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033B1 -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033B1
KR790001033B1 KR7404217A KR740004217A KR790001033B1 KR 790001033 B1 KR790001033 B1 KR 790001033B1 KR 7404217 A KR7404217 A KR 7404217A KR 740004217 A KR740004217 A KR 740004217A KR 790001033 B1 KR790001033 B1 KR 79000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arts
mixture
trans
c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도시 오꾸노
마사지까 히라노
Original Assignee
야무라 히데오
스미도모 가가꾸 고우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무라 히데오, 스미도모 가가꾸 고우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무라 히데오
Priority to KR740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0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제1도는 화합물(1) 및 (3)의 (±)-트란스체를 함유하는 혼합 살충제의 집파리 성충에 대한 효과를 표시한 그라프이고,
제2도는 화합물(2)의 (±)-알레트로론-(+)-트란스-산체 및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를 함유하는 혼합 살충제의 집파리 성충에 대한 효과를 표시한 그라프이고,
제3도는 화합물(2)의 (+)-알레트로론-(+)-트란스체 및 화합물(3)의 (±)-시스트란스체를 함유하는 혼합 살충제의 집파리 성충에 대한 효과를 표시한 그라프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저독성이며 녹-다운 효과와 살충효과가 우수한 N-(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아미도)-메틸 크리산테메이트[이하 "화합물(1)"로 칭함], 또는 2-알릴-3-메틸-싸이클로펜트-2-엔-1온-4-일 크리산테메이트[이하 "화합물(1)"로 칭함] 및 3-펜옥시벤질 2',2'-디메틸-3'-(2",2"-디클로로비닐)-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이하 "화합물(3)"으로 칭함]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규의 살충성 조성물을 조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화합물들을 서로 혼합하여 제조하여 이와같이 혼합함으로서 각 화합물의 결점이 보충되어 이들 화합물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강화된다. 화합물(1) 또는 (2)는 현재 집파리, 모기 및 진디물과 같은 위생해충 및 벼잎 홉퍼와 같은 농작물 해충에 대하여 극히 신속한 녹-다운효과를 나타내는 살충제로서 이용되며, 천연 및 함성 크리산템산 에스테르형 화합물중에서 녹-다운 효과가 가장 신속하다. 그러나 상술한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살충효과가 높지 않으므로 때로는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상승효과제 또는 살충효과가 높은 살충제와 배함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1) 또는 (2)의 결점을 보충하여 상승효과룰 갖게할 목적으로 광범위한 연구를 한결과, 화합물(1) 또는 (2)를 적당량의 화합물(3)과 혼합하는 경우, 이 혼합물은 각 화합물의 효과로부터 예기할 수 없는바의 경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상승적인 살충작용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인측에 대하여 극히 저독성이므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발견에 입각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화합물들의 혼합으로 얻어지는 상승효과는 다음의 실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으며, 화합물(1),(2) 및 (3)에는 이들 화합물의 산 성분으로부터 유도된 이성체가 포함됨은 물론이다.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살충성 조성물에 의하여 얻어지는 상승효과를 표시한 그라프로서 제1도는 화합물(1)과 (3)의 (±)-트란스체를 함유하는 혼합살충제의 집파리 성충에 대한 효과를 혼합비, 녹-다운비 및 살충율의관계로서 표시한 그라프이고, 제2도는 화합물(2)의 (±)-알레트로론-(+)-트란스-산체와 화합물(3)의(±)-시스, 트란스체를 함유하는 혼합 살충제의 집파리 성충에 대한 효과를 혼합비, 녹-다운비 및 살충율의 관계로서 표시한 그라프이며, 제3도는 화합물(2)의 (+)-알레트로론-(+)-트란스체와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를 함유하는 혼합 살충제의 집파리 성충에 대한 효과를 표시한 그라프이다.
[실험 실시예 1]
다음 표 1에 표시된 화합물과 그 화합물의 혼합물에 탈취 케로센을 사용하여 각각 0.1% 오일제로 제제화한 다음, 집파리 성충 약 50마리를 (70cm)3의 유지상자에 방사하고, 유리분무기를 사용하여 1.5kg/cm2의 압력으로 상술한 오일제의 각 0.7ml를 분무한후 녹-다운된 집파리의 수를 계산하여 KT50치(50%녹-다운시간)을 산출하였으며, 10분후에 녹-다운된 집파리를 수집하여 먹이가 들어있는 관찰용 상자에서 1일간 방치한 다음에 생존 및 죽은 집파리의 수를 계산하여 살충율을 산출한 결과, 다음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상기 표 1과 제1도로부터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합물(1)과 (2)의 혼합물로서 특히 혼합비가 9 : 1-2 : 8인 경우에 상승효과가 우수하다.
[실험 실시예 2]
다음 표2에 표시된 화합물과 그 혼합물에 탈취케로센을 사용하여 각각 0.2% 오일제로 제제화한 다음, 집파리 약 50마리를(70cm)3의 유리상자에 방사하고, 유리 분무기를 사용하여 1.5kg/cm의 압력으로 상술한 오일제0.7ml1를 분무한후 녹-다운된 집피리의 수를 계산하여 KT50치를 산출하였으며, 10분후에녹-다운된 집피리를 수집하여 먹이가 들어있는 관찰용 상자에서 1일간 방치한 다음, 생존 및 죽은 집파리의 수를 계산하여 살충율을 산출한 결과 다음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2
첨부도면중 제2도 및 제3도로부터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혼합물의 녹-다운비와 살충율의 선은 각 화합물의 직선보다 높으며, 이것은 혼합물이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실험 실시예 3]
다음 표 3에 표시된 화합물(1)의 (+)-트란스체 일반식(3)의 (±)-트란스체 및 이들의 혼합물에 아세톤을 사용하여 각각 시험용 화학제품으로 제제화하였으며, 시험용 화학제품의 미량을 작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진디물 성충의 등에 적하하여 국소적용에 의하여 살충효과를 시험하였다. 이 결과로서 72시간후에 화학제품의 50% 살충량(LD50)은 다음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3]
Figure kpo00003
[실험 실시예 4]
다음 표 4에 표시된 일반식(1)의 (±)-시스, 트란스체 및 그 혼합물을 통상 방법에 의하여 각각 20%유제로 제제화한 다음, 화분에 파종한후 약 40일이 경과한 벼에 상술한 유제의 각 2,000배 희석액을 화분당 10m1씩 분무하여, 공기 건조시킨 다음에 벼잎 홉퍼의 성충을 기생시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녹-다운된 벼잎 홉퍼의 수를 계산하여 KT50치(벼잎 홉퍼의 50% 녹-다운되는데 요하는 시간)를 산출한 결과, 다음 표 4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4]
Figure kpo00004
[실험 실시예 5]
다음 표 5에 표사된 화합물(2)의 (±)-론-(+)-트란스체,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화합물-(3)의 (+).-트란스체 및 그 혼합물을 후술하는 제제 예 4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다음 표 5에 표시된 바와 같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에어로졸제로 각각 제제화하였다. 이 에어로졸제를 한 집단의 집파리 성충 100마를 방사시킨 피-트 그레이디의 체임버(Peet Grady’s Chamber)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시험법 “Soap & Chemical Specialities Bluebook”(1965)에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살충효과를 시험한 결과 다음 표 5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5]
Figure kpo00005
다음표 6에 표시된 화합물(2)의 (±)-론-(+)-트란스체, 화합물(2) (+)-론-(+)-트란스체,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및 그 혼합물을 후술하는 제제예 14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다음표 6에 표시된 유효성분의 농도를 갖는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였다.
직경 20cm와 높이 20cm의 유리시린더의 밑바닥을 16메쉬 나일론망으로 덮고 시린더 내벽의 상부에 버터를 바른 다음, 한 집단의 진디물성충 20마리를 시린더에 방사시키고 이 시린더를 직경 20cm,높이 20cm의 또 다른 유리시린더위에 올려놓은 다음에 진디물을 방사시킨 유리시린더위에 직경 20cm 높이 40cm의 유리시린더를 더 올려놓았다. 이와같이 올려놓은 유리시린더의 상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제를 진디물에 분무하고, 20분 이내에 녹-다운된 진디물의 수를 계산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KT50치를 산출하였다. 분무한후 20분이 경과되었을때 진디물을 먹이가 들어있는 접시에서 3일간 방치하여 생존 및 죽은 진디물의 수를 계산하여 살충율을 계산한 결과, 다옴 표 6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6]
Figure kpo00006
[실험 실시예 7]
다음 표 7에 표시된 화합물(2)의 (±)-론-(+)시스, 트란스체, 화합물(2)의 (+)-론-(+)-시스, 트란스체, 화합물(3)의 (+)-론-(+)-시스, 트란스체 및 그 혼합물을 다음 표 7에 표시된 바와 같은유효성분의 양을 갖는 모기향으로 후술한 제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제화하였다.
한 집단의 북부 집모기성충 25마리를 직경 30cm와 높이 30cm의 나일론망으로 만든 4개의 시린더형 상자의 각각에 방사시키고, 이 상자를 (28m)3체임버의 4모서리에 각각 놓은후 상술한 모기향의 각각에 점화하여 체임버의 중앙에 놓은 다음, 2시간 이내에 녹-다운된 모기의 수를 계산하여 KT50치를 산출한 결과, 다음 표 7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7]
Figure kpo00007
상기 실험 실시예 1-7로부터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살충제는 상승효과로 인하여 살충효과가 현저히 높다.
본 발명의 살충성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혼합 살충제는 통상의 피레트로이드의 경우와 같이 일반살충제용 회석제를 사용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오일제, 유제, 분산제, 에어로졸제, 수화제, 미과립제. 모기향, 전기모기잡이매트, 연무제, 가열 또는 비가열훈증제 및 기호제와 배합한 분산제나 고형제 또는 곤총유인 물질과 같을 형태의 살충성 조성물을 임의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성조성물은α-[2-(2-부톡시에톡시)에톡시]-4,5-메틸렌디옥시-2-프로필톨루엔(이후 "피페로닐 부톡사이드”로 칭함), 1,2-메틸렌디옥시-4-[2-(옥틸설피닐)프로필]벤젠(이후“설폭사이드”라고 칭함), 4-(3,4-메틸렌디옥시페 닐)-5-메틸-1,3-디옥산(이후“수프륵산”이라고 칭함), N-(2-에틸헥실)-비싸이 클로[2,2,1]-햅타-5-엔-2,3-디카르북시미드(이후 "MGK-264”라고 칭함), 옥타졸로토등프로필 에테르(이후 "S-421”이라고 칭함) 및 이소보르닐 티오시아노아세테이트(이후“타나이트”라고 칭함)와 같은 피레트로이드에 유효한 상승효과제 또는 알레트린과 피레트린에 유효한 기타 공지의 상승 효과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살충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크리산템산 에테르형 화합물은 광선, 열 및 산화제에 대하여 안정성이 다소 적다. 따라서 산화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즉 BHT(butylated hydroxytoluene)과 BHA(butylated hydroxyanisol)와 같은 페놀유도체, 비스페놀유도체, 페닐-α-나프틸아민과 같은 아릴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및 페네티인 축합물과 같은 아릴아민, 또는 벤조페논형 화합물을 본 발명의 혼합 살충제에 안정제로서 적당량 첨가하는 경우 효과면에서 더더 안정된 살충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혼합살충제는 생리적으로 활성인 물질, 즉 DDT, BHC 및 메톡시클로르와 같은 유기염소형 살충제; 0,0-디메틸-0-(3-에틸-4-니트로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이후“스미티온”이라고 칭함(住友化學의 등록상품명 ), 0,0-디메틸-0-(2,2-디 클로로비닐)포스페이트(이후“DDVP”이라고, 칭함)및 0,0-디메틸-0-4-시아노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이후“시아녹스”라고칭함(住友化學의 등록상품명)와 같은 유기인형 살충제; 1-나프틸-N-메틸카르바메이트, 3,4-디메틸페닐-N-메틸카르바메이트 및 2-이소프로폭시페닐-N-메틸카르바메이트와 같은 카르바메이트형 살충제; 공지의 크리산템산 에스테르 및 그 이성체와 같은 크리산템산 에스테르형 살충제 또는 기타의 살충제와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살균제, 항원충제, 아카리사이드(acaricides), 제초제, 비료, BT제제와 BM제제같은 미생물 살페스트제 및 곤충호르몬제와 같은 기타의 농업용 화학제품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효과면에서 더욱 강화된 다목적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성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졌으므로, 집파리, 모기 및 진디물 등의 위생해충을 살충시켜 전염병의 예방에 널리 사용할 수 있으여 퉁상의 곡물진디물, 나방, 바구미 및 이와유사한 저장곡물의 해충을 방제하는데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홉퍼, 잎흡퍼, 줄기좀벌레, 다이야몬드 등 나방, 잎로울러, 진디물, 거미 진드기무리, 밤나무벌레 등과 같은 농원예해충과 산림해충을 방제하는데 현저히 유효할 뿐만 아니라 또한 동물에 기생하는 이와 벼룩 및 기타의 많은 해충을 방제하는데에서 현저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독성이 적으므로 추수전의 곡물과 식품용 포장재료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가정원예와 온실재배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조성방법과 효과를 제제예 및 시험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서 표시된 모든 "부"는 중량비를 표시한다.
[제제예 1]
화합물(l)의 (±)-시스, 트란스체 0.06부 및 화합물(3)의 (±)-트란스체 0.04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탈취케로센에 용해시켜 전체량 100부로 만들어서 오일제를 얻었다.
[제제예 2]
화합물(1)의 (+)-시스, 트란스체 0.04부 및 화합물(3)의 (±)-트란스체 0.01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0.25부와 배합하여 탈취케로센에 용해시켜 전체량 100부로 만들어서 오일제를 얻었다.
[제제예 5]
화합물(1)의 (±)-시스, 트란스체 4부 및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16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소트폴 SM-200(東方化學의 등록상품명) 15부 및 키실렌 65부와 함께 충분히 교반하여 유제를 얻었다.
[제제예 4]
화합물(1)의 (±)-시스, 트란스체 0.2부, 화합물(3)의 (+)-트란스체 0.1부, 키실렌 7부 및 탈취케로센 7.7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시켜 용기에 발브를 부착한후 추진제(액화 석유개스)85부를 상기 발브를 통해서 가압하에 용기에 충전시켜 에어로즐제를 얻었다.
[제제예 5]
화합물(1)의 (+)-트란스체 0.2부, 화합물(3)의 (±)-트란스체 0.l부, 탈취제로센 13.7부 및 유화제Atoms 300(Atlas Chemicals CO.의 등록상품명) 1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순수한 물 50부를 가하여 유화시키고, 이 유액을 탈취부탄과 탈취프로판의 3 : 1 혼합물과 함께 에어로졸용기에 충전시켜 수기제 에어로졸제를 얻었다.
[제제예 6]
화합물(1)의 (+)시스, 트란스체 0.1g, 화합물(3)의 (±)-트란스체 0.3g 및 BHT 0.4g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메탄올 200ml에 용해시킨 다음, 이 혼합물을 모기향 담체(타부분말, 제충국말 및 목분의 3 : 5 : 1혼합물) 99.2g과 교반, 혼합하고, 메탄올을 증발시킨후 이 혼합물을 물 150ml와 충분히 연합하여 성형, 건조시켜서 모기향을 얻었다.
[제제예 7]
화합물(1)의 (±)-시스, 트란스체 10부, 화합물(3)의 (±)-의 시스, 트란스체 20부 및 소르폴 SM-200(상술한 바와 같음) 5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300메쉬탈크와 함께 유발내에서 충분히 교반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8]
화합물(1)의 (+)트란스체 2부, 화합물(3)의 (+)-트란스체 1부 및 피페토닐 부톡사이드 10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아세톤 20부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액을 300메쉬 규조토 87부와 함께 유발내에서 충분히 교반한후 아세톤을 증발제거하여 분산제릍 얻었다.
[제제예 9]
화합물(1)의 (±)-시스, 트란스체 2부 및 화합물(3)의 (±)-트란스 또는 (±)-시스, 트란스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도요리그닌 CT 5부 및 GSM점토 91부와 함께 유발내에서 충분히 교반하고, 이 혼합물을 혼합물에 기준으로 하여 중량비로 물 10%로 연합하여 과립기로 과립화한후, 공기건조시켜 미세한 과립제를 얻었다.
[제제예 10]
화합물(2)의 (+)-론-(+)-시스, 트란스체 0.06부 및 화합물(3)의 (±)-트란스체 0.04부의 혼합물을 탈취케로센에 용해시켜 전체량 100부로 만들어서 오일제를 얻었다.
[제제예 11]
화합물(2)의 (+)-론-(+)-트란스체 0.04부 및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0.01부의 혼합물을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0.25부와 배합한후 탈취케로센에 용해시켜 전체량 100부로 만들어서 오일제를 얻었다.
[제제예 12]
화합물(2)의 (±)-론 (±)-시스, 트란스체 및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16부의 혼합물을 소르폴 SM-200 15부 및 키실렌 65부와 배합하고 이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하여 유체를 얻었다.
[제제예 13]
화합물(2)의 (±)-론-(+)시스, 트란스체 0.2부 화합물(3)의 (+)-트란스체 0.1부, 키실렌 7부 및 탈취케로센 7.7부의 혼합물을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시켜 이 용기에 벨브를 부착한후 추진제(액화석유개스) 85부를 상술한 밸브를 통해서 가압하에 용기에 충전시켜 에어로졸제를 얻었다.
[제제예 14]
화합물(2)의 (+)-론-(+)-트린스체 0.2부,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0.1부, 탈취케로센 13.7부 및 유화제 Atoms 300(상술한 바와 같음)의 혼합물에 순수한 물 50부를 가하여 유화시키고, 이 유액을 탈취부탄 및 탈취프로판과 합께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시켜 수기제 에어로졸제를 얻었다.
[제제예 15]
화합물(2)의 (+)-론-(±)-시스, 트란스체 0.1g,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테 0.3g 및 BHT 0.4g의 혼합물을 메탄올 20ml에 용액시킨 다음, 모기향 담체(타부분말, 제충국말 및 목분의 3 : 5 : 1 혼합물) 99.2g과 교반, 혼합하여 메탄올을 증발시킨후 이 혼합물을 물 150ml와 충분히 연합한 다음에 성형하여 건조시켜서 모기향을 얻었다.
[제제예 16]
화합물(2)의 (±)-론-(+)-트란스체 0.02g 및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0.05g 또는 (+)-트란스체 0.03g의 혼합물을 BHT 0.05g 및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0.1g과 배합하고, 이 혼합물을 적당량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넓이 3.5cm×1.5cm 및 두께 0.3cm의 여과지에 균일하게 흡수시켜서 전기 가열판에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섬유상 훈증조성물을 얻었다. 여과지외에 효과면에서 여과지와 동일한 펄프 및 석면판과 같은 섬유상 담체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17]
화합물(2)의 (±)-론-(+)-시스, 트란스체 10부, 화합물(3)의 (±)-시스, 트란스체 20부 및 소르폴 SM-205부의 혼합물을 300메쉬 탈크 65부와 함께 유발내에서 충분히 교반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18]
화합물(2)의 (±)-론-(+)-트란스체 2부, 화합물(3)의 (±)-트란스체 1부 및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10부의 혼합물을 아세톤 20부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액을 300메수 규조토와 함께 유발내에서 충분히 교반한후 아세톤을 증발 제거하여 분산제를 얻었다.
[제제예 19]
화합물(2)의 (+)-론-(+)-트란스체 2부 및 화합물(3)의 (+)-트란스 또는 (+)-시스, 트란스체 2부의 혼합물을 도요리그닌 CT 5부 및 GSM점토 91부와 함께 유발내에서 충분히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혼합물에 기준하여 중량비로 물 10%와 연합한후 과립기로 과립하여 공기건조시켜서 미세한 과립제를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울의 살충효과를 시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실시예 1]
집파리성충 약 50마리를 (70cm)3의 유리상자에 방사하고 제제예 1,2 및 10에서 얻어진 오일제 각 0.7ml 를 유리분무기를 사용하여 1.5kg/cm2의 압력으로 분무한 결과 80% 이상의 파리가 10분 이내에 녹-다운되었다.
[시험실시예 2]
제제예 1,2,10 및 11에서 얻어진 오일제 각 5m1를 캠벨의 회전반법[Soap& Sanitary Chemicals Vo1.14, No.6, Page l19(1938)]에 의하여 분무하고 한 집단의 집파리성충 약 100마리를 10분간 하강하는 연무상태에 노출시킨 결과 다음날 80% 이상의 집파리가 살충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3]
제제예 3과 12에서 얻어진 유제의 각각을 물로 희석시켜 20,000배 희석액을 제조하고, 이 희석액의 2ℓ을 폭 23cm, 길이 30cm 및 깊이 6cm의 스티렌용기에 넣고, 북부 집모기에 말기령(末期令)유충 약 100마리를 용기에 방사시킨 결과 다음날 90% 이상의 유충이 살충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4]
파종후 45일이 경과된 벼를 1/500,000와그너 화분에서 재배하고, 제제예 3과 12에서 얻어진 유제의 각500배 수성 희석액을 화분당 10ml씩 분무한 다음, 각 화분을 철망으로 덮고 벼잎흡펴 성층 약 30마리를 철망속에 방사시킨 결과, 다음날 90% 이상의 벼잎홉퍼가 살충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5]
직경 14cm의 유리 페트리접시에 제3-제4령기의 담배 굼벵이유충 10마리를 놓고 제제예 3과 12에서 얻어진 유제의 각 200배 수성희석제 1ml을 분부탑으로 유충에 분무한후, 유층을 먹이가 들어있는 다른 페트리접시에 옮긴 결과, 다음날 90% 이상의 굼벵이유충이 살충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6]
제제예 4,5,13 및 14에서 얻어진 에어로졸제의 집파리성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파트 그레이디 체임버(6피트)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시험법[Soap & Chemical Specialities, Bluebook(1965)에 기술되어 있음]에 의하여 시험한 결과 모든 에어로졸제는 분무후 15분이내에 80%이상의 파리를 녹-다운시켰으며 다음날에는 70%이상의 파리가 살충되었다.
[시험실시예 7]
북부 집모기성충 약 50마리를 (70cm)3의 유리상자에 방사시키고 유리상자속에 장치된 직경 13cm의 소형 전기 선풍기를 회전시킨 다음 제제예 6과 15에서 얻어진 모기향 각 0.lg의 일단에 점화시켜 유리상자의 밑바닥 중앙에 놓은 결과, 모기향 모두가 90% 이상의 모기를 녹-다운시켰으며, 다음날 80%이상의 모기가 살충되었다.
[시험실시예 8]
집파리 약 50마리를 (70cm)3의 유리상자속에 방사시키고, 유리상자속에 장치된 소형 전기선풍기를 회전시킨 다음 제제예 16에서 얻어진 가열훈증 조성물을 유리상자속의 전기가열판에 놓고 훈증시킨 결과 90%이상의 집파리가 20분 이내에 녹-다운되었다.
[시험실시예 9]
제제예 9와 18에서 얻어진 분산제의 각각을 직경 14cm의 폐트리접시 밑바닥에 2g/m2의 비율로 균일하게 산포한 다음, 밑바닥으로부터 1cm부분이외에 접시내벽에 버터를 바른후 한 집단의 진디물 성충 10마리를 접시에 방사하고 30분간 분산제와 접촉시킨 결과 접촉시킨후 3일간에 90%이상의 녹-다운된 진디물이 살충되었다·
[시험실시예 10]
14ℓ폴리에틸린제통에 담긴 물 10ℓ에 제제예 9와 19에서 얻어진 과립제각 1g을 넣고 1일후에 북부 집모기의 말기령유충 약 100마리를 상술한 물에 방사시킨 다음, 유충의 생사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관찰한 결과 24시간 이내에 90% 이상의 유충이 살충되었다.
[시험실시예 11]
제제예 2와 11에서 얻어진 오일제 각 3g을 집파리 약 500마리를 미리 방사시킨 시험실시예 6에서와 같은 피-트 그레이디의 체임버내에 살충연무기(미국, Burgess Vibrocrafters회사의 제품)에 의하여 연무시킨 결과 30분이내에 90%이상의 집파리가 녹-다운되었다.
[시험실시예 12]
그린하우스에서 재배한 백체에 굼벵이, 배추벌레 및 다이야몬드 등나방을 인공적으로 기생시키고 그린하우스를 면적 30m2규의 구획으로 분할하여 각 구획에 제제예 7과 17에서 얻어진 수화제의 각 10g을 가열훈증기(SEARCH)에 의하여 훈증시킨 결과, 백체의 피해가 전혀 증가하지 않음이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13]
화분에 파종한후 9일이 경과된 얼룩강남콩식물(2염기)에 잎마다 선훙색 암진드기 10-15를 기생시킨 다음, 27℃의 온도에서 1주간 방치하여 각종 성장 단계의 진드기를 많은 수로 번식시키고, 이 단계에서 제제예 3과 12에서 얻어진 유제의 각 200배 수성희석액을 화분당 10ml의 비율로 회전반을 사용하여 식물에 살포한 결과 10일후에 식물은 전혀 피해가 없음이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14]
제제예 7과 17로부터 얻어진 수화제의 각 100배 수성희석액을 면적 15cm×15cm의 적층판의 표면에 50m1/m2의 비율로 살포하는 한편, 별도로 북부 집모기의 성충 20마리를 한 집단으로 하여 직경 9의 페트리접시에 방사시키고, 이 접시를 상술한 화학제품으로 처리한 적층판의 표면에 위에서 아래로 놓아 모기를 처리한 표면과 접촉시켜 60분후에 녹-다운된 모기의 수를 계산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적층판의 표면에 살포한 화학제품을 살포한 당일에 녹-다운효과를 시험한후 1주일에 1회씩 녹-다운 효과를 시험한 결과 화학제품은 살포한 당일로부터 4주후에라도 80%이상의 녹-다운효과를 나타냈으며, 이와같이 잔류효과가 우수하였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성분으로서 N-(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도)-매틸크리산테메이트[화합물(1)로칭함] 또는2-압릴-3-메틸-싸이클로펜트-2-엔-1-온-4-일 크리산테메이트[화합물(2)로 칭함] 및 3-펜옥시벤질 2',2'-디메틸-3'-(2',2'_디클로로비닐)-싸이클로프로판카르북실레이트[화합물(3)으로 칭함]을 화합물(3)에 대하여 화합물(1) 또는 (2)의 혼합비 1 : 9-9 : 1의 범위로 함유하는 혼합물의 유효살충량과 불활성 담체를 함유시켜 살충성 조성물을 조성하는 방법.
KR7404217A 1974-12-07 1974-12-07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KR79000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4217A KR790001033B1 (ko) 1974-12-07 1974-12-07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4217A KR790001033B1 (ko) 1974-12-07 1974-12-07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033B1 true KR790001033B1 (ko) 1979-08-21

Family

ID=1920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4217A KR790001033B1 (ko) 1974-12-07 1974-12-07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0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9586A (en) Synergistic chrysanthemate insecticides
US4503071A (en) Insect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optically active α-cyano-3-phenoxybenzyl 2-(4-chlorophenyl)isovalerate
JPS5813522B2 (ja) 新しい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殺虫、殺ダニ剤
IL28536A (en) Cyclopropanecarboxylic acid esters
JPS6033106B2 (ja) カルボン酸エステル、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殺ダニ剤
US3906089A (en) Synergistic chrysanthemate insecticides
CS203967B2 (en) Insecticide means
JPS6157820B2 (ko)
JPS5941969B2 (ja) 速効性殺虫、殺ダニ組成物
SU609453A3 (ru) Инсектицидно -акарицидна композици на основе сложного эфира циклопропан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KR790001033B1 (ko)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JP2004196727A (ja) アカヒゲホソミドリカスミカメの交信攪乱剤
JPS6310944B2 (ko)
JPS6134410B2 (ko)
KR790001876B1 (ko) 살충성 조성물
JPS6141903B2 (ko)
KR830001607B1 (ko) 살충제 조성물
JPS6124585A (ja) メチレンジオキシベンジルエ−テル化合物、その製造法および該化合物からなる殺虫効力増強剤
JPH0578216A (ja) 屋内用殺ダニ剤
KR820000772B1 (ko) α-시아노-3-펜옥시벤질-S-(+)-2-(4-클로로페닐)이소발레르산의 제조방법
KR800000978B1 (ko) 싸이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법
JPS6310945B2 (ko)
JPS6124586A (ja) メチレンジオキシベンジルエ−テル化合物、その製造法および該化合物からなる殺虫効力増強剤
JPS58110504A (ja) 殺虫組成物
JPS5932459B2 (ja) 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低魚毒性殺虫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