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260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2608A
KR20240092608A KR1020230179752A KR20230179752A KR20240092608A KR 20240092608 A KR20240092608 A KR 20240092608A KR 1020230179752 A KR1020230179752 A KR 1020230179752A KR 20230179752 A KR20230179752 A KR 20230179752A KR 20240092608 A KR20240092608 A KR 2024009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ing
connector
reservoir
mat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24009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2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포팅제를 주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만족하는 커넥터에서, 포팅제의 주입 공정이 간략화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커넥터(10)의 구성부품인 아우터 실드(30)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벽(80)의 제1 면(81)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13A)를 갖는 제1 포팅 리저버(13)와, 입벽(80)의 제2 면(82)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13A)와 동일한 방향으로 열린 개구(14A)를 갖는 제2 포팅 리저버(14)를 갖고, 입벽(80)이 경화 전의 포팅제를 통과시키는 통로(83)를 갖고,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 포팅제가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포팅 덩어리(60)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봉상으로 연장되는 신호 콘택트와, 그 신호 콘택트로부터 멀어져 그 신호 콘택트 주위를 둘러싸는 통상(筒狀)의 아우터 실드(outer shield)를 갖고, 신호 콘택트와 아우터 실드 사이에 제1 씰 부재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아우터 실드의 외주에 제2 씰 부재를 끼워 넣은 구조의 콘택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카메라 모듈측의 제1 상대 커넥터와 케이블이 접속된 제2 상대 커넥터의 양쪽에 끼워져 카메라 모듈과 케이블측의 신호의 전송을 중개하는 커넥터이다. 그리고, 이 커넥터는, 카메라 모듈측의 제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嵌合)과 동시에 케이블이 접속된 제2 상대 커넥터와는 미감합 상태에 있을 때, 이 커넥터에 침입한 물이 카메라 모듈측의 제1 상대 커넥터에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1-166161호 공보
최근, 상기 공보에 기재된 커넥터의 분야에서도, 점점 소형화, 신호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 때문에, 신호 콘택트도 지름이 가는 콘택트가 사용되어 왔다. 이 신호 콘택트의 지름이 얇으면, 그 신호 콘택트 주위를 방수하기 위해서 그 신호 콘택트를 관통시키는 구멍도 좁아져,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한 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포팅 리저버(potting reservoir)를 만들어 두고 거기에 액상의 포팅제를 주입하고, 그 포팅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방수 성능을 확보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에 사용되는 제1 씰재 및 제2 씰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씰재 대신에 포팅제를 주입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 경우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의 구조를 포팅제 주입만의 변경으로 끝내려고 하면 커넥터의 조립 공정이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포팅제를 주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만족하는 커넥터에서, 포팅제의 주입 공정이 간략화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면과 제1 면에 대한 제2 면을 갖는 입벽(立壁, standing wall) 중 제1 면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포팅 리저버와,
그 입벽의 제2 면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hollow shape)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의 제1 개구와 동일한 방향으로 열린 제2 개구를 갖는 제2 포팅 리저버를 갖고,
상기 입벽이 제1 포팅 리저버와 제2 포팅 리저버 사이에서 경화 전의 포팅제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갖고,
제1 포팅 리저버와 제2 포팅 리저버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 포팅제가 경화된 포팅 덩어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1 포팅 리저버 및 제2 포팅 리저버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열린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고, 입벽이 포팅제를 통과하는 통로를 갖기 때문에, 포팅제를 제1 포팅 리저버 및 제2 포팅 리저버에 한 번에 주입할 수 있으므로, 포팅제의 주입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통로는 입벽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측의 단 테두리까지 열린 슬릿이라도 좋고, 혹은, 상기 통로는 입벽을 관통하는 구멍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포팅 덩어리가, 제1 포팅 리저버에서의 포팅 덩어리의 높이와 제2 포팅 리저버에서의 포팅 덩어리의 높이가 서로 동일해도 좋다.
또는, 상기 통로로서 구멍을 채용하여, 제1 포팅 리저버에서의 높이와 제2 포팅 리저버에서의 높이가 서로 다른 포팅 덩어리가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구체적으로는,
제1 포팅 리저버에 돌출된 제1 봉상으로 연장되는 신호 콘택트와,
신호 콘택트로부터 떨어져 신호 콘택트를 둘러싸고, 제1 포팅 리저버와 제2 포팅 리저버의 경계에 돌출한 입벽으로서의 부분을 갖는 아우터 실드를 구비하는 구조의 커넥터라도 좋다.
그 경우에, 본 발명의 커넥터는, 또한,
아우터 실드에 접해 아우터 실드의 전위를 감합 상대의 커넥터에 전달하는 케이스 쉘을 구비하고,
케이스 쉘은 상기 통로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절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쉘이 통로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절편을 가지면 신호 전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제2 포팅 리저버의 아우터 실드를 둘러싸는 주회 방향의 일부분이 그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보다도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분이 넓어짐에 따라, 포팅제 주입 공정에서의 포팅제 주입 노즐의 위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형적으로는,
제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는 제1 감합부와, 제2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는 제2 감합부를 구비하고, 제1 상대 커넥터와 제2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중개하는 커넥터로서,
이 커넥터가 제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고 제2 상대 커넥터와 비감합 상태에 있을 때에, 이 커넥터에 침입한 물이 제1 상대 커넥터 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 커넥터라도 좋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포팅제를 주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만족하는 커넥터에서, 포팅제의 주입 공정이 간략화된 커넥터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6은 포팅제 주입 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포팅제 주입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포팅 덩어리가 형성된 후, 또한, 케이스 쉘이 부착된 후의 포팅 리저버의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변형예에서의 포팅제 주입 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변형예에서의 포팅제 주입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변형예에서의 포팅제를 1단계 주입한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변형예에서의 포팅제를 2단계 주입한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10)는 도 2에서는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10)는 도 2에 도시된 자세에서의 하측에 제1 감합부(11)를 갖고, 상측에 제2 감합부(12)를 갖는다. 이 커넥터(10)는 케이스(91) 내에 수납된 제1 상대 커넥터(92)를 제1 감합부(11)로 덮도록 하고 그 제1 상대 커넥터(92)와 끼워 맞춘다.
또, 상측의 제2 감합부(12)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 끼워 맞춰진다. 이 제2 상대 커넥터(93)에는 케이블(94)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94)은 길게 연장되지만, 여기에서는 제2 상대 커넥터(93)에 접속된 선단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커넥터(10)는 제1 상대 커넥터(92)와 제2 상대 커넥터(93)의 쌍방의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고, 이들 쌍방의 상대 커넥터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중개한다. 제1 상대 커넥터(92)는, 여기에 도시한 예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가 내장된 모듈에 조립되어 카메라로부터의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커넥터이다. 도 2의 (B)에 도시된 커넥터(10)는 제1 상대 커넥터(92)로부터 카메라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상대 커넥터(93)에 전달한다. 제2 상대 커넥터(93)에는 케이블(94)이 접속되고, 제2 상대 커넥터(93)에 전달된 신호는 케이블(94)에 의해 먼 위치에 있는 모니터와 같은 미도시의 장치에 전송된다.
여기서, 커넥터(10)는 차량의 제조 과정 혹은 차량의 메이터넌스 과정에서 제1 상대 커넥터(92)와 끼워 맞춰지고 제2 상대 커넥터(93)와는 미감합 상태가 존재한다.
제1 상대 커넥터(92)가 조립되는 카메라가 탑재된 모듈은 수분을 싫어하기 때문에, 커넥터(10)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는 미감합 상태라도 커넥터(10)에 침입한 물이 제1 상대 커넥터(92)측으로 새지 않도록 방수 대책이 실시된 커넥터일 필요가 있다. 이 커넥터(10)의 방수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의 끼워 맞춤보다도 전의 단계에서의 방수이며, 감합전 방수 혹은 미감합 방수라고 불린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이 커넥터(10)는 도 3에 도시된 위로부터 순서로, 수지제의 아우터 하우징(20), 금속제의 아우터 실드(30), 수지제의 이너 하우징(40), 금속제의 신호 콘택트(50), 포팅 덩어리(60) 및 금속제의 케이스 쉘(70)로 구성된다.
신호 콘택트(50)는 봉 형상을 갖고, 도 2에 도시된 제1 상대 콘택트(92)로부터 카메라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상대 콘택트(9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신호 콘택트(50)는 이너 하우징(40)에 의해 지지된다.
아우터 실드(30)는 통상의 부재이며, 그 내부에 이너 하우징(40)을 지지하고, 또한, 그 중심에 신호 콘택트(50)를 지지하고 있다.
포팅 덩어리(60)는 이 커넥터(10)의 방수를 담당한다. 여기에는 경화 후의 포팅제의 덩어리로서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 포팅 덩어리(60)는 이 커넥터(10)의 조립 도중의 공정에서 도 5에 도시하는 포팅 리저버(13, 14)에 액상의 포팅제가 주입되어 경화된 것으로, 본래는, 포팅 리저버(13, 14)와는 분리 불가능하지만, 도 3에서는 경화 후의 포팅 덩어리(61, 62)를 꺼내어, 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포팅 리저버(13, 14)에 액상의 포팅제가 주입되어 경화함으로써 방수 구조가 완성된다.
이 커넥터(10)는 그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면(81)과 제2 면(82)을 갖는 입벽(8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 존재하는 포팅 리저버(13, 14) 중 일방인 제1 포팅 리저버(13)는 그 입벽(80)의 제1 면(81)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일방의 제2 포팅 리저버(14)는 그 입벽(80)의 제2 면(82)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는 서로 동일한 방향(도 4에서의 하향)으로 열린 개구(13A, 14A)를 갖는다. 따라서, 포팅제를 주입함에 있어서는, 케이스 쉘(70)을 조립하기 전의 커넥터(10)를, 도 4에 도시한 자세와는 상하 역방향으로 한 상태로 유지하고, 그 역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포팅제가 주입되고, 그 주입된 포팅제가 경화되어 포팅 덩어리(60)가 될 때까지 그 역방향으로 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입벽(80)은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 사이에서 경화 전의 포팅제를 통과시키는 통로(83)를 갖는다. 이 때문에, 2개의 포팅 리저버(13, 14) 중 일방의 포팅 리저버(예를 들면, 포팅 리저버(14))에 주입된 포팅제는 다른 일방의 포팅 리저버(예를 들면, 포팅 리저버(13))에 유입된다. 따라서, 주입된 포팅제가 경화되면,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에 걸치는 포팅 덩어리(6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입벽(80)은, 아우터 실드(30)의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 사이에 돌출된 일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입벽(80)의 제1 면(81)에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1 포팅 리저버(13)의 중앙에는, 봉상으로 연장되는 신호 콘택트(50)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입벽(80)을 형성하는 아우터 실드(30)는 신호 콘택트(50)로부터 떨어져 신호 콘택트(50)를 둘러싸고 있다.
포팅에 대한 추가 설명은 후로 미룬다.
케이스 쉘(70)은 주입된 포팅제가 경화된 후에 부착된다. 이 케이스 쉘(70)은 그 절편(71)이 아우터 실드(30)의 입벽(80) 부분에 접하여 그랜드 전위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커넥터(10)가 제1 상대 커넥터(92)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제1 상대 커넥터(92)로 덮임과 동시에, 제1 상대 커넥터(92)의 그랜드(미도시)에 접하여 제1 상대 커넥터(92)를 실드한다.
아우터 하우징(20)은 그 하방으로 크게 열린 제1 감합 개구(22)를 갖고, 또한, 상방으로 열린 제2 감합 개구(23)를 갖는다.
제1 감합 개구(22)에는 케이스 쉘(70)이 배치된다. 커넥터(10)가 제1 상대 커넥터(92)와 끼워맞춰지면, 케이스 쉘(70)이 제1 상대 커넥터(92)를 덮음과 동시에 아우터 하우징(20)이 케이스(91)에 끼워 넣어진다.
제2 감합 개구(23)에는 제2 상대 커넥터(93)와의 끼워 맞춤에 대응하여, 제2 상대 커넥터(93)가 끼워 넣어진다.
이상으로, 커넥터(10)의 전체 설명은 종료하고, 포팅 리저버 주위의 부분에 대해서 더 설명을 계속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여기서, 도 5의 (A)는 케이스 쉘을 부착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5의 (B)는 케이스 쉘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저면도이다.
또, 도 6은 포팅제 주입 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포팅제 주입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13, 14)에는 조립 중의 커넥터(10)를 상하 역방향으로 한 자세로 포팅제가 주입된다.
도 5의 (A)에는 아우터 하우징(20)의 제1 감합 개구(22)의 내측에 케이스 쉘(70)이 넓어지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리고, 그 케이스 쉘(70)은, 그 케이스 쉘(70)의 절편(71)이 아우터 실드(30)에 접하여 그랜드 전위로 유지된다.
또, 아우터 실드(30)의 중심에는 신호 콘택트(5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 콘택트(50) 주위의 아우터 실드(30)에 둘러싸인 영역에 제1 포팅 리저버(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아우터 실드(30)의 외측에는 제2 포팅 리저버(1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포팅 리저버(14)는 도 5의 (A)에서는 케이스 쉘(70)의 절편(71)끼리의 사이부터 일부만 표시되고 있다. 도 5의 (B), 도 6 및 도 7에는 그 전체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아우터 실드(30)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벽(80)은,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의 경계에 세워져 있고, 그 입벽(80)에는, 경화 전의 포팅제가 통과하는 통로(83)가 형성된다. 이 통로(83)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입벽(80)의 제1 개구(13A) 및 제2 개구(14A) 측의 단 테두리까지 열린 슬릿(33)이다. 그리고, 포팅 덩어리(60)의, 제1 포팅 리저버(13)에서의 포팅 덩어리(61)의 높이와 제2 포팅 리저버(14)에서의 포팅 덩어리(62)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다.
여기서, 제2 포팅 리저버(14)는 입벽(80)의 제2 면인 아우터 실드(30)의 외벽(32)을 주회하는 주회 방향의 일부분(14')이, 그 일부분(14')을 제외한 부분보다 넓어지고 있다. 이것은, 포팅제를 주입하는 노즐(미도시)의, 제2 포팅 리저버(14)에 대한 위치 맞춤 정밀도를 완화하기 위해서, 이 넓어진 부분(14')을 형성함으로써 포팅제를 주입하는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되고 있다.
신호 콘택트(50)에는, 제1 포팅 리저버(13)의 중앙으로 돌출된 부분에, 이 신호 콘택트(50)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鍔部, collar portion)(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51)는 제1 포팅 리저버(13)에 포팅제를 주입함에서의 적정한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포팅제를 주입함에 있어서는, 이 플랜지(51)에 도달하는 높이까지 포팅제가 주입된다. 또, 이 플랜지(51)는 포팅제를 제1 포팅 리저버(13)에 주입할 때, 포팅제가 표면장력에 의해 신호 콘택트(50)의 벽면을 더 상방으로 타고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신호 콘택트(50)의 신호 전송 성능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또, 입벽(80)의 내벽면(81)에는, 도중의 깊이 위치까지 연장되는 홈(8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4)도 포팅제를 주입함에서의 적정한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이 홈(84)의 하단의 높이까지 포팅제를 주입하면 적당량의 포팅제가 주입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포팅 리저버(14)의 입벽(80)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20)의 내벽면(21)에는, 제2 포팅 리저버(14)의 도중의 깊이 위치까지 패인 요부(凹部, recesses)(24)가 형성된다. 이 요부(24)도 포팅제를 주입함에서의 적정한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요부(24)는 주회 방향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부(24)는 포팅제를 주입할 때 커넥터(10)가 기울어져 있지 않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도 8은 포팅 덩어리가 형성된 후, 또한, 케이스 쉘이 부착된 후의 포팅 리저버의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에는 케이스 쉘(70)의 외측 쉘(30)(립 벽(80))과 접촉하는 절편(71)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절편(71)은 아우터 쉘(30)(입벽(80))에 접하여 그 그랜드 전위를 제1 상대 커넥터(92)(도 2 참조)에 전달한다. 이들 절편(71) 중 2 개의 절편(71')은 입벽(80)이 설치된 통로(83)(슬릿(3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있다. 케이스 쉘(30)에, 슬릿(33) 등의 통로(83)가 존재하면, 이 커넥터(10)의 신호 전송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 쉘(30)에, 그 통로(83)(슬릿(33))에 대면하는 위치에 절편(71')을 설치하여 그 통로(83)(슬릿(33))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덮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신호 전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를 분리하는 입벽(80)에 경화 전의 포팅제가 통과하는 통로(8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팅제를 제1 포팅 리저버(13)와 제2 포팅 리저버(14) 쌍방에 한 번에 주입할 수 있고, 포팅제 주입 공정이 간략화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1 변형예에서의 포팅제 주입 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또, 도 10은, 제1 변형예에서의 포팅제 주입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각각 도 6 및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 도 7에서는, 입벽(80)에 형성된 통로(83)가 슬릿(33)이지만, 도 9, 도 10에 도시한 제1 변형예에서는, 입벽(80)의 제1 면(81)과 제2 면(82)에 관통한 구멍(34)이 된다.
또, 도 6, 도 7에서는, 입벽(80)의 제1 면(81)에, 포팅제를 주입함에서의 적정한 주입량을 가리키는 지표로서의 홈(84)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9, 도 10에 도시한 제1 변형예에서는, 홈(84)에 상당하는 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포팅제의 적정한 주입량을 지시하는 지표는, 신호 콘택트(50)에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부(51)와, 제2 포팅 리저버(14)의 입벽(80)으로부터 먼 측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부(24)가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화 전의 포팅제를 통과시키는 통로(83)는, 슬릿(33)이라도 좋고, 구멍(34)이라도 좋다. 또, 통로(83)는 슬릿이나 구멍의 형상을 묻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제2 변형예에서의 포팅제를 1단계 주입한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또, 도 12는, 제2 변형예에서의, 2단계째의 포팅제를 주입한 후의 제1 및 제2 포팅 리저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 제2 변형예에서도, 통로(83)로서의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 제2 변형예에서는, 구멍(34)은 제1 변형예에서의 구멍(34)보다 포팅 리저버(13, 14)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포팅제의 주입에서는, 우선은, 제1 단계의 주입으로서 제2 포팅 리저버(14)에 대해서 적정 주입량이 되는 요부(24)의 바닥과 면일이 되는 높이까지 주입한다. 단, 이 높이까지 주입한 상태에서는, 포팅제는 신호 콘택트(50)의 플랜지부(51)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포팅제를 이 높이까지 주입하면, 통로(83)로서의 구멍(34)은 주입된 포팅제에 숨겨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주입된 포팅제는 구멍(34)을 통해 흐르지 않을 정도까지 경화된다.
다음으로, 제1 포팅 리저버(13)에 제2 단계째의 포팅제를, 주입된 포팅제가 플랜지(51)에 도달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주입한다. 그 후, 제2 단계째의 포팅제도 포함하여 충분히 경화시켜 포팅 덩어리(6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포팅 리저버(13)에서의 포팅 덩어리(61)의 높이가 제2 포팅 리저버(14)에서의 포팅 덩어리(62)의 높이보다도 부피가 큰 포팅 덩어리(60)가 형성된다.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요부(24)의 높이 위치와 플랜지부(51)의 높이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여기에 나타낸 제2 변형예와는 반대로, 제2 포팅 리저버(14)에서의 포팅 덩어리(62)의 높이가 제1 포팅 리저버(13)에서의 포팅 덩어리(62)의 높이보다 부피가 큰 포팅 덩어리(6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커넥터
11 제1 감합부(嵌合部, first mating part)
12 제2 감합부
13 제1 포팅 리저버(potting reservoir)
13A 제1 포팅 리저버의 개구
14 제2 포팅 리저버
14A 제2 포팅 리저버의 개구
20 아우터 하우징
21 아우터 하우징의 내벽면
22 제1 감합 개구
23 제2 감합 개구
30 아우터 실드
32 아우터 실드의 외벽
40 이너 하우징
50 신호 콘택트
51 신호 콘택트의 플랜지(鍔部, collar portion)
60 포팅 덩어리(potting lump)
61 제1 포팅 리저버에서의 포팅 덩어리
62 제2 포팅 리저버에서의 포팅 덩어리
70 케이스 쉘
71 케이스 쉘의 절편
80 입벽(立壁, standing wall)
81 입벽의 제1 면
82 입벽의 제2 면
91 케이스
92 제1 상대 커넥터
93 제2 상대 커넥터

Claims (9)

  1. 방수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한 안쪽 면인 제2 면을 갖는 입벽의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포팅 리저버와,
    상기 입벽의 상기 제2 면에 접하는 영역에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의 제1 개구와 동일한 방향으로 열린 제2 개구를 갖는 제2 포팅 리저버를 갖고,
    상기 입벽이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와 상기 제2 포팅 리저버 사이에 경화 전의 포팅제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갖고,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와 상기 제2 포팅 리저버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 포팅제가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포팅 덩어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가 상기 입벽의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 측의 단 테두리까지 열린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가 상기 입벽을 관통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 덩어리가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의 상기 포팅 덩어리의 높이와 상기 제2 포팅 리저버의 상기 포팅 덩어리의 높이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 덩어리가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의 상기 포팅 덩어리의 높이와 상기 제2 포팅 리저버의 상기 포팅 덩어리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에 돌출한 봉상으로 연장되는 신호 콘택트와,
    상기 신호 콘택트로부터 멀어져 상기 신호 콘택트를 둘러싸고, 상기 제1 포팅 리저버와 상기 제2 포팅 리저버 사이의 경계에 돌출하는 상기 입벽으로서의 부분을 갖는 아우터 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실드에 접하여 상기 아우터 실드의 전위를 감합 상대의 커넥터에 전달하는 케이스 쉘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쉘이 상기 통로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절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팅 리저버의 상기 아우터 실드를 둘러싸는 주회 방향의 일부분이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보다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제1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감합부와 제2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 감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대 커넥터와 상기 제2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중개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고 상기 제2 상대 커넥터와는 비감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커넥터에 침입한 물이 상기 제1 상대 커넥터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30179752A 2022-12-14 2023-12-12 커넥터 KR20240092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99134 2022-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2608A true KR20240092608A (ko) 2024-06-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14484A (ja) コネクタ
EP3573190B1 (en) Dummy pin and waterproof connector
CN1977442B (zh) 驱动单元的壳体件以及用于制造该壳体件的方法和模具
JP2018170196A (ja) コネクタ
JP3449865B2 (ja) 自動変速機用配線コネクタ
US6193536B1 (en) Liquid-tight connector
US6132251A (en) Resin-sealed connector
US9419369B2 (en) Plug-in connec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apparatus
JP5251769B2 (ja) コネクタ
JP3661843B2 (ja) モールド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92608A (ko) 커넥터
US20020125651A1 (en) Liquid-blocking connector
JP4470116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スの成形構造
JP6183667B2 (ja) コネクタ
JP6299719B2 (ja) コネクタ
KR102331448B1 (ko) 인젝션 몰딩 베어링을 가진 볼 조인트
JP3060363B2 (ja) 樹脂充填コネクタの電線保護構造
JP2024084929A (ja) コネクタ
US6309578B1 (en) Method of producing waterproof connector housing having elongated slip-off preventing pieces
KR20240092609A (ko) 커넥터
US20240204447A1 (en) Connector
JP5119983B2 (ja) 電子回路装置
CN118198782A (zh) 连接器
JP2024084928A (ja) コネクタ
JPH1064616A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