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702A - 용접 팁 탈거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팁 탈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702A
KR20240066702A KR1020220147811A KR20220147811A KR20240066702A KR 20240066702 A KR20240066702 A KR 20240066702A KR 1020220147811 A KR1020220147811 A KR 1020220147811A KR 20220147811 A KR20220147811 A KR 20220147811A KR 20240066702 A KR20240066702 A KR 2024006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ip
guide groove
removal device
rotating plate
inclin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해
송두현
이동길
Original Assignee
한국티앤엠(주)
이승해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티앤엠(주), 이승해 filed Critical 한국티앤엠(주)
Priority to JP202314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068625A/ja
Priority to EP23197697.8A priority patent/EP4368328A1/en
Priority to US18/374,876 priority patent/US20240149371A1/en
Publication of KR2024006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관벽의 둘레를 따라 경사 가이드 홈이 형성된 원통관형 케이스; 외주면에 구비되고 경사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바에 의해 원통관형 케이스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면은 관통 형성된 팁 수용홀을 정의하는 회전판; 및, 일단부는 병진 액츄에이터에 힌지 결합되고, 몸통부는 회전판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회전판의 내주면 일측으로 노출되는 구동 조(jaw)가 구비되는 힌지 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팁 탈거장치{WELD TIP REMOVER}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스폿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 팁을 탈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접 팁 탈거장치는 용접 팁 교환장치 중 새로운 용접 팁을 생크에 결합하기 전 사용한 용접 팁을 탈거하는 장치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0291호 용접팁 교환장치에는 용접 팁 탈거장치의 일례가 게재되어 있다.
KR 10-1310291 B1 (2013.09.24.)
생크로부터 용접 팁을 탈거하는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용접 팁 탈거 과정에서 생크와 용접 팁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용접 팁 탈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관벽의 둘레를 따라 경사 가이드 홈이 형성된 원통관형 케이스; 외주면에 구비되고 경사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바에 의해 원통관형 케이스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면은 관통 형성된 팁 수용홀을 정의하는 회전판; 및, 일단부는 병진 액츄에이터에 힌지 결합되고, 몸통부는 회전판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회전판의 내주면 일측으로 노출되는 구동 조(jaw)가 구비되는 힌지 바;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제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제1 장치)와 제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제2 장치)가 축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되, 제1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과 제2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이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제1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와 제2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는 동일한 병진 액츄에이터에 힌지 결합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제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제1 장치)와 제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제2 장치)가 축방향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1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과 제2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이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제1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와 제2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는 동일한 병진 액츄에이터에 힌지 결합된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원통관형 케이스의 축방향 일단에는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팁 수용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차단편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경사 가이드 홈은 원통관형 케이스의 둘레방향과 나란한 제1 영역과 원통관형 케이스의 둘레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다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부품수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이 없으며 내구성이 높다.
실시예에 다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동력 전달 구조가 간단하고 탈거 작업 효율이 우수하다.
실시예에 다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생크와 용접 팁의 축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을 인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용접 팁 탈거 과정에서 생크와 용접 팁의 휘어짐이 방지된다.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의 분해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 100', 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이하, '용접 팁 탈거장치(100)'라 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분해도이며, 도 3은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원통관형 케이스(110), 회전판(120) 및 힌지 바(130)를 포함한다.
원통관형 케이스(1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관벽(110a)의 둘레를 따라 경사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다.
경사 가이드 홈(111)은 관벽(110a)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의 의미는 시작점에서 끝점까지 전 구간의 모든 지점에서의 접선이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기울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경사 가이드 홈(111)은 관벽(110a)의 둘레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 영역(111a)과 제1 영역(111a)에서 관벽(110a)의 둘레에 대하여 기울어지며 연장 형성되는 제2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120)은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가이드 바(122)와 팁 수용홀(123)을 포함한다.
회전판(120)은 외주면에 가이드 바(122)의 일단을 수용하는 측면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122)는 일단이 회전판(120)의 측면홈(121)에 수용되고, 타단이 경사 가이드 홈(111)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회전판(120)은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시예에서는 경사 가이드 홈(111)이 관벽(110a)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사 가이드 홈(111)은 원통관형 케이스(110) 내주면에 파여진 관통되지 않은 홈이고, 가이드 바(122)는 회전판(120) 외주면에 설치되어 회전판(120)의 반지름 방향 내외로 탄성 변형되는 볼 플런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판(120)의 내주면이 팁 수용홀(123)을 정의하도록 팁 수용홀(123)은 회전판(12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
회전판(120)은 팁 수용홀(123)의 내측에 노출된 형태로 고정 조(jaw)(124)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조(124)는 후술할 구동 조(131)와 함께 용접 팁(T)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힌지 바(130)는 일단부가 병진 액츄에이터(170)에 힌지 결합되고, 몸통부가 회전판(120)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힌지 바(130)의 타단부에는 회전판(120)의 내주면 일측으로 노출되는 구동 조(131)가 구비된다.
병진 액츄에이터(170)의 구동에 의해 힌지 바(130)의 몸통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구동 조(131)는 팁 수용홀(123)의 중앙을 향해 돌출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용접 팁 탈거장치(100)가 용접 팁(T)을 탈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초기 상태에는 가이드 바(122)가 경사 가이드 홈(111)의 제1 영역(111a) 끝단에 위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11a)과 제2 영역(111b)이 이어지는 부분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용접 팁(T)이 팁 수용홀(123)에 삽입되면, 병진 액츄에이터(170)가 구동된다.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병진 액츄에이터(170)가 구동될 때, 힌지 바(130)가 회전되어 힌지 바(130)의 타단부의 구동 조(131)가 팁 수용홀(123)의 중앙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구동 조(131)는 고정 조(124)와 함께 용접 팁(T)을 고정한다.
구동 조(131)가 고정 조(124)와 함께 용접 팁(T)을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힌지 바(130)가 회전하면, 힌지 바(130)가 회전판(120)에 구비된 걸림턱(127)에 맞닿게 됨에 따라, 회전판(120)에 대한 힌지 바(130)의 회전은 중단된다.
그 후에는 병진 액츄에이터(170)에 의한 힌지 바(130)의 회전은 회전판(120)을 원통관형 케이스(110)에서 회전시킨다.
실시예에서는 걸림턱(127)에 의해 회전판(120)에 대한 힌지 바(130)의 회전이 중단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걸림턱(127) 없이, 구동 조(131)가 고정 조(124)와 함께 용접 팁(T)을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힌지 바(130)가 회전한 후에는 고정 조(124)가 힌지 바(130)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고정 조(124)와 일체로 된 회전판(12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회전판(120)의 가이드 바(122)는 경사 가이드 홈(111)에서 제1 영역(111a)과 제2 영역(111b) 순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영역(111a)이 관벽(110a)의 둘레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20)은 가이드 바(122)를 따라 높이 변화 없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구동 조(131)는 고정 조(124)와 함께 용접 팁(T)을 고정한다.
이후, 제2 영역(111b)이 관벽(110a)의 둘레에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20)은 가이드 바(122)를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용접 팁(T)은 회전판(120)과 함께 이동되며, 생크(S)로부터 탈거된다. 즉, 회전판(120)이 가이드 바(122)를 따라 높이 변화 없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구동 조(131)는 생크(S)에 끼워진 용접 팁(T)을 파지하게 되고, 그 다음 회전판(120)이 축방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용접 팁(T)은 생크(S)로부터 완전히 탈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용접 팁(T)의 양 측면을 고정한 채 회전시켜, 생크(S)와 용접 팁(T)이 휘어져지지 않으며 용접 팁(T)이 생크(S)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팁 수용홀(123)에 볼 플런저(12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볼 플런저(128)는 용접 팁(T)을 팁 수용홀(123)로부터 밀어내어, 용접 팁(T)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제1 커버(150), 제2 커버, 용접 팁(T)이 팁 수용홀(123)로 삽입될 때, 용접 팁(T)과 생크(S) 사이에 삽입되는 차단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50)는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상면을 덮는다. 제1 커버(150)는 차단편(140)의 하부를 수용하며, 차단편(140)이 팁 수용홀(123)을 향해 인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차단편 수용부(151)가 형성된다.
제2 커버(160)는 제1 커버(15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커버(150)의 상면을 덮는다. 제2 커버(160)는 차단편(140)의 상부를 수용하며, 차단편(140)의 팁 수용홀(123)을 향해 인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차단편 수용부(152)가 형성된다.
차단편(140)은 제1 커버(150)의 제1 차단편 수용부(151)와 제2 커버(160)의 제2 차단편 수용부(152)에 사이에 배치되며, 팁 수용홀(123)을 향해 인출될 때 팁 수용홀(123)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막을 수 있다.
회전판(120)의 회전으로부터 차단편(140)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막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126)는 회전판(120), 제1 커버(150) 및 차단편(140)에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회전판(120)에는 막대 가이드 홈(125)이 회전판(120)의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막대 가이드 홈(125)은 막대(126)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120)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다.
제1 커버(150)에는 구멍이 축방향으로 막대 가이드 홈(125)과 연통되고, 회전판(120)의 반지름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차단편(140)에는 막대 가이드 홈(125)과 제1 커버(150)의 구멍과 연통되는 막대 수용홀(141)이 형성된다. 막대 수용홀(141)에는 막대(126)의 단부가 수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차단편(140)이 작동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병진 액츄에이터(170)가 구동될 때, 힌지 바(130)가 회전판(120)의 팁 수용홀(123)의 일측에 맞닿게 됨에 따라, 회전판(120)은 원통관형 케이스(110)에서 회전된다.
회전판(120)이 회전될 때, 막대 가이드 홈(125)의 위치가 이동되며, 막대(126)는 막대 가이드 홈(125)을 따라 팁 수용홀(123)을 향해 이동된다.
막대(126)가 차단편(14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단편(140)은 막대(126)의 위치에 따라 팁 수용홀(123)을 향해 인출되며, 용접 팁(T)과 생크(S) 사이로 삽입되어 용접 팁(T)을 축방향으로 탈거할 때 생크(S)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차단편(140)을 강제로 팁 수용홀(1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시, 막대 가이드 홈(125)을 따라 차단편(140)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병진 액츄에이터(170)에 걸리는 직접적인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이하, '용접 팁 탈거장치(100')'라 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원통관형 케이스(110'), 관벽(110a'),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막대 가이드 홈(125'), 막대(126'), 힌지 바(130'), 구동 조(131'), 차단편(140'), 막대 수용홀(141'), 제1 커버(150'), 제1 차단편 수용부(151'), 제2 커버(160') 및 제2 차단편 수용부(161)'는, 전술한 '원통관형 케이스(110), 관벽(110a),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막대 가이드 홈(125), 막대(126), 힌지 바(130), 구동 조(131), 차단편(140), 막대 수용홀(141), 제1 커버(150), 제1 차단편 수용부(151), 제2 커버(160) 및 제2 차단편 수용부(161)'와 동일한 결합구조를 가지며 결합되는 방향이 위 아래가 변경되었으므로, 형태 및 결합관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분해도이며, 도 7은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하나의 병진 액츄에이터(170)로 힌지 바(130, 130'), 회전판(120, 120'), 차단편(140, 140')을 이동시켜, 위에서 삽입되는 용접 팁(T)과 아래에서 삽입되는 용접 팁(T)을 탈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원통관형 케이스(110, 110')는 서로 겹쳐서 배치되되, 상부에 위치한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경사 가이드 홈(111)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에 위치한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경사 가이드 홈(111')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경사 가이드 홈(111')은 관벽(110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영역(111a')과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축방향 기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구동 조(131, 131')가 용접 팁(T)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판(120, 120')은 힌지 바(130, 130')에 의해 회전되되, 상부에 배치된 회전판(120)은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축방향을 기준 하방으로 이동되며, 하부에 배치된 회전판(120')은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축방향을 기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용접 팁 탈거장치(100')에서 용접 팁(T)을 탈거하기 위해선, 상부에 배치된 팁 수용홀(123)에는 하강하는 용접 팁(T)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에 배치된 팁 수용홀(123')에는 승강하는 용접 팁(T)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승, 하강하는 용접 팁(T)을 순차적으로 수용한 뒤 탈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용접 팁 탈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승, 하강하는 용접 팁(T)을 탈거하는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관벽(110a),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용접 팁(T)을 탈거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하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관벽(110a'),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용접 팁(T)을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용접 팁(T)이 팁 수용홀(123')에 삽입되면, 병진 액츄에이터(170)가 구동된다.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병진 액츄에이터(170)가 구동될 때, 힌지 바(130')가 회전판(120')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구동 조(131')가 팁 수용홀(123')의 중앙을 향해 회전된다. 이때, 구동 조(131')는 고정 조(123')와 함께 용접 팁(T)을 고정할 수 있으며, 결국 구동 조(131')가 회전판(120')의 중심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구동 조(131')가 용접 팁(T)에 맞닿은 상태에서, 힌지 바(130')는 회전판(120')을 원통관형 케이스(110')에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판(120')의 가이드 바(122')는 경사 가이드 홈(111')에서 제1 영역(111a')과 제2 영역(111b') 순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영역(111a')이 관벽(110a')의 둘레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20')은 가이드 바(122')를 따라 높이 변화 없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구동 조(131)는 고정 조(124)와 함께 용접 팁(T)을 고정한다.
이후, 제2 영역(111b')이 관벽(110a')의 둘레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20, 120')은 가이드 바(122')를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축방향 기준 상방으로 이동된다. 결국 용접 팁(T)은 생크(S)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생크(S)로부터 탈거된다.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팁 수용홀(123)에 볼 플런저(12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볼 플런저(128)는 용접 팁(T)을 팁 수용홀(123)로부터 밀어내어, 용접 팁(T)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상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관벽(110a)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막대 가이드 홈(125), 막대(126), 힌지 바(130), 구동 조(131), 차단편(140), 막대 수용홀(141), 제1 커버(150), 제1 차단편 수용부(151), 제2 커버(160) 및 제2 차단편 수용부(161)'의 차단편(140, 140)이 작동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하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관벽(110a')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막대 가이드 홈(125'), 막대(126), 힌지 바(130'), 구동 조(131'), 차단편(140'), 막대 수용홀(141'), 제1 커버(150'), 제1 차단편 수용부(151'), 제2 커버(160') 및 제2 차단편 수용부(161')'의 차단편(140')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용접 팁(T)이 팁 수용홀(123')에 삽입되면, 병진 액츄에이터(170)가 구동된다.
회전판(120')이 회전될 때, 막대 가이드 홈(125')의 위치가 이동되며, 막대(126)는 막대 가이드 홈(125')을 따라 팁 수용홀(123')을 향해 이동된다.
막대(126)가 차단편(14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단편(140')은 막대(126)의 위치에 따라 팁 수용홀(123')을 향해 인출되며, 용접 팁(T)과 생크(S) 사이로 삽입되어 용접 팁(T)을 축방향으로 탈거할 때 생크(S)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이하, '용접 팁 탈거장치(100'')'라 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원통관형 케이스(100, 110'), 관벽(110a, 110a'), 경사 가이드 홈(111, 111'), 제1 영역(111a, 111a'), 제2 영역(111b, 111b'), 회전판(120, 120'), 측면홈(121, 121'), 가이드 바(122, 122'), 팁 수용홀(123, 123'), 고정 조(124, 124'), 막대 가이드 홈(125, 125'), 막대(126, 126'), 힌지 바(130, 130'), 구동 조(131, 131'), 차단편(140, 140'), 막대 수용홀(141, 141'), 제1 커버(150, 150'), 제1 차단편 수용부(151, 151'), 제2 커버(160, 160') 및 제2 차단편 수용부(161, 161)'는, 전술한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원통관형 케이스(100, 110'), 관벽(110a, 110a'), 경사 가이드 홈(111, 111'), 제1 영역(111a, 111a'), 제2 영역(111b, 111b'), 회전판(120, 120'), 측면홈(121, 121'), 가이드 바(122, 122'), 팁 수용홀(123, 123'), 고정 조(124, 124'), 막대 가이드 홈(125, 125'), 막대(126, 126'), 힌지 바(130, 130'), 구동 조(131, 131'), 차단편(140, 140'), 막대 수용홀(141, 141'), 제1 커버(150, 150'), 제1 차단편 수용부(151, 151'), 제2 커버(160, 160') 및 제2 차단편 수용부(161, 161)'와 동일한 배치 및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분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하나의 병진 액츄에이터(170)로 힌지 바(130, 130'), 회전판(120, 120'), 차단편(140, 140')을 이동시켜, 전측에 위치한 팁 수용홀(123)에 삽입되는 용접 팁(T)과 후측에 위치한 팁 수용홀(123')에 삽입되는 용접 팁(T)을 탈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원통관형 케이스(110, 110')는 전측과 후측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전측에 위치한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경사 가이드 홈(111)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후측에 위치한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경사 가이드 홈(111')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측에 위치한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경사 가이드 홈(111)은 관벽(110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영역(111a)과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축방향 기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측에 위치한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경사 가이드 홈(111')은 관벽(110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영역(111a')과 원통관형 케이스(110')의 축방향 기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두 개의 회전판(120, 120') 각각은 각각의 구동 조(131, 131')가 용접 팁(T)에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의 힌지 바(130, 130')에 의해 축을 기준으로 방향으로 회전되되, 전측에 배치된 회전판(120)은 하방으로 이동되며, 후측에 배치된 회전판(120')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전측에 배치된 팁 수용홀(123)에는 하강하는 용접 팁(T)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측에 배치된 팁 수용홀(123')에는 승강하는 용접 팁(T)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승, 하강하는 용접 팁(T)이 동시에 수용한 뒤 탈거할 수 있다. 다만, 팁 수용홀(123, 123') 중 어느 하나에 승, 하강하는 용접 팁(T)이 순차적으로 수용될 시, 용접 팁 탈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승, 하강하는 용접 팁(T)을 탈거하는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측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용접 팁(T)을 탈거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 100')의 상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용접 팁(T)을 탈거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그리고 후측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용접 팁(T)을 탈거하는 과정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용접 팁(T)을 탈거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도 4,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측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차단편(140)이 작동되는 과정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 100')의 상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차단편(140)이 작동되는 과정과 동일하다.
후측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차단편(140')이 작동되는 과정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팁 탈거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 경사 가이드 홈(111'), 제1 영역(111a'), 제2 영역(111b'), 회전판(120'), 측면홈(121'), 가이드 바(122'), 팁 수용홀(123'), 고정 조(124'), 힌지 바(130'), 구동 조(131')'의 차단편(140')이 작동되는 과정과 동일하다.
용접 팁 탈거장치(100'')는 두 개의 스폿 용접기 중 하나가 전측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와 이와 결합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용접 팁(T)을 탈거시킬 수 있고, 두 개의 스폿 용접기 중 다른 하나가 후측에 배치된 원통관형 케이스(110')와 이와 결합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탈거시킬 수 있다.
100, 100', 100'' : 용접 팁 탈거장치
110, 110' : 원통관형 케이스
110a, 110a' : 관벽
111, 111' : 경사 가이드 홈
111a, 111a' : 제1 영역
111b, 111b' : 제2 영역
120, 120' : 회전판
122, 122' : 가이드 바
123, 123' : 팁 수용홀
125, 125' : 막대 가이드 홈
126, 126' : 막대
130, 130' : 힌지 바
131, 131' : 구동 조
140, 140' : 차단편
141, 141' : 막대 수용홀
170 : 병진 액츄에이터

Claims (5)

  1. 관벽의 둘레를 따라 경사 가이드 홈이 형성된 원통관형 케이스;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바에 의해 상기 원통관형 케이스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면은 관통 형성된 팁 수용홀을 정의하는 회전판; 및,
    일단부는 병진 액츄에이터에 힌지 결합되고, 몸통부는 상기 회전판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판의 내주면 일측으로 노출되는 구동 조(jaw)가 구비되는 힌지 바;를 포함하는, 용접 팁 탈거장치.
  2. 제1의 청구항 1의 용접 팁 탈거장치(제1 장치)와 제2의 청구항 1의 용접 팁 탈거장치(제2 장치)가 축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되, 제1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과 제2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이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제1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와 제2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는 동일한 병진 액츄에이터에 힌지 결합된, 용접 팁 탈거장치.
  3. 제1의 청구항 1의 용접 팁 탈거장치(제1 장치)와 제2의 청구항 1의 용접 팁 탈거장치(제2 장치)가 축방향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제1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장치의 경사 가이드 홈이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장치의 힌지 바의 일단부는 동일한 병진 액츄에이터에 힌지 결합된, 용접 팁 탈거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형 케이스의 축방향 일단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팁 수용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차단편이 구비되는, 용접 팁 탈거장치.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가이드 홈은 상기 원통관형 케이스의 둘레방향과 나란한 제1 영역과 상기 원통관형 케이스의 둘레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용접 팁 탈거장치.
KR1020220147811A 2022-11-08 2022-11-08 용접 팁 탈거장치 KR20240066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147243A JP2024068625A (ja) 2022-11-08 2023-09-11 溶接チップ脱去装置{weld tip remover}
EP23197697.8A EP4368328A1 (en) 2022-11-08 2023-09-15 Weld tip remover
US18/374,876 US20240149371A1 (en) 2022-11-08 2023-09-29 Weld tip rem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702A true KR20240066702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3369C (en) Soft intraocular lens-folding device and storage case
JP6211769B2 (ja) 回転工具およびこのような回転工具用の切削ヘッド
US8303295B2 (en) Expansion tool device for pliers or machine for producing sockets at the ends of pipes made out of plastic or composite material
CN104943731B (zh) 转向装置
BRPI0613980A2 (pt) dispositivo de troca de tampa de soldagem por pontos
CN102089549A (zh) 楔和承座装置
US20020092885A1 (en) Friction stir welding method
JP2008207330A (ja) 締付け装置
KR101761143B1 (ko) 스팟용접기용 팁체인저
KR20240066702A (ko) 용접 팁 탈거장치
KR100869138B1 (ko) 맨드렐 척
KR101633355B1 (ko)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EP4368328A1 (en) Weld tip remover
WO2008027001A1 (en) A fixation device for fixating a portable drilling machine to a drill template
CN212599578U (zh) 一种焊枪清渣的装置
JP2612840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ためのスリーブホルダ挿抜工具
EP1621292A1 (en) Piece for fixing objects
JP4803188B2 (ja) デフ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KR20170137849A (ko) 안내 렌즈 삽입 기구
US8777970B2 (en) Slot drive type anastomosis device
JP6608965B2 (ja) 電極チップ取外装置及びハンマー
JPH11123565A (ja) 電極チップの取外し工具
JP3908690B2 (ja) 着脱機構
JP2001191202A (ja) 工作機械用締め付けチャック
JP3717944B2 (ja) みぞ穴付き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