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5443A -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 Google Patents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5443A
KR20240115443A KR1020230007751A KR20230007751A KR20240115443A KR 20240115443 A KR20240115443 A KR 20240115443A KR 1020230007751 A KR1020230007751 A KR 1020230007751A KR 20230007751 A KR20230007751 A KR 20230007751A KR 20240115443 A KR20240115443 A KR 2024011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air conditioning
driver
disposed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5443A/ko
Priority to PCT/KR2024/000571 priority patent/WO2024155022A1/ko
Publication of KR2024011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5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는 전면 윈도우를 닦기 위한 윈도우 브로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가 전방 상측 지주에 지지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더 적절하게 확보될 수 있는 구조의 설계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CABIN ASSEMBLY OF AGRICULTURAL TRACTOR}
본 발명은 농용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캐빈이 있는 농용 트랙터에서 전방 시야를 더 적절히 확보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농용 트랙터는 농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차량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마력 기준을 넘어서는 농용 트랙터는 운전자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캐빈을 가진다.
캐빈은 운전석이 배치되는 탑승공간을 형성하며, 전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다수의 윈도우들을 가진다.
탑승공간은 외부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온도 환경과 다른 좀 더 쾌적한 온도 조건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래서 캐빈이 있는 농용 트랙터는 흔히 에이치백(HVAC :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이라고 명칭되는 공조유닛을 가진다. 공조유닛은 탑승공간의 난방, 환기, 냉방 등을 위한 것이어서, 농용 트랙터에서는 주로 캐빈에 설치된다.
농용 트랙터의 캐빈은 운전자 1인만 탑승하면 족하므로, 태생적으로 탑승공간이 좁다. 그런데, 공조유닛이 캐빈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만큼 탑승공간을 좁아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는 운전자로 하여금 답답함을 느끼게 한다.
또, 공조유닛은 대게 루프(roof) 쪽에 설치되는데, 이는 천장의 높이를 낮춰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상측 시야의 확보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농용 트랙터에 로더라는 작업기가 연결되어 작업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이 때, 로더의 버킷이 어느 정도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낮은 천장의 루프가 버킷으로 향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정상적으로 착석한 상태에서 현재의 작업 상태를 시각적으로 적절히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25932호에서와 같이 공조유닛이 탑승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조(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루프의 두께를 얇게 가져갈 수 있다. 그래서 그 만큼 더 탑승공간의 용적을 키우는 것이 가능해지고, 운전자의 전방 상측 시야를 더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탑승공간이 좁은 캐빈의 한계는 여전히 운전자의 시야를 줄이는 방해요소들을 가진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설명한다.
캐빈의 전면은 윈도우로 이루어져 있다. 농용 트랙터는 작업 과정에서 전면 윈도우를 오염시킬 수 있는 많은 먼지나 이물질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먼지나 이물질들은 전면 윈도우에 달라붙어 운전자의 시야를 흐리게 한다. 그래서 농용 트랙터에는 전면 윈도우를 닦아줄 윈도우 브러시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윈도우 브러시는 브러시부분이 전면 윈도우의 외면에 접한 상태로 정역 회전함으로써 전면 윈도우를 닦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면 윈도우를 닦기 위한 윈도우 브러시의 회전점은 전면 윈도우의 하방에 위치한다. 그래서 윈도우 브러시의 작동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브러시부분이 전면 윈도우의 하단 부위로 내려가 있다. 그런데, 이는 브러시부분이 운전자의 전방 하측 시야를 줄이도록 기능한다.
한편, 공조유닛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공조컨트롤러는 전방 상측 천장에 배치된다. 그래서 공조컨트롤러도 운전자의 전방 상측 시야를 줄이는데 기여한다.
또한, 공조컨트롤러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그의 왼손 또는 오른손을 들어 올려야 한다. 이는 운전자가 공조컨트롤러를 조작하는 데에 불편함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공조컨트롤러를 조작하기 위한 팔이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하는 방해물로 작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거나 방해되면, 작업 도중에 시야 확보를 위해서 종종 운전자의 자세 변경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운전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기 때문에, 작업 불량이나 의도지 않은 사고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동기에 의해 안출되었다.
첫째, 전방 시야를 줄이거나 방해하는 요소를 최소화시킨다.
둘째, 공조컨트롤러를 조작하기 위한 접근이 가급적 직감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는 내부에 탑승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공조유닛; 상기 공조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탑승공간으로 유도하는 공조덕트; 상기 공조덕트가 수용되는 수용실을 가지는 루프;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 윈도우를 닦기 위한 윈도우 브러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 상기 공조유닛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공조컨트롤러; 및 상기 탑승공간에 배치되며,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전방 좌측 지주; 상기 전방 좌측 지주의 우방에 배치되는 전방 우측 지주; 상기 전방 우측 지주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우측 지주; 상기 후방 우측 지주의 좌방이면서 상기 전방 좌측 지주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좌측 지주; 상기 전방 좌측 지주의 상측 부위와 상기 전방 우측 지주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전방 상측 지주; 상기 전방 상측 지주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 좌측 지주의 상측 부위와 상기 후방 우측 지주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후방 상측 지주; 상기 전방 좌측 지주의 상측 부위와 상기 후방 좌측 지주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상방 좌측 지주; 상기 상방 좌측 지주의 우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우측 지주의 상측 부위와 상기 후방 우측 지주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상방 우측 지주; 상기 상방 좌측 지주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좌측 지주의 하측 부위와 상기 후방 좌측 지주의 하측 부위를 연결하면서 좌측 후륜을 회피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방 좌측 지주; 및 상기 하방 좌측 지주의 우방이면서 상기 상방 우측 지주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우측 지주의 하측 부위와 상기 후방 우측 지주의 하측 부위를 연결하면서 우측 후륜을 회피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방 우측 지주;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는 상기 전방 상측 지주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공조덕트의 후단에는 상기 공조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공조덕트의 전단은 상기 전방 상측 지주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서 상기 구동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은 후단이 상기 구동원에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전방 상측 지주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루프는 상기 탑승공간에 접하는 내측 커버; 및 상기 내측 커버와 결합되며, 외부에 접하는 외측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내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가 결합하였을 때 상기 내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실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 커버에는 하방으로 패인 하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하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방으로 패인 상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방홈은 상기 설치공간의 하측 부위를 이루고, 상기 상방홈은 상기 설치공간의 상측 부위를 이룬다.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상기 설치치공간 쪽을 바라볼 때 상기 설치공간이 있는 영역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서 상기 내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 사이에 상기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설치공간의 좌측 영역이나 우측 영역은 상기 설치공간이 있는 영역보다 천장이 높다.
상기 전방 상측 지주는 측단면 상에서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으로 구성되는 사각통 형태로서, 상기 하면은 전단이 높고 후단이 낮은 경사를 가진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하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하면보다 상기 상면에 가깝게 설치된다.
상기 공조컨트롤러는 상기 운전석에 착석하여 농용 트랙터를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가 가슴이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하는 자세에서 왼팔의 팔꿈치가 어깨보다 내려져 있으면서 몸통보다 좌측에 있는 상태로 왼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거리 범위에 구비된다.
상기 왼팔의 상완이 상기 몸톰에 자연스럽게 접한 상태에서 상기 상완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완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왼손이 상기 공조컨트롤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완이 전후 방향으로의 직선 상에 놓여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하완의 회전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영역에서 상기 왼손이 상기 공조컨트롤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컨트롤러는 좌측 후륜의 직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운전석을 후방으로 최대한 물린 상태에서, 상기 공조컨트롤러는 상기 운전석에 있는 등받이의 전면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는 내부에 탑승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공조유닛; 상기 공조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탑승공간으로 유도하는 공조덕트; 상기 공조덕트가 수용되는 수용실을 가지는 루프; 및 상기 공조덕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 윈도우를 닦기 위한 윈도우 브러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공조덕트의 전방에 있는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은 후단이 상기 구동원에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공조덕트의 전방에 있는 전방 상측 지주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전방 상측 지주와 상기 공조덕트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첫째, 윈도우 브러시가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제거되거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전면 윈도우에 의한 시야 확보 면적이 늘어난다.
둘째,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공조컨트롤러가 제거되어서 그만큼 운전자의 전방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운전자의 답답함은 줄이면서 전방 시야의 확장도 가능하게 한다.
셋째, 운전자에 의한 공조컨트롤러의 조작이 수월해지고, 전방 시야가 공조컨트롤러의 조작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운전자 전방 영역의 용적 확대, 운전자 시야의 개방감 향상, 공조컨트롤러의 조작 용이성 향상 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작업 환경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빈 조립체에 적용된 프레임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레임에 있는 전방 좌측 지주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프레임에 있는 전방 상측 지주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자른 측단면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전방 상측 지주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도 1의 캐빈 조립체에 적용된 공조덕트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공조덕트에 대한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도 7의 공조덕트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캐빈 조립체에 적용된 루프를 설명하기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루프를 이루는 내측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루프를 이루는 외측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운전자가 바라보는 전방의 천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캐빈 조립체에 적용된 구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도 15는 구동기를 설치하는 구조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의 캐빈 조립체에 있는 공조컨트롤러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캐빈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주지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빈 조립체(100)는 프레임(110), 공조유닛(120), 공조덕트(130), 루프(140), 구동기(150), 공조컨트롤러(160), 운전석(170) 및 오디오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내부에 탑승공간(BR)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도 2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10)은 전방 좌측 지주(111L), 전방 우측 지주(111R), 후방 우측 지주(112R), 후방 좌측 지주(112L), 전방 상측 지주(113), 후방 상측 지주(114), 상방 좌측 지주(115L), 상방 우측 지주(115R), 하방 좌측 지주(116L) 및 하방 우측 지주(116R) 등을 포함한다.
전방 좌측 지주(111L)는 캐빈의 전방 좌측 모서리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진다.
도 3에서와 같이 수직선(V)과 비교해볼 때, 전방 좌측 지주(111L)는 하단에서 상방으로 가면서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는 경사를 가지다가 후방으로 향하게 휘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그래서 궁극적으로 전방 좌측 지주(111L)는 하단보다 상단이 후방에 위치되게 휘어지는 궁형으로 구비된다.
전방 우측 지주(111R)는 캐빈의 전방 우측 모서리를 이루며, 전방 좌측 지주(111L)의 우방에 배치된다. 전방 우측 지주(111R)의 형상은 전방 좌측 지주(111L)와 동일하다.
전방 좌측 지주(111L)와 전방 우측 지주(111R)의 궁형 형상은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좋게 하면서, 탑승공간(BR)의 축소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한다.
후방 우측 지주(112R)는 캐빈의 후방 우측 모서리를 이루며, 전방 우측 지주(111R)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 좌측 지주(112L)는 캐빈의 후방 좌측 모서리를 이루며, 후방 우측 지주(112R)의 좌방이면서 전방 좌측 지주(111L)의 후방에 배치된다.
전방 상측 지주(113)는 전방 좌측 지주(111L)의 상측 부위와 전방 우측 지주(111R)의 상측 부위를 연결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전방 상측 지주(113)는 그 중단이 가장 높도록 상방으로 볼록한 궁형 형상을 가진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잘라 D 방향에서 바라본 전방 상측 지주(11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상측 지주(113)는 상면(113T), 하면(113B), 전면(113F) 및 후면(113R)으로 구성되는 사각통 형태이다. 그리고 상면(113T)과 하면(113B)은 전단(FT)이 높고 후단(RT)이 낮은 경사를 가진다.
특히, 하면(113B)의 경사는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상측 시야를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이에 대하여 도 6의 비교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2개의 전방 상측 지주(113, 113')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상측 지주(113)이고, 다른 하나는 비교예에 따른 전방 상측 지주(113')이다.
실시예에 따른 전방 상측 지주(113)의 하면(113B)은 수평면에 대하여 전단(FT)이 높고 후단(RT)이 낮은 경사를 가진다. 그리고 비교예에 따른 전방 상측 지주(113)는 하면(113'B)이 수평면과 평행하다. 그리고 양 전방 상측 지주(113)의 중심(O)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도 6에서 보여지듯,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의 시야는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α만큼 더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하면(113B)의 경사 각도는 운전석(170)에 착석하는 운전자들의 평균적인 눈의 높이를 고려하여 시야각 확장이라는 기능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 상측 지주(113)의 중단에는 구동기(150)의 구동축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전면(113F) 및 후면(113R)에 설치구멍(HF, HR)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전면(113F) 및 후면(113R)에 있는 양 설치구멍(HF, HR)의 위치는 하면(113B)의 경사도에 따라 대응되도록 설정된다(도 5 참고).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후방 상측 지주(114)는 전방 상측 지주(113)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 상측 지주(114)는 후방 좌측 지주(112L)의 상측 부위와 후방 우측 지주(112R)의 상측 부위를 연결한다.
후방 상측 지주(114)에는 공조유닛(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SP)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공조유닛(120)은 지지판(SP)의 상면에 얹어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방 좌측 지주(115L)는 후방 좌측 지주(112L)의 상측 부위와 전방 좌측 지주(111L)의 상측 부위를 연결한다.
상방 우측 지주(115R)는 상방 좌측 지주(115L)의 우방에 배치된다.
상방 우측 지주(115R)는 전방 우측 지주(111R)의 상측 부위와 후방 우측 지주(112R)의 상측 부위를 연결한다.
하방 좌측 지주(116L)는 상방 좌측 지주(115L)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방 좌측 지주(116L)는 전방 좌측 지주(111L)의 하측 부위와 후방 좌측 지주(112L)의 하측 부위를 연결한다. 이러한 하방 좌측 지주(116L)는 좌측 후륜을 회피하는 형상을 가진다.
하방 우측 지주(116R)는 하방 좌측 지주(116L)의 우방이면서 상방 우측 지주(115R)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방 우측 지주(116R)는 전방 우측 지주(111R)의 하측 부위와 후방 우측 지주(112R)의 하측 부위를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하방 우측 지주(116R)는 우측 후륜을 회피하는 형상을 가진다.
공조유닛(120)은 에이치백(HVAC)으로도 불린다.
공조유닛(120)은 탑승공간(BR)의 냉방, 난방, 환기 등의 공기 조화를 위해 구비된다.
공조유닛(120)은 하단이 지지판(SP)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판(SP)은 후방 상측 지주(114)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공조유닛(120)은 탑승공간(BR)의 후방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공간(BR)이 있는 영역(특히 운전석의 전방에 있는 영역)에서 루프(140)의 상하 두께를 줄여 탑승공간(BR)의 용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루프(140)의 상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전방 시야각을 늘리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조덕트(130)는 공조유닛(1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탑승공간(BR)으로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7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공조덕트(130)는 좌측 덕트(131), 우측 덕트(132) 및 연통덕트(133)로 구분될 수 있다.
좌측 덕트(131)는 공기를 탑승공간(BR)의 좌측 영역으로 유도한다. 이를 위해 좌측 덕트(131)에는 탑승공간(BR)의 좌측 영역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좌측 분사구(131h)들을 가진다.
우측 덕트(132)는 공기를 탑승공간(BR)의 우측 영역으로 유도한다. 이를 위해 우측 덕트(132)에는 탑승공간(BR)의 우측 영역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우측 분사구(132h)들을 가진다.
연통 덕트(133)는 좌측 덕트(131)와 우측 덕트(132)의 후단에 배치된다. 연통 덕트(133)의 전단은 좌측 덕트(131)와 우측 덕트(132)에 결합되고 후단은 공조유닛(120)과 결합된다. 그리고 연통 덕트(133)의 후단 부위는 지지판(SP)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연통 덕트(133)는 서로 나뉘어진 좌측 덕트(131) 및 우측 덕트(132)와 모두 연통된다. 그래서 공조유닛(120)으로부터 오는 공기가 연통 덕트(133)를 통해 좌측 덕트(131)와 우측 덕트(132)로 나뉘어 공급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공조덕트(130)의 후단은 지지판(SP)에 의해 지지되면서 공조유닛(120)과 결합된다. 즉, 공조덕트(130)의 후단에는 공조유닛(120)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전방 상측 지주(113)와 공조덕트(130)의 전단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서 설치공간(IS)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설치공간(IS)은 구동기(15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다. 전방 상측 지주(113) 및 설치공간(IS)은 공조덕트(130)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설치공간(IS)는 전방 상측 지주(113)의 후방에 위치한다. 그래서 설치공간(IS)은 공조덕트(130)과 전방 상측 지주(113)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설치공간(IS)의 좌측 및 우측으로는 별도의 결합부재(JE)들에 의해 좌측 덕트(131)와 우측 덕트(132)가 각각 전방 상측 지주(113)와 결합된다. 그래서 공조덕트(130)의 전단은 전방 상측 지주(113)에 의해 지지되고, 공조덕트(130)의 후단은 지지판(SP)에 의해 지지된다.
도 9의 측면도에서와 같이 공조덕트(130), 특히 좌측 덕트(131)와 우측 덕트(132) 부위는 대략적으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높아지다가 다시 낮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즉, 공조덕트(130)는 상방으로 볼록한 궁형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공조덕트(130)는 대략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는 부위가 가장 높도록 설계된다. 이는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의 머리와 천장 간의 간격을 넉넉히 확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답답함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고려된 것이다.
루프(140)는 캐빈의 지붕을 이루며, 공조덕트(130)가 수용되는 수용실(ER)을 가진다.
도 10의 측단면도에서와 같이, 수용실(ER)에는 공조덕트(130)가 배치된다.
루프(140)는 내측 커버(141)와 외측 커버(142)를 포함한다.
내측 커버(141)는 탑승공간(BR)에 대면하고, 외측 커버(142)는 캐빈의 상방 외부에 접한다.
내측 커버(141)와 외측 커버(142)는 후크 구조로 결합되며, 수용실(ER)은 내측 커버(141)와 외측 커버(142) 사이에 형성된다.
도 11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내측 커버(141)에는 하방으로 볼록한 하방홈(141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외측 커버(142)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상방홈(142G)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내측 커버(141)와 외측 커버(142)가 결합하면, 수용실(ER)의 전방으로 하방홈(141G)과 상방홈(142G)에 의해 형성되는 설치공간(IS)이 완성된다.
하방홈(141G)은 설치공간(IS)의 하측 부위를 이루며, 상방홈(142G)은 설치공간(IS)의 상측 부위를 이룬다.
도 13에서와 같이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가 설치공간(IS) 쪽을 바라볼 때(L 화살표 방향 참고), 설치공간(IS)이 있는 영역은 하방으로 약간 볼록하게 돌출된다. 그래서 돌출된 부위에서 내측 커버(141)와 외측 커버(142) 사이에 설치공간(IS)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공간(IS)의 좌측 영역이나 우측 영역은 설치공간(IS)이 있는 영역보다 천장이 높다. 이는 탑승공간(BR)의 용적 감소를 최소화시키며, 운전자의 시야를 늘린다. 물론, 설치공간(IS)이 있는 부위의 하방 돌출 정도도 최소화시켜서 돌출 부위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동기(150)는 전면 윈도우를 닦기 위한 윈도우 브러시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구동기(150)는 공조덕트(130)와 프레임(110) 사이, 더 구체적으로는 공조덕트(130)와 전방 상측 지주(113) 사이의 설치공간(IS)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도 14에서와 같이, 구동기(150)는 구동원(151)과 구동축(152)을 포함한다.
구동원(151)은 전원에 의해 정역 동작하는 정역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원(151)은 설치공간(IS)에 배치된다.
구동축(152)은 구동원(151)의 동작에 따라 정역 회전한다.
구동축(152)은 후단이 구동원(151)에 결합되고, 전단은 전방 상측 지주(113)의 설치구멍(HF, HR)을 통과하여 전방 상측 지주(113)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전방 상측 지주(113)에 형성된 설치구멍(HF, HR)은 구동축(152)을 설치하기 위한 기능과 회전 작동하는 구동축(152)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축(152)은 상면(113T) 및 하면(113B)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구동축(152)은 상면(113T) 및 하면(113B)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구동축(152)은 하면(113B)보다 상면(113T)에 더 가깝도록 설치된다.
구동축(152)이 하면(113B)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게 설치되고, 설치 위치도 하면(113B)보다 상면(113T)에 훨씬 더 가깝게 설치되는 점은 운전자의 전방 시야의 확보와 관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축(152)은 윈도우 브러시의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 15의 개념도에서와 같이 구동기(15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윈도우 브러시(WB)가 전면 윈도우의 상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운전자가 전방을 바라볼 때 윈도우 브러시(WB)는 전방 상측 지주(113)에 의해 숨겨져서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전방 상측 지주(113)의 하단과 구동축(152)이 있는 지점 간의 간격(I)이 넓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152)이 있는 영역에서도 윈도우 브러시(WB)가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충분히 제거되거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는 그 동안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거치적거렸던 윈도우 브러시(WB)가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거나 노출이 최소화되는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는 최대한 확보될 수 있다.
또,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윈도우 브러시(WB)가 제거 또는 최소로 노출됨으로써 시야의 개방성이 향상되며, 그 만큼 운전자의 답답함이 줄게 된다.
공조컨트롤러(160)는 공조유닛(12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유닛(120)은 운전자의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농용 트랙터의 운행이나 작업을 위한 조작과는 달리 공조컨트롤러(160)의 조작은 농용 트랙터의 운행이나 작업의 적절성 여부와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
그래서 공조컨트롤러(160)에 대한 즉시적인 조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더라도 상관이 없다.
또, 공조컨트롤러(160)의 조작에 다소 오류가 있더라도 크게 상관이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조컨트롤러(160)를 운전자의 전방 시야로부터 제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조컨트롤러(160)가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줄이거나 방해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컨트롤러(160)를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제거하되, 손으로 직감적으로 더듬어 찾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있다.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운전석(170)의 좌측에 공조컨트롤러(160)를 배치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왼팔을 움직여 공조컨트롤러(160)를 쉽게 더듬어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조컨트롤러(160)가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게 제거되기 때문에, 공조컨트롤러(160)에 대한 접근의 직감성은 향상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조컨트롤러(160)는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가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도 찾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공조컨트롤러(160)의 배치 방향, 배치 높이,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가 최적화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도 16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공조컨트롤러(160)는 좌측 후륜(RW)의 직상방에 배치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공조컨트롤러(160)는 좌측 후륜(RW) 측 펜더(F : Fender) 바로 상면측에 위치되게 끔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는 농용 트랙터의 탑승공간(BR) 및 운전석(170)의 설치 높이를 고려할 때, 공조컨트롤러(160)가 위치되는 가장 최적의 높이가 될 수 있다.
또한, 공조컨트롤러(160)는 운전석(170)의 좌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7의 개념도에서와 같이, 운전석(170)을 후방으로 최대한 물린 상태에서 공조컨트롤러(160)가 운전석(170)에 있는 등받이(171)의 전면보다 전방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공조컨트롤러(160)가 배치되면 다음과 같은 점이 가능하다.
첫째, 정상적인 운전 자세에서 공조컨트롤러(160)가 운전자의 전방 시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둘째, 운전석(170)에 착석하여 농용 트랙터를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가 가슴이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하는 자세에서 왼팔의 팔꿈치가 어깨보다 내려져 있으면서 몸통보다 좌측에 있는 상태로 왼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거리 범위에 공조컨트롤러(160)가 위치될 수 있다.
셋째, 왼팔의 상완이 몸통에 자연스럽게 접한 상태에서 상완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완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왼손이 공조컨트롤러(160)에 위치될 수 있도록 공조컨트롤러(160)가 배치될 수 있다.
넷째, 공조컨트롤러(160)의 조작을 위해 무리하게 왼손목이 꺾이거나 몸통이 회전되는 부하를 가지지 않아도 좋다. 즉, 하완이 전후 방향으로의 직선 상에 놓여 있다고 가정할 때, 하완의 회전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영역에서 왼손이 공조컨트롤러(160)에 위치될 수 있다.
다섯째, 굳이 운전자가 시각으로 공조컨트롤러(160)를 찾지 않더라도 왼팔을 이용해 쉽게 공조컨트롤러(160)를 더듬어 찾아낼 수 있다.
한편, 운전석(170)은 운전자가 농용 트랙터를 운전하기 위해 착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오디오컨트롤러(180)는 차량의 오디오시스템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18은 도 1의 캐빈 조립체(100)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특징적인 구성들의 유기적인 배치관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도 18을 보면 구동기(150), 상방 상측 지주(113), 공조덕트(130)의 배치 관계를 알 수 있고, 탑승공간(BR) 내 공조컨트롤러(160)의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위와 같은 특징적인 구조들의 유기적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조유닛(120)은 탑승공간(BR)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공간(BR)이 있는 영역에서 루프(140)의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래서 탑승공간(BR)의 용적을 키우는 설계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는 공조컨트롤러(160)가 제거되어 있다. 이러한 점들은 운전석(170) 전방에 있는 공간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그 만큼 공간 협소에 따른 답답함의 해소 및 전방 시야의 확장을 가져온다.
또, 구동기(15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윈도우 브러시(WB)가 제거되는 설계가 가능해진다. 이 또한 시각적인 거치적거림과 답답함을 해소한다.
더 나아가 운전석 전방 영역의 확장과 시각적인 거치적거림의 제거로 인하여 운전석(170) 전방의 상측 라인의 설계를 단조롭고 매끄럽게 가져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운전자의 시야가 상하 방향으로 더 넓은 상하 폭을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운전자에게 전방 시야의 개방감도 함께 제공한다.
한편, 운전 도중 운전자는 공조컨트롤러(160)를 조작해야 할 필요성을 느낄 때가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운전석(170)에 착석한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왼팔의 상완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완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공조컨트롤러(160)가 운전자의 왼손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운전자는 왼손으로 공조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 탑승공간(BR)의 공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공조유닛(120)의 좌측에는 차량의 오디오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오디오컨트롤러(180)가 배치되어 있다. 이는 오디오컨트롤러(180)도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제거시키기 위함이다.
공조컨트롤러(160)의 조작과 마찬가지로, 농용 트랙터의 운행이나 작업을 위한 조작과는 달리 오디오컨트롤러(160)의 조작도 농용 트랙터의 운행이나 작업의 적절성 여부와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 또, 조작의 즉시성도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디오컨트롤러(180)가 공조컨트롤러(16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따를 때, 농용 트랙터의 운행 및 작업을 위한 조작컨트롤러의 경우에는 공조컨트롤러(160)와 이웃하게 배치하는 것을 가급적 배제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다양한 응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위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국한되게 이해되면 아니 된다. 대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별도로 기재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110 : 프레임
111L : 전방 좌측 지주 111R : 전방 우측 지주
112R : 후방 우측 지주 112L : 후방 좌측 지주
113 : 전방 상측 지주
113T : 상면 113B : 하면
113F : 전면 113R : 후면
HF, HR : 설치구멍
114 : 후방 상측 지주
115L : 상방 좌측 지주 115R : 상방 우측 지주
116L : 하방 좌측 지주 116R : 하방 우측 지주
120 : 공조유닛
130 : 공조덕트
131 : 좌측 덕트 132 : 우측 덕트
140 : 루프
141 : 내측 커버
141G : 하방홈
142 : 외측 커버
142G : 상방홈
ER : 수용실
IS : 설치공간
150 : 구동기
151 : 구동원 152 : 구동축
160 : 공조컨트롤러
170 : 운전석
171 : 등받이
BR : 탑승공간

Claims (9)

  1. 내부에 탑승공간(BR)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공조유닛(120);
    상기 공조유닛(1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탑승공간(BR)으로 유도하는 공조덕트(130);
    상기 공조덕트(130)가 수용되는 수용실(ER)을 가지는 루프(140);
    상기 공조덕트(130)와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 윈도우를 닦기 위한 윈도우 브러쉬(WB)를 구동시키는 구동기(150);
    상기 공조유닛(12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공조컨트롤러(160); 및
    상기 탑승공간(BR)에 배치되며,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170);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10)은
    전방 좌측 지주(111L);
    상기 전방 좌측 지주(111L)의 우방에 배치되는 전방 우측 지주(111R);
    상기 전방 우측 지주(111R)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우측 지주(112R);
    상기 후방 우측 지주(112R)의 좌방이면서 상기 전방 좌측 지주(111L)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좌측 지주(112L);
    상기 전방 좌측 지주(111L)의 상측 부위와 상기 전방 우측 지주(111R)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전방 상측 지주(113);
    상기 전방 상측 지주(113)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 좌측 지주(112L)의 상측 부위와 상기 후방 우측 지주(112R)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후방 상측 지주(114);
    상기 전방 좌측 지주(111L)의 상측 부위와 상기 후방 좌측 지주(112L)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상방 좌측 지주(115L);
    상기 상방 좌측 지주(115L)의 우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우측 지주(111R)의 상측 부위와 상기 후방 우측 지주(112R)의 상측 부위를 연결하는 상방 우측 지주(115R);
    상기 상방 좌측 지주(115L)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좌측 지주(111L)의 하측 부위와 상기 후방 좌측 지주(112L)의 하측 부위를 연결하면서 좌측 후륜(RW)을 회피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방 좌측 지주(116L); 및
    상기 하방 좌측 지주(116L)의 우방이면서 상기 상방 우측 지주(115R)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우측 지주(111R)의 하측 부위와 상기 후방 우측 지주(112R)의 하측 부위를 연결하면서 우측 후륜을 회피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방 우측 지주(116R);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150)는 상기 전방 상측 지주(113)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덕트(130)의 후단에는 상기 공조유닛(120)이 배치되고, 상기 공조덕트(130)의 전단은 상기 전방 상측 지주(113)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서 상기 구동기(15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IS)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150)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원(151); 및
    상기 구동원(151)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152);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151)은 상기 설치공간(IS)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52)은 후단이 상기 구동원(151)에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전방 상측 지주(113)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40)는
    상기 탑승공간(BR)에 대면하는 내측 커버(141); 및
    상기 내측 커버(141)와 결합되며, 외부에 접하는 외측 커버(142);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IS)은 상기 내측 커버(141)와 상기 외측 커버(142)가 결합하였을 때 상기 내측 커버(141)와 상기 외측 커버(14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실(ER)의 전방에 배치되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141)에는 하방으로 패인 하방홈(141G)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커버(142)는 상기 하방홈(141G)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방으로 패인 상방홈(142G)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방홈(141G)은 상기 설치공간(IS)의 하측 부위를 이루고, 상기 상방홈(142G)은 상기 설치공간(IS)의 상측 부위를 이루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170)에 착석한 운전자가 상기 설치공간(IS) 쪽을 바라볼 때 상기 설치공간(IS)이 있는 영역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서 상기 내측 커버(141)와 상기 외측 커버(142) 사이에 상기 설치공간(IS)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설치공간(IS)의 좌측 영역이나 우측 영역은 상기 설치공간(IS)이 있는 영역보다 천장이 높은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측 지주(113)는 측단면 상에서 상면(113T), 하면(113B), 전면(113F) 및 후면(113R)으로 구성되는 사각통 형태로서, 상기 하면(113B)은 전단이 높고 후단이 낮은 경사를 가지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52)은 상기 하면(113B)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152)은 상기 하면(113B)보다 상기 상면(113T)에 가깝게 설치되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9. 내부에 탑승공간(BR)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공조유닛(120);
    상기 공조유닛(1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탑승공간(BR)으로 유도하는 공조덕트(130);
    상기 공조덕트(130)가 수용되는 수용실(ER)을 가지는 루프(140); 및
    상기 공조덕트(130)와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 윈도우를 닦기 위한 윈도우 브러쉬(WB)를 구동시키는 구동기(150);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150)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원(151); 및
    상기 구동원(151)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152);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151)은 상기 공조덕트(130)의 전방에 있는 설치공간(IS)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52)은 후단이 상기 구동원(151)에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프레임(110)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공조덕트(130)의 전방에 있는 전방 상측 지주(113)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간(IS)은 상기 전방 상측 지주(113)와 상기 공조덕트(130) 사이에 위치하는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KR1020230007751A 2023-01-19 2023-01-19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KR20240115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51A KR20240115443A (ko) 2023-01-19 2023-01-19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PCT/KR2024/000571 WO2024155022A1 (ko) 2023-01-19 2024-01-11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51A KR20240115443A (ko) 2023-01-19 2023-01-19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5443A true KR20240115443A (ko) 2024-07-26

Family

ID=9195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751A KR20240115443A (ko) 2023-01-19 2023-01-19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15443A (ko)
WO (1) WO20241550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8734A (ja) * 2004-09-21 2006-04-06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JP2007063839A (ja) * 2005-08-31 2007-03-1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用保護構造物及び建設機械用キャブ
JP5678872B2 (ja) * 2011-11-29 2015-03-0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139359B2 (ja) * 2013-09-27 2017-05-31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コンバイン
JP6911897B2 (ja) * 2019-09-26 2021-07-2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55022A1 (ko) 202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223B2 (en) Cabin for work vehicle
US10471863B2 (en) Vehicle seat
US5906411A (en) Combine harvester cab layout for visibility, serviceability and space
JP2000303499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JP5635875B2 (ja) コンバイン
JP5536964B1 (ja) 建設機械用キャブおよび建設機械
JP2007308031A (ja) 作業車の外気導入構造
JP2008260432A (ja) キャビン付き走行車両
JP2001295319A (ja) 建設機械の空調装置
KR20240115443A (ko) 농용 트랙터의 캐빈 조립체
JP6824118B2 (ja) 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JP3797232B2 (ja) 作業機
US11926369B2 (en) Cab frame, cab, and engineering vehicle
EP0842842B1 (en) Combine harvester cab lay-out for visibility, serviceability and space
JP4681502B2 (ja) トラクタの空調構造
JP2012224278A (ja) トラクタのキャビン
EP1466767B1 (en) Slide door-carrying cab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2010076497A (ja) 移動農機のキャビン
JP2019201627A (ja) 作業機
JP2004114956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JP2006327457A (ja) 車両の荷室ボード
JP3587711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0344464A (ja) ホイールクレーンの運転室
JP2007307971A (ja) 作業車両
JP4984681B2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