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532B1 - 낚싯줄 가이드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532B1
KR101763532B1 KR1020160141763A KR20160141763A KR101763532B1 KR 101763532 B1 KR101763532 B1 KR 101763532B1 KR 1020160141763 A KR1020160141763 A KR 1020160141763A KR 20160141763 A KR20160141763 A KR 20160141763A KR 101763532 B1 KR101763532 B1 KR 10176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shing line
fiber
layer
li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964A (ko
Inventor
마사루 아끼바
에이지 스가야
히데유끼 나이또오
아쯔시 사이또오
히로유끼 모리
도모요시 쯔루후지
마사유끼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3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343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66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54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616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343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51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87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715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52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6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83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6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8367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중량이 가볍고, 비강도, 비강성 및 휨성이 뛰어난 낚싯줄 가이드, 및 그러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프레임(3)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굴곡부(10a, 10b)의 위치에 대응하여,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굴곡 상태로 해서 금형에 배치하는 굴곡 배치 공정과, 금형에 대하여 굴곡 배치된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가열 경화하여 판 형상체를 형성하는 판 형상체 형성 공정과, 형성된 판 형상체로부터 프레임(3)을 형성하는 프레임 형성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FISHING LINE GUIDE}
본 발명은,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낚싯줄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 링을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 부분에 특징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한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 부착되어, 실제로 낚싯줄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 링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나 티타늄 등의 금속제의 판 재료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으로 일체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에는 낚싯줄을 삽입 통과시키는 가이드 링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링 보유 지지부와, 낚싯대의 외표면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0661호
상기한 공지 기술에서는, 프레임이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이 무겁고, 비강도(比强度), 비강성(比剛性), 휨성 등의 성능이 나빠서, 낚싯대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면에서 장해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더욱 경량화가 요구되는 낚싯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낚싯줄 가이드를 축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장착하면, 원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중량이 가볍고, 비강도, 비강성 및 휨성이 뛰어난 낚싯줄 가이드, 및 그러한 낚싯줄 가이드가 제조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가이드 링을 부착하는 링 보유 지지부와, 낚싯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링 보유 지지부와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부를 구비하고,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할 때에,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굴곡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굴곡 상태로 해서 금형에 배치하는 굴곡 배치 공정과, 상기 금형에 대하여 굴곡 배치된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가열 경화해서 판 형상체를 형성하는 판 형상체 형성 공정과, 형성된 판 형상체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는, 그 프레임 부분이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에 의해 구성된다. 프레임에 형성되는 굴곡부는, 처음에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굴곡 상태로 해서 금형에 배치하므로, 이 단계에서 프레임의 기본적인 형상이 형성 보존된다. 그리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 보존된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는, 그 후 가열 경화 처리되므로, 특히 굴곡부에 있어서의 내부 잔류 응력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프레임 전체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강도의 향상,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이 하여 굴곡부가 형성된 판 형상체로부터 프레임 부분이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가이드 링을 고정 부착하는 것으로 낚싯줄 가이드가 제조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낚싯줄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 링이 부착된 링 보유 지지부와, 상기 링 보유 지지부와 고정부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부와, 상기 고정부와 지지 다리부의 사이 또는 상기 지지 다리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굴곡부를 구비한 프레임을 갖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적층한 복수의 섬유 강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가 낚싯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교차 방향으로 지향한 섬유 강화 수지층과, 강화 섬유를 편성한 직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싯줄 가이드는 그 프레임 부분이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에 의해 형성되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분은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적층한 복수의 섬유 강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가 낚싯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교차 방향으로 지향하는 섬유 강화 수지층과, 강화 섬유를 편성한 직포층을 갖고 있으므로, 파단, 파손 등이 생기는 일 없이, 강도의 향상, 및 안정화된 낚싯줄 가이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이 가볍고, 비강도, 비강성 및 휨성이 뛰어난 낚싯줄 가이드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그러한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일 구성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을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장대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낚싯줄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성형하는 금형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프레임 부분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금형으로 성형된 판 형상체로부터 프레임을 잘라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프레임의 고정부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
도 8은 프레임의 지지 다리부에 있어서의 섬유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낚싯줄 가이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3 실시 형태의 고정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에 대하여, 다른 연마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프레임 부분의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의 적층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프레임 부분의 제9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의 적층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8은 프레임 부분의 제10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의 적층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9는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1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1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14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15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일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낚싯줄 가이드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을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그리고 도 3은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장대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은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에 장착되었을 때,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며, 도 3은 시작측으로부터 끝 장대측을 본 도면으로 되어 있다.
낚싯줄 가이드(1)는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이하, 프리프레그라고 칭함)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프리프레그의 구성, 및 프레임의 상세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함). 이 프레임(3)은 낚싯대(장대관)(40)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고정부(5)와, 낚싯줄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 링(6)이 부착되는 링 보유 지지부(7)와, 링 보유 지지부(7)와 고정부(5)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부(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5)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있어서, 낚싯대의 표면에 고정되는 부위(족부라고도 칭함)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대에 부착된 경우에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이면측의 접촉면(5a)이 낚싯대의 표면에 적재된 상태에서, 실 고정,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링 보유 지지부(7)는, 낚싯대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낚싯줄을 안내시키기 위해, 가이드 링(6)을 고정 부착시키는 부위이다. 링 보유 지지부(7)에는, 가이드 링(6)을 끼워 넣고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의 외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 개구(7a)에 끼워 넣어지는 가이드 링(6)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주면인 낚싯줄 안내면(6a) 부분에서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은 부재, 예를 들어 티타늄, 알루미늄, SUS, 세라믹스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링(6)은, 프레임(3)이 상기 프리프레그에 의해 일체 형성된 후, 링 보유 지지부(7)의 개구(7a)에 대하여 끼워 넣어지고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 다리부(8)는 가이드 링(6)을 낚싯대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고정부(5)와 링 보유 지지부(7)를 연결하는 부위이다. 지지 다리부(8)는 다양한 길이로 설계가능하지만, 링 보유 지지부(7)로부터 약간 돌출 설치시킨 것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5)와 지지 다리부(8)와의 사이의 경계 부분에 제1 굴곡부(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 다리부(8)의 링 보유 지지부(7)측에, 제1 굴곡부보다도 완만하게 굴곡된 제2 굴곡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계 부분은 실제로 낚싯대의 외표면에 대하여 고정 상태가 되는 고정부(5)의 단부로부터, 링 보유 지지부(7)를 향해 수직 상승하는 영역이 해당된다.
프레임(3)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굴곡부를 형성하는 경우, 특히 지지 다리부(8)에 제2 굴곡부(10b)를 형성해 둠으로써, 프레임 전체적으로, 굴곡시킴에 따른 굽힘 각도를 단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응력 집중을 분산시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3)에 복수의 굴곡부(10a, 10b)를 형성하는 것이면, 고정부(5)와 지지 다리부(8)와의 사이의 경계 부분,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는 굴곡부[도면에 있어서, 제1 굴곡부(10a)가 대응함]보다도, 지지 다리부(8)에 형성되는 굴곡부[도면에 있어서, 제2 굴곡부(10b)가 대응함]의 굴곡 각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5)와 지지 다리부(8)와의 사이의 경계 부분,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는 굴곡부의 굴곡 각도(θ1)는 30 내지 90도의 범위로 하고, 지지 다리부(8)에 형성되는 굴곡부의 굴곡 각도(θ2)는 그것보다도 작은 각도(θ1 > θ2)인 0 내지 45도의 범위로 하고, 양 각도를 합쳤을 때에 30도 이상, 10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각도는 굴곡된 부분의 전후에 있어서, 접선끼리가 교차하는 각도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 2개의 굴곡부(10a, 10b)를 형성한 경우, 그 각도의 관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5)와 링 보유 지지부(7)와의 사이의 굴곡 각도[고정부(5)의 하면 접선과 링 보유 지지부(7)와의 교차하는 각도](θ3)에 대해서는, 30 내지 100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지지 다리부(8)에 대해서는, 2개의 굴곡부(10a, 10b) 사이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2개의 굴곡부(10a, 10b) 사이를, 소정의 곡면을 갖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지지 다리부 전체를 만곡면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각도 관계가 되도록 굴곡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특정 굴곡부에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 강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에 형성되는 굴곡부(10a, 10b)는, 응력이 집중하여 파손되기 쉬운 영역으로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조 방법, 및 프리프레그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비강도, 및 비강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굴곡부를 형성한 상태의 프리프레그(가열 성형 후는 판 형상체로 되어 있음)로부터,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때 소정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은 고정부(5)의 단부로부터 제1 굴곡부(10a)를 개재하여 수직 상승하는 지지 다리부(8)는, 상방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점차 폭이 넓어져 있으며, 가이드 링(6)이 부착되는 개구(7a)가 형성된 대략 원형의 링 보유 지지부(7)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다리부(8)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개구(두께 제거)(8a)를 형성해 두어도 좋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프레임(3)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처음에 전체적인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하고, 다음에 프리프레그의 적층 상태, 및 적층되는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의 배열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3)은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프리프레그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소정 방향으로 끌어당겨 정돈된 상태, 혹은 편성된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 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나 열 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나일론)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함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처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프리프레그를 소정 형상으로 재단하고, 이것을 복수층이 되도록 포갠다. 포개는 프리프레그의 매수(층수)나, 각각의 프리프레그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3)에 굴곡부(10a, 10b)를 형성하는 것, 사용 시에 있어서 프레임(3)에는 부하가 가해지는 것, 장착되는 낚싯대의 특성이나 장착 부분 등을 고려하여, 프리프레그의 종류나 포개는 조건이 임의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적층되는 프리프레그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형(50)에 세트된다. 본 실시 형태의 금형(50)은, 상하로 형 분할되는 상부형(51)과 하부형(52)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적층된 프리프레그(부호 20으로 나타내고 있음)는, 하부형(52)의 소정 위치에 세트된다. 상부형(51)과 하부형(52)과의 사이에는, 적층된 프리프레그(20)가 세트되는 위치에 따라서 공동부(5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 영역에는 이형제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금형(50)을 구성하는 상부형(51)은 오목 형상, 하부형(52)은 볼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자를 압박했을 때에 프레임(3)이 형성되도록, 양자 사이에 상기 공동부[이 공동부에 대해서는, 프레임(3)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음](5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형(52)에는, 상기 시트 형상으로 적층된 프리프레그(20)를 적재했을 때, 상기한 굴곡부(10a, 10b)에 대응하는 위치에, 굴곡 형성 볼록부(52a, 52b)가 형성되고, 상부형(51)에는 굴곡 형성 볼록부(52a, 52b)에 대응하여 굴곡 형성 오목부(51a, 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프리프레그(20)는, 한번에 전체를 포갠 상태로 하부형에 세트해도 좋고, 1매씩 세트하는 등, 복수 회로 나누어서 적층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 회로 나눔으로써, 강화 섬유의 움직임을 적게 하여, 정밀도 좋게 하부형(52)의 소정 위치에 세트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금형(50)을 상하 분할로 하고 있으므로, 프리프레그(20)는 하부형(52)에 적재하여, 금형의 형상에 맞추어 소정 형상으로 보유 지지한다. 물론, 금형에 대해서는 일례를 게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형 분할의 방향에 대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하거나, 경사 방향으로 하는 등, 임의의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리프레그를 하부형(52)에 세트한 후, 적재된 프리프레그(20)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 가압, 고정에 대해서는, 상부형(51)에 의해 체결해도 좋고, 손이나 압박 도구로 압박해도 좋다. 이 단계에서, 상기 굴곡부를 포함하여, 성형 후의 프레임 형상에 상당하는 형태가 유지되고, 이에 의해 성형 후의 내부 잔류 응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강도의 향상, 및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이 단계에서는, 프리프레그는 미경화 상태(임시 큐어 후를 포함함)이며, 굴곡부는 가열 경화 전에 형성되게 된다].
그 후 가열 공정을 실시하고, 매트릭스 수지를 경화해서 성형한 후, 성형품[굴곡부를 갖는 판 형상체(30)로 되어 있음]을 금형(50)으로부터 꺼낸다.
또, 상기한 굴곡부를 금형(50)으로 눌러서 가열 경화할 때에, 그 굴곡부는, 그 전후의 영역보다도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굴곡부의 영역을 강하게 가압하는 것으로, 성형된 프레임의 굴곡부(10a, 10b)의 보이드를 방지할 수 있어, 강도의 향상, 및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성형된 프레임(3)의 굴곡부(10a, 10b)는, 그 전후의 영역(고정부나 지지 다리부)보다도 섬유 비율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파손되기 쉬운 굴곡부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판 형상체(30)로부터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프레임을 잘라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는 가열 경화 처리 후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판 형상체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스 가공에 의한 잘라냄, 액체(워터제트 등)에 의한 잘라냄, 혹은 칼 도구(엔드밀 등)에 의한 잘라냄 등, 임의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판 형상체(30)로부터 복수의 프레임(3)을 잘라내는 것이 가능해져, 경량으로 고강도의 낚싯줄 가이드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판 형상체의 불필요한 부분을 파괴하는 등 삭제하여 프레임이 남겨지도록 잘라내도 좋다.
또, 이 가공 시에 있어서, 프레임(3)의 기본적인 외형상, 즉 개구(7a)를 갖는 링 보유 지지부(7), 개구(8a)를 갖는 지지 다리부(8) 등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을 각각의 공정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판 형상체(30)에 관해서는, 1매의 단순한 평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층 두께를 위치에 따라 변화시키거나, 판 형상 부분이 복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T자 형상이나 역 Y자 형상 등)으로 하거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있거나, 또한 복수의 판 형상 부분이 조합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서 세부 가공을 실시한다. 이 세부 가공은, 예를 들어 고정부(5)의 형상을 낚싯대에 적재하기 쉽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실 감기·실 고정하기 쉽도록, 고정부의 단부를 연마하는 것이 해당된다.
다음에, 프레임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배럴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표면의 버어를 제거하는 동시에, 표면의 광택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마무리 연마를 실시한다. 이 연마의 정도에 대해서는, 낚싯줄 가이드의 사이즈나 형상, 재질 특성 등에 의해 연마제나 연마 시간 등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럴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강화 섬유를 절단하는 일 없이, 프레임을 연마하는 것이 가능해져, 강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이 뛰어난 낚싯줄 가이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연마 공정을 실시할 때에는, 프레임의 표면에 강화 섬유가 일부노출되어 매트릭스 수지가 일부 남도록 연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연마 표면의 광택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피막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외관 향상이나 프레임 본체의 보호를 위해 도장을 행하는 것이나, 금속이나 세라믹스를 증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의 개구(7a) 부분에 가이드 링(6)을 부착한다. 가이드 링의 부착 방법은, 압입이나 접착, 컬링, 기타 임의의 고정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프리프레그에 의해 프레임(3)을 형성할 때에, 그 프리프레그의 바람직한 배치 태양 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프레임(3)은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를 그 전후 방향(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에 부착한 경우의 전후 방향 또는 낚싯줄이 삽입 통과되는 방향)으로 적층한 복수의 섬유 강화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 또는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는 축선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당겨 정돈한 축 길이 방향 섬유 수지층(21)과,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교차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끌어당겨 정돈한 경사 방향 섬유 수지층(22a, 22b)과, 강화 섬유를 편성한 직포층(23)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두께의 중간 위치가 되는 중립축 영역(도 5에 있어서, 중립축을 X로 나타냄)에, 강화 섬유를 축 길이 방향으로 끌어당겨 정돈한 프리프레그에 의해 축 길이 방향 섬유 수지층(21)이 배치되고, 그 외측(양측)에,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경사 각도는 임의이지만 15 내지 75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도)로 강화 섬유를 끌어당겨 정돈한 프리프레그에 의해 경사 방향 섬유 수지층(22a, 22b)이 배치되고, 또한 최외층(양측의 전체면으로 되어 있지만 부분적으로 최외가 되는 영역이라도 좋음)에 강화 섬유를 편성한 프리프레그에 의해 직포층(23)이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축 길이 방향 섬유 수지층(21)은 복수층(1층 내지 4층)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경사 방향 섬유 수지층(22a, 22b)에 대해서는, 각각의 층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지향 방향은 달라도 좋다.
이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제의 낚싯줄 가이드를 형성할 때에는, 프레임 자체를 정면 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3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한 상태가 되는 프리프레그를 선택하여,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강화 섬유의 지향 방향을 3 방향 이상으로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량이면서 강도적으로 뛰어난 낚싯줄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프리프레그의 배치 구성과 같이, 프레임(3)의 최외층에는, 직포층(23)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프레임(3)의 표면은 다른 것이 닿기 쉽고, 박리되기 쉬운 부분인 것 및 실제로 낚시할 때에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프레임이 휘는 등, 프레임 단부로부터 강화 섬유가 박리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표면 영역에 강화 섬유가 편성된 직포층을 배치해 두는 것으로, 강화 섬유의 균열이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강도의 향상, 및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직포층(23)에 대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화 섬유를 편성한 주된 섬유의 그물코 폭(w)(통상, 강화 섬유는 다수개가 묶여진 상태로 섬유 다발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 섬유 다발이 편성되어서 직포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그물코는 섬유 다발의 폭으로 특정됨)이, 프레임(3)의 지지 다리부(8)의 폭(W)(여기에서의 폭은 최소가 되는 부위의 폭이 해당됨)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포층(23)을 배치하는 것으로, 더욱 확실하게 강화 섬유가 박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강도의 향상, 및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굴곡부(10a, 10b)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강화할 수 있어, 경량이면서 강도 균형이 뛰어난 낚싯줄 가이드로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직포층(23)의 그물코 폭에 대해서는, 고정부(5)나 링 보유 지지부(7)의 영역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그들 부분에서의 최소 폭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8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직포의 그물코 방향이, 축 길이 방향(AX)를 따르고 있지만, 이것을 축 길이 방향(AX)에 대하여 45도 ±15도, 또는 45도 ±30도,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함으로써, 강화 섬유의 파단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층 전체를, 상기한 바와 같은 직포층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구성과 같이, 프레임(3)의 중간층 영역에는 축 길이 방향 섬유 수지층(21)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프레임(3)에 대하여, 축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싯줄의 장력 등에 의해 휨력이 작용해도, 그 방향의 비강성을,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효율적으로 높혀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굴곡부(10a, 10b)에 대해서는, 그 전후의 영역보다도 섬유 비율을 높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공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 성형 시에 굴곡부의 영역의 압박력을 높게 하는 것으로, 수지가 유출되어 굴곡부의 섬유 비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부하가 작용해서 프레임이 휘어도 파손되기 어려운 낚싯줄 가이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굴곡부의 섬유 비율을 높게 하는 것 대신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에 있어서의 두께(T)를, 고정부(5)에 있어서의 두께(T1)이나 지지 다리부(8)의 두께(T2)보다도 두껍게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굴곡부를, 다른 영역보다도 두껍게 해 두는 것으로, 굴곡부에서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두께를 두껍게 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 비율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곡부에 대해서는, 두께 방향의 중립축 부위의 합성 수지 함침량보다도, 굴곡부 내측의 외층 부위[도 7에 있어서, 굴곡부(10a)의 부호 P로 나타내는 측]의 합성 수지 함침량을 많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분에는 낚싯줄에 의한 장력이 작용했을 때,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큰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굴곡부 내측의 외층 부위(P로 나타내는 측)로부터 파손 등이 생기기 쉽다. 이로 인해, 그러한 영역측의 수지 함침량을 많게 해 두는 것으로, 부하에 의해 프레임이 휘어도 파손되기 어려운 낚싯줄 가이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낚싯줄 가이드에 따르면, 금속으로 된 것과 비교하여, 중량이 가벼워지고, 또한 비강도, 비강성, 및 휨성이 뛰어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러한 낚싯줄 가이드를 다수개 장착해도 낚싯대 전체가 중량화하는 일은 없으며, 낚싯대의 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장대 끝과 같은 부분에서는, 더욱 경량화가 도모되게 되므로, 섬세한 부딪힘을 감지하기 쉬워져, 더욱 낚싯대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섬유 강화 수지제의 낚싯줄 가이드를 형성할 때에는, 프레임 자체를 정면 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3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한 상태가 되는 프리프레그를 선택하여,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강화 섬유의 지향 방향을 3 방향 이상으로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량이면서 강도적으로 뛰어난 낚싯줄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프레임의 폭을 작게 해도 우수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프레임(3)이 중립축 영역에 강화 섬유를 축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고, 중립축 영역의 외측에 강화 섬유를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최외층에 강화 섬유를 편성한 직포층(23)을 배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크게 휘어도 파단이나 파손 등이 생기는 일 없이, 강도의 향상 및 안정화된 낚싯줄 가이드(1)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 프레임(3)은 고정부(5)로부터 링 보유 지지부(7)를 향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긴 방향 섬유 수지층(21)의 강화 섬유]의 양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교차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경사 방향 섬유 수지층(22a, 22b)의 강화 섬유]의 양을 많이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낚싯줄 가이드(1)가 크게 휘어 도 1의 화살표 방향의 큰 부하에 의해 프레임(3)이 휘어도 파손되기 어려운 낚싯줄 가이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 프레임(3)은 상기 중립축 영역에 배치되는 프리프레그[길이 방향 섬유 수지층(21)]의 두께보다도 최외층에 배치되는 프리프레그[직포층(23)]의 두께 쪽이 얇아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비강도가 향상되어, 단부로부터의 강화 섬유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큰 휨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도 10은 프레임의 고정부로부터 지지 다리부에 이르는 부분의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18)은, 두께가 같은 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두께, 강화 섬유의 양 또는 인장 탄성율을, 부위에 따라서 변화시키거나 혹은 조정할 수 있다. 이 두께, 강화 섬유의 양 또는 인장 탄성율의 조정은, 판 형상체(30)를 형성할 때에 적층 두께 또는 적층하는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20')의 전체 길이의 과반 영역에 걸쳐, 굴곡부(26)보다도 강화 섬유량을 적게 하고, 또는 저탄성율의 강화 섬유의 비율을 많게 해서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8) 안에 있어서의 굴곡부(26, 28)의 상대적인 강도 향상을 도모하여, 낚싯줄 가이드(1)의 전체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 낚싯줄 가이드(1)를 부착하는 낚싯대의 강도, 안정화 및 휨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0')측의 굴곡부(26)는 지지 다리부(16)와 고정부(20')와의 사이에 180도보다도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내측의 만곡면(26a)의 반경이, 180도보다도 큰 각도를 형성하는 외측의 만곡면(26b)의 반경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이 굴곡부(26)의 두께(t1)가, 고정부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t2)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측의 만곡면(26a) 쪽이 외측의 만곡면(26b)보다도 완만하게 만곡하고, 이 부위의 두께가 증대하여, 프레임(18) 안의 지지 다리부(16) 및 고정부(22)보다도 굴곡부(26)의 상대적인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8)의 전체가 박육화되어, 낚싯줄 가이드(1)의 전체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낚싯줄 가이드(1)를 부착하는 낚싯대의 강도, 안정화 및 휨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제5,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줄 가이드(30')는, 고정부(31)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장대관의 외주에 직접 끼워 맞추어지고 게다가 접착제 등의 적절한 접착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낚싯줄 가이드(30')에 있어서도, 고정부(31), 링 보유 지지부(14), 지지 다리부(15)로 이루어지는 프레임(32)은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3층 이상 적층시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에 비해, 중량이 가볍고, 비강도, 휨성의 면에 있어서 매우 뛰어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줄 가이드(40')에 있어서, 고정부(41)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이 낚싯줄 가이드(40')에서는, 고정부(41)가 장대관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대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테이퍼가 부여된 장대관의 적절한 외경 부분에 끼워 맞추는 것으로, 고정되는 소위 헐거운 가이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부(41)로서는 어느 정도의 강도이므로, 적어도 링 보유 지지부(14)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낚싯줄 가이드(40')에 있어서도, 고정부(41), 링 보유 지지부(14), 지지 다리부(15)로 이루어지는 프레임(42)은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3층 이상 적층시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줄 가이드(50')에 있어서, 고정부(51') 및 지지 다리부(52')는 링 보유 지지부(14)를 중심으로 해서 그 전후 양측에 각각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낚싯줄 가이드(50')에 있어서도, 고정부(51'), 링 보유 지지부(14), 지지 다리부(5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53)은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3층 이상 적층 시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7 실시 형태>
적층재(20)로부터 잘라내어 성형한 프레임(도 6 참조)은, 적층 상태가 보이는 절단면이 측면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측면에 보이는 적층의 경계부로부터 물이 침입하거나 박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상술한 작용 효과에다가, 보다 내구성이 높은 낚싯줄 가이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레임의 측면은, 낚싯줄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낚싯줄의 흠집 생김이 방지되는 동시에, 그 표면 자체에 흠집이 나지 않는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강화 섬유는 단면이 대략 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잘라내기를 행하면, 측면에 있어서의 노출 부분(섬유의 노출 단부면)은, 강화 섬유가 길이 축(X)에 대하여 비스듬히 잘라내어져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섬유 단부면은 타원 형상이 되어 측면의 표면에 다수 배치되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섬유의 노출 단부면이 나타나는 것으로, 흠집이 나기 어려운 표면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출 상태(측면 상태)에 있어서, 적층된 복수의 층이 동일한 높이의 면이 되고, 또한 측면에 있어서의 면 형상이 볼록면 형상이 되도록 연마 처리를 실시하고, 층간에서 박리되거나, 낚싯줄의 흠집 생김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연마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측면에 있어서 노출되는 프리프레그에 있어서의 층간은, 미시적으로는 약간 오목한 것도 있지만, 매트릭스 수지(합성 수지)가 그것을 폐쇄하도록 메우므로, 박리의 원인이 되는 일도 없다.
상기한 연마 처리는, 예를 들어 배럴 연마를 실시하는 것으로 표면의 버어를 제거하는 동시에, 표면의 광택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마무리 연마를 실시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재(20)(프레임)의 양측(S1, S2)의 표면(25, 25)의 면 형상은, 프레임의 단면을 직사각 형상(R)으로서 파악한 경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볼록면이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연마 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강화 섬유와 매트릭스 수지가 동일한 높이의 면이 되도록 미끄럼면 형상으로 마무리되어 있다(강화 섬유의 단부는 약간 돌출되는 것도 있지만, 대략 동일한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음). 구체적으로는, 측면에 있어서의 표면(25, 25)은, 평균 표면 거칠기(Ra 값)가 10㎛ 이하가 되도록 연마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리프레그의 층간 박리가 방지되고, 내구성이 높은 프레임 구조가 되어, 낚싯줄이 접촉해도 걸리거나, 흠집이 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표면(25, 25)을, 평균 표면 거칠기(Ra 값)가 1㎛ 이하가 될 때까지 연마하는 것으로, 강화 섬유가 보이는 표면까지가 확실히 미끄럼면 형상으로 마무리되어, 파손 등으로 이어지는 흠집이 없어져, 더욱 바람직하다.
도 14에 도시하는 단면 형상에서는, 제1층(20a) 측이 되는 전방면(26a')으로부터, 제8층(20h)측이 되는 후방면(26b')에 걸쳐, 전체를 만곡면으로 마무리하여 접촉한 낚싯줄의 흠집 생김을 적게 하고 있다. 이러한 볼록면 형상에서는, 그 중앙측의 영역(L1)보다도, 전방면측과 후방면측의 영역(모서리부)(L2)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연마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다른 물건에 부딪히기 쉽고, 또한 낚싯줄이 접촉하기 쉬운 중앙 영역(L1)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표면 연마의 방법에 대해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을 볼록면 형상으로 할 때에, 전방면(26a') 및 후방면(26b')으로부터, 측면으로 이행하는 모서리부(25A)를 모따기하거나, 측면부(25B) 전체를 평면 형상(일부를 평면 형상으로 해도 좋음)으로 하거나, 혹은 평면 형상의 측면부(25B)로부터 전방면(26a') 및 후방면(26b')으로 이행하는 영역을, 모따기하는 일 없이 만곡 형상으로 마무리해도 좋다.
측면의 볼록면 형상은, 측면의 전후 양단부에 형성한 전방면(26a') 및 후방면(26b')으로부터 이행하는 영역보다도 중앙측이 외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전후 방향에 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볼록면 형상은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가장 돌출되는 위치는, 전후 중간부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중간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8 실시 형태>
도 16은, 프레임 부분의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의 적층 구조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재(22')는 전체적으로 4층의 프리프레그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적층재(22')를, 전방측(끝측)으로부터 후방측(시작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순서대로 제1층(22a'), 제2층(22b'), 제3층(22c), 제4층(22d)으로서 정의한다[이와 같은 적층 구조에서는, 제2층(22b')과 제3층(22c)의 사이가 적층순에 있어서의 적층재(22')의 중앙(C)이 된다].
적층재(22')의 최외층이 되는 전후면[제1층(22a') 및 제4층(22d)]은, 직포의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층(22a')의 내층측[제2층(22b')]은, 강화 섬유가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4층(22d)의 내층측[제3층(22c)]은, 강화 섬유가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으로 되어 있다. 즉, 적층재(22')의 중앙(C)에 대하여 한쪽과 다른 쪽에, 프레임의 길이 축(X)(프레임을 정면에서 봤을 때의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는 중심 축선)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이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에 따르면,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의 프레임(3)에 부하가 걸려 전후로 구부러지거나, 비틀림이 생겨도 휨 방향이 치우치지 않으므로,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레임(3)의 휨에 의해 가이드 링에의 낚싯줄의 부딪힘 장소가 집중되기 어려우므로, 낚싯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층수를 삭감함으로써 경량화가 도모되므로, 낚싯대의 끝측의 낚싯줄 가이드에 적합한 구성이 된다.
<제9 실시 형태>
도 17은, 프레임 부분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의 적층 구조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재(24')는, 전체적으로 9층의 프리프레그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적층재(24')를, 전방측(끝측)으로부터 후방측(시작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순서대로 제1층(24a), 제2층(24b), 제3층(24c), 제4층(24d), 제5층(24e), 제6층(24f), 제7층(24g), 제8층(24h), 제9층(24i)으로서 정의한다. 이러한 홀수의 적층수에서는, 제5층(24e)이 적층순에 있어서의 중앙(C)이 되는 중심재층을 구성한다.
적층재(24')의 최외층이 되는 전후면[제1층(24a) 및 제9층(24i)]은, 직포의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고, 그 내층측[제2층(24b) 및 제8층(24h)]은, 길이 축(X)에 따른 방향의 일 방향으로 끌어당겨 정돈된 강화 섬유로 이루어지는 축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내층측[제3층(24c) 및 제7층(24g)]은, 각각 길이 축(X)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 및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층측[제4층(24d) 및 제6층(24f)]은, 각각 길이 축(X)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 및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C)이 되는 중심재층(24e)은, 길이 축(X)에 따른 방향의 일 방향으로 끌어당겨 정돈된 강화 섬유로 이루어지는 축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재(24')에 있어서의 중앙(C)[중심재층(24e)의 전후의 층이, 프레임의 길이 축(X)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이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제4층(24d) 및 제6층(24f)], 그 외측의 층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이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제3층(24c) 및 제7층(24g)].
또한 적층재(24')는, 중앙(C)[중심재층(24e)]에 대한 양측의 섬유 강화 수지층이, 외층을 향해 섬유 방향이 서로 대칭 방향이 되도록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에 따르면,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의 프레임(3)에 부하가 걸려 전후로 구부러지거나, 비틀림이 생겨도 휨 방향이 치우치지 않으므로,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레임(3)의 휨에 의해 가이드 링에의 낚싯줄의 부딪힘 장소가 집중되기 어려우므로, 낚싯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에 축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이 되는 중심재층(24e)을 배치한 것으로, 프레임(3)에 대하여, 축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싯줄의 장력 등에 의해 휨력이 작용해도, 그 방향의 비강성을,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효율적으로 높여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C)[중심재층(24e)]에 대한 양측의 섬유 강화 수지층이, 외층을 향해서 섬유 방향이 서로 대칭 방향이 되도록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을 비트는 힘이 작용했을 때, 좌우 어떠한 방향의 비틀림에 대해서도 비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도 18은, 프레임 부분의 제10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의 적층 구조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5)와 링 보유 지지부(7)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부(8A)를,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은 중앙의 창문부[개구(8a)]를 형성하는 일 없이, 1매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다리부(8A)의 형상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낚싯대의 종류, 낚싯줄 가이드가 장착되는 장대 로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다리부에 대해서도, 중간 부분을 절곡하거나, 모따기를 실시하는 등,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적층재(26')는, 전체적으로 10층의 프리프레그가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적층재(26')를, 전방측(끝측)으로부터 후방측(시작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순서대로 제1층(26a"), 제2층(26b"), 제3층(26c), 제4층(26d), 제5층(26e), 제6층(26f), 제7층(26g), 제8층(26h), 제9층(26i), 제10층(26j)으로서 정의한다[이러한 짝수의 적층수에서는, 제5층(26e)과 제6층(26f) 사이가 적층재(26')의 중앙(C)이 된다].
적층재(26')의 최외층이 되는 전후면[제1층(26a") 및 제10층(26j)]은, 직포의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고, 그 내층측[제2층(26b") 및 제9층(26i)]은, 길이 축(X)에 따른 방향의 일 방향으로 끌어당겨 정돈된 강화 섬유로 이루어지는 축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내층측[제3층(26c) 및 제8층(26h)]은,모두 길이 축(X)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층측[제4층(26d) 및 제7층(26g)]은, 각각 길이 축(X)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 및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층재(26')의 중앙(C)에 대한 양측의 층[제5층(26e) 및 제6층(26f)]은, 길이 축(X)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제5층(26e)은 좌측 방향, 제6층(26f)은 우측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이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재(26')에 있어서의 중앙(C)의 전후 층이, 프레임의 길이 축(X)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이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제5층(26e) 및 제6층(26f)], 그 외측의 층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이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제4층(26d) 및 제7층(26g)].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의 프레임(3)에 부하가 걸려 전후로 구부러지거나, 비틀림이 생겨도 휨 방향이 치우치지 않으므로,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레임(3)의 휨에 의해 가이드 링에의 낚싯줄의 부딪힘 장소가 집중되기 어려우므로, 낚싯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9 실시 형태와 같이 중앙(C)[제5층(26e) 및 제6층(26f) 사이]에 대하여, 양측의 섬유 강화 수지층이, 외층을 향해 섬유 방향이 서로 대칭 방향이 되도록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을 비트는 힘이 작용했을 때, 좌우 어떠한 방향의 비틀림에 대해서도 비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정부(5)로부터 지지 다리부(8)를 향해 수직 상승하는 굴곡부(10a)에 보강층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5)로부터 링 보유 지지부(7)에 이르는 프레임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보강층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굴곡부(10b)에 대해서도 보강층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강층이라 함은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40)에 달았을 때에, 프레임(3)의 그 전후 방향의 굽힘 강성을 높이고, 부하에 의해 굴곡부(10a)가 휘었을 때의 굽힘 각도의 변화가 작아지도록 보강하는 층이며, 적층재(20)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프리프레그 중, 어느 하나의 프리프레그에 상기한 수직 상승 방향[연직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강화 섬유가 포함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있어서, 복수의 섬유 강화 수지층에 개재된 상태에 있는 제2층(20b), 및 제7층(20g)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가, 연직 방향 X(수직 상승 방향)를 따라 강화 섬유를 일 방향으로 끌어당겨 정돈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굴곡부를 보강하는 보강층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강층은, 굴곡부에 있어서의 보강 효과를 높이도록, 적층되는 프리프레그 중, 외층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실시 형태>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1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적층재료(20)를 구성하는 층과, 동일하게 구성된 층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곡부(10a)의 외면측에, 상기한 섬유 강화 수지층(보강층)(20b)에다가, 또한 보강편(22")을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편(22")은 연직 방향 X를 따른 방향으로 끌어당겨 정돈된 강화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층(20b)(보강층)과, 제1층(20a)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또, 보강편(22")은 프레임(3)을 고정부로부터 링 보유 지지부에 걸쳐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굴곡부(10a)[필요에 따라서 굴곡부(10b)]를 국부적으로 보강하는 구성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5)의 단부로부터 굴곡부(10a)가 커버되는 영역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곡부의 외면측에, 또한 다른 보강층이 되는 보강편(22")을 배치해 둠으로써, 보강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이러한 보강편은 중간 위치(C)보다도 내면측에도 설치해도 좋으며, 비교적 외면측(굴곡부의 외면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해 두는 것으로, 내면측보다도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1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편(22a")은 상기 제12 실시 형태의 보강편(22")과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은 아니며, 굴곡부(10a)만을 보강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해도 좋다.
<제14 실시 형태>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1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편(22b")은, 상기 제13 실시 형태의 보강편(22a")과 같이, 층간에 개재하는 것은 아니며, 외층[최외층이 되는 직포에 의한 섬유 강화 수지층(20a)의 외측]에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제15 실시 형태>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1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의 굴곡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층[제2층(20b), 제7층(20g)] 대신에, 강화 섬유를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프리프레그에 의한 경사 방향 강화 섬유층(20b', 20g')을 배치한 것이며, 프레임에 대한 비틀림 방향에 대한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그리고 굴곡부(10a)의 영역에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서 강화 섬유가 연직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취하는 것으로, 보강편(22c')을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강편에 대해서는, 굴곡부를 보강하도록 띠 형상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낚싯줄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분을,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로 구성하는 동시에, 비강도, 비강성 등을 높이고, 특히 굴곡부의 영역에서 파손 등이 생기지 않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 방법, 및 프리프레그의 배치 태양을 이용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에 대해서는, 강화 섬유의 종류나 탄성율, 수지 함침량, 두께 등의 구성, 및 적층 상태 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에 대하여 실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낚싯대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는 헐거운 가이드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헐거운 가이드이면, 상기한 프레임(3)에 굴곡부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A)은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측에, 고정부(5A)로서 낚싯대에 외부 끼움되는 미끄럼 이동 고정 링(5c)이 장착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측에, 링 보유 지지부(7A)로서 가이드 링을 고정할 수 있는 개구(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5A)와 링 보유 지지부(7A)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부(8A)에는, 필요에 따라서 두께 제거부(8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낚싯대의 장착 위치에 따라서, 프레임에는 굴곡부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고, 이러한 낚싯줄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이용되는 프리프레그에 대해서는, 직포층의 단층 구조로 해도 좋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 구조로 해도 좋고, 별도로 굴곡부를 형성해도 좋다. 혹은, 미끄럼 이동 고정 링(5c)이 장착되는 부분(부호 5D로 나타내는 영역)에 대해서는, 링 보유 지지부(7A)보다도 두껍게 형성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해도 좋고, 두께나 형상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는, 적층한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강화 섬유의 지향 방향이 3 방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효율적으로 강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각 층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의 지향 방향이나, 그 적층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최외층에 대해서는,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직포층을 배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낚싯줄 가이드
3 : 프레임
5 : 고정부
6 : 가이드 링
7 : 링 보유 지지부
8 : 지지 다리부
10a, 10b : 굴곡부
20 : 프리프레그
21 : 축 길이 방향 섬유 수지층
22a, 22b : 경사 방향 섬유 수지층
23 : 직포층
30 : 판 형상체
50 : 금형

Claims (12)

  1. 프레임을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이며,
    상기 프레임은,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프리프레그를 적층한 복수의 섬유 강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고정부와 지지 다리부와 링 보유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와 지지 다리부의 경계 부분 그리고 지지 다리부에 굴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지지 다리부의 경계 부분의 굴곡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지지 다리부를 향해 세워지고,
    상기 지지 다리부에 형성된 굴곡부는, 상기 고정부와 지지 다리부의 경계 부분에 형성된 굴곡부보다 굴곡 각도가 작고,
    상기 두 굴곡부는 다른 부분보다 섬유 비중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섬유 강화 수지층은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은 낚싯대에 부착된 경우의 전후 방향으로 낚싯줄 가이드에 낚싯줄이 관통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섬유 강화 수지층을 3층 이상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강화 섬유가 3 방향 이상의 다수 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3 방향 이상의 강화 섬유를 가지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축 길이 방향 또는 경사 방향의 강화 섬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최외층에 직포의 섬유 강화 수지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섬유 강화 수지층의 중앙에 대하여 양측의 섬유 강화 수지층이, 외층을 향해 섬유 방향이 서로 대칭 방향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섬유 강화 수지층의 중앙에 대하여 한쪽과 다른 쪽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 축(프레임의 연장 설치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경사진 경사 방향 섬유 강화 수지층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가 되는 중립축 영역에, 강화 섬유를 축 길이 방향(프레임의 연장 설치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중립축 영역의 외측에, 강화 섬유를 축 길이 방향(프레임의 연장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은, 상기 측면에 나타나는 상기 복수의 섬유 강화 수지층을 동일한 높이의 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지지 다리부는, 강화 섬유의 방향을 상기 지지 다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한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에,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 방향의 강화 섬유를 마련하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연직 방향은 고정부로부터 지지 다리부를 향하여 세워지는 굴곡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가이드.
KR1020160141763A 2009-03-30 2016-10-28 낚싯줄 가이드 KR101763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3178 2009-03-30
JP2009083178A JP5334305B2 (ja) 2009-03-30 2009-03-30 釣糸ガイドの製造方法
JP2009086666A JP5555441B2 (ja) 2009-03-31 2009-03-31 釣り糸ガイド及び釣り竿
JPJP-P-2009-086168 2009-03-31
JPJP-P-2009-086666 2009-03-31
JP2009086168A JP5334306B2 (ja) 2009-03-31 2009-03-31 釣糸ガイド
JPJP-P-2009-151013 2009-06-25
JP2009151013A JP5558745B2 (ja) 2009-06-25 2009-06-25 釣糸ガイド
JP2009268638 2009-11-26
JPJP-P-2009-268638 2009-11-26
JP2009271562A JP5155285B2 (ja) 2009-11-30 2009-11-30 釣糸ガイド
JPJP-P-2009-271562 2009-11-30
JPJP-P-2010-016496 2010-01-28
JP2010016499A JP5308368B2 (ja) 2010-01-28 2010-01-28 釣糸ガイド
JPJP-P-2010-016499 2010-01-28
JP2010016496A JP5308367B2 (ja) 2009-11-26 2010-01-28 釣糸ガイ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765A Division KR101682242B1 (ko) 2009-03-30 2010-03-29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64A KR20160128964A (ko) 2016-11-08
KR101763532B1 true KR101763532B1 (ko) 2017-07-31

Family

ID=5752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763A KR101763532B1 (ko) 2009-03-30 2016-10-28 낚싯줄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5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347B1 (ko) * 1994-08-10 2003-01-2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중통낚시대및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2136B2 (ja) 2005-06-09 2011-03-16 富士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ガイド用フレームおよび釣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347B1 (ko) * 1994-08-10 2003-01-2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중통낚시대및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64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42B1 (ko)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JP5558745B2 (ja) 釣糸ガイド
TWI583305B (zh) Fishing line guide
JP5548516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ばね
JP5460441B2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4305B2 (ja) 釣糸ガイドの製造方法
JP5460544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7133266B2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639692A (zh) 利用纖維增強複合材料的嵌件注塑成型方法及利用其的注塑成型品
JP2011205998A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5285B2 (ja) 釣糸ガイド
JP5308368B2 (ja) 釣糸ガイド
JP5460417B2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33529A (ja) 釣り糸ガイド及び釣り竿
JP5334306B2 (ja) 釣糸ガイド
KR101763532B1 (ko) 낚싯줄 가이드
JP5738956B2 (ja) 釣糸ガイド
JP5702012B2 (ja) 釣糸ガイドの製造方法
JP2011239777A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8367B2 (ja) 釣糸ガイド
JP5546609B2 (ja) 釣糸ガイド
JP5546608B2 (ja) 釣糸ガイド
JP2011139652A (ja)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