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6369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6369A
KR20240096369A KR1020230175364A KR20230175364A KR20240096369A KR 20240096369 A KR20240096369 A KR 20240096369A KR 1020230175364 A KR1020230175364 A KR 1020230175364A KR 20230175364 A KR20230175364 A KR 20230175364A KR 20240096369 A KR20240096369 A KR 20240096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in
light
plat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규 이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9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6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alignment of the devic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retractabl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specific to autonom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20Utility vehicles, e.g. for agriculture, construction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기체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보기 쉬운 위치에 상태 표시 장치를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상태 표시 장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운전부를 덮는 캐빈 (30) 을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 차량의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는 적층등 (150) 을 구비하고,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에 형성된 적층등 지지부 (160) 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 주행을 하면서 작업을 실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는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 등의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주행을 하면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에 있어서,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는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태 표시 장치는, 기체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기체 외부의 사람에 대한 알림에 사용된다.
특허문헌 1 에는, GPS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주행 경로를 따른 자동 주행이 가능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태 표시 장치로서,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수신 상태에 의해 표시 내용을 전환하는 표시 램프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표시 램프의 표시 내용에 의해, 기체 외부의 사람에 대해서 전파의 수신 상태가 알림된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표시 램프는, 운전부를 덮는 캐빈의 상부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0183호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 장치에 대해서는, 기체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보기 쉬운 것과, 작업 중에 탈락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지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점, 특허문헌 1 에는, 표시 램프의 배치 위치나 지지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인 내용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기체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보기 쉬운 위치에 상태 표시 장치를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상태 표시 장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 차량의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는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상기 캐빈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상기 기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자세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자세를,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자세인 사용 자세에서,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수납 상태의 자세인 수납 자세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좌우의 측면부 중 일방의 측면부의 상부에 형성된 안테나 유닛과, 상기 일방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유닛을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테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태 표시 장치와 상기 안테나 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 장치를, 기체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 유닛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 유닛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 유닛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등 (積層燈)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등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등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좌후방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등의 자세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 차량으로서 콤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작업 차량으로는, 자탈형 콤바인이나 보통형 콤바인 등의 각종 콤바인 외에, 예를 들어 트랙터나 토목 작업용의 휠 로더 등을 들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 (1) 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 (1) 의 전방 (도 1 에 있어서의 좌방) 을 향해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콤바인 (1) 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 (1) 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부 (3, 3) 를 갖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로서 구성된 주행부 (2) 와, 주행부 (2) 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 (4) 를 구비한다. 콤바인 (1) 은, 곡간 (穀稈) 을 예취하는 예취부 (5) 와, 예취부 (5) 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 (6) 와, 탈곡부 (6) 로부터 취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로서의 곡립 탱크 (7) 와, 곡립 탱크 (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로서의 배출 오거 (9) 를 구비한다. 콤바인 (1) 은, 주행 기체 (4) 상에 탑재된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11) 을 구비한다. 또한, 콤바인 (1) 은, 운전부 (12) 를 덮는 캐빈 (30) 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부 (2) 를 구성하는 각 크롤러부 (3) 는, 주행 기체 (4) 의 하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트랙 프레임 (3a) 과, 트랙 프레임 (3a) 에 지지된 구동 스프로킷 (3c) 등의 각종 회전체와, 이들 회전체에 둘러 감긴 크롤러 벨트 (3b) 를 갖는다. 크롤러부 (3) 는, 구동 스프로킷 (3c) 에 있어서 엔진 (11) 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예취부 (5) 는, 포장의 벼, 보리 등의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두어들이기 위한 장치 구성으로, 주행 기체 (4) 의 전부 (前部) 에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의 전측에 있어서, 콤바인 (1) 의 기체 폭의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에 대해, 승강용의 유압 실린더를 개재하여 소정의 축 둘레로 회동 (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서 승강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예취 프레임으로서의 예취 지지기 프레임 (5a) 을 갖고, 이 예취 지지기 프레임 (5a) 에, 분초체 (分草體) (5b), 걷어올림 장치 (5c), 예취날 장치 (5e) 및 곡간 반송 장치 (5f) 를 지지시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분초체 (5b) 에 의해 포장의 곡간을 분초하고, 분초한 곡간을 걷어올림 장치 (5c) 에 의해 일으켜 세우고, 일으켜 세운 곡간을 곡간 반송 장치 (5f) 에 의해 후측으로 반송하면서 예취날 장치 (5e) 에 의해 절단하여 예취한다. 예취부 (5) 는, 예취한 곡간을 탈곡부 (6) 로 반송한다. 예취부 (5) 를 구성하는 각 장치는, 엔진 (11) 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한다.
주행 기체 (4) 상에는, 탈곡부 (6) 와 곡립 탱크 (7) 가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곡부 (6) 는 기체 좌측에, 곡립 탱크 (7) 는 기체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콤바인 (1) 은, 주행부 (2) 에 의해 주행하면서 예취부 (5) 에 의한 곡간의 예취나 탈곡부 (6) 에 의한 탈곡 등을 실시한다.
탈곡부 (6) 는, 전후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탈곡통 (6a) 과, 탈곡통 (6a) 의 좌방에 형성된 곡간 공급 장치를 갖는다. 곡간 공급 장치는, 예취부 (5) 에 의해 예취된 곡간의 밑동을 협지하여 이삭 끝을 탈곡통 (6a) 측으로 한 횡와 자세로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한다. 곡간 공급 장치는,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감겨진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과 협동하여 곡간의 밑동 부분을 협액 (挾扼) 하는 곡간 공급 협액체를 갖는다.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의 탈곡부 (6) 의 하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해 탈곡 처리된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선별부 (8) 는, 요동 선별 장치 (8a) 와, 바람 선별 장치 및 곡립 반송 장치를 갖는다. 선별부 (8) 는, 탈곡부 (6) 로부터 낙하해 온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8a) 에 의해 요동 선별하고, 요동 선별 후의 처리물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바람 선별한다. 선별부 (8) 는, 바람 선별 후의 처리물 중, 곡립을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우방으로 반송하고, 짚 부스러기나 먼지 등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날려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반송된 곡립은, 곡립 탱크 (7) 에 저류된다.
주행 기체 (4) 상에는, 배출 오거 (9) 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 오거 (9) 는, 주행 기체 (4) 의 우후측에 형성된 종(縱)취출 컨베이어 (9b) 를 통하여 주행 기체 (4) 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출 오거 (9) 는, 스크루 컨베이어를 내장하고 있으며, 선단부에 배출구 (9a) 를 갖는다. 또한, 배출 오거 (9) 는, 그 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승강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출 오거 (9) 는, 주행 기체 (4) 의 우후측의 종취출 컨베이어 (9b) 로부터 좌전방으로 수평 형상으로 연신된 상태를 수납 상태로 하고 있다. 배출 오거 (9) 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부를 예취부 (5) 의 좌측 부분에 위치시키고, 기체의 대각선을 따르도록 연신되어 있다 (도 3 참조). 배출 오거 (9) 는, 오거 수용부로서의 오거 레스트 (27) 에 재치 (載置) 지지됨으로써 수납 상태가 된다.
곡립 탱크 (7) 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은, 배출 오거 (9) 내의 스크루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고,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된다.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된 곡립은, 트럭의 짐받이나 컨테이너 등에 투입된다. 배출 오거 (9) 는, 곡립의 배출 작업시, 수납 상태로부터 기체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배출구 (9a) 를 기체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탈곡부 (6) 의 후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한 탈곡 처리 후의 배출된 짚을 처리하는 배고 (排藁) 처리부 (10) 가 형성되어 있다. 배고 처리부 (10) 는, 배고 반송 장치 (10a) 와, 배고 절단 장치 (10b) 를 갖는다. 배고 반송 장치 (10a) 는, 탈곡부 (6) 에 의해 탈곡이 끝난 곡간 (배출 짚) 을 후방으로 반송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배고 절단 장치 (10b) 로 반송한다. 배고 절단 장치 (10b) 는, 배고 반송 장치 (10a) 로부터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예취부 (5) 의 우방이면서 곡립 탱크 (7) 의 전방에는, 캐빈 (30) 에 의해 덮인 운전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운전부 (12) 는, 주행 기체 (4) 의 전부의 상방에 있어서 캐빈 (30) 내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2) 의 전부에는, 조향 조작부로서의 핸들 (13) 이 형성되어 있고, 핸들 (13) 의 후방에 운전석 (14)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 (14) 의 좌측방에는, 주변속 레버 (15) 를 포함하는 각종 조작구 등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2) 의 후하방에는, 엔진 (11) 을 포함하는 원동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11) 의 동력은, 변속 장치 등을 통하여,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각 부의 각종 장치에 전달된다. 엔진 (11) 은, 디젤 엔진이다.
도 4 내지 도 6 을 사용하여, 캐빈 (3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캐빈 (30) 은, 전면부 (31), 후면부 (32), 좌측벽부 (33), 우측벽부 (34), 천장부를 이루는 루프부 (35) 및 마루부 (36) 를 갖고, 이들 부분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빈 (30) 의 전면부 (31) 는, 그 상측의 과반 부분을 구성하는 전방 경사 형상의 전상면부 (31a) 와, 전면부 (31) 의 대략 하반부를 구성하는 전방 하향의 경사 형상의 전하면부 (31b) 를 갖고,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아 후측으로 오목한 굴곡 형상을 갖는다. 전상면부 (31a) 는, 유리나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상의 투명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투명한 창부 (窓部) 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하면부 (31b) 는, 강판 등의 금속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캐빈 (30) 의 좌측벽부 (33) 는, 하측의 부분을, 강판 등에 의해 구성된 판금제의 부분인 하부 측면부 (41) 로 하고 있다 (도 4 참조).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직선상의 좌지주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좌지주부 (42) 는, 좌측벽부 (33) 의 상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지주부 (42) 는, 평면 단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기둥 부분으로, 연직상의 평탄한 좌측면 (42a) 을 갖는다. 좌지주부 (42) 는, 좌측면 (42a) 을,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약간 좌방으로 돌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하부 측면부 (41) 의 상측이면서 또한 좌지주부 (42) 의 후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좌후 창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좌후 창부 (43) 는,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좌지주부 (42) 의 후측 부분을 이루는 좌측판 (44) 의 상부에 의해 좌지주부 (42) 와 함께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부분에 대하여 직사각형상의 유리 등의 투명판을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좌측판 (44) 의 하부에 의해, 하부 측면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좌후 창부 (43) 의 전방 부분은, 좌전 창부 (47) 로 되어 있다. 좌전 창부 (47) 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전측 가장자리부를 전면부 (31) 의 전상면부 (31a) 의 전방 경사 형상의 경사를 따르게 함과 함께, 후측 가장자리부를 좌지주부 (42) 의 상부를 따르게 하고 있다. 좌전 창부 (47) 는, 유리나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상의 투명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에 대해 전면부 (31) 의 전상면부 (31a) 와 대략 동일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좌전 창부 (47) 의 상측에는, 전상측판 (57) (도 8 참조) 이 형성되어 있다. 전상측판 (57) 은, 좌측벽부 (33) 의 좌지주부 (42) 보다 전측 부분의 상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전상측판 (57) 은, 하가장자리부를, 좌전 창부 (47) 의 상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내측 (우측) 에서부터 중첩시키고 있다.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에는, 승강용의 개폐문인 도어 (4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도어 (48) 는, 전측에서부터 외측으로 열리도록 캐빈 (30) 의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빈 (30) 의 루프부 (35) 는, 평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루프부 (35) 는, 전측의 가장자리 단부를, 전면부 (31) 의 상단부에 대하여 전측에 차양 형상으로 돌출시키고 있고, 후측의 가장자리 단부를, 후면부 (32) 의 상단부에 대하여 후측에 차양 형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루프부 (35) 의 전단면부에는, 복수의 조명부 (51) 가 옆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루프부 (35) 는, 편평상의 외형을 가짐과 함께 중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루프부 (35) 는, 루프부 (35) 의 기부를 이루는 하측 패널 (도시 생략) 과, 하측 패널의 상측에 형성된 루프 패널 (50) 을 갖고, 이들 패널에 의해 중공부를 형성하고 있다. 루프 패널 (50) 은, 상면부 (50a) 와, 상면부 (50a) 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여 굴곡 형성된 좌우의 측면부 (50b) 를 갖는다. 루프 패널 (50) 은, 하측 패널부를 전체적으로 상측 및 좌우 양측에서부터 피복하도록 형성된 커버 부재이다.
또한,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는, 좌측벽부 (33) 의 상가장자리부를 좌방에서부터 덮고 있고, 루프 패널 (50) 의 우측의 측면부 (50b) 는, 우측벽부 (34) 의 상가장자리부를 우방에서부터 덮고 있다. 루프부 (35) 의 내부에는,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공조 장치의 실내기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캐빈 (30) 에 있어서, 캐빈 (30) 의 좌방의 측면부는, 좌측벽부 (33) 와 루프부 (35) 의 좌측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빈 (30) 의 우방의 측면부는, 우측벽부 (34) 와 루프부 (35) 의 우측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캐빈 (30) 에 있어서, 좌측벽부 (33) 와 루프부 (35) 의 좌측 부분을 포함하는 좌방의 측면부를 캐빈 좌측면부 (37) 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은, 위성으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유닛 (60) 을 구비한다. 안테나 유닛 (60) 은, 캐빈 (30) 의 좌우의 측면부 중 캐빈 좌측면부 (37) 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캐빈 좌측면부 (37) 상부의 좌방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캐빈 (30) 에 대하여 소정의 지지 부재를 통해서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상자 형상의 외형을 갖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상하 방향에 대해서, 루프부 (35) 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유닛 (60) 은, 상하 방향의 치수를 루프 패널 (50) 의 측면부 (50b) 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하고, 상하 방향에 대해서, 상하 방향의 대략 전체를 루프 패널 (50) 의 측면부 (50b) 의 높이 범위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체 또는 대략 전체를 캐빈 좌측면부 (37) 에 형성된 좌지주부 (42) 보다 전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유닛 (60) 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 후단부를 좌지주부 (42) 의 상단부의 근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좌측면에서 보아 좌전 창부 (47) 의 상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좌전 창부 (47) 의 상가장자리부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안테나 유닛 (60) 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 루프부 (35) 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대략 1/3 의 치수를 갖고, 루프부 (35) 에 대하여 좌전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 참조).
안테나 유닛 (60) 은, 좌우 방향에 대해서, 우측면부를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의 직좌방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유닛 (60) 은, 캐빈 (30) 에 대하여, 루프부 (35) 의 전부의 좌방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테나 유닛 (60) 의 배치 구성에 의하면, 캐빈 (30) 을 콤바인 (1) 의 기체에 있어서의 우전부에 형성한 구성에 있어서, 안테나 유닛 (60) 은, 좌우 방향에 대해 기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다 (도 3 참조). 또한, 안테나 유닛 (60) 이 루프부 (35) 의 전좌방에 위치하는 점에서, 조명부 (51) 에 의한 배광 (配光) 이나 캐빈 (30) 내로부터의 시야가 안테나 유닛 (60) 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캐빈 (30) 의 좌측방에는, 수납 상태의 배출 오거 (9) 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 유닛 (60) 은, 그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콤바인 (1) 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위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수신부로서의 수신 장치 (61) 와, 연산부로서의 관성 항법 장치 (62) 와, 통신부로서의 무선 통신 장치 (63) 와, 이들 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스 (64) 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 유닛 (60) 에 의해, 콤바인 (1) 의 자동 조타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수신 장치 (61) 는,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여 관성 항법 장치 (62) 에 송신한다. 수신 장치 (61) 는, 예를 들면, GNSS 위성군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GNSS 수신기 (GNSS 안테나) 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GPS 안테나) 등이다.
관성 항법 장치 (62) 는, 3 축의 자이로와 3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자세 방위 데이터를 산출한다. 또한, 관성 항법 장치 (62) 는, 수신 장치 (61) 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데이터를 산출한다. 관성 항법 장치 (62) 는, 수신 장치 (61) 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데이터를 산출하는 연산 장치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관성 항법 장치 (62) 가 GNSS 수신기를 탑재함으로써, 관성 항법 장치 (62) 에 의해 산출되는 자세 방위 데이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안테나 유닛 (60) 은 관성 항법 장치 (62) 를 구비함으로써, 악천후, 전파 장해 등으로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에 있어서도, 관성 항법 장치 (62) 에 의해 검출한 3 방향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이동 속도나 이동 거리 등을 산출하여 측위하는 관성 항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선 통신 장치 (63) 는, 관성 항법 장치 (62) 에 의해 산출된 위치 데이터 및 자세 방위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 (63) 는, 예를 들어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 이나 모바일 통신을 사용한 데이터 통신 장치이다. 무선 통신 장치 (63) 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이나 콤바인 (1) 의 ECU (Electronic Control Unit) 등에서 수신되어, 포장 내에서의 위치 확인이나 콤바인 (1) 의 자세 (전후 좌우로의 기울기 등) 의 확인 등에 이용된다.
케이스 (64) 는, 케이스 (64) 의 하부를 이루는 하케이스체 (65) 와, 케이스 (64) 의 상부를 이루는 상케이스체 (66) 를 갖고, 이들 케이스체에 의해 수용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안테나 유닛 (60) 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 (64) 는, 하케이스체 (65) 및 상케이스체 (66) 에 의해,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비교적 편평한 상자 형상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하케이스체 (65) 및 상케이스체 (66) 는, 예를 들어 수지로 만든 부재이다.
하케이스체 (65) 는, 상측을 개방시킨 상자 형상의 부재이고, 수평 형상의 저면부 (65a) 와, 전후 좌우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가장자리부에 의해 직사각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둘레벽부 (65b) 를 갖는다 (도 7 참조). 상케이스체 (66) 는, 하케이스체 (65) 의 개구부를 상측에서부터 덮는 덮개 형상의 부분이다. 상케이스체 (66) 는, 전후 좌우의 면부에 의해 직사각형상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가장자리부를 하케이스체 (65) 의 직사각형상의 개구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케이스체 (66) 는, 하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하케이스체 (65) 의 상측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외측에서부터 중첩된 상태로 하케이스체 (65) 에 끼워 맞춰져 있고, 양 케이스체는, 서로의 끼워 맞춤 부분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고정구 (67) (도 7 참조) 에 의해 복수 지점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64) 내에 있어서, 전방에서부터 후방에 걸쳐서, 무선 통신 장치 (63), 수신 장치 (61) 및 관성 항법 장치 (62) 의 순서로, 이들 장치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케이스 (64) 내에 있어서 하케이스체 (65) 의 저면부 (65a) 의 상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장착판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안테나 유닛 (60) 은, 케이스 (64) 내에 수신 장치 (61), 관성 항법 장치 (62) 및 무선 통신 장치 (63) 를 수용한 일체적인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에 의해 취득되는 측위 데이터 (위치 데이터 및 자세 방위 데이터) 는, 미리 설정된 경로 상을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작업을 실시하는 자율형 콤바인 (1) 의 제어에 사용된다.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콤바인 (1) 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행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에 사용된다. 또한, 자세 방위 데이터는, 예를 들어, 콤바인 (1) 의 경사를 인식함으로써, 콤바인 (1) 의 주행 상태나 포장의 상태 확인에 사용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무선 통신 장치 (63) 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수취함으로써, 콤바인 (1) 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지시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유닛 (60) 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 유닛 (60) 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수신 장치 (61) 에, 수신 장치 (61) 에 의해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산출하는 연산부로서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관성 항법 장치 (62) 를 생략한 구성이어도 된다.
안테나 유닛 (60) 의 지지 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9 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 및 도 8 에 있어서는, 루프 패널 (50) 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콤바인 (1) 은, 안테나 유닛 (60) 을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 부재로서의 지지 프레임 (70) 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은, 소정의 굴곡 형상 내지 만곡 형상을 갖는 금속제의 둥근 파이프상 부재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 부분으로, 캐빈 좌측면부 (37) 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은, 전후로 연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은, 전후의 양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신된 프레임 본체부로 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은, 파이프상 부재에 의한 굴곡 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서 순서대로, 전고정부 (71) 와, 전후 연신부 (72) 와, 경사부 (73) 와, 후고정부 (74) 를 갖는다.
전고정부 (71) 는,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부분으로, 캐빈 좌측면부 (37) 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부분이다. 전고정부 (71) 의 우측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 (70) 의 전측의 단부가 된다.
전후 연신부 (72) 는,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부분으로, 전고정부 (71) 의 좌단부로부터, 전고정부 (71) 와 함께 직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이루도록 후방을 향해 수평 형상으로 연신된 부분이다. 전후 연신부 (72) 와 전고정부 (71) 사이의 모서리부는 만곡부로 되어 있다.
경사부 (73) 는, 평면에서 볼 때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서 서서히 좌우 외측 (좌측) 에서 좌우 내측 (우측) 을 향하는 경사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부분이다. 경사부 (73) 는, 전후 연신부 (72) 의 후단부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전후 연신부 (72) 와 함께 둔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이루도록 비스듬한 후우방을 향해 연신된 부분이다. 평면에서 볼 때, 경사부 (73) 와 전후 연신부 (72) 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170°정도이다.
후고정부 (74) 는,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부분으로, 경사부 (73) 의 후단부로부터, 경사부 (73) 와 함께 둔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이루도록 우방을 향해 수평 형상으로 연신된 부분이다. 평면에서 볼 때, 경사부 (73) 와 후고정부 (74) 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어 100°정도이다. 경사부 (73) 와 후고정부 (74) 사이의 모서리부는 만곡부로 되어 있다. 후고정부 (74) 의 우측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 (70) 의 후측의 단부가 된다.
지지 프레임 (70) 에 있어서는, 전후 연신부 (72) 및 경사부 (73) 에 의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신된 프레임 본체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은, 좌측면에서 볼 때,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의 하가장자리부의 하방 근방에 위치하고,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은, 전단부 및 후단부를, 캐빈 좌측면부 (37) 에 고정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 프레임 (70) 은, 전단부가 되는 전고정부 (71) 의 우측의 단부 및 후단부가 되는 후고정부 (74) 의 우측의 단부를, 각각 캐빈 좌측면부 (37) 에 고정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의 전측의 단부는, 캐빈 좌측면부 (37) 에 있어서, 전면부 (31) 를 구성하는 전상면부 (31a) 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의 전측의 단부는, 캐빈 좌측면부 (37) 의 전상부를 구성하는 전상측판 (57) 에 대하여, 전장착 플레이트 (76) 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전장착 플레이트 (76) 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판상 부재로, 판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전상측판 (57) 에 대하여, 고정 볼트 (78) 에 의해 전후 2 지점에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78) 는, 전장착 플레이트 (76) 및 전상측판 (57) 을 관통하여, 전상측판 (57) 의 이면측 (우측) 에 형성된 너트부 (79) (도 8 참조)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전장착 플레이트 (76) 는, 상부를 고정 볼트 (78) 에 의해 전상측판 (57) 에 대해 고정시키고, 하부를 전상측판 (57) 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시키고 있다.
전장착 플레이트 (76) 의 하부는, 좌전 창부 (47) 의 전상측 모서리부에 대하여 좌우 외측 (좌측) 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장착 플레이트 (76) 의 하부에 대해, 지지 프레임 (70) 의 전고정부 (71) 의 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전고정부 (71) 의 우단부는, 전장착 플레이트 (76) 의 하부에 형성된 원 형상의 개구부 (76a) (도 8 참조) 에 끼워 맞춰진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전장착 플레이트 (76) 에 고정되어 있다.
전장착 플레이트 (76) 와 지지 프레임 (70) 의 사이에는, 보강 플레이트 (80) 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 (80) 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전장착 플레이트 (76) 와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전고정부 (71)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 (80) 는, 전장착 플레이트 (76) 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의 위치에 있어서 전장착 플레이트 (76) 에 대하여 수직 형상으로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 (80) 는, 전장착 플레이트 (76) 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전고정부 (71) 의 우단부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의 전고정부 (71) 는, 전장착 플레이트 (76) 중, 좌측면에서 보아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부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전상측판 (57) 에 대한 고정 볼트 (78) 에 의한 전장착 플레이트 (76) 의 고정 부분은,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에 의해 좌방에서부터 덮여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의 후측의 단부는, 캐빈 좌측면부 (37) 에 있어서, 좌후 창부 (43) 의 후상측 모서리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의 후측의 단부는, 캐빈 좌측면부 (37) 의 후부를 구성하는 좌측판 (44) 의 상단부에 대하여, 후장착 플레이트 (81) 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7 참조).
후장착 플레이트 (81) 는, 대략 절두 이등변 삼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판상 부재로, 판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함과 함께, 꼭대기부측을 전측으로 하는 방향으로, 좌측판 (44) 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후장착 플레이트 (81) 는, 좌측판 (44) 에 대하여, 고정 볼트 (82) 에 의해 전후 2 지점에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82) 는, 좌측판 (44) 을 관통하여, 좌측판 (44) 의 뒷면측 (우측)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부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후장착 플레이트 (81) 에 대하여, 지지 프레임 (70) 의 후고정부 (74) 의 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후고정부 (74) 의 우단부는, 후장착 플레이트 (81) 의 하부에 형성된 원 형상의 개구부 (81a) 에 끼워 맞춰진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후장착 플레이트 (81) 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70) 의 후고정부 (74) 는, 후장착 플레이트 (81) 중, 좌측면에서 보아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부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좌측판 (44) 에 대한 고정 볼트 (82) 에 의한 후장착 플레이트 (81) 의 고정 부분의 상부는, 루프 패널 (50) 의 좌측의 측면부 (50b) 에 의해 좌방에서부터 덮여 있다.
이상과 같이 캐빈 (30) 에 대해 고정 지지된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하여, 지지 프레임 (70) 의 전부 상에 안테나 유닛 (60) 이 지지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지지 프레임 (70) 의 전후 연신부 (72) 에 있어서 전후 2 지점에 형성된 지지 브래킷 (90) 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전측의 지지 브래킷 (90) 은,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하여, 전고정부 (71) 와 전후 연신부 (72) 에 의한 모서리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후측의 지지 브래킷 (90) 은, 전후 연신부 (72) 의 전후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 (90) 은, 지지 프레임 (70) 에 고정 형성된 설치 브래킷 (91) 에 고정되어 있다. 즉, 지지 브래킷 (90) 은,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하여 설치 브래킷 (91) 을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 (90) 및 설치 브래킷 (91) 은, 지지 프레임 (70) 의 전후 연신부 (72) 의 축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 또는 대략 좌우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지지 브래킷 (90) 및 설치 브래킷 (91) 의 세트끼리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칭 또는 대략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 (91) 은, 판상의 부재를 굴곡 형성한 양태의 길다란 형상의 부재로,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아 전후 연신부 (72) 의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전후 연신부 (72) 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 (91) 은, 서로 평행한 전면부 (91a) 및 후면부 (91b) 와, 상면부 (91c) 를 갖고, 이들 면부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하측을 개방측으로 한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설치 브래킷 (91) 의 전면부 (91a) 및 후면부 (91b) 의 좌우의 중앙부의 하측에는, 전후 연신부 (72) 를 끼워 맞춤시키기 위한 반원상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 (91) 은, 전면부 (91a) 및 후면부 (91b) 의 노치부에 전후 연신부 (72) 를 끼워 맞춘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전후 연신부 (72) 에 고정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 (91) 은, 길이 방향에 대해 안테나 유닛 (60) 의 케이스 (64) 의 폭 방향 (좌우 방향) 의 치수보다 짧고, 평면으로 볼 때에 안테나 유닛 (60) 의 외형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 (90) 은, 판상의 부재를 굴곡 형성한 양태의 길다란 형상의 부재로,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아 전후 연신부 (72) 의 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전후 연신부 (72) 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 (90) 은, 설치 브래킷 (91) 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지지 브래킷 (90) 은,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고정면부 (90a) 와, 고정면부 (90a) 의 상단으로부터 직각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수평 형상의 지지면부 (90b) 와, 고정면부 (90a) 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직각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좌우의 측면부 (90c) 를 갖는다. 지지 브래킷 (90) 에 있어서는, 지지면부 (90b) 가 안테나 유닛 (60) 의 케이스 (64) 가 장착되는 면부가 된다. 지지면부 (90b) 는, 설치 브래킷 (91) 의 상면부 (91c) 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의 지지 브래킷 (90) 은, 고정면부 (90a) 를 후측으로 하는 방향으로, 설치 브래킷 (91) 의 전측에 위치하고, 고정면부 (90a) 를 설치 브래킷 (91) 의 전면부 (91a) 에 중첩시킨 상태로, 고정 볼트 (92) 에 의해 좌우 양단의 2 지점에서 설치 브래킷 (91)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92) 는, 고정면부 (90a) 및 전면부 (91a) 를 관통하여, 설치 브래킷 (91) 의 전면부 (91a) 의 후측에 형성된 너트부 (93)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후측의 지지 브래킷 (90) 은, 고정면부 (90a) 를 전측으로 하는 방향으로, 설치 브래킷 (91) 의 후측에 위치하고, 고정면부 (90a) 를 설치 브래킷 (91) 의 후면부 (91b) 에 중첩시킨 상태로, 고정 볼트 (94) 에 의해 좌우 양단부의 2 지점에서 설치 브래킷 (91)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94) 는, 고정면부 (90a) 및 후면부 (91b) 를 관통하여, 설치 브래킷 (91) 의 후면부 (91b) 의 전측에 형성된 너트부 (95)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전후의 지지 브래킷 (90) 에 대하여, 안테나 유닛 (60) 의 케이스 (64) 가 고정 볼트 (96) 에 의해 지지면부 (90b)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96) 에 의한 고정부는, 각 지지 브래킷 (90) 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2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 브래킷 (90) 의 지지면부 (90b) 에는, 좌우 양측의 2 지점에, 고정 볼트 (96) 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부 (90e)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참조). 이와 같이, 안테나 유닛 (60) 은, 전후의 지지 브래킷 (90) 에 대해 2 지점씩 합계 4 지점에서 고정 볼트 (9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각 고정 볼트 (96) 는, 지지 브래킷 (90) 의 지지면부 (90b) 를 하측에서부터 관통하여, 케이스 (64) 내에 있어서 하케이스체 (65) 의 저면부 (65a) 에 면하여 나사 구멍을 개구시키도록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암나사부 (97)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60) 은, 지지 프레임 (70) 의 대략 전반부의 상측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유닛 (60) 은,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케이스 (64) 의 외형의 좌우의 중심을 전후 연신부 (72) 의 축심 위치에 일치 또는 대략 일치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유닛 (60) 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케이스 (64) 의 전단부를 전고정부 (71) 보다 전방에 위치시킴과 함께, 케이스 (64) 의 후단부를 전후 연신부 (72) 와 경사부 (73) 에 의한 굴곡부보다 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캐빈 (30) 의 좌방 상부에 지지 프레임 (70) 에 의해 안테나 유닛 (60) 을 지지시킨 구성에 대해서, 난간부 (100) 가 형성되어 있다. 난간부 (100) 는, 안테나 유닛 (60) 에 대한 작업 등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난간부 (100) 는, 소정의 굴곡 형상 내지 만곡 형상을 갖는 금속제의 둥근 파이프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캐빈 (30) 의 캐빈 좌측면부 (37) 에 형성되어 있다.
난간부 (100) 는, 상하로 연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난간부 (100) 는, 상하의 양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측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신된 난간 본체부로 하고 있다. 난간부 (100) 는, 파이프상의 부재에 의한 굴곡 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순서대로, 하고정부 (101) 와, 경사 연신부 (102) 와, 상고정부 (103) 를 갖는다.
하고정부 (101) 는,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부분으로, 캐빈 좌측면부 (37) 로부터 좌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부분이다. 하고정부 (101) 의 우측의 단부가, 난간부 (100) 의 하측의 단부가 된다.
경사 연신부 (102) 는, 측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을 따르는 방향, 또한 정면에서 볼 때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서서히 좌우 내측 (우측) 에서 좌우 외측 (좌측) 을 향하는 경사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부분이다. 경사 연신부 (102) 는, 정면에서 볼 때 하고정부 (101) 와 함께 둔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이루도록 비스듬한 좌상방을 향하여 연신된 부분이다. 경사 연신부 (102) 와 하고정부 (101) 사이의 모서리부는 만곡부 (104) 로 되어 있다.
상고정부 (103) 는,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부분으로, 경사 연신부 (102) 의 상단부로부터, 경사 연신부 (102) 와 함께 둔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이루도록 상방을 향하여 연신된 부분이다. 상고정부 (103) 의 상단부가, 난간부 (100) 의 상측의 단부가 된다.
난간부 (100) 에 있어서는, 경사 연신부 (102) 및 상고정부 (103) 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신된 난간 본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난간 본체부의 대부분을 이루는 경사 연신부 (102) 가, 난간부 (100) 에 있어서 주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 된다. 난간부 (100) 는, 좌측면에서 볼 때, 캐빈 좌측면부 (37) 를 구성하는 좌지주부 (42) 에 대부분을 중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난간부 (100) 는, 상단부를 지지 프레임 (70) 에 연결시킴과 함께, 하단부를 캐빈 좌측면부 (37) 에 고정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난간부 (100) 는, 상고정부 (103) 의 상단부를 지지 프레임 (70) 에 연결 지지시키고, 하고정부 (101) 의 우측의 단부를 캐빈 좌측면부 (37) 에 고정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난간부 (100) 의 상단부는, 지지 프레임 (70) 에 고정 형성된 상측의 연결 부재인 상지지 브래킷 (110) 을 개재하여, 지지 프레임 (70) 에 연결되어 있다. 상지지 브래킷 (110) 은, 지지 프레임 (70) 에 있어서, 후측의 지지 브래킷 (90) 과, 전후 연신부 (72) 와 경사부 (73) 에 의한 모서리부와의 사이 부분에 대하여, 지지 프레임 (70)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지지 브래킷 (110) 은, 판상의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양태의 부재이다. 상지지 브래킷 (110) 은,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고정면부 (110a) 와, 고정면부 (110a) 의 전후의 단부로부터 좌우 내측 (우측) 을 향해 직각 형상으로 굴곡된 전후의 측면부 (110b) 를 갖고, 이들 면부에 의해 상면에서 볼 때 우측을 개방측으로 한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지지 브래킷 (110) 에 있어서는, 고정면부 (110a) 가, 난간부 (100) 의 상단부가 장착되는 면부가 된다.
상지지 브래킷 (110) 의 전후의 측면부 (110b) 의 상부의 좌측에는, 지지 프레임 (70) 의 전후 연신부 (72) 를 끼워 맞춤시키기 위한 오목상의 노치부 (110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참조). 상지지 브래킷 (110) 은, 전후의 측면부 (110b) 의 노치부 (110c) 내에 전후 연신부 (72) 를 위치시킨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전후 연신부 (72) 에 고정되어 있다. 상지지 브래킷 (110) 은, 고정면부 (110a) 의 상가장자리부를, 전후 연신부 (72) 의 좌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난간부 (100) 는, 고정 플레이트 (115) 를 개재하여, 상고정부 (103) 의 상단부를 상지지 브래킷 (110) 에 고정시키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 (115) 는, 대략 절두 이등변 삼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판상 부재로, 판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함과 함께, 꼭대기부측을 하측으로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 (115) 는, 상고정부 (103) 의 상단부의 좌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 (115) 는, 상지지 브래킷 (110) 의 고정면부 (110a) 에 이면측 (우측) 에서부터 중첩된 상태로, 고정 볼트 (116) 에 의해 전후 2 지점에서 고정면부 (110a)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116) 는, 고정면부 (110a) 및 고정 플레이트 (115) 를 관통하여, 고정 플레이트 (115) 의 이면측 (우측) 에 형성된 너트부 (117)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고정 볼트 (116) 에 의한 고정부는, 고정 플레이트 (115) 의 상부의 전후의 모서리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난간부 (100) 의 하단부는, 캐빈 좌측면부 (37) 를 구성하는 하부 측면부 (41) 에 대하여, 장착 부재인 하지지 브래킷 (120) 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하지지 브래킷 (120) 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굴곡 형상을 이루는 장착 금구이다. 하지지 브래킷 (120) 은.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일방의 면부를 고정면부로 하여 하부 측면부 (41) 를 따르게 한 상태로, 고정 볼트 (124) 에 의해 하부 측면부 (41) 에 고정되어 있다. 하지지 브래킷 (120) 의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타방의 면부인 지지면부는, 고정면부 (121) 의 전측에서부터 좌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하지지 브래킷 (120) 에 대하여, 난간부 (100) 는, 하고정부 (101) 와 만곡부 (104) 의 일부를 지지면부의 후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하지지 브래킷 (120) 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난간부 (100) 는, 상단측을 지지 프레임 (70) 에 연결 지지시킴과 함께, 하단측을 캐빈 좌측면부 (37) 에 연결 지지시켜, 지지 프레임 (70) 과 캐빈 좌측면부 (37) 의 사이에 가설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은, 콤바인 (1) 의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는 상태 표시 장치로서의 적층등 (150) 을 구비한다. 적층등 (150) 은, 캐빈 좌측면부 (37) 에 대하여, 안테나 유닛 (60) 의 직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은,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중심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도록 기립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은, 원통 형상의 외형을 이루는 면부로서, 원통면 형상의 외주면부 (151) 와, 모두 평탄한 면부인 저면부 (152) 및 상면부 (153) 를 갖는다.
적층등 (150) 은, 대략 상반부를, 복수의 표시등부를 적층한 발광 표시부 (154) 로 하고 있다. 발광 표시부 (154) 는, 복수의 표시등부로서, 위에서부터 아래에 걸쳐서 순서대로, 적색의 발광 표시를 실시하는 제 1 표시등부 (154a), 황색의 발광 표시를 실시하는 제 2 표시등부 (154b), 및 녹색의 발광 표시를 실시하는 제 3 표시등부 (154c) 를 적층한 구성을 갖는다. 각 표시등부는, LED 등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의 구성, 예를 들어, 각 색의 발광 표시를 실시하는 표시등부의 적층 순서, 각 표시등부가 발광하는 색의 종류, 표시등부의 적층의 수, 발광 표시를 실시하는 구조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층등 (150) 의 표시 양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등 (150) 의 표시 양태로는, 예를 들면, 모든 표시등부를 소등시키거나, 복수의 표시등부를 동시에 점등시키거나, 표시등부의 점멸 표시가 사용되거나 해도 된다.
적층등 (150) 은, 저면부 (152) 로부터 연장 돌출된 접속선인 접속 코드 (155) 를 통해,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 (도시 생략) 에 접속되어 있으며, 적층등 (150) 의 표시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컨트롤러는,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기억부로서의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의 각종 기능부를 버스 등에 의해 접속시킨 구성을 구비한다. CPU 는, ROM 등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컨트롤러는, 콤바인 (1) 의 각 부에 배치된 각종 센서나 스위치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나, 안테나 유닛 (60) 의 동작 모드 등에 기초하여, 적층등 (150) 의 발광 표시부 (154) 중 어느 하나의 표시등부를 발광시켜, 콤바인 (1) 의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을 실시한다. 또한, 적층등 (150) 에 의해 알림되는 내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표시등부 (154a) 에 의한 적색의 발광 표시는, 예를 들어, 콤바인 (1) 에서 어떠한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의 주의 환기나 경보의 표시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탈곡부 (6) 에 있어서의 곡간의 막힘이나, 곡립 탱크 (7) 내의 곡립의 양이 만량이 되는 것이나, 엔진 (11) 의 냉각수온의 이상 등이 발생한 경우, 제 1 표시등부 (154a) 의 점등에 의해 알림이 실시된다. 또한, 제 2 표시등부 (154b) 에 의한 황색의 발광 표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트러블이 발생하기 전 단계에서의 예비적인 경보 표시나, 기체의 자동 주행에 있어서의 장해물의 검지의 알림 표시 등으로 사용된다. 또한, 제 3 표시등부 (154c) 에 의한 녹색의 발광 표시는, 콤바인 (1) 이 작업 개시의 준비가 완료된 상태나 정상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상태 등을 알리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적층등 (150) 은, 콤바인 (1) 의 기체의 상태로서, 안테나 유닛 (60) 의 수신 장치 (61) 에 의한 수신 상태에 따른 알림에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적층등 (150) 은, 안테나 유닛 (60) 의 전파의 수신 상태가 적정 수신 모드인 경우, 녹색의 제 3 표시등부 (154c) 를 점등시키고, 동 수신 상태가 불안정 수신 상태인 경우, 황색의 제 2 표시등부 (154b) 를 점등시키고, 동 수신 상태가 수신 불능 상태인 경우, 적색의 제 1 표시등부 (154a) 를 점등시키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적층등 (150) 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콤바인 (1) 에 있어서의 적층등 (150) 의 배치 및 지지 구성에 대하여, 도 3, 도 4 내지 도 1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적층등 (150) 은, 그 표시에 의해 콤바인 (1) 의 상태를 알리기 위해서, 콤바인 (1) 의 주위에 있어서의 전방향으로부터, 즉 360°의 범위에서 어느 위치에서도 발광 표시부 (154) 에 의한 표시 양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점에 관해서, 적층등 (150) 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발광 표시부 (154) 의 전체를 캐빈 (30) 의 루프 패널 (50) 의 상면부 (50a) 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에 형성된 지지부인 적층등 지지부 (160) 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적층등 (150) 은, 캐빈 좌측면부 (37) 에 형성된 적층등 지지부 (160) 를 통해서, 캐빈 (30) 에 대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의 배치에 관하여, 적층등 (150) 은, 적층등 지지부 (160) 에 의해 캐빈 좌측면부 (37) 에 지지됨으로써, 기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 (1) 의 전부에 있어서, 기체의 좌우 방향 (폭 방향) 에 대해서는, 캐빈 (30) 이 우측의 대략 절반의 범위를 차지하고 있고, 예취부 (5) 의 곡간 반송 장치 (5f) 가 좌측의 대략 절반의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의 루프부 (35) 의 좌측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기체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적층등 (150) 의 지지 구성에 관하여,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에 대한 안테나 유닛 (60) 의 지지 구성을 사용하여 캐빈 (30) 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즉, 캐빈 (30) 의 좌우의 측면부 중 일방의 측면부인 캐빈 좌측면부 (37) 의 상부에 형성된 안테나 유닛 (60) 과, 캐빈 좌측면부 (37) 에 형성되고, 안테나 유닛 (60) 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70) 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적층등 지지부 (160) 는 지지 프레임 (7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은,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하여, 후측의 설치 브래킷 (91) 및 지지 브래킷 (90), 아암 플레이트 (161), 하지지 플레이트 (162), 힌지 부재 (163) 및 지지 스테이 (164) 를 통하여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적층등 지지부 (160) 는, 지지 프레임 (70) 과, 후측의 설치 브래킷 (91) 및 지지 브래킷 (90) 과, 아암 플레이트 (161) 와, 하지지 플레이트 (162) 와, 힌지 부재 (163) 와, 지지 스테이 (164) 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지지 프레임 (70) 상에 형성된 전후의 지지 브래킷 (90) 및 설치 브래킷 (91) 중 적층등 지지부 (160) 를 구성하는 후측의 지지 브래킷 (90) 및 설치 브래킷 (91) 을 각각 「후측 지지 브래킷 (90)」 및 「후측 설치 브래킷 (91)」이라고 한다.
아암 플레이트 (161) 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평탄한 판상 부재로,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후측 지지 브래킷 (90) 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아암 형상 부분을 이루고 있다. 아암 플레이트 (161) 는, 우측의 가장자리부를, 전후 방향을 따른 직선상의 변부로 하고, 좌측의 가장자리부를, 후측에서부터 전측에 걸쳐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변부로 하고 있다. 따라서, 아암 플레이트 (161) 는, 후측에서부터 전측에 걸쳐 서서히 폭 (좌우 방향의 치수) 을 넓힌 형상을 갖는다.
아암 플레이트 (161) 는, 그 대략 전체를 수평 형상의 면부인 플레이트 본체부 (161a) 로 하고 있고, 플레이트 본체부 (161a) 의 좌측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굴곡면부 (161b) 를 갖는다. 굴곡면부 (161b) 는, 플레이트 본체부 (161a) 에 대하여 하방을 향헤 직각 형상으로 굴곡된 면부이다.
아암 플레이트 (161) 는, 후측 지지 브래킷 (90) 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암 플레이트 (161) 는, 후측 지지 브래킷 (90) 보다 폭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한 전측의 단부를, 후측 지지 브래킷 (90) 에 대해 후측에서부터 삽입한 형태로, 플레이트 본체부 (161a) 를 지지면부 (90b) 에 대하여 하측에서부터 중첩시키고, 안테나 유닛 (60) 고정용의 고정 볼트 (96) 에 의해 좌우 2 지점에서 후측 지지 브래킷 (90)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96) 는, 플레이트 본체부 (161a) 에 형성된 구멍부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0) 의 구멍부 (90e) 를 하측에서부터 관통하여, 안테나 유닛 (60) 측에 형성된 암나사부 (97)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즉, 아암 플레이트 (161) 는, 2 개의 고정 볼트 (96) 에 의해 후측 지지 브래킷 (90) 과 함께 안테나 유닛 (60) 에 대하여 공동 체결됨으로써, 후측 지지 브래킷 (90) 에 고정되어 있다. 후측 지지 브래킷 (9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70) 에 고정 형성된 후측 설치 브래킷 (91) 에 대하여 고정 볼트 (94)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아암 플레이트 (161) 는,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해, 후측 설치 브래킷 (91)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0) 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하지지 플레이트 (162) 는, 아암 플레이트 (161) 의 후단부 상에 고정 형성되어 있다. 하지지 플레이트 (162) 는, 좌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굴곡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를 갖는다. 하지지 플레이트 (162) 의 본체부는, 대략 「L」자 형상의 굴곡 형상을 이루는 면부로서, 고정면부 (162a) 및 지지면부 (162b) 를 갖는다.
하지지 플레이트 (162) 는, 아암 플레이트 (161) 에 대해, 고정면부 (162a) 를 플레이트 본체부 (161a) 상에 중첩시킨 상태로, 고정 볼트 (165) 에 의해 좌우 2 지점에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165) 는, 아암 플레이트 (161) 의 하측으로부터 플레이트 본체부 (161a) 및 고정면부 (162a) 를 관통하여, 고정면부 (162a) 상에 형성된 너트부 (166)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지지면부 (162b)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고, 고정면부 (162a) 의 후측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여 기립 상태로 되어 있다.
힌지 부재 (163) 는, 하측의 날개인 하장착판부 (163a) 와, 상측의 날개인 상장착판부 (163b) 와, 이들 장착판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지지부 (163c) 를 갖는다. 축지지부 (163c) 는, 하장착판부 (163a) 및 상장착판부 (163b) 의 각각과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의 관부에 핀 등의 축체를 삽입시킨 구성을 갖는다. 축지지부 (163c) 를 구성하는 축체의 중심축이, 힌지 부재 (163) 에 있어서의 장착판부끼리의 회동축 (C1) 이 된다.
힌지 부재 (163) 는, 하지지 플레이트 (162) 에 대하여, 축지지부 (163c) 에 의한 회동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지지면부 (162b) 의 후측에 장착되어 있다. 힌지 부재 (163) 는, 하지지 플레이트 (162) 에 대하여, 하장착판부 (163a) 를 지지면부 (162b) 에 후측에서부터 중첩시킨 상태로, 고정 볼트 (168) 에 의해 좌우 2 지점에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168) 는, 힌지 부재 (163) 의 후측에서부터 하장착판부 (163a) 및 지지면부 (162b) 를 관통하여, 지지면부 (162b) 의 전측에 형성된 너트부 (169)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힌지 부재 (163) 는, 하장착판부 (163a) 를 하지지 플레이트 (162) 의 지지면부 (162b) 에 고정시킴과 함께, 축지지부 (163c) 를 하지지 플레이트 (162) 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상장착판부 (163b) 의 상부를 지지면부 (162b) 의 상단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힌지 부재 (163) 에 있어서, 하장착판부 (163a) 에 대한 축지지부 (163c) 에 의한 상장착판부 (163b) 의 회동에 대해, 상장착판부 (163b) 의 하부가 지지면부 (162b) 에 대하여 후측에서부터 접촉함으로써, 상장착판부 (163b) 의 전측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한편, 힌지 부재 (163) 에 있어서, 상장착판부 (163b) 의 연직 상태로부터 후측으로의 회동은 허용된다.
지지 스테이 (164) 는, 굴곡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아암 플레이트 (161) 의 상방에 있어서, 적층등 (150) 을 재치 지지하는 수평 형상의 지지면부 (164a) 를 갖는다. 지지 스테이 (164)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종(縱)지지면부 (164b) 를 갖고, 종지지면부 (164b) 의 상단에서부터 전방을 향하여 지지면부 (164a) 를 수평 형상으로 연장 돌출시키고 있다. 지지 스테이 (164) 는, 지지면부 (164a) 및 종지지면부 (164b) 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면부 (164c) 를 갖는다. 지지면부 (164a) 의 좌측에는, 지지면부 (164a) 에 대해 하방을 향하여 직각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면부 (164d)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 (164) 는, 힌지 부재 (163) 에 대하여, 종지지면부 (164b) 의 하단부를 상장착판부 (163b) 에 후측에서부터 중첩시킨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 스테이 (164) 는, 힌지 부재 (163) 의 축지지부 (163c) 의 축 둘레로 상장착판부 (163b) 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부분이 된다.
지지 스테이 (164) 에 있어서는, 지지면부 (164a) 상에, 적층등 (150) 이 재치 지지된다. 지지면부 (164a) 는, 직사각형상의 판상 부분으로,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의 외형을 이루는 적층등 (150) 의 전체를 외형의 범위 내에 위치시키는 치수를 갖는다. 적층등 (150) 은, 저면부 (152) 를 지지 스테이 (164) 의 지지면부 (164a) 의 상면을 재치면으로 하여 지지면부 (164a) 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은, 저면부 (152)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시킨 복수의 (예를 들어 3 개의) 나사부 (156) 를 갖는다 (도 10 참조). 적층등 (150) 은, 나사부 (156) 를 지지 스테이 (164) 의 지지면부 (164a) 에 대하여 상측에서부터 관통시키고, 지지면부 (164a) 의 하측에 있어서 너트 (157) 에 나사부 (156) 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지지면부 (164a)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지지면부 (164a) 에는, 나사부 (156) 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면부 (164a) 에는, 적층등 (150) 의 저면부 (152) 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접속 코드 (155) 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 (164e)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 참조).
이상과 같은 적층등 (150) 의 지지 구성에 있어서, 적층등 지지부 (160) 는, 적층등 (150) 과 안테나 유닛 (60) 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적층등 지지부 (160) 에 있어서는, 안테나 유닛 (60) 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후측 지지 브래킷 (90) 과, 아암 플레이트 (161), 하지지 플레이트 (162), 힌지 부재 (163) 및 지지 스테이 (164) 가, 적층등 (150) 과 안테나 유닛 (60) 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가 된다. 즉, 안테나 유닛 (60) 과 적층등 (150) 은, 이들 적층등 지지부 (160) 의 구성 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적층등 지지부 (160) 에 의해 기립 상태로 지지되는 적층등 (150) 은, 자세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등 (150) 은, 힌지 부재 (163) 에 의해, 회동축 (C1) 을 중심으로 하여 후측으로 쓰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기립 상태에서 후측으로 쓰러짐으로써, 자세를 변경시킨다. 즉,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등 (150) 은, 회동축 (C1) 을 중심으로 하여 후측으로 90°또는 대략 90°회동하여,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중심축의 방향을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화살표 A1 참조).
적층등 지지부 (160) 는, 적층등 (150) 의 자세를, 적층등 (150) 의 사용 상태에서의 자세인 사용 자세로부터, 적층등 (150) 의 수납 상태의 자세인 수납 자세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적층등 (150) 의 사용 자세는,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등 (150) 의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중심축 방향 (길이 방향) 을 상하 방향으로 한 자세이다. 적층등 (150) 의 수납 자세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 (153) 를 후측을 향하게 함과 함께, 적층등 (150) 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 자세이다.
적층등 (150) 의 자세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적층등 지지부 (160) 가 갖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적층등 지지부 (160) 는, 힌지 부재 (163) 의 상장착판부 (163b) 에 대해 지지 스테이 (164) 를 통하여 적층등 (150) 을 지지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지지 스테이 (164) 및 적층등 (150) 의 기립 상태는, 지지 스테이 (164) 를 하지지 플레이트 (162) 의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지된다.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는, 하지지 플레이트 (162) 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판상 부분으로, 고정면부 (162a) 의 우측에 있어서 고정면부 (162a) 에 대해 상방을 향하여 직각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는, 전부를, 지지 스테이 (164) 의 우측면부 (164c) 에 대하여 우측에서부터 중첩시킴과 함께, 후부를, 지지 스테이 (164) 의 종지지면부 (164b)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지지 스테이 (164) 는, 고정 볼트 (170) 에 의한 고정부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에 대하여 우측면부 (164c) 를 고정시킴으로써, 자세를 유지한다.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의 상부에는, 고정 볼트 (170) 를 관통시키는 가이드 구멍 (162d)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볼트 (170) 는,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의 우측에서부터 가이드 구멍 (162d) 을 관통하여, 우측면부 (164c) 의 좌측에 형성된 너트부 (171)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 (162d) 은, 회동축 (C1) 의 축 방향에서 볼 때 (예를 들면 좌측면에서 볼 때) 회동축 (C1) 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른, 위로 볼록한 원호상의 장공 (長孔)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 구멍 (162d) 은, 고정 볼트 (170) 를 관통시킨 상태로, 지지 스테이 (164) 를, 적층등 (150) 의 사용 자세 및 수납 자세의 각 자세에 대응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범위 (대략 90°의 각도 범위) 에 형성되어 있다.
사용 자세로 되어 있는 적층등 (150) 의 자세의 변경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된다. 먼저, 고정 볼트 (170) 에 의한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적층등 (150) 을 재치 지지한 지지 스테이 (164) 가, 회동축 (C1) 의 축 둘레로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에 대해 후측으로 상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가 되도록, 적층등 (150) 및 지지 스테이 (164) 를 후측으로 쓰러뜨리는 조작을 실시한다 (도 13, 화살표 A1 참조).
그 후, 고정 볼트 (170) 를 너트부 (171) 에 대하여 체결하고,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에 대하여 지지 스테이 (164) 를 고정시킴으로써,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로 고정 유지된 상태가 된다. 적층등 (150) 의 사용 상태에서는 가이드 구멍 (162d) 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던 고정 볼트 (170) 에 의한 고정부가,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로 됨으로써, 하지지 플레이트 (162) 의 후단부로 이동한다.
수납 자세의 적층등 (150) 의 유지에 관해서는, 가이드 구멍 (162d) 을 관통한 고정 볼트 (170) 의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에 대한 걸림 고정 작용이, 횡와 상태의 적층등 (150) 의 하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작용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13 에 있어서, 사용 자세의 적층등 (150) 을 2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에 있어서, 수납 자세의 적층등 (150) 을 2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수납 자세의 적층등 (150) 을 사용 자세로 복귀시킬 때에는, 고정 볼트 (170) 에 의한 체결을 해제하고, 적층등 (150) 및 지지 스테이 (164) 를 회동축 (C1) 의 축 둘레로 회동시켜 기립시켜, 적층등 (150) 을 사용 자세로 하고, 고정 볼트 (170) 에 의한 체결을 실시한다. 이로써, 적층등 (150) 이 사용 자세로 고정 유지된 상태가 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등 (150) 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적층등 (150) 은, 그 전체를 루프 패널 (50) 의 상면부 (50a) 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수납 자세의 적층등 (150) 의 외주면부 (151) 의 상단은, 루프 패널 (50) 의 상면부 (50a)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자세의 적층등 (150) 은, 좌우 방향에 대해,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부 (외주면부 (151) 의 좌단) 를, 지지 프레임 (70) 의 좌단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적층등 (150) 은, 사용 자세 및 수납 자세 중 어느 자세에서도, 좌우 방향에 대하여 전체를 안테나 유닛 (60) 의 케이스 (64) 의 좌단보다 캐빈 (30) 측 (우측) 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사용 자세에서 수납 자세로 되는 적층등 (150) 의 자세 변경의 양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 자세의 적층등 (150) 을 수납 자세로 할 때의 적층등 (150) 의 후측에 대한 회동 각도 (경도 각도) 는 대략 90°이지만, 이 회동 각도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 자세의 적층등 (150) 은, 후측으로 쓰러짐으로써 수납 자세가 되지만, 적층등 (150) 을 쓰러뜨리는 방향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등 (150) 의 수납 자세로의 자세 변경은, 예를 들어, 콤바인 (1) 을 트럭 등에 의해 운반할 때나, 창고 등에 콤바인 (1) 자체를 수납할 때에 사용된다. 즉, 콤바인 (1) 에 있어서 가장 높은 부위를 루프 패널 (50) 의 상면부 (50a) 로 한 구성에 있어서, 높이 제한의 관점에서, 상면부 (50a) 보다 상방으로의 돌출 부분을 없애기 위해,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가 된다. 따라서, 적층등 (150) 의 수납 자세는, 적층등 (150) 의 전체가 루프 패널 (50) 의 상면부 (50a)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자세인 것이 바람직하다.
콤바인 (1) 에 있어서는, 적층등 (150) 의 자세 변경에 관하여, 적층등 (150) 의 자세가 사용 자세에서 수납 자세로 변경된 것을 검출하는 자세 변경 검출 장치로서의 검출 스위치 (18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 참조). 검출 스위치 (180) 는,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가 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식 센서이다. 검출 스위치 (180) 는, 사용 자세에 있는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로 됨으로써 검출 ON 의 상태가 된다. 검출 스위치 (180) 는,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고, 검출 스위치 (180) 의 검출 신호는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 스위치 (180) 는, 푸시 버튼 (181) 을 갖는 푸시 스위치이고, 푸시 버튼 (181) 이 눌려짐으로써 ON 의 상태가 된다. 검출 스위치 (180) 는, 푸시 버튼 (181) 측을 상측으로 하는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 (70) 상에, 지지 부재인 지지 스테이 (182) 를 통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 (182) 는,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수평인 지지면 (182a) 을 이루고 있다. 지지 스테이 (182) 의 지지면 (182a) 상에, 검출 스위치 (180) 가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 (180) 는,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가 됨으로써, 푸시 버튼 (181) 에 있어서 적층등 (150) 과 회동축 (C1) 둘레로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지지 스테이 (164) 의 종지지면부 (164b) 의 접촉을 받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단, 검출 스위치 (180) 는, 푸시 버튼 (181) 에 있어서 수납 자세가 되는 적층등 (150) 의 외주면부 (151) 의 접촉을 받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검출 스위치 (180) 를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 자세에 있는 적층등 (150) 을 수납 자세가 되도록 조작함으로써, 적층등 (150) 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지지 스테이 (164) 가 푸시 버튼 (181) 에 가압 작용하여, 검출 스위치 (180) 가 ON 의 상태가 된다. 한편, 수납 자세에 있는 적층등 (150) 을 사용 자세로 하기 위해 들어 올림으로써, 지지 스테이 (164) 의 상승 회동에 수반하여 푸시 버튼 (181) 에 대한 가압 작용이 해제되고, 검출 스위치 (180) 가 OFF 의 상태가 된다.
검출 스위치 (180) 의 검출 신호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에 의한 배출 오거 (9) 의 동작 제어에 사용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검출 스위치 (180) 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배출 오거 (9) 의 동작에 관한 제어 모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 스위치 (180) 가 OFF 의 상태인 경우, 즉 적층등 (150) 이 사용 자세에 있는 경우, 컨트롤러는, 배출 오거 (9) 의 선회 동작 및 상하 승강 회동 동작의 제어 모드로서, 루프 패널 (50)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적층등 (150) 에 배출 오거 (9) 가 간섭하지 않는 동작 궤적을 그리는 적층등 사용시의 제어 모드가 사용된다. 여기서, 배출 오거 (9) 의 선회 동작에 대한 선회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를 형성하고, 컨트롤러에 의해, 각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배출 오거 (9) 가 적층등 (150) 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출 오거 (9) 의 동작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검출 스위치 (180) 가 ON 의 상태인 경우, 즉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인 경우, 적층등 (150) 은, 루프 패널 (50) 보다 하방이면서 또한 안테나 유닛 (60) 보다 내방 (우방) 에 위치하여, 배출 오거 (9) 에 간섭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배출 오거 (9) 의 동작의 제어 모드로서, 적층등 (150) 과는 관계없는, 적층등 비사용시의 (통상시의) 제어 모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배출 오거 (9) 의 동작 제어는, 컨트롤러에 의한 자동적인 조작 및 운전부 (12) 에 형성된 조작구에 의한 수동 조작 중 어느 조작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적층등 (150) 을, 기체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에 대하여 적층등 지지부 (160) 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루프 패널 (50) 의 배치 형성 부위를 콤바인 (1) 에 있어서 비교적 높은 부분으로 하는 캐빈 (30) 에 대해, 적층등 지지부 (160) 의 지지 구조에 의해 적층등 (150) 을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적층등 (150) 을 콤바인 (1) 에 있어서의 최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 적층등 (150) 에 대하여, 콤바인 (1) 의 주위나 콤바인 (1) 으로부터 먼 위치로부터도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하 방향에 대해 적어도 발광 표시부 (154) 의 전체가 캐빈 (30) 의 루프 패널 (50) 의 상면부 (50a)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적층등 (150) 을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콤바인 (1) 의 주위에 있어서의 전방향으로부터 적층등 (150) 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콤바인 (1) 에 있어서 복수의 적층등 (150) 을 형성하지 않고, 적층등 (150) 에 대해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의 좌측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콤바인 (1) 에 있어서 기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콤바인 (1) 의 주위에 있어서 적층등 (150) 에 대한 양호한 시인성을 콤바인 (1) 의 좌우의 양쪽 외방으로부터 균형있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층등 (150) 은, 자세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콤바인 (1) 에 의한 작업 형태에 따른 적층등 (150) 의 필요 여부 등에 의해 적층등 (150) 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어, 콤바인 (1) 에 대해 양호한 취급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적층등 (150) 을 캐빈 (30) 의 루프 패널 (50) 보다 상방으로 돌출시키도록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콤바인 (1) 의 수송시에 기체를 이동시킬 때나, 창고 등에 콤바인 (1) 을 수납할 때, 적층등 (150) 이 장해가 되어 기체의 이동이 방해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캐빈 (30) 의 루프 패널 (50)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적층등 (150) 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캐빈 (30) 의 루프 패널 (50) 상을 이동하는 배출 오거 (9) 등의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피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적층등 지지부 (160) 는, 적층등 (150) 의 자세를 기립 상태의 사용 자세에서 횡와 상태의 수납 자세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층등 (150) 을 수납 자세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콤바인 (1) 의 수송시나 수납시에 적층등 (150) 이 콤바인 (1) 의 이동의 장해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로써, 콤바인 (1) 에 대해 양호한 취급성을 얻을 수 있다.
적층등 (150) 의 자세 변경에 관하여, 적층등 지지부 (160) 는, 힌지 부재 (163) 의 회동 구조 및 가이드 플레이트부 (162c) 에 대한 고정 구조를 사용하여 적층등 (150) 을 회동시킴으로써, 적층등 (150) 의 자세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적층등 (150) 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등 지지부 (160) 는, 기립 상태의 적층등 (150) 을,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도록 후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수납 자세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납 자세의 적층등 (150) 을 캐빈 좌측면부 (37) 를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적층등 (150) 을 콤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적층등 (150) 이 다른 장치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 (1) 은, 캐빈 (30) 의 캐빈 좌측면부 (37) 의 상부에 배치된 안테나 유닛 (60) 을 구비하고, 적층등 (150) 은, 캐빈 좌측면부 (37) 에 대하여 안테나 유닛 (60) 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70) 에 대해 소정의 지지 부재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빈 (30) 에 대한 적층등 (150) 의 지지에 안테나 유닛 (60) 의 지지 구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콤바인 (1) 의 자동 주행에 관한 장치를 콤팩트하게 배치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적층등 지지부 (160) 는, 안테나 유닛 (60) 과 적층등 (150) 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안테나 유닛 (60) 과 적층등 (150) 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안테나 유닛 (60) 과 적층등 (150) 을 일체의 구성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들 장치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 장치에 대하여 캐빈 (30) 에 대한 양호한 조립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콤바인 (1) 은,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가 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검출 스위치 (180) 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검출 스위치 (180) 의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에 있는 것을 컨트롤러에 인식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배출 오거 (9) 의 동작에 관하여, 적층등 (150) 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적층등 (150) 의 자세에 따른 효율적인 조작 및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층등 (150) 이 수납 자세가 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장치는, 푸시 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접촉식 센서나 비접촉식 센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등 (150) 이 사용 자세에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장치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따르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의 캐빈 좌측면부 (37) 에 대해 적층등 지지부 (160) 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캐빈 (30) 에 대한 적층등 (150) 의 배치 위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등 (150) 은, 캐빈 (30) 에 대해 우측, 후측 또는 전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적층등 지지부 (160) 는, 적층등 (150) 을 사용 자세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 위치에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적층등 (150) 의 높이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지지 플레이트 (162) 에 대한 힌지 부재 (163) 의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 볼트 (168) 의 나사 삽입부를, 지지면부 (162b) 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해 복수 지점 형성하거나, 고정 볼트 (168) 를 관통시키는 구멍부를 상하로 긴 장공으로 하거나 하여, 고정 볼트 (168) 에 의한 힌지 부재 (163) 의 고정 위치에 의해 적층등 (150) 의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볼트 (170) 를 관통시키는 가이드 구멍 (162d) 도 적당히 상하 방향에 대해서 복수 지점에 형성된다.
또, 적층등 (150) 의 높이 위치의 변경에 관하여, 적층등 (150) 은, 상면부 (153) 를 루프 패널 (50) 의 상면부 (50a) 의 높이보다 하방에 위치시키는 높이 위치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 자세의 적층등 (150) 을 그 자세인 채로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층등 (150) 을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구성은 취사 선택하여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 차량의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는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상기 캐빈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상기 기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작업 차량.
(3)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자세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상기 (2) 에 기재된 작업 차량.
(4)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자세를,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자세인 사용 자세에서,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수납 상태의 자세인 수납 자세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에 기재된 작업 차량.
(5)
상기 캐빈의 좌우의 측면부 중 일방의 측면부의 상부에 형성된 안테나 유닛과,
상기 일방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유닛을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테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작업 차량.
(6)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태 표시 장치와 상기 안테나 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에 기재된 작업 차량.
1 : 콤바인 (작업 차량)
9 : 배출 오거
12 : 운전부
30 : 캐빈
37 : 캐빈 좌측면부
50 : 루프 패널
60 : 안테나 유닛
70 : 지지 프레임 (안테나 지지 부재)
90 : 후측 지지 브래킷
150 : 적층등 (상태 표시 장치)
154 : 발광 표시부
160 : 적층등 지지부 (지지부)
161 : 아암 플레이트
162 : 하지지 플레이트
163 : 힌지 부재
164 : 지지 스테이
180 : 검출 스위치

Claims (6)

  1.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 차량의 기체의 각종 상태의 알림에 사용되는 표시를 실시하는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상기 캐빈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상기 기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 장치는, 자세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자세를,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자세인 사용 자세에서, 상기 상태 표시 장치의 수납 상태의 자세인 수납 자세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좌우의 측면부 중 일방의 측면부의 상부에 형성된 안테나 유닛과,
    상기 일방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유닛을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테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태 표시 장치와 상기 안테나 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230175364A 2022-12-19 2023-12-06 작업 차량 KR202400963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202114 2022-12-19
JP2022202114A JP2024087343A (ja) 2022-12-19 2022-12-19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6369A true KR20240096369A (ko) 2024-06-26

Family

ID=8911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5364A KR20240096369A (ko) 2022-12-19 2023-12-06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96792A1 (ko)
EP (1) EP4389521A1 (ko)
JP (1) JP2024087343A (ko)
KR (1) KR20240096369A (ko)
CN (1) CN1182199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183A (ja) 2008-03-28 2009-10-22 Kubota Corp 作業車用のレバー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289A1 (ja) * 2014-11-13 2016-05-19 ヤンマー株式会社 農用作業車
JP6742928B2 (ja) * 2017-01-20 2020-08-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6946206B2 (ja) * 2018-02-08 2021-10-06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7065809B2 (ja) * 2019-06-27 2022-05-1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7329018B2 (ja) * 2020-04-03 2023-08-17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22093133A (ja) * 2020-12-11 2022-06-23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183A (ja) 2008-03-28 2009-10-22 Kubota Corp 作業車用のレバー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96792A1 (en) 2024-06-20
EP4389521A1 (en) 2024-06-26
JP2024087343A (ja) 2024-07-01
CN118219968A (zh) 202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216744A (ja) コンバイン
US11912205B2 (en) Working vehicle
US11951910B2 (en) Working vehicle
EP4228089A1 (en) Antenna unit for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WO2018088122A1 (ja) 測位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コンバイン
JP7559160B2 (ja) 作業車両
KR20240096369A (ko) 작업 차량
KR102389126B1 (ko) 콤바인
JP6687512B2 (ja) コンバイン
JP7065809B2 (ja) 作業車
JP5797962B2 (ja) コンバイン
KR102539520B1 (ko) 콤바인, 수확기, 및 자동 조타 시스템
KR20240117031A (ko) 콤바인
CN202463947U (zh) 联合收割机及全喂入联合收割机
US20230076284A1 (en) Work vehicle
JP5411746B2 (ja) コンバイン
JP6929984B2 (ja) コンバイン
KR20200080140A (ko) 수확기
JP2001169652A (ja) コンバイン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支持規制棒体
JP7145690B2 (ja) コンバイン
JP7171450B2 (ja) 読取装置及び読取装置を備えた収穫機
KR20180042926A (ko) 콤바인 오거의 자동 복귀 시스템
KR20240071305A (ko) 콤바인
JP2024090844A (ja) 作業車
JP2021052781A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