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양 블록(41)을 교환한다.
이 상태에서 소성 가공한 경우의 피가공물(10)은 제15도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폭이 B2, 높이가 H2로 된다.
또한 코올게이트 가공에 있어서, 판의 두께 변화에 대한 조경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5도(C)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의 두께 t1의 상태에서 t2의 상태로 변경할 경우에는, 양 가동압형 부품(26)을 B1의 위치에서 B2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래스압반 하부에 서로 접근이반 이동하도록 착설된 2개의 평행한 가동압형 부품에 의해서, 양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단면의 사이에 공간이 점위하는 요면압형으로 형성되고, 코올게이트 가공과 같이 압금형이 요면으로 된 소성가공이 달성됨과 동시에, 두부를 단면 T자형으로 형성한 각종의 압금형의 두부를 양 가동압형부품의 내측단면의 사이에 삽입하여, 양 가동압형 부품을 서로 접근 이동해서 양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부에 형성한 교합크램프부에서 각종의 압금형의 압반 하부에 체결되므로, 가동압형 부품이 압형과 함께 가동 손잡이를 겸용하는 것으로 되어, R꾸부림 가공 내지 플랜지 가공등과 같이 압형이 철면으로 된 각종의 소성가공이 달성된다. 특히, 양 가동압형 부품의 접근이반 이동을 하는 수단으로서, 복수 연결하여 형성한 쐐기부품을 양 가동압형 부품의 바깥축에 전장(全長)에 걸쳐서 구비하였으므로, 쐐기부품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양가동압형 부품의 접근이반 이동으로 변환합에 있어서, 양 가동압형 부품의 광범위에 걸친 균일한 가압이 달성되는 것으로 되고, 가동압형부품과 쐐기부품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국소적(局所的) 마모를 회피할 수 있는 신뢰성이 풍부한 프래스가 된다.
한편 베드위에 이동 자재케 부착된 가동보올스터 대차에 받침금형을 지지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받침형의 대차 위에의 장착이 프래스가교의 바깥측에서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이 받침금형의 전후 양측에 단면이 장방형으로 된 블록을 그들의 양 단면측으로 지지하고, 대차위에 있어서 서로 접근이반 이동 자재케, 또한 회전 및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자재케 하였으므로, 받침금형의 대차위에의 체착(締着)이 양 블록의 접근 밀접이동에 의해서 달성됨과 동시에, 단면이 장방형으로 된 블록을 회전하여 그들의 짧은쪽 가장자리와 긴쪽 가장자리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받침금형과 양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전체의 받침형의 형상을 간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가변(可變)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특히 양 블록의 회전수단으로서 각각 동시에 유압 구동되는 양 수평 실린더와 수직실린더에 의해서 양 블록을 이반 상승 이동한 상태하에서 간이하게 양 블록의 회전이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것에 의해 한대의 프래스에 의해서, R꾸부림, 플랜지 꾸부림 등의 각종의 소성가공뿐만 아니라 코올게이트 가공도 기계조작에 의해서 할 수가 있으며, 범용성(汎用性)이 풍부한 프래스가 달성되었다.

Claims (1)

  1. 프래스 관부와 이 프래스 관부를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스 가교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 프레스 가교 하부에 착설한 베드의 위쪽에서 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압반을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에 배설하고, 받침금형을 지지하는 가동보올스터를 상기 베드위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재케 부착하여 이 가동보올스터가 상기 프레스가교의 바깥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압반 하부에 2개의 가동압형 부품을 서로 접근이반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압반 하부에 2개의 가동압형 부품을 서로 접근이반 이동되도록 착설하여 양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 대향면의 사이에 공간이 점위하는 요면압형을 양 가동압형 부품의 에 의해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금형에 향해서 이동하는 압금형의 상부에 설치한 단면 T자형 두부와 교합하는 교합크램프부를 상기 양 가동압형 부품에 형성하여 상기 양 가동압형부품을 손잡이로서 겸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가동압형 부품의 내측 대면간의 거리를 조정합과 동시에 상기 압금형을 착탈자재케 하는 한편, 상기 받침금형의 전후 양측에 구비한 2개의 단면이 장방형으로 된 블록을 상기 받침금형에 밀접 이동하여 받침금형의 일부로 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을 회전하여 그 긴쪽 가장자리와 짧은 쪽가장자리를 교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금형 장비의 프레스.
KR740003400A 1974-08-23 1974-08-23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KR79000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400A KR790001043B1 (ko) 1974-08-23 1974-08-23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400A KR790001043B1 (ko) 1974-08-23 1974-08-23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043B1 true KR790001043B1 (ko) 1979-08-22

Family

ID=1920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3400A KR790001043B1 (ko) 1974-08-23 1974-08-23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04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1015A (en) Molding apparatus with replaceable plunger and die set
CN111633108A (zh) 一种便于双侧冲压的冲压翻孔设备
CN113333659A (zh) 一种具有铸件定位功能的锻造模具
KR790001043B1 (ko) 자재금형 장비의프레스(自在金型裝備의 푸레스)
KR20170087680A (ko) 가공오차 조정이 가능한 벤딩금형 핀치다이
CN206464421U (zh) 一种新型翻边冲孔模
CN216027688U (zh) 一种压力机
US3802248A (en) Forging press
CN211938885U (zh) 一种用于冷轧辊锻造模具的紧固工装
CN212884543U (zh) 一种液压成型机
CN111545640B (zh) 一种可调节的冲压模具
CN209532012U (zh) 多向双动挤压液压机的重型模具预热炉底
CN215614335U (zh) 一种冲压件折弯装置
CN218395499U (zh) 一种金属合金材料加工用冲压装置
CN220515636U (zh) 一种型材加工用下开齿机
CN211198378U (zh) 一种压铸机龙门架
CN220837566U (zh) 一种电梯压导板加工用冲压模具
CN109570431A (zh) 多向双动挤压液压机的重型模具预热炉底及模具装卸方法
CN220560223U (zh) 一种汽车零件冲压模具
CN220216455U (zh) 一种便于清理废料的汽车冲压模具
CN213378774U (zh) 一种孔距快速可调的冲孔模具
CN220387561U (zh) 一种折杆用模具
CN214488555U (zh) 一种汽车模具加工用固定装置
CN216262974U (zh) 一种全自动数控冲孔模具
CN220497434U (zh) 一种异形钢模板制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