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3297A -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ctive ingredient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ctive ingred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3297A
KR20240073297A KR1020220154957A KR20220154957A KR20240073297A KR 20240073297 A KR20240073297 A KR 20240073297A KR 1020220154957 A KR1020220154957 A KR 1020220154957A KR 20220154957 A KR20220154957 A KR 20220154957A KR 20240073297 A KR20240073297 A KR 20240073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rhamnosus
cosmetic composition
skin whitening
cells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디팬더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디팬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디팬더
Publication of KR2024007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329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n active ingredient.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CTIVE INGREDIENT}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n active ingredient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n active ingredient.

사람의 피부색은 주로 피부 속에 존재하는 멜라닌(melanin)이라는 색소의 함량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은 피부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에 의해서 생합성 되고, 세포질 돌기를 통하여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각화과정에 의해서 표피의 기저층에서 각질층으로 이동하게 된다.A person's skin color is mainly determined by the content of a pigment called melanin present in the skin. Melanin is biosynthesized by melanin-producing cells (melanocytes) present in the basal layer of the skin, and moves from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to the stratum corneum through the keratinization process of keratinocytes through cytoplasmic protrusions.

멜라닌은 멜라닌 생성세포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도파(DOPA), 도파퀴논(DOPA quinone)으로 전환된 후, 여러 산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표피 안쪽에 존재하는 여러 세포조직들을 자외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멜라닌 합성이 과도할 경우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피부색을 어둡게 한다. 따라서 과도한 멜라닌 색소 합성을 저해시킬 경우 피부색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Melanin is produced through several oxidation processes after tyrosine, a type of amino acid, is converted into DOPA and DOPA quinone by an enzyme called tyrosinase in melanin-producing cells. This melanin absorbs ultraviolet rays and plays a role in protecting various cell tissues present inside the epidermis from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If melanin synthesis is excessive, it not only causes spots and freckles, but also darkens the overall skin color. Therefore, inhibiting excessive melanin pigment synthesis can not only brighten skin color but also alleviate skin hyperpigmentation symptoms such as spots and freckles.

한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는 유산균의 일종으로 정장 작용(intestinal regulation), 항균 작용, 아토피 예방, 및 체지방 저하 등 여러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멸화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사멸화된 유산균은 생균을 사멸화 시키는 과정에서 생겨난 세포벽 성분인 리포테이코산(Lipoteichoic acid) 등이 장벽에 부착하여 유해균 정착을 억제하고, 젖산(lactic acid), 및 박테리오신(bacteriocin) 등의 발효물 내의 항균 성분이 직접 유해균에 작용하여 억제시킬 수 있는 등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외부 세균등의 감염방어의 중요한 물질인 면역글로불린 A는 보통 유산균 생균에 의하기 보다는 사멸화된 유산균체들이 소장으로 흡수되어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생산된다는 것과, 사멸화시킨 유산균은 생균의 먹이로 활용되어 유산균의 정장 작용(intestinal regulation)에 사멸화 유산균이 우수한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로서 기능하는 것이 밝혀져 있다.Meanwhile, Lactobacillus rhamnosus is a type of lactic acid bacterium and is known to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intestinal regulation, antibacterial effect, prevention of atopy, and reduction of body fat. In addition,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cently on killed lactic acid bacteria. Lipoteichoic acid, a cell wall component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killing live bacteria, attaches to the barrier and inhibits the establishment of harmful bacteria. It is known that antibacterial components in fermented products, such as lactic acid and bacteriocin, have the ability to directly act on and suppress harmful bacteria. In addition, immunoglobulin A, an important substance in defense against infection by external bacteria, is usually produced by killed lactic acid bacteria cells absorbed into the small intestine and stimulating macrophages rather than by live lactic acid bacteria, and killed lactic acid bacteria serve as food for live bacteria. It has been revealed that killed lactic acid bacteria function as excellent prebiotics in the intestinal reg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표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ay be characterized by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n active ingredient.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기탁기관: 한국생물자원센터, 수탁번호: KCTC12751BP, 수탁일자: 2019년 4월 18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네이즈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줄여, 피부 미백, 특히, 멜라닌과다증(ypermelanosis)에 대하여 미백 효과를 갖는다.A skin whitening product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Depositor: Korea Center for Biological Resources, Accession number: KCTC12751BP, Accession date: April 18, 2019)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reduces the production of melanin by regulating tyrosinase activity and has a skin whitening effect, especially for hypermelanosis (ypermelanosi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기탁기관: 한국생물자원센터, 수탁번호: KCTC12751BP, 수탁일자: 2019년 4월 18일)의 멜라닌 생성 감소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B16-F10 흑색종 세포주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멜라닌 생성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멜라닌과다증(hypermelanosis)에 대한 미백 효과 임상 시험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Mexameter®를 이용해 측정한 시간에 따른 M-값 (멜라닌지수)의 개선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멜라닌과다증(hypermelanosis)에 대한 미백 효과 임상 시험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시각적 평가 점수 변화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멜라닌과다증(hypermelanosis)에 대한 브라이트닝 효과 임상 시험에서, 색도계(Chromameter)를 이용해 측정한 시간에 따른 L-값 (명도 값)의 개선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 shows the melanin production reduction mechanism of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Depositor: Korea Center for Biological Resources, Accession number: KCTC12751BP, Accession date: April 18, 2019)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is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educing melanin production of a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ccording to an example herein in the B16-F10 melanoma cell line.
Figure 3 shows the M-value over time ( This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improvement rate of the melanin index.
Figure 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visual evaluation scores over time of a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in a clinical trial for whitening effect on hypermelanosi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improvement rate of L-value (lightness value) over time measured using a chromameter in a clinical trial of the brightening effect for hypermelanos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ferenc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ences to “A and/or B” mean “A or B, or A and 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Hereinafter, implementation example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not be limited to these implementations, examples, and drawings.

본원의 제 1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기탁기관: 한국생물자원센터, 수탁번호: KCTC12751BP, 수탁일자: 2019년 4월 18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skin whitening agent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Depositor: Korea Center for Biological Resources, Accession number: KCTC12751BP, Accession date: April 18, 2019) as an active ingredient. A cosmetic composition is provided.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균주, 이의 사균체, 파쇄물, 배양산물,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may include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strain, dead cells, lysates, culture products, concentrates, or extracts thereof as active ingredi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not be possible. For example,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may include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균주를 열처리함으로써 유산균 사균체 자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균주의 화장품 제품 적용 시 이상 발효에 의한 제품 불안정성을 낮출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heat-treating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strain, the dead lactic acid bacteria themselves can be utilized, and when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strain is applied to cosmetic products, product instability due to abnormal fermentation can be reduced, It may not be limited to thi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함량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약 1×1011 세포/mL 내지 약 5×1011 세포/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en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For example,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is used in about 1×10 11 cells. /mL to about 5×10 11 cells/mL,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의 농도가 약 1×1011 세포/mL 미만 또는 약 5×1011 세포/mL를 초과할 경우, 상기 피부 미백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의 농도는 약 1×1011 세포/mL 내지 약 5×1011 세포/mL, 약 1×1011 세포/mL 내지 약 4×1011 세포/mL, 약 1×1011 세포/mL 내지 약 3×1011 세포/mL, 약 1×1011 세포/mL 내지 약 2×1011 세포/mL, 약 2×1011 세포/mL 내지 약 5×1011 세포/mL, 또는 약 3×1011 세포/mL 내지 약 5×1011 세포/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less than about 1×10 11 cells/mL or more than about 5×10 11 cells/mL, the skin whitening Since the effect may be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is about 1×10 11 cells/mL to about 5×10 11 cells/mL, about 1×10 11 cells/mL to about 4×10 11 cells/mL. mL, from about 1×10 11 cells/mL to about 3×10 11 cells/mL, from about 1×10 11 cells/mL to about 2×10 11 cells/mL, from about 2×10 11 cells/mL to about 5×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10 11 cells/mL, or about 3×10 11 cells/mL to about 5×10 11 cells/mL.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은 멜라닌 생성을 줄이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은 자외선 노출에 의해 증가된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may reduce melanin production,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may reduce melanin production in the skin increased by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은 티로시네이즈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줄이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은 L-티로신을 L-도파로 변화시키고, 상기 L-도파를 도파퀴논으로 변화시켜 멜라닌을 생성하는 효소인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피부 내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may reduce melanin production by regulating tyrosinase activity,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changes L-tyrosine into L-dopa and changes the L-dopa into dopaquinone to regulate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 enzyme that produces melanin, thereby reducing melanin in the skin. It may be to reduce production,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skins, lotions, essences, creams, packs, foundations, and makeup bases. It may have a formulation,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임의로 선정한 물질을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고급 알코올, 증저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방부제, 왁스, pH 조절제, 향료 등이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may contain substances arbitrar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of the cosmetic,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purified water, oil, surfactant, moisturizer, higher alcohol, viscosity reducing agent, chelating agent, colorant, fatty acid, antioxidant, preservative, wax, pH adjuster, fragrance, etc. may be added,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there i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a paste, cream or gel,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 It may includ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powder or spray, it may include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as a carrier ingredient, especially , in the case of a spray, it may additionally include a propellant such as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a solution or emulsion, it may include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a suspension,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uspending agent such as 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 담체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and imidazolinium. It may include derivatives, methyl 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anolin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etc. It may not be limited to this.

이하, 본원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the following examples will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위하여 예시하는 것 일뿐, 본원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are merely illustrative.

[실시예][Example]

1. 유산균 사균체 제조 및 세포 시험1. Manufacturing and cell testing of dead lactic acid bacteria

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1-1. Prepara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본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사균체는 회분식 배양법으로 제조되었다.Dead cells of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ccording to this example were prepared by batch culture.

상기 유산균 배양은 100 L 발효조(코바이오텍)에서 배양액의 총량 60 L로 실시하였으며, 교반 속도는 30 rpm, 온도는 35℃ 내지 37℃, pH는 5 내지 6.5로 유지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13,000 rpm으로 30 분간 원심 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균체는 생리식염수 (0.9% NaCl)를 이용하여 중량 대비 2 배로 희석하여 고압멸균기에 110℃, 10 분간 틴달 과정을 거쳐 동결 건조 후 최종적으로 열처리된 유산균 사균체(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획득하였다.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was performed in a 100 L fermenter (Corbiotech) with a total volume of 60 L of culture medium, the stirring speed was maintained at 30 rpm,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5°C to 37°C, and the pH was maintained at 5 to 6.5. After culturing,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30 minutes to recover bacterial cells. The recovered bacterial cells were diluted twice by weight using physiological saline (0.9% NaCl), freeze-dried in a high-pressure sterilizer at 110°C for 10 minutes through the Tyndall process, and finally heat-treated dead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cquired.

1-2. 멜라닌 [0042] 생성 감소 효과 (in vitro)1-2. Melanin production reduction effect (in vitro)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된,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에 대한 멜라닌 생성 감소 효능을 확인하였다. 세포주는 B16-F10 흑색종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6-well cell culture plate에 1×104 cells/well 농도로 접종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상기 세포주에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의 농도를 0 (음성 대조군), 1×104, 1×105, 1×106, 1×107, 1×108 세포/mL로 각각 조절하여 처리한 후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 유무는 EX-CYTOX(EZ-3000, Daeil lab service)를 사용하여 세포 중에서 발현된 단백질량을 Multi-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음성대조군 대비 멜라닌 합성 억제율을 비교하였다. 상기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균주 실험군 외에, 미백 기능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β-알부틴을 200 ug/mL 양성 대조군으로서 함께 비교하였다.The efficacy of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 in reducing melanin production was confirmed. The cell line used was the B16-F10 melanoma cell line, and it was inoculated into a 6-well cell culture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 × 10 4 cells/well. After culturing for 24 hours, the cell line was heat-treated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The concentration of LM1011 was adjusted to 0 (negative control), 1×10 4 , 1×10 5 , 1×10 6 , 1×10 7 , and 1×10 8 cells/mL, respectively, and then cultured for 48 hours. To determine whether melanin production is inhibited, the amount of protein expressed in cells is measured using EX-CYTOX (EZ-3000, Daeil lab service) and the absorbance is measured at 450 nm using a multi-plate reader, and then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rate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 In addition to the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strain test group, β-arbutin, a compound showing whitening function, was also compared as a positive control at 200 ug/mL.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1×105 내지 1×108 세포/mL의 농도에서 유효한 멜라닌 생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108 세포/mL의 농도에서 β-알부틴보다 약 20% 높은 멜라닌 생성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As shown in Figure 2,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showed an effective melanin production reduction effect at a concentration of 1×10 5 to 1×10 8 cells/mL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especially at 1×10 8 cells. At a concentration of /mL, it showed a melanin production reduction effect that was about 20% higher than that of β-arbutin.

2. 사균체 함유 화장품 제조 및 인체적용 시험2. Manufacturing and human application testing of cosmetics containing dead cells

2-1. 화장품 제조2-1. cosmetic manufacturing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 유산균 사균체는 중량 대비 2 배 내지 10 배 이내로 희석하여 세포 농도를 1×1011 세포/mL로 조정하였다.The dea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lactic acid bacteria cell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 were diluted within 2 to 10 times their weight and the cell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1×10 11 cells/mL.

하기 표 1에 기재된 배합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대조군, 실험군 세럼제를 제조하였다.Serums fo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mixing amount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2-2. 멜라닌과다증(hypermelanosis)에 대한 미백 효과 (in vivo)2-2. Whitening effect on hypermelanosis (in vivo)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된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임상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은 선발 기준에 부합하고 면제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멜라닌과다증 23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 일 2 회 자가 도포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미백 효과는 Mexameter®를 이용한 M-값 (과색소침작증 개선 지수) 평가, 대상별 평가,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피부 자극 평가, 및 피부과 의사의 시각적 평가로 확인하였다.The whiten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 as an active ingredient was confirmed through clinical experimen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23 people with hypermelanosi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were not included in the exemption criteria, and applied by self-application twice a day. The whitening effect was confirmed by M-value (hyperpigmentation improvement index) evaluation using Mexameter®, subject-specific evaluation, skin irritation evaluation by a dermatologist, and visual evaluation by a dermatologist.

도 3은,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과색소침작증 개선율은 대조 부위 및 시험 부위의 시험 전 M-값과 시험 후 M-값의 차이를 각각 구하였다. 이를 시험 전 측정치 대비 백분율로 나타내어 개선율을 시간 별로 나타낸 결과이다. 대조군인 플라시보 군과 비교하여, 본원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 후 과색소침장증 개선율이 적용 시간에 따라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Figure 3 shows the improvement rate of hyperpigment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value before the test and the M-value after the test in the control area and the test area, respectively. This is a result showing the improvement rate over time by expressing it as a percentage compared to the measurement value before the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placebo group, the improvement rate of hyperpigmentation after applying our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o the ski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pplication time.

도 4는,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시각적 평가 점수는 대조 부위 및 시험 부위의 시험 전과 시험 후 값을 구한 후 이들 차이로 각각 구하였다. 대조군인 플라시보 군과 비교하여, 본원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 시간에 따라 색소 침착 감소 정도가 증가하였다.In Figure 4, the visual evaluation scor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values before and after the test in the control area and the test area, and then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Compared to the control placebo group,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institution showed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reduction in pigmentation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ime.

상기 결과는, 본원의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적용 시 멜라닌 감소 및 이에 따른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n active ingredient has a melanin reduction and consequent skin whitening effect when applied to the skin.

2-3. 브라이트닝 효과 (in vivo)2-3. Brightening effect (in vivo)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된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임상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은 선발 기준에 부합하고 면제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23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 일 2 회 자가 도포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브라이트닝 효과는 색차계(Chromameter)를 이용하여 안면부위 밝기 수치 (L-값)을 측정하여 피부 밝기지수 개선율로 나타내었다.The whiten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 as an active ingredient was confirmed through clinical experimen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23 people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were not included in the exemption criteria, and was applied by self-application method twice a day. The brightening effect was expressed as the skin brightness index improvement rate by measuring the brightness value (L-value) of the facial area using a chromameter.

도 5는,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브라이트닝 효과는 대조 부위 및 시험 부위의 시험 전 L-값과 시험 후 L-값의 차이를 각각 구하였다. 이를 시험 전 측정치 대비 백분율로 나타내어 개선율을 시간 별로 나타낸 결과이다. 대조군인 플라시보 군과 비교하여, 본원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후 피부의 피부 밝기지수 개선율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원의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할 경우, 브라이트닝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In Figure 5, the brighten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value before and after the test in the control area and the test area, respectively. This is a result showing the improvement rate over time by expressing it as a percentage compared to the measurement value before the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placebo group, the skin brightness index improvement rate of the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of our clinic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use.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brightening effect 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heat-tre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applied to the ski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Claims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0220154957A 2022-11-18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ctive ingredient KR20240073297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3297A true KR20240073297A (en) 2024-05-2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658B1 (en) Skin external agent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wheat germ
US20170100320A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skin preparation, containing thioredoxin
KR102074383B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having immunostimulating activity
US20230414683A1 (e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skin-derived lactic acid bacteria
KR20100094614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black garlic having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ing activity
WO2006101119A1 (en) Collagen synthesis promoter
KR102154927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anti-oxidant,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resveratrol,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fermented extract
KR102424510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rritation and skin soothing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J2K-187strain
KR20240073297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lm1011 as active ingredient
KR20160045289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the Skin Comprising the Extract of Fermented Zea Mays Silk
KR10245513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emon myrtle extra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390656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hlorella extract for skin-whitening
US20230201097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ir graying, and use thereof
KR20190081333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ermented product of aronia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1997231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nzyme-treated honey extract
FR3047178A1 (en) USE OF PROBIOTIC MICROORGANISMS AS AN AGENT PROMOTING MELANIN SYNTHESIS
KR102087904B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bifida ferment lysate
JP7244004B2 (en) Skin topical agent
JP6375087B2 (en) Cosmetics
EP3517599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including fermented pearl product
KR20210137335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ellular vesicles of seaweed for whitening skin
KR102652692B1 (en) A cosmetic compositon comprising antarctic microorganism
JP3818998B2 (en) Whitening cosmetics
JP7152712B2 (en) Skin topical agent
TWI755170B (en) Use of diaporthe caulivora extract for anti-uv damage and reducing pig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