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965A -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965A
KR20240066965A KR1020230093754A KR20230093754A KR20240066965A KR 20240066965 A KR20240066965 A KR 20240066965A KR 1020230093754 A KR1020230093754 A KR 1020230093754A KR 20230093754 A KR20230093754 A KR 20230093754A KR 20240066965 A KR20240066965 A KR 2024006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uide frame
thickness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유키 코자와
요시유키 카미노
세이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4006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Abstract

[과제] 경량화와 고강성화의 양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함께,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의 흠집을 억제하여, 낚싯줄의 손상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낚싯대에 장착되는 낚싯줄 가이드(1)의 가이드 프레임(3)이고, 비금속을 포함하는 제1층(11)과, 금속을 포함하는 제2층(12)을 가지는 판재(10)를 구비하고, 제1층(11)과 제2층(12)은, 판재(10)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고, 판재(10)는, 낚싯대에 취부(取付)되는 취부 다리부(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고, 취부 다리부(22)에 있어서 제2층(12)이 낚싯대에 접하고, 판재(10)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3층(13)을 더 가지고, 제1층(11)은, 제2층(12)과 제3층(13)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GUIDE FRAME OF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LINE GUIDE}
본 발명은,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과, 낚싯줄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 등의 판금제(板金製)의 가이드 프레임은, 강도가 크고, 또한, 가공이 용이하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 한편, 판금제의 가이드 프레임은, 경량화가 곤란하고, 경량화를 위하여 박육화(薄肉化)하면 강성이 큰 폭으로 저하한다.
하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금속과 합성 수지를 조합한 낚싯줄 가이드가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의 대부분이 수지이기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이 흠집이 생기기 쉽다. 그 때문에, 흠집이 생긴 가이드 프레임에 낚싯줄이 접촉하는 것으로 낚싯줄이 손상하기 쉽다.
WIPO국제공개공보 제2015/011962호
본 발명은, 경량화와 고강성화의 양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의 흠집을 억제하여, 낚싯줄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낚싯대에 장착된다. 가이드 프레임은, 판재를 구비한다. 판재는, 비금속을 포함하는 제1층과, 금속을 포함하는 제2층을 가진다. 제1층과 제2층은,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프레임은, 비금속을 포함하는 제1층과, 금속을 포함하는 제2층이 적층된 판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판금제의 가이드 프레임에 비하여 경량화가 용이하고, 합성 수지제의 가이드 프레임에 비하여 높은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판재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층이 제2층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의 깨짐 등의 파손이 억제되고, 낚싯줄의 손상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는 제2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낚싯대에 취부(取付)되는 취부 다리부를 구비한다. 판재는, 취부 다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취부 다리부에 있어서 제2층이 낚싯대에 접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층이 낚싯대에 접하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제3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판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3층을 더 가진다. 제1층은, 제2층과 제3층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층이 제2층과 제3층에 의하여, 판재의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보호된다. 그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의 깨짐 등의 파손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는 제4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1층은, 제2층과 제3층에 의하여 끼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층의 제1면에 제2층이 접하고, 제1층의 제2면에 제3층이 접한다. 그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 또는 제4 측면에 따르는 제5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1층은,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제1 두께를 가진다. 제2층은,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제2 두께를 가진다. 제3층은,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제3 두께를 가진다. 제2 두께 및 제3 두께는, 제1 두께보다도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량화와 고강성화의 양립이 보다 한층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는 제6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2 두께 및 제3 두께는, 각각 판재의 전체의 두께의 10% 이하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프레임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7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2층 및 제3층은, 제1 금속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층과 제3층이 서로 동일한 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판재의 두께 방향의 방향성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판재의 관리와 가이드 프레임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8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2층은, 제1 금속을 포함한다. 제3층은, 제1 금속과 다른 제2 금속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층과 제3층이 서로 이종(異種)의 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판재의 방향성이 커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낚싯줄 가이드의 장대 초리 쪽의 면과 장대 손잡이 쪽의 면에서 다른 미관을 얻을 수 있고, 디자인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9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1층은, 섬유 강화 수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량화를 유지하면서, 보다 한층 높은 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층, 혹은, 제2층 및 제3층이, 제1층의 제1면이나 제2면에 있어서의 섬유의 노출을 억제한다. 그 때문에, 섬유가 노출하는 것에 수반하는 보풀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에 따르는 제10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1층은, 섬유 강화 수지를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 시트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하여 제1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측면 또는 제10 측면에 따르는 제11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섬유 강화 수지는, 열가소성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재를 열간 단조에 의하여 용이하게 휨 가공할 수 있다. 제1층의 섬유 강화 수지가 열가소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층, 혹은, 제2층과 제3층의 구부러짐에, 제1층이 추종하기 쉽고,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내지 제1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12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판재의 측면에 있어서 제1층이 노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재를 펀칭(punching)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내지 제1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13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1층은, 두께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제1 측면을 가진다. 제2층은, 제1 측면과 연속하는 제2 측면을 가진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판재의 측면에 위치한다. 제1 측면은 판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彎曲)하고 있지 않고, 판재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대하여 직교한 직교면이다. 제2 측면은, 판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한 만곡면이다. 제1 측면이 직교면이기 때문에, 판재의 측면에 있어서 제1층의 노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판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제1층의 면을 제2층에 의하여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이 만곡면이기 때문에, 낚싯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 내지 제8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르는 제14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1층은, 두께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제1 측면을 가진다. 제2층은, 제1 측면과 연속하는 제2 측면을 가진다. 제3층은, 제1 측면과 연속하는 제3 측면을 가진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과 제3 측면은, 판재의 측면에 위치한다. 제1 측면은 판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지 않고, 판재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대하여 직교한 직교면이다. 제2 측면과 제3 측면은, 판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한 만곡면이다. 제1 측면이 직교면이기 때문에, 판재의 측면에 있어서 제1층의 노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한 제1층의 양면을 제2층과 제3층에 의하여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과 제3 측면이 만곡면이기 때문에, 낚싯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측면의 낚싯줄 가이드는,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14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의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경량화와 고강성을 용이하게 양립할 수 있고, 게다가,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의 흠집을 억제할 수 있어 낚싯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의 사시도.
도 2는 동(同) 낚싯줄 가이드를 후측(後側)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동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동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도.
도 6은 동 가이드 프레임의 단면도.
도 7의 (a)는 도 3의 B부 확대도, (b)는 도 6의 C부 확대도.
도 8의 (a) 및 (b)는 동 가이드 프레임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9의 (a)는 동 가이드 프레임의 요부(要部)의 모식도, (b)는 동 낚싯줄 가이드의 요부의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프레임의 요부를 도시하고, (a)는 장대 손잡이 쪽으로부터 본 도면, (b)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와 그 가이드 프레임에 관하여, 도 1 ~ 도 9를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낚싯줄 가이드(1)는, 장대(4)의 외주면(外周面)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낚싯줄 가이드(1)는, 여러 가지의 낚싯대에 사용된다. 낚싯대에는, 릴이 취부된다. 릴은, 스피닝 릴이나 양 베어링 릴 등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줄 가이드(1)는, 스피닝 릴이 취부되는 낚싯대에 적합하다.
낚싯줄 가이드(1)는, 가이드 링(2)과 가이드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링(2)은, 낚싯줄을 안내한다. 가이드 프레임(3)은, 가이드 링(2)을 보지(保持)하는 것과 함께 장대(4)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덧붙여, 장대(4)의 중심축선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장대 초리 쪽을 전측(前側)으로 하여 도면 중에 화살표 X1로 도시하고, 장대 손잡이 쪽을 후측으로 하여 도면 중에 화살표 X2로 도시한다. 장대 초리 쪽(X1)은, 제1 중심축선 방향이고, 장대 손잡이 쪽(X2)은, 제2 중심축선 방향이다.
가이드 프레임(3)은, 판재(10)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판재(10)의 전체의 두께(T)는, 예를 들어 1mm 내지 3mm이다. 판재(10)는, 다층 구조이다. 판재(10)의 층수, 즉, 층 구성은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3층 구조이다. 판재(10)는, 제1층(11)과 제2층(12)과 제3층(13)을 구비하고 있다. 제1층(11)과 제2층(12)과 제3층(13)은, 판재(10)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각 층의 적층 방향은, 판재(10)의 두께 방향이다. 판재(10)의 두께 방향은, 판재(10)의 법선 방향이다. 덧붙여, 판재(10)의 두께 방향을 이하 단지 두께 방향이라고 칭한다.
제1층(11)은, 판재(10)의 주요부이고, 판재(10)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1층(11)은 중간층이다. 도 1 등에 있어서, 제1층(11)에는 다수의 도트(dot)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제1층(11)은, 두께 방향의 치수인 제1 두께(T1)를 가지고 있다. 제1 두께(T1)는, 판재(10)의 전체의 두께(T)의 반분 이상이다. 제1층(11)은, 비금속을 포함한다. 제1층(11)은,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2층(12) 및 제3층(13)보다도 경도가 작은 금속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층(11)은, 수지층이다. 제1층(11)은, 바람직하게는 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진다. 강화 섬유는, 예를 들어 카본이나 유리 등이다. 섬유 강화 수지를 구성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ABS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이다. 다만, 제1층(11)의 수지를 열경화성 수지로 하여도 무방하다. 제1층(11)은, 복수 매(枚)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된다. 복수 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다. 제1층(11)은, 서로 두께 방향으로 대향한 제1면(11a) 및 제2면(11b)과, 제1면(11a)과 제2면(11b)을 두께 방향으로 잇는 제1 측면(11c)을 가지고 있다. 제1면(11a)과 제2면(11b)은, 두께 방향으로 대향한 제1층(11)의 양면이다. 제1 측면(11c)은, 제1층(11)의 단면(端面)이다. 제1 측면(11c)은, 그 전체에 걸쳐,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면이다. 제1 측면(11c)은,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지 않은 면이고, 제1면(11a) 및 제2면(11b)에 대하여 직교한 직교면이다.
제2층(12)과 제3층(13)은, 판재(10)의 표면을 구성하는 표면층이다. 제2층(12)은, 판재(10)의 제1 표면을 구성하고, 제3층(13)은, 판재(10)의 제2 표면을 구성한다. 제1층(11)은, 제2층(12)과 제3층(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층(12)은, 제1층(11)의 제1면(11a)을 보호하고, 제3층(13)은, 제1층(11)의 제2면(11b)을 보호한다. 제2층(12)은, 제1층(11)의 제1면(11a)의 노출을 막고, 제3층(13)은, 제1층(11)의 제2면(11b)의 노출을 막는다.
제1층(11)은, 제2층(12)과 제3층(13)에 끼워져 있고, 제1층(11)은, 제2층(12)과 제3층(13)에 각각 접하고 있다. 제1층(11)의 제1면(11a)은 제2층(12)과 접하고, 제1층(11)의 제2면(11b)은 제3층(13)과 접하고 있다. 덧붙여, 제1층(11)과 제2층(12)의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介在)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제1층(11)과 제3층(13)의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층(12)의 표면에 다른 층이 적층되어도 무방하고, 제3층(13)의 표면에 다른 층이 적층되어도 무방하다.
제2층(12)은, 제1층(11)보다도 경도가 크다. 제2층(12)은, 금속을 포함한다. 제2층(12)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층이다. 제2층(12)은, 제1 금속을 포함한다. 제1 금속은 스테인리스나 티탄 등의 단일의 금속 재료여도 무방하고, 스테인리스나 티탄 이외에도 적의(適宜) 선택할 수 있다. 제1 금속은, 단일의 금속 재료에는 한정되지 않고, 2종류 이상의 금속 재료가 혼합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1 금속은, 2종류 이상의 금속 재료가 적층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금속은 스테인리스와 티탄이 혼합(적층)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2층(12)은 두께 방향으로 제2 두께(T2)를 가진다. 제2층(12)의 제2 두께(T2)는, 제1층(11)의 제1 두께(T1)보다도 얇다. 제2 두께(T2)는, 판재(10)의 전체의 두께(T)의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두께(T2)는, 예를 들어 0.05mm 내지 0.2mm이다. 제2층(12)은, 제1 측면(11c)과 두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 측면(12a)을 가지고 있다. 제2 측면(12a)은, 제2층(12)의 단면이다.
제3층(13)은, 제1층(11)보다도 경도가 크다. 제3층(13)은, 금속을 포함한다. 제3층(13)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층이다. 제3층(13)은, 제2층(12)과 같은 제1 금속이어도 무방하고, 제1 금속과는 다른 제2 금속이어도 무방하다. 제2 금속은 스테인리스나 티탄 등의 단일의 금속 재료여도 무방하고, 스테인리스나 티탄 이외에도 적의 선택할 수 있다. 제2 금속은, 단일의 금속 재료에는 한정되지 않고, 2종류 이상의 금속 재료가 혼합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2 금속은, 2종류 이상의 금속 재료가 적층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2 금속은 스테인리스와 티탄이 혼합(적층)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3층(13)은 두께 방향으로 제3 두께(T3)를 가진다. 제3층(13)의 제3 두께(T3)는, 제1층(11)의 제1 두께(T1)보다도 얇다. 제3 두께(T3)는, 판재(10)의 전체의 두께(T)의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두께(T3)는, 예를 들어 0.05mm 내지 0.2mm이다. 제3층(13)의 제3 두께(T3)는, 제2층(12)의 제2 두께(T2)와 같은 두께여도 무방하고, 제2 두께(T2)와 다른 두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3 두께(T3)와 제2 두께(T2)는, 서로 동일하다. 제3층(13)은, 제1 측면(11c)과 두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 측면(13a)을 가지고 있다. 제3 측면(13a)은, 제3층(13)의 단면이다.
가이드 프레임(3)은, 가이드 링(2)을 보지하는 보지부(20)와, 장대(4)에 취부되는 취부 다리부(22)와, 보지부(20)와 취부 다리부(22)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부(21)를 가진다. 보지부(20)는, 환상(環狀)이고, 대표적으로는 원형이다. 보지부(20)는, 가이드 링(2)을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보지한다. 보지부(20)는, 가이드 링(2)이 장착되는 보지 구멍(23)을 가진다. 보지 구멍(23)은, 판재(10)를 전후로 관통한다.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가이드 링(2)의 외주면이 고정된다. 가이드 링(2)의 고정 방법은, 예를 들어 접착이다.
보지 구멍(23)의 중심축선은 가이드 링(2)의 중심축선과 같다. 가이드 링(2)의 중심축선은, 장대(4)의 중심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대(4)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가이드 링(2)의 중심축선은, 전측일수록 장대(4)의 중심축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보지부(20)의 전면은 제2층(12)이 구성하고 있다. 보지부(20)의 후면은, 제3층(13)이 구성하고 있다.
지지 다리부(21)는, 보지부(20)로부터 연속하고 있다. 지지 다리부(21)의 전면은 제2층(12)이 구성하고 있다. 지지 다리부(21)의 후면은 제3층(13)이 구성하고 있다. 지지 다리부(21)는, 판재(10)를 전후로 관통한 빼기 구멍(24)을 가진다. 빼기 구멍(24)은, 지지 다리부(21)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빼기 구멍(24)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 다리부(21)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좌우로 분기하고 있다. 지지 다리부(21)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좌우로 나뉜 두 갈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지 다리부(21)에 빼기 구멍(24)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 다리부(21)를 경량화할 수 있다.
취부 다리부(22)는, 지지 다리부(21)의 단부(端部)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취부 다리부(22)의 하면(22a)은 장대(4)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취부면이다. 취부 다리부(22)의 하면(22a)은 제2층(12)이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취부 다리부(22)에 있어서 제2층(12)이 장대(4)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은 취부 다리부(22)의 하면(22a)과 대향하고 있다.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은 제3층(13)이 구성하고 있다. 덧붙여, 취부 다리부(22)의 하면(22a)은, 장대(4)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부 다리부(2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층(11)과 제2층(12)과 제3층(13)을 포함하지만, 제2층(12)만이어도 무방하고, 제1층(11)과 제2층(12)만이어도 무방하다.
판재(10)의 단면은, 제1층(11)의 제1 측면(11c)과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으로 구성된다. 제1층(11)은, 판재(10)의 단면에만 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보지부(20) 및 지지 다리부(21)에 있어서는, 제1층(11)은 판재(10)의 단면에만 노출하고, 판재(10)의 전후 양면에는 제1층(11)이 노출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10)의 단면은, 가이드 프레임(3)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는 측면(3a)과, 보지 구멍(23)의 벽면과, 빼기 구멍(24)의 벽면으로 구성된다. 판재(10)의 단면에, 제1층(11)과 제2층(12)과 제3층(13)이 노출한다. 즉, 판재(10)의 단면에, 제1층(11)의 제1 측면(11c)과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이 노출한다. 가이드 링(2)이 취부되어 있지 않은 가이드 프레임(3)의 단체(單體)의 상태에 있어서는, 판재(10)의 단면의 전체에 제1층(11)의 제1 측면(11c)과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이 노출한다.
판재(10)의 단면 중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관하여는, 가이드 링(2)이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2)의 외주면에 의하여 적어도 제1층(11)의 제1 측면(11c)이 덮인다.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는, 제1층(11)의 제1 측면(11c)은 노출하지 않는다. 덧붙여,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도 가이드 링(2)의 외주면에 의하여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링(2)의 외주면과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그 간극에 접착제(30)가 충전된다. 그 때문에,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 제2층(12)의 제2 측면(12a)은 접착제(30)에 의하여 덮인다. 마찬가지로, 가이드 링(2)의 외주면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그 간극에 접착제(30)가 충전된다. 그 때문에,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 제3층(13)의 제3 측면(13a)은 접착제(30)에 의하여 덮인다.
판재(10)의 단면에 있어서, 제1층(11)의 제1 측면(11c)은,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지 않고, 판재(10)의 양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교면으로 되어 있다. 판재(10)의 단면에 있어서,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은, 각각 제1층(11)의 제1 측면(11c)과 연속한다.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은,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면이다. 제2층(12)의 제2 두께(T2)의 전체에 걸쳐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제2 두께(T2)의 일부에만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3층(13)의 제3 두께(T3)의 전체에 걸쳐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제3 두께(T3)의 일부에만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만곡면의 곡률 반경은, 제2층(12)의 제2 두께(T2)와 동일하거나, 혹은, 제2 두께(T2)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3층(13)의 제3 두께(T3)와 동일하거나, 혹은, 제3 두께(T3)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가이드 프레임(3)의 제조 공정을 모식도로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8(a)와 같이 평탄한 판재(10)를 준비한다. 판재(10)는, 제1층(11)의 양면에 각각 제2층(12)과 제3층(13)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층(12)과 제3층(13)은, 제1층(11)에 접착된다. 다음으로, 도 8(b)과 같이, 판재(10)를 펀칭하여 소정 형상의 평탄한 가이드 프레임(3)을 형성한다. 펀칭 공정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3)의 외형과 함께 보지 구멍(23)과 빼기 구멍(24)이 형성된다. 그리고, 평탄한 가이드 프레임(3)을 절곡(折曲)하는 절곡 공정에 의하여 판재(10)를 절곡하여 취부 다리부(22)와 지지 다리부(21)를 형성한다. 제1층(11)이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열간 단조에 의하여 판재(10)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고,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제1층(11)을 열경화성 수지로 하여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판재(10)를 절곡 가공한 후에 제1층(11)을 가열 경화시켜도 무방하다.
덧붙여, 가이드 링(2)을 취부하고 있지 않은 가이드 프레임(3)의 단체의 상태로 가이드 프레임(3)을 배럴(barrel) 연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 공정 후의 평탄한 상태의 가이드 프레임(3)을 배럴 연마하여도 무방하고, 절곡 공정 후의 가이드 프레임(3)을 배럴 연마하여도 무방하다. 배럴 연마에 의하여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를 연마하여 만곡면으로 한다. 다만, 배럴 연마에 있어서, 제2층(12)과 제3층(13)의 만곡면이 제1층(11)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층(11)의 노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 프레임(3)을 구성하는 판재(10)가, 금속제의 제2층(12) 및 제3층(13)과 수지제의 제1층(11)과의 다층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화와 고강성화를 용이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게다가, 판금제와 마찬가지로 판재(1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도 용이하다.
제1층(11)은 수지제이기 때문에 흠집이 생기기 쉽고, 흠집이 생긴 제1층(11)에 낚싯줄이 닿으면 낚싯줄이 손상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3)에 있어서는, 수지제의 제1층(11)의 양면(제1면(11a) 및 제2면(11b))이 금속제의 제2층(12)과 제3층(13)으로 덮여 보호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층(11)의 노출이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낚싯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취부 다리부(22)에 있어서 금속제의 제2층(12)이 장대(4)에 접한다. 그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1)를 장대(4)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취부 다리부(22)의 하면(22a)의 전체가 제2층(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부 다리부(22)에 있어서 제1층(11)의 노출이 방지되고, 낚싯줄 가이드(1)를 장대(4)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의 전체가 제3층(1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1)를 권사(卷絲)에 의하여 장대(4)에 취부할 때에, 권사를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단단히 감을 수 있다.
제1층(11)이 제2층(12)과 제3층(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제1층(11)의 양면(11a, 11b)이 제2층(12)과 제3층(13)에 의하여 보호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층(11)의 양면(11a, 11b)의 흠집이 제2층(12)과 제3층(13)에 의하여 방지된다.
제1층(11)의 제1 두께(T1)가 판재(10)의 전체의 두께(T)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3)을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특히, 제2층(12)의 제2 두께(T2)와 제3층(13)의 제3 두께(T3)가 각각 판재(10)의 전체의 두께(T)의 10% 이하이면, 가이드 프레임(3)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판재(10)의 절곡 가공도 용이하게 된다.
가이드 프레임(3)의 측면(3a)에 제1층(11)의 제1 측면(11c)이 노출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3)을 펀칭 가공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11c)은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지 않은 직교면이다. 가이드 프레임(3)의 측면(3a)에, 제1층(11)의 제1면(11a)과 제2면(11b)이 노출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1층(11)의 제1면(11a)이나 제2면(11b)에 낚싯줄이 접촉하기 어렵다. 즉, 제1층(11)에 낚싯줄이 접촉하기 어렵고, 낚싯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층(12)의 만곡면인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만곡면인 제3 측면(13a)이 제1층(11)의 제1 측면(11c)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제1층(11)의 제1 측면(11c)의 예를 들어 두께 방향의 양 단부가 만곡면이 된다. 그 경우, 가이드 프레임(3)의 측면(3a)에 있어서 제1층(11)의 제1면(11a)과 제2면(11b)이 노출하고, 그 노출 부분이 흠집이 생기기 쉽고, 보풀이 일기 쉽다. 그 때문에, 보풀이 인 노출 부분에 낚싯줄이 접촉하면, 낚싯줄이 손상하기 쉬워진다. 그것에 대하여, 제2층(12)의 만곡면인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만곡면인 제3 측면(13a)이, 제1층(11)의 제1 측면(11c)까지 연장되지 않고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의 범위 내에 머물고 있으면, 가이드 프레임(3)의 측면(3a)에 있어서 제1층(11)의 제1면(11a)과 제2면(11b)이 노출하지 않고, 가이드 프레임(3)의 측면(3a)이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낚싯줄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제2층(12)의 제2 측면(12a)과 제3층(13)의 제3 측면(13a)이 두께 방향을 따라 만곡한 만곡면이면, 제2층(12)의 제2 측면(12a)이나 제3층(13)의 제3 측면(13a)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낚싯줄이 손상하기 어렵다.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도, 가이드 프레임(3)의 측면(3a)과 마찬가지로, 제1층(11)과 제2층(12)과 제3층(13)이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1층(11)의 강화 섬유가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노출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보지 구멍(23)은, 펀칭 공정에 있어서 펀칭 가공된 것이다. 그 때문에, 제1층(11)의 강화 섬유는,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 절단된 상태에 있고, 강화 섬유의 절단면이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노출한다. 강화 섬유는, 제1층(11)의 수지보다도 단단하다. 그 때문에,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 강화 섬유의 절단면은, 제1층(11)의 수지보다도 경(徑)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기 쉽다. 따라서,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노출하고 있는 제1층(11)은, 조면(粗面)이 된다. 그 때문에, 접착제(30)가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부착하기 쉽고, 가이드 링(2)을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보지 구멍(23)을 펀칭 가공할 때에 있어서, 제1층(11)을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2층(12)과 제3층(13)이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 제1층(11)의 전체 둘레의 일부에 깨짐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고, 보지 구멍(23)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링(2)을 보지 구멍(23)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판재(10)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쉬운 제1층(11)이,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어려운 제2층(12)과 제3층(13)의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판재(10)에 보지 구멍(23)을 펀칭 가공할 때에, 제1층(11)이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압축되고, 그 압축 상태에서 제1층(11)에 보지 구멍(23)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보지 구멍(23)이 형성된 후에 있어서는, 제1층(11)이 원래의 제1 두께(T1)로 복원한다. 그것에 의하여, 도 9(a)와 같이,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 제1층(11)에 형성된 구멍 부분이 제2층(12) 및 제3층(13)에 형성된 구멍 부분에 비하여 약간 확경(擴徑)하게 된다. 즉,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 제1층(11)의 구멍 부분이 제2층(12) 및 제3층(13)의 구멍 부분보다도 경방향 외측으로 약간 오목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도 9(b)와 같이, 보지 구멍(23)의 벽면에 있어서의 제1층(11)의 환상의 오목부(31)를 접착 고임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가이드 링(2)을 강고하게 접착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 도 9에 있어서는, 오목부(31)를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보지 구멍(23)의 양 개구(開口) 가장자리부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제2층(12) 및 제3층(13)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 구멍(23)의 양 개구 가장자리부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 링(2)을 제2층(12)과 제3층(13)으로 단단히 보지할 수 있어, 가이드 링(2)의 느슨해짐이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도 10(a)와 같이,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즉 장대(4)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를 비스듬하게 경사한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을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의 좌우 양 단부를 비스듬하게 연마 제거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있어서 제3층(13)이 절제되고,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제1층(11)이 노출한다.
또한, 도 10(b)와 같이,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을 후측을 향하게 하여 비스듬하게 경사한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을 후측을 향하게 하여 비스듬하게 연마 제거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있어서 제3층(13)이 제거되고,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제1층(11)이 노출한다. 덧붙여,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 중 지지 다리부(21)에 가까운 전측의 부분에 관하여는 잔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층(13)이 지지 다리부(21)와 취부 다리부(22)와의 사이의 경계부(25)를 넘어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부(25)에 있어서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제1층(11)이 노출하였을 경우여도, 낚싯줄 가이드를 장대(4)에 취부할 때에,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을 권사가 덮기 때문에, 취부 다리부(22)의 상면(22b)에 노출한 제1층(11)은 권사에 의하여 덮이게 된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다리부(21)에 빼기 구멍(24)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빼기 구멍(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지지 다리부(21)가 취부 다리부(22)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방(上方)으로 세워져 있었지만, 지지 다리부(21)가 취부 다리부(22)에 대하여 수직 상방으로 세워져 있어도 무방하다.
판재(10)가 제3층(13)을 구비하는 것이었지만, 제3층(13)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제2층(12)은 낚싯줄 가이드(1)의 전면에 배치되었지만, 후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고, 제2층(12)은 제1층(11)에 대하여 전후 어느 쪽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1: 낚싯줄 가이드
2: 가이드 링
3: 가이드 프레임
3a: 측면
4: 장대
10: 판재
11: 제1층
11a: 제1면
11b: 제2면
11c: 제1 측면
12: 제2층
12a: 제2 측면
13: 제3층
13a: 제3 측면
20: 보지부
21: 지지 다리부
22: 취부 다리부
22a: 하면
22b: 상면
23: 보지 구멍
24: 빼기 구멍
25: 경계부
30: 접착제
31: 오목부
T: 전체의 두께
T1: 제1 두께
T2: 제2 두께
T3: 제3 두께

Claims (15)

  1. 낚싯대에 장착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비금속을 포함하는 제1층과, 금속을 포함하는 제2층을 가지는 판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상기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는, 가이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상기 낚싯대에 취부(取付)되는 취부 다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취부 다리부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상기 낚싯대에 접하는, 가이드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3층을 더 가지고,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에 의하여 끼이는, 가이드 프레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2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3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3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두께 및 상기 제3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도 작은, 가이드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 및 상기 제3 두께는, 각각 상기 판재의 전체의 두께의 10% 이하인, 가이드 프레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은, 제1 금속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제1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 금속과 다른 제2 금속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섬유 강화 수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섬유 강화 수지를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 시트를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수지는, 열가소성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이 노출하는, 가이드 프레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제1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 측면과 연속하는 제2 측면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
  14.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제1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 측면과 연속하는 제2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 측면과 연속하는 제3 측면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낚싯줄 가이드.
KR1020230093754A 2022-11-08 2023-07-19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KR20240066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78818 2022-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965A true KR20240066965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42B1 (ko)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EP2853158B1 (en) Fishing line guide
KR100201359B1 (ko) 낚싯대재및그제조방법
JP2012100616A (ja) 釣り糸用ガイド及び釣り竿
JP7133266B2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04651A (ja) 釣糸ガイド
JP5460544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
EP2749161B1 (en) Fishing line guide
KR20240066965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JP5626762B2 (ja) 釣り糸用ガイド及び釣り竿
JP2020080808A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5285B2 (ja) 釣糸ガイド
JP5843585B2 (ja) 釣り竿
CN118000173A (zh) 钓线导引件的导引框架及钓线导引件
US10800007B2 (en) Roll shaft for brush roll and brush roll
JP5606295B2 (ja) 釣り糸用ガイド及び釣り竿
JP2011152092A (ja) 釣糸ガイド
JP5478350B2 (ja) 釣り糸ガイド
JP2012070666A (ja) 釣糸ガイド
JP2007020499A (ja) 穂先竿
JP2009219652A (ja) 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
JP5012602B2 (ja) 管状積層構造体
JP6363001B2 (ja) 積層体の巻取方法及び巻取りロール
KR101763532B1 (ko) 낚싯줄 가이드
CN115108403A (zh) 卷芯、原材卷筒以及原材卷筒的制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