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607B1 -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607B1
KR830001607B1 KR8204247A KR820004247A KR830001607B1 KR 830001607 B1 KR830001607 B1 KR 830001607B1 KR 8204247 A KR8204247 A KR 8204247A KR 820004247 A KR820004247 A KR 820004247A KR 830001607 B1 KR830001607 B1 KR 83000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und
composition
effect
ib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후지다
하루끼 오가와
도모노리 시마즈
Original Assignee
쓰지가따 다께시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기구찌 무라지
구미아이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지가따 다께시,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기구찌 무라지, 구미아이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지가따 다께시
Priority to KR820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aryloxy- or arylthio-aliphatic or cyclo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or, e.g. phenoxyethylamine, phenylthio-acetonitrile, phenoxyacet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살충제 조성물
본 발명은 신속한 살충효과, 포유동물에 대한 저독성을 가지며,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 살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일반식(I)
Figure kpo00001
의 3-페녹시벤질 크리산테메이트와 0.0-디이소프로필 S-벤질 포스포로티올레이트(이후 “IBP”라고 칭함) 및 일반식
Figure kpo00002
의 1이상의 N-메틸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로 되는 조성물이다.
여기에서 R는 2-이소프로폭시페닐(PHC), 1-타프틸(NAC), 2-sec-부틸페닐(BPMC), 3-메틸페닐(MTMC), 3,4-디메틸페닐(MPMC)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화합물(I)은 피테트로이드계 화합물중의 하나이며, d-트란스산에스테르 및 d-시스산에스테르 등의 그의 기하-광학 이성체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중의 하나인 화합물(I)이 집파리, 모기 및 바퀴벌레 등의 해충과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등의 농작물에 대한 해충에 대해서 신속한 박멸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공지이다[일본국 특허공보 제21473호/ 1971참조]. 화합물(I)의 치사효과는 천연 및 합성물을 포함하는 크리산테메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최고의 부류에 속한다. 그러나, 사용지역에 대한 잔류 효과는 항시 만족스런 것은 아니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이 잔류효과는 일정치 않다. 그리하 ? 실제 사용시에 잔류효과를 갖는 상승제 또는 화학약품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 IBP는 벼의 질병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실제의 투약율에 의해 해충에 대해서 살충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 전술한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은 광위의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 화합물은 그의 우수한 살충효과 때문에 논의 해충, 예를들면 끝동 매미충, 애멸구(Laodephax striatellus), 벼멸구(Nilaparuata lugens stal)등을 박멸시키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근래, 이들 카르바메 이트계 화합물은 끝동 매미충과 벼멸구에 대해서 내성을 가지며, 해가갈 수록 그 내성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자등은 화합물(I)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이 화합물의 결점을 제거하거나 또는 이 농약에 대한 해충의 내성을 제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화합물(I)을 적당량의 IBP 및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을 혼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조성물의 살충효과를 각개의 성분 효과로부터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고도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신속한 효과(신속한 박멸효과) 3. 고잔류 살충효과
2. 고도의 치사효과 4. 내성해충에 대한 고살충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속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집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의 해충과 다음과 같은 논의 해충, 즉 이화명나방(Chilo suopresalis), 끝동 매미충, 멸구, 노린재, 벼잎벌레(Oulema oryzae Kuwayame), 벼굴나방(Agromyza oryzal Munakata), 흑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 Guenee), 줄점팔랑나비(Parnara guttata Bremer et Gray) 및 바구니, 밭의 해충, 예를들면 담배거세미나방(Suppoptera litura),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배추나방, 진딧물 및 거세나방, 과실수의 해충, 예를들면 잎말이 나방, 진드기 및 나방, 살림의 해충, 예를들면 흰불나방(Hybhantria cunea Drury), 집시나방(Lymantura), 및 풍뎅이와 저장곡물에 대한 해충, 예를들면 쌀바구니(Sitophilus zeamais), 인도산 곡식나방(Plodia interpunctella)에 대해서 고치사 및 잔류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피테트로이드계 화합물은 빛, 열 및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부족하므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 제조시에, 이 조성물의 살충효과는 안정제로서 적당량의 항산화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예를들면 페놀 유도체[예 : BHT, 2,6-디-삼급-부틸-4-메틸페놀, BHA, 부틸하이드록시 아니졸(3-삼급-부틸-4-하이드록시 아니졸 및 2-삼급-4-하이드록시아니졸과의 혼합물)], 비스페놀 유도체, 아릴아민(예, 페닐-α-나프틸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페네티딘과 아세톤의 축합 생성물) 또는 벤조페논 화합물을 첨가 纛막館?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강력한 효과를 갖는 다목적 조성물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타 유효성분, 예를들면, 다른 종류의 살충제, 살균제 또는 살선충제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화합물(I)때 IBP대 카르바메이트 화합물의 혼합비는 1 : 10 : 10 내지 10 : 1 : 1, 특히 적합하기로는 1 : 3 : 1내지 1: 10 : 10이다.
조성물의 제제형태로서, 산세, 유화농축, 제수화제, 과립제, 미세한 과립제, 유제, 애어로졸제, 가열훈중제, 베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제제는 유효성분(혼합할 성분 포함) 0.05∼90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및 효과는 이하 제제에 및 시험에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여기에서 부는 중량부이다.
A. 화합물(I), IBP 및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의 혼합제제에 1∼4. 산제
다음표에 나타낸 화합물(I)의 소요량의 d.
Figure kpo00003
-시스, 트란스산 이성체, IBP 및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을 아세톤 20부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소요량의 300메슈 활석을 첨가한 다음에 완전히 교반시켰다. 이어서 아세톤을 유거하여 산제를 얻었다.
Figure kpo00004
제제예 5. 유화농축제
화합물(I)의 d.ℓ-시스, 트란스산 이성체 5부, BPMC 10부, IBP 15부, 크실렌 55부 및 Sorpol SM-200(도호가가꾸회사제, 유화제의 등록상표) 15부를 연속해서 혼합한 뒤 충분히 저어주었다. 그리하여, 균일한 유화농축제를 얻었다.
제제예 6. 수화제
화합물(I)의 d-ℓ-시스, 트란스산 이성체 10부, NAC 10부, IBP 20부 및 Sorpol SM-200(상기와 같음 5부를 양호하게 혼합시키고, 여기에 화이트 카아본(합성실리케이트 수화물) 55부를 첨가시켰다. 이어서, 생성되는 혼합물을 마본혼합기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양호하게 혼합시켜 수화제를 수득했다.
제제예 7. 분무유제
화합물(I)의 d.ℓ-시스, 트란스산 이성체 0.025부, PHC 0.025 부 및 IBP 0.05부를 혼합시키고, 이 혼합물을 케로신에 용해시키고, 케로신을 부가하여 100부로 만들었다. 그리하여 분우유제를 얻었다.
제제예 8. 에어로졸제
화합물(Ⅰ)의 d-시스, 트란스산 이성체 0.2부, BPMC 1.0부, , IBP 1.8부, 크실렌 5부 및 탈취시킨 케로신 12부를 혼합하여 액제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에어로졸 용기에 넣었다. 밸브부분을 이 용기에 부착시킨 후에, 추진제(액화 석유가스) 80부를 밸브를 통해 가압시켜 이 용기에 충전시켜 애어로졸제를 얻었다.
제제예 9. 미세한 과립제
화합물(I)의 d,ℓ-시스, 트란스산 이성체 0.5부, PHC 1부 및 IBP 2부를 미세하게 분쇄시킨 벤토나이트 95.5부에 흡착시킨 다음에 노우타 혼합기로 20분 동안 혼합시켰다.
생성되는 혼합물에 Carplex 1부를 첨가시킨 다음에 15분동안 혼합시켰다. 그리하여 미세한 과립제를 얻었다.
제제예 10. 미세한 과립제
화합물(Ⅰ)의 d.-시스, 트란스산 이성체 0.5부, MPMC 2부 및 IBP 2부를 미세하게 혼합시킨 벤토나이트 94.5부에 부착시킨 다음에, 노우타 혼합기에 의해 20분동안 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에 Carplex 1부를 첨가시키고, 이어서 15분 동안 혼합시켰다. 그리하여, 미세한 과립제를 얻었다.
이와같이 수득된 혼합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를 다음 시험예에 나타냈다.
시험예 1. 내성 끝동 매미충에 대한 살충효과
3-잎단계의 2개의 벼모종을 잉크병에 심고, 저부면적 1300㎠를 갖는 벨자아살포기(Bell jar duster)로 감압(20㎝Hg)하에 벼모종에 소요량의 산제를 벼모종에 분무시켰다. 2분동안 방치시킨 후에, 벼모종에 유리관을 덮고, 유기인산염 및 카르바메이트에 대해 강력한 교차 내성을 갖는 끝동 매미충 유충에히메껭 나까가와라에서 채집)을 여기에 넣었다.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박멸된 곤충의 수효를 계산하고, KT50치(50% 박멸에 필요한 시기)를 얻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kpo00005
이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그의 살충활성은 각성분의 단독 효과에서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
시험예 2. 내성 끝동 매미충에 대한 살충효과 3잎단계의 벼묘종을 소기 농도의 시험 조성물의 유화제에 담그고, 공기로 건조시키고, 물을 채운 잉크병에 넣었다.
이 묘종을 유리실린더로 덮고, 여기에 유기인산염 및 카르바메이트에 대해 강력한 교차 내성을 갖는 내성 끝동 매미충(에히메껭의 나까가와라에서 채집)의 완전히 성장시킨 유충을 넣었다. 알루미늄 덮개로 덮은 후에, 이 묘종을 일정한 온도(25℃)의 방에 넣고, 24시간 후에 사망율을 시험했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
Figure kpo00006
시험예 3. 내성 끝동 매미충에 대한 살충효과
화분(직경 10㎝)에 심은 5-잎단계의 2개의 벼묘종에 저부면적 1300㎠를 갖는 벨자아 살포기로 감압(20㎝Hg)하에 소요량의 산제를 분무했다. 2분 동안 방치시킨 후에, 벨자아 살포기를 분리시키고, 이 화분에 철망을 덮고, 여기에 내성끝등 성충암컷을 넣은 뒤 온실에 두었다. 24시간후에, 사망율을 시험했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kpo00007
* 가야포스(프로파포스) 1%, BPMC 1.5%
시험예 4. 애멸구 및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
화분(직경 10㎝)에 심은 5-잎단계의 2개의 벼모종에 저부면적 1300㎠를 갖는 벨자아 살포기를 감압하(20㎝Hg)에서 소요량의 산제를 분무했다. 2시간 동안 방치시킨 후에, 벨자아를 분리시키고, 이 화분에 철망을 덮고, 여기에 애멸구의 성충암컷을 넣은 뒤 온실에 넣었다. 24시간 후에, 사망율을 시험했다. 벼멸구의 성충암컷을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Figure kpo00008
시험에 5. 내성 끝동 매미충에 대한 살충효과
제제예 9 및 10에서 얻은 미세한 과립제를 1kg/ 10are의 투여량으로 와그너화분(1/ 100,000)에 심은 경작 단계의 벼에 분리해서 사용했다. 이 벼를 와이어 케이지로 덮었다. 그후에, 카르바메이트-내성 끝동 매미충의 성충 암컷 15마리를 이 케이지에 넣었다.
대조용으로서, 화합물(I) 0.5%를 함유하는 산제, PHC 1%를 함유하는 산제, MPMC 2%를 함유하는 산제 및 IBP 2%를 함유하는 산제를 각각 사용하여 4개의 화분을 처리했다. 이 화분을 온실에 넣고, 24시간 후에 살아있는 것과 죽은 것을 시험하여, 3회 반복시켜 얻은사망율을 표 8에 나타냈다.
[표 8]
Figure kpo00009
시험예 7. 내성 집파리에 대한 살충효과
캠벌터언테이블법(Campbel's turn table method)[비누 및 위생화학, 제14권, 제6호, 제119페이지(1983)에 의해 제제예 7에서 얻은 분무유제 각 5ml를 분무했다. 유기염소, 유기인 또는 카르바메이트에 대해 강력한 교차 내성을 갖는 균당 100개의 집파리 성충 암컷(도꾜 리클레임랜드 제15번에서 채집하여 스미또모 화학회사의 생물 과학 연구소에서 배양)을 10분 동안 하향 안개에 노출시켰다.
대조용으로, 화합물(I) 0.025% 및 0.05%를 함유하는 분무유제, PHC 0.025%를 함유하는 분무유제및 IBP 0.05%를 함유하는 분무유제를 각각 사용하여 4개의 화분을 처리했다.
24시간 후에, 살아있는 것과 죽은 집파리의 수를 시험하여 3회 반복해서 얻은 평균 사망율을 표 9에 나타냈다.
[표 9]
Figure kpo00010

Claims (1)

  1. 하기 일반식(I)의 3-페녹시벤질 크리산테메이트, 0,0-디이소프로필 S-벨질표스포로티올레이트 및 하기 일반식(II)의 N-메틸 카르바메이트를 1 : 10 : 10내지 10 : 1 : 1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Figure kpo00011
    상기 식에서, R은 이소프로폭시페닐, 1-나프틸, 2-sec-부틸페닐, 3-메틸페닐 또는 3,4-디메틸페닐을 나타냈다.
KR8204247A 1979-05-11 1982-09-20 살충제 조성물 KR83000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247A KR830001607B1 (ko) 1979-05-11 1982-09-20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503A KR830001608B1 (ko) 1979-05-11 1979-05-11 살충제 조성물
KR8204247A KR830001607B1 (ko) 1979-05-11 1982-09-20 살충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503A Division KR830001608B1 (ko) 1979-05-11 1979-05-11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607B1 true KR830001607B1 (ko) 1983-08-18

Family

ID=192116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503A KR830001608B1 (ko) 1979-05-11 1979-05-11 살충제 조성물
KR8204247A KR830001607B1 (ko) 1979-05-11 1982-09-20 살충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503A KR830001608B1 (ko) 1979-05-11 1979-05-11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300016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14A (ko) 1983-04-16
KR830001608B1 (ko) 198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3071A (en) Insect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optically active α-cyano-3-phenoxybenzyl 2-(4-chlorophenyl)isovalerate
US3899586A (en) Synergistic chrysanthemate insecticides
US4775534A (en) Mit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ider mite populations
CA1070706A (en) Pyrethroidal pesticides
DE2843760A1 (de) Benzylpyrrolylmethylcarbonsaeureest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830001607B1 (ko) 살충제 조성물
US3702891A (en) Insec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a synergistic mixture of 5 - benzyl - 3-furylmethyl d - trans-chrysanthemate and n-(3,4,5,6 - tetrahydrophthalimido)-methyl d-trans-chrysanthemate
JPS5941969B2 (ja) 速効性殺虫、殺ダニ組成物
KR860000335B1 (ko) 곤충 살충제 조성물
EP0061713B1 (en) Cyclopropanecarboxylic acid esters, their production and insecticidal and acar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IE4514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esticides
JPS6134410B2 (ko)
KR910002219B1 (ko) 살충제 조성물
KR790001033B1 (ko) 살충성 조성물의 조성방법
GB2037282A (en) Low mammalian toxic and/or low fish toxic insecticides and/or acaricides
US4216213A (en) Acaricidal and insecticidal compositions
JP4488567B2 (ja) 殺虫剤組成物
KR790001876B1 (ko) 살충성 조성물
KR820000772B1 (ko) α-시아노-3-펜옥시벤질-S-(+)-2-(4-클로로페닐)이소발레르산의 제조방법
Pratt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insect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KR850001331B1 (ko) 살충제 조성물
KR840001227B1 (ko) 살충제 조성물
JPS6141504B2 (ko)
JPS6151600B2 (ko)
JPS6147404A (ja) 噴霧用害虫駆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