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260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2609A
KR20240092609A KR1020230179777A KR20230179777A KR20240092609A KR 20240092609 A KR20240092609 A KR 20240092609A KR 1020230179777 A KR1020230179777 A KR 1020230179777A KR 20230179777 A KR20230179777 A KR 20230179777A KR 20240092609 A KR20240092609 A KR 20240092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tting
reservoir
mating
m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24009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26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포팅제를 주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만족하는 커넥터에서, 포팅제의 주입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10)는, 패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열린 개구(13A, 14A)를 갖는 포팅 리저버(13, 14)와, 포팅 리저버(13, 14)에 주입되는 포팅제의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51)와, 포팅 리저버(13, 14)에 주입된 포팅제가 경화된 포팅 덩어리(61, 62)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봉상으로 연장되는 신호 콘택트와, 그 신호 콘택트로부터 멀어져 그 신호 콘택트 주위를 둘러싸는 통상(筒狀)의 아우터 실드(outer shield)를 갖고, 신호 콘택트와 아우터 실드 사이에 제1 씰 부재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아우터 실드의 외주에 제2 씰 부재를 끼워 넣은 구조의 콘택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카메라 모듈측의 제1 상대 커넥터와 케이블이 접속된 제2 상대 커넥터의 쌍방에 끼워맞춰져 카메라 모듈과 케이블측의 신호의 전송을 중개하는 커넥터이다. 그리고, 이 커넥터는, 카메라 모듈측의 제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嵌合)과 동시에 케이블이 접속된 제2 상대 커넥터와는 미감합 상태에 있을 때, 이 커넥터에 침입한 물이 카메라 모듈측의 제1 상대 커넥터에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1-166161호 공보
최근, 상기 공보에 기재된 커넥터의 분야에서도, 점점 소형화, 신호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 때문에, 신호 콘택트도 지름이 가는 콘택트가 사용되어 왔다. 이 신호 콘택트의 지름이 얇으면, 그 신호 콘택트 주위를 방수하기 위해서 그 신호 콘택트를 관통시키는 구멍도 좁아져,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한 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포팅 리저버(potting reservoir)를 만들어 두고 거기에 액상의 포팅제를 주입하고, 그 포팅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방수 성능을 확보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형화된 커넥터의 작은 포팅 리저버에 고정밀도로 제어된 양의 포팅제를 주입하는 것은 어렵고, 소량 통과하여 충분한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없거나, 혹은 포팅제를 다량으로 주입하여 그 후공정에서의 조립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포팅제를 주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만족하는 커넥터에서, 포팅제의 주입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이 커넥터의 서로 접하는 복수의 구성부품의 접촉 부분의 단 테두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포팅 리저버와,
그 포팅 리저버에 주입되는 포팅제의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와,
상기 포팅 리저버에 주입된 포팅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포팅 리저버에 주입되는 포팅제의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를 갖기 때문에, 그 지표를 관찰하면서 포팅제를 주입함으로써, 주입을 완료하는 타이밍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포팅제의 주입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포팅 리저버가, 그 커넥터의 구성부품의 외벽을 주회하는 패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임의 주회 방향의 일부분이 그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보다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분이 넓어짐에 따라, 포팅제 주입 공정에서의 포팅제 주입 노즐의 위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봉상으로 연장되는 신호 콘택트를 갖고,
상기 포팅 리저버가 신호 콘택트를 주회하는 패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표로서는, 신호 콘택트의 포팅 리저버에 돌출한 부분에 신호 콘택트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지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표를 갖는 신호 콘택트의 경우, 포팅제의 주입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표면장력에 의해 신호 콘택트를 따라 전해지는 포팅제를 이 지표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지표가 복수의 주입량의 각각을 지시하는 복수의 개별 지표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복수의 개별 지표로 이루어지는 지표를 채용하면, 예를 들면, 포팅제의 적정 주입량의 하한치 및 상한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포팅 리저버와 그 포팅 리저버에 대응한 상기 지표와의 페어를 복수 갖고, 이들 복수의 포팅 리저버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갖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만약, 복수의 포팅 리저버가 별개의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갖고 있는 경우, 어느 한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갖는 포팅 리저버에 포팅제를 주입하고, 그 포팅제가 경화하고 나서 자세를 바꾸어 다른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갖는 포팅 리저버에 포팅제를 주입할 필요가 있어, 포팅제 주입 처리의 효율이 나쁘다.
이에 대해, 복수의 포팅 리저버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가지면, 1개의 포팅 리저버에 포팅제를 주입한 후, 그 포팅제의 경화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포팅 리저버에 포팅제를 주입할 수 있어, 포팅제 주입 처리의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커넥터가 제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는 제1 감합부와, 제2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는 제2 감합부를 구비하고, 제1 상대 커넥터와 제2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중개하는 커넥터로서,
이 커넥터가 제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고 제2 상대 커넥터와 비감합 상태에 있을 때에, 이 커넥터에 침입한 물이 제1 상대 커넥터 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 커넥터라도 좋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포팅제를 주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만족하는 커넥터에서, 포팅제의 주입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포팅제를 주입하기 전의 제1 포팅 리저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아우터 실드의 내벽면에 형성된 지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포팅제를 주입하기 전의 제2 포팅 리저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10)는 도 2에서는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10)는 도 2에 도시된 자세에서의 하측에 제1 감합부(11)를 갖고, 상측에 제2 감합부(12)를 갖는다. 이 커넥터(10)는 케이스(91) 내에 수납된 제1 상대 커넥터(92)를 제1 감합부(11)로 덮도록 하고 그 제1 상대 커넥터(92)와 끼워 맞춘다.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상대 커넥터(92)는 카메라가 탑재된 모듈에 조립되어 카메라의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또, 상측의 제2 감합부(12)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 끼워 맞춰진다. 이 제2 상대 커넥터(93)에는 케이블(94)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94)은 길게 연장되지만, 여기에서는 제2 상대 커넥터(93)에 접속된 선단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커넥터(10)는 제1 상대 커넥터(92)와 제2 상대 커넥터(93)의 쌍방의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고, 이들 쌍방의 상대 커넥터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중개한다. 제1 상대 커넥터(92)는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가 내장된 모듈에 조립되어 카메라로부터의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커넥터이다. 도 2의 (B)에 도시된 커넥터(10)는 제1 상대 커넥터(92)로부터 카메라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상대 커넥터(93)에 전달한다. 제2 상대 커넥터(93)에는 케이블(94)이 접속되고, 제2 상대 커넥터(93)에 전달된 신호는 케이블(94)에 의해 먼 위치에 있는 모니터와 같은 미도시의 장치에 전송된다.
여기서, 커넥터(10)는 차량의 제조 과정 혹은 차량의 메이터넌스 과정에서 제1 상대 커넥터(92)와 끼워 맞춰지고 제2 상대 커넥터(93)와는 미감합 상태가 존재한다.
카메라가 탑재된 모듈은 수분을 싫어하기 때문에, 커넥터(10)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는 미감합 상태라도 그 커넥터(10)에 침입한 물이 제1 상대 커넥터(92)측으로 새지 않도록 방수 대책이 실시된 커넥터일 필요가 있다. 이 커넥터(10)의 방수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의 끼워 맞춤보다도 전의 단계에서의 방수이며, 감합전 방수 혹은 미감합 방수라고 불린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이 커넥터(10)는 도 3에 도시된 위로부터 순서로, 수지제의 아우터 하우징(20), 금속제의 아우터 실드(30), 수지제의 이너 하우징(40), 금속제의 신호 콘택트(50), 포팅 덩어리(60) 및 금속제의 케이스 쉘(70)로 구성된다.
신호 콘택트(50)는 봉 형상을 갖고, 도 2에 도시된 제1 상대 콘택트(92)로부터 카메라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상대 콘택트(9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신호 콘택트(50)는 이너 하우징(40)에 의해 지지된다.
아우터 실드(30)는 통상의 부재이며, 그 내부에 이너 하우징(40)을 지지하고, 또한, 그 중심에 신호 콘택트(50)를 지지하고 있다.
포팅 덩어리(60)는 이 커넥터(10)의 방수를 담당한다. 여기에는 경화 후의 포팅제의 덩어리로서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 포팅 덩어리(60)는 내측의 제1 포팅 덩어리(61)와 외측의 제2 포팅 덩어리(62)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포팅 덩어리(61, 62)는, 이 커넥터(10)의 조립 도중의 공정에서 도 6에 도시하는 2개의 포팅 리저버(13, 14)에 액상의 포팅제가 주입되어 경화된 것이며, 본래는, 포팅 리저버(13, 14)를 구성하는 부품과는 분리 불가능하지만, 도 3에서는 경화 후의 포팅 덩어리(61, 62)를 꺼내어, 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2개의 포팅 리저버(13, 14)에 액상의 포팅제가 주입되어 경화함으로써 방수 구조가 완성된다.
이들 2 개의 포팅 리저버(13, 14)는 모두 커넥터(10)의 서로 접하는 복수의 구성부품의 접촉 부분의 단 테두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포팅 리저버(13)는 신호 콘택트(50)의 이너 하우징(40)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부분 주위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제1 포팅 리저버(13)는, 신호 콘택트(50)와 이너 하우징(40)의 접촉 부분 및, 이너 하우징(40)과 아우터 실드(30)의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신호 콘택트(50)와 이너 하우징(40)의 저면(41)과 아우터 실드(30)의 내벽면(31)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 제2 포팅 리저버(14)는 아우터 실드(30)와 아우터 하우징(20)의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아우터 실드(30)의 외벽면(32)과 아우터 하우징(20)의 내벽면(21)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들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는 모두 동일 방향,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의 하방으로 열린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 제1 포팅 리저버(13) 및 제2 포팅 리저버(14)에 포팅제를 주입함에 있어서는, 케이스 쉘(70)을 조립하기 전의 커넥터(10)를 도 4에 도시된 자세와는 상하 역방향으로 한 상태로 유지하고, 그 역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제1 포팅 리저버(13) 및 제2 포팅 리저버(14)에 포팅제를 주입하고, 그 주입한 포팅제가 경화되어 포팅 덩어리(61, 62)가 될 때까지 그 역방향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의 쌍방이 동일한 하향의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갖기 때문에, 역방향 자세로 제1 포팅 리저버(13) 및 제2 포팅 리저버(14)의 쌍방에 포팅제를 주입할 수 있다.
포팅에 대한 추가 설명에 대해서는 후로 미룬다.
케이스 쉘(70)은, 제1 포팅 리저버(13) 및 제2 포팅 리저버(14)에 포팅제가 주입되어 경화된 후에 부착된다. 이 케이스 쉘(70)은 그 절편(71)이 아우터 실드(30)에 접하여 그랜드 전위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커넥터(10)가 제1 상대 커넥터(92)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제1 상대 커넥터(92)로 덮임과 동시에, 제1 상대 커넥터(92)의 그랜드(미도시)에 접하여 제1 상대 커넥터(92)를 실드한다.
아우터 하우징(20)은 그 하방으로 크게 열린 제1 감합 개구(22)를 갖고, 또한, 상방으로 열린 제2 감합 개구(23)를 갖는다.
제1 감합 개구(22)에는 케이스 쉘(70)이 배치된다. 커넥터(10)가 제1 상대 커넥터(92)와 끼워맞춰지면, 케이스 쉘(70)이 제1 상대 커넥터(92)를 덮음과 동시에 아우터 하우징(20)이 케이스(91)에 끼워 넣어진다.
제2 감합 개구(23)에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의 끼워 맞춤에 대응하여, 제2 상대 커넥터(93)가 끼워 넣어진다.
이상으로, 커넥터(10)의 전체 설명은 종료하고, 포팅 리저버 주위의 부분에 대해서 더 설명을 계속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여기서, 도 5의 (A)는 케이스 쉘을 부착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5의 (B)는 케이스 쉘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저면도이다.
또, 도 6은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13, 14)에는 조립 중의 커넥터(10)를 상하 역방향으로 한 자세로 포팅제가 주입된다.
도 5의 (A)에는 아우터 하우징(20)의 제1 감합 개구(22)의 내측에 케이스 쉘(70)이 넓어지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리고, 그 케이스 쉘(70)은, 그 케이스 쉘(70)의 절편(71)이 아우터 실드(30)에 접하여 그랜드 전위로 유지된다.
또, 아우터 실드(30)의 중심에는 신호 콘택트(5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 콘택트(50) 주위의 아우터 실드(30)에 둘러싸인 영역에 제1 포팅 리저버(1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포팅 리저버(13)에는 거기에 주입된 포팅제에 의한 제1 포팅 덩어리(6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아우터 실드(30)의 외측에는 제2 포팅 리저버(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포팅 리저버(14)에는 거기에 주입된 포팅제에 의한 제2 포팅 덩어리(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포팅 리저버(14)는 도 5의 (A)에서는 케이스 쉘(70)의 절편(71)끼리의 사이부터 일부만 표시되고 있다. 도 5의 (B) 및 도 6에는 그 전체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제2 포팅 리저버(14)는 아우터 실드(30)의 외벽(32)을 주회하는 주회 방향의 일부분(14')이, 그 일부분(14')을 제외한 부분보다 넓어지고 있다. 이것은, 포팅제를 주입하는 노즐(미도시)의, 제2 포팅 리저버(14)에 대한 위치 맞춤 정밀도를 완화하기 위해서, 이 넓어진 부분(14')을 형성함으로써 포팅제를 주입하는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되고 있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하게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그러나, 이 도 7의 경우, 포팅제를 주입하기 전의 제1 포팅 리저버(13)가 도시되어 있다. 제2 포팅 리저버(14)에 대해서는, 도 6과 마찬가지로, 포팅제가 이미 주입되어 있다.
또, 도 8은 포팅제를 주입하기 전의 제1 포팅 리저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신호 콘택트(50)에는, 제1 포팅 리저버(13)의 중앙으로 돌출된 부분에, 이 신호 콘택트(50)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鍔部)(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51)는 제1 포팅 리저버(13)에 포팅제를 주입함에서의 적정한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제1 포팅 리저버(13)에 포팅제를 주입함에 있어서는, 이 플랜지(51)에 도달하는 높이까지 포팅제가 주입된다. 또, 이 플랜지(51)는 포팅제를 제1 포팅 리저버(13)에 주입할 때, 포팅제가 표면장력에 의해 신호 콘택트(50)의 벽면을 더 상방으로 타고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신호 콘택트(50)의 신호 전송 성능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 실드(30)의 내벽면(31)에는, 도중의 깊이 위치까지 연장되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32)도 제1 포팅 리저버(13)에 포팅제를 주입함에서의 적정한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이 홈(32)의 하단의 높이까지 포팅제를 주입하면, 적당량의 포팅제가 주입된 것을 의미한다. 또, 여기에서는, 홈(32)은 주회 방향으로 4 개소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홈(32)은 포팅제를 주입할 때 커넥터(10)가 기울어져 있지 않은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도 9는 아우터 실드의 내벽면에 형성된 지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는 아우터 실드(30)의 내벽면(31)에 형성된, 도 7과 동일한 도중의 깊이 위치까지 연장되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9에는 2 개의 홈(32a, 32b)이 도시되어 있지만, 2 개의 홈(32a, 32b)은 서로 길이가 다르다. 즉, 홈(32a)은 홈(32b)보다 제1 포팅 리저버(13)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 홈(32a)은 제1 포팅 리저버(13)에 주입된 포팅제가 이 홈(32a)의 하단에까지 도달하지 않으면 주입량이 너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또 1개의 홈(32b)은 주입된 포팅제가 이 홈(32b)의 하단에까지 도달하면 주입량이 너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표를 조합하여 주입량의 상하한치를 지시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홈(32)을 지표로 하고 있지만, 지표는 홈일 필요는 없고, 돌기, 돌조 등이라도 좋다.
도 10은 포팅제를 주입하기 전의 제2 포팅 리저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제2 포팅 리저버(14)의 주연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도 9에 도시한 3단 계단(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3단 계단(15)은 제2 포팅 리저버(14)에의 포팅제의 주입량의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여기서, 3단 계단(15) 중 가장 낮은 1단째의 계단(15a)은, 이 1단째의 계단(15a)이 포팅제로 메워지지 않을 때에는 포팅제의 주입량이 너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2단째의 계단(15b)은 포팅제가 그 높이까지 주입되면 정확히 기준의 주입량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3단째의 계단(15c)은, 이 3단째의 계단(15c)이 포팅제로 메워지면 포팅제의 주입량이 너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3단 계단(15)은, 포팅제의 적정 주입량뿐만 아니라, 주입량의 상하한치, 즉 주입량의 허용치도 지시하고 있다.
또, 이 3단 계단(15)도, 주회 방향 3개소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0)의 기울기의 지표로서도 유효하다.
여기서, 도 5의 (B)는 1단째 및 2단째의 계단(15a, 15b)이 포팅제에 메워지고, 3단째의 계단(15c)이 포팅제의 표면으로부터 나타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주입량의 지표를 설치하여 적정한 주입량의 포팅제를 주입하여 방수 성능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방수 고무 등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가는 지름(細徑)의 신호 콘택트(50)의 채용이나, 커넥터의 소형화의 요청에 응할 수 있다.
10 커넥터
11 제1 감합부(嵌合部, first mating part)
12 제2 감합부
13 제1 포팅 리저버(potting reservoir)
13A 제1 포팅 리저버의 개구
14 제2 포팅 리저버
14A 제2 포팅 리저버의 개구
15 3단 계단
15a 1단째의 계단
15b 2단째의 계단
15c 3단째의 계단
20 아우터 하우징
21 아우터 하우징의 내벽면
22 제1 감합 개구
23 제2 감합 개구
30 아우터 실드
31 아우터 실드의 내벽면
32, 32a, 32b 홈

Claims (6)

  1.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의 서로 접하는 복수의 구성부품의 접촉 부분의 단 테두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포팅 리저버와,
    상기 포팅 리저버에 주입되는 포팅제의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와,
    상기 포팅 리저버에 주입된 포팅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 리저버가 상기 커넥터의 구성부품의 외벽을 주회하는 패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임의 주회 방향의 일부분이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보다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봉상으로 연장되는 신호 콘택트를 갖고,
    상기 포팅 리저버가 상기 신호 콘택트를 주회하는 패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표로서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포팅 리저버에 돌출하는 부분에 상기 신호 콘택트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돌출된 지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가 복수의 주입량의 각각을 지시하는 복수의 개별 지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 리저버와 상기 포팅 리저버에 대응하는 상기 지표와의 페어를 복수 갖고, 상기 복수의 포팅 리저버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제1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감합부와 제2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 감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대 커넥터와 상기 제2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중개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상대 커넥터와는 비감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커넥터에 침입한 물이 상기 제1 상대 커넥터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30179777A 2022-12-14 2023-12-12 커넥터 KR202400926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99131 2022-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2609A true KR20240092609A (ko) 2024-06-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6759A1 (en) Electronic controller
KR102156579B1 (ko)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80054020A1 (en) Waterproof connector
JP2021114484A (ja) コネクタ
US20010017767A1 (en) Electronic circuit board case
JP4803683B2 (ja) コネクタ用ソケット及びヘッダと、これら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102613520B1 (ko) 기판 접속 커넥터를 위한 단자,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
US5714174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connector housing
US7711237B2 (en) Optical transmission line holding member, optical modul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20240092609A (ko) 커넥터
US20020125651A1 (en) Liquid-blocking connector
US20150140860A1 (en) Plug-in Connec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Apparatus
US2017035706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et
US20240085639A1 (en) Optical connector ferrule
JP6299719B2 (ja) コネクタ
JP6183667B2 (ja) コネクタ
US20240204447A1 (en) Connector
JP2024084928A (ja) コネクタ
KR20240092608A (ko) 커넥터
US20120175508A1 (en) Sensor module
JP3060363B2 (ja) 樹脂充填コネクタの電線保護構造
JPH06215837A (ja) コネクタの構造
JP2024084929A (ja) コネクタ
WO2020004077A1 (ja) 遮蔽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6415676B1 (ja) 半導体モジュ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