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663A -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663A
KR20240063663A KR1020220145540A KR20220145540A KR20240063663A KR 20240063663 A KR20240063663 A KR 20240063663A KR 1020220145540 A KR1020220145540 A KR 1020220145540A KR 20220145540 A KR20220145540 A KR 20220145540A KR 20240063663 A KR20240063663 A KR 20240063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cooking appliance
temperatur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성연수
오교언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5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663A/ko
Publication of KR2024006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센서를 통하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인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상기 용기의 온도에 상기 제1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OOKING DEVICE, COOKING DEVICE SET INCLDU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조리모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조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야채, 고기 등의 조리대상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조리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는 복수 개의 조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레인지, microwave),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에어프라이어,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원인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7-0006767 "조리기기, 주방기기와 조리기기의 연동 시스템 및 주방기기와 연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특허문헌 1)는 조리용기에서 조리되는 음식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싱부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센싱부는 조리용기에서 조리되는 음식에 접촉하여야 음식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바, 측정되는 음식의 온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센싱부가 음식에 최대한 근접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센싱부가 조리용기 내의 음식과 멀리 이격될 경우 센싱부는 음식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게다가, 특허문헌 1의 센싱부는 음식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조리되는 음식에 접촉하여야 하는바, 센싱부가 음식과 접촉하면서 음식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센싱부는 조기기기의 깊이 및 음식의 두께에 따라서 길이조정부재를 통하여 센싱부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센싱부가 조리용기 내에 배치되어 조리용기 내의 음식과 접촉하지 않더라도 음식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출원인 "김혁"의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20-0109911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특허문헌 2)는 내부용기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복수 개의 센서는 뚜껑의 하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내부용기 및 뚜껑을 장기간 사용하여 뚜껑에 손상 또는 변화가 생길 경우 복수 개의 센서 측정한 음식물의 온도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뚜껑에 손상 또는 변화가 생긴 경우 복수 개의 센서에서 측정한 음식물의 온도는 손상 또는 변화가 생기기 전과 정확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센서가 구비된 뚜껑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 내의 음식과 접촉하지 않더라도 음식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를 장기간 사용시 조리용기의 구조가 변형되거나 센서가 손상되거나 센서의 감지능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보정함으로써 음식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7-0006767 (2017.01.18 출원공개)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20-0109911 (2020.09.23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조리용기 내의 음식과 접촉하지 않더라도 음식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리용기의 구조가 변형되거나 센서의 감지능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보정하여 음식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센서를 통하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인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상기 용기의 온도에 상기 제1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상기 조리기기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물이 끓는 조건이고, 상기 기 저장된 기준값은 상기 물의 끓는점에 상응하는 값인,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온도는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식메뉴 및 상기 음식메뉴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시피에 기초하여 자동조리음식을 조리하는 자동조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보정개시명령은 상기 자동조리 기능에 의해 입력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조리 기능은 물을 끓이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명령은 상기 물을 끓이는 스텝에서 입력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상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소정 범위 내에 속하는 조건인,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기 설정된 최소가열시간 동안 상기 용기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건인,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이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센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고장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소가열시간은 상기 가열부의 출력 및 상기 용기 내의 물의 양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제어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센서를 통하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인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상기 용기의 온도에 상기 제1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쿡웨어; 상기 쿡웨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 제어장치는,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센서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상기 용기의 온도에 상기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리용기 내의 음식과 접촉하지 않더라도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리용기가 변형되거나 센서가 손상되거나 센서의 감지능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센서의 온도값을 보정하여 음식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리리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세트(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세트(1)는 야채, 고기 등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 세트(1)는 조리기기 제어장치(10), 조리기기(20) 및 쿡웨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 제어장치(10)는 조리기기(20)를 통하여 쿡웨어(30)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 제어장치(10)는 조리기기(20)를 제어할 수 잇다. 또한, 조리기기 제어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식메뉴 및 이에 대응하는 레시피에 기초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 제어장치(10)는 조리기기(20)에 포함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조리기기 제어장치(10)는 조리기기(20)와 별도의 장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조리기기(20)는 쿡웨어(30)를 가열하여 쿡웨어(30)에 담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20)는 오븐, 그릴, 전자레인지 및 에어프라이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20)는 쿡웨어(30)를 가열하기 위하여 가열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21)는 조리기기 제어장치(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쿡웨어(30)는 음식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쿡웨어(30)는 용기(31) 및 센서(3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31)는 음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조리기기(20)에 지지되어 가열부(21)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센서(32)는 용기(3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2)는 용기(31)의 바닥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기(31)의 바닥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32)는 용기의 바닥면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용기(31) 내의 음식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32)는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조리기기 제어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 제어장치(10)는 프로세서(100), 통신단말(200), 메모리(300) 및 입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조리기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200) 및 입출력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300)에 저장된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CPU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통신단말(200)은 입출력부(400)에서 원하는 음식메뉴가 입력되면, 음식메뉴를 조리기기(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단말(200)은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Zigbee, Z-wave,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리기기(20) 또는 클라우드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을 저장할 수 있으며,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은 프로세서(10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은 조리기기 제어방법(S10)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0)가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조리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3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RAM 등과 같은 기억장치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입출력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음식메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기기 제어방법(S10)의 시작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부(40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하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을 실행하기 위하여 메모리(300)에서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00)에서 조리기기 제어프로그램(40)이 실행되면, 조리기기 제어방법(S10)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제어방법(S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리기기 제어방법(S10)은 조리기기(20)를 제어하여 센서(32)의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 제어방법(S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식메뉴를 자동조리할 수 있으며, 자동조리하는 과정 중에 센서(32)의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 제어방법(S10)은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S100),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300),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400),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 제2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600), 제1 차이값과 제2 차이값을 비교하는 단계(S700) 및 고장 판단 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S1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출력부(400)를 통하여 보정개시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쿡웨어(30)를 처음 사용하거나 센서(32)의 측정값에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출력부(400)를 통하여 보정개시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보정개시명령은 자동조리 기능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동조리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식메뉴 및 음식메뉴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시피에 기초하여 자동조리음식을 조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시피는 복수 개의 조리기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조리기초정보는 식재료정보, 조리량정보 및 조리과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레시피가 라면 끓이기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시피인 경우 식재료정보는 물, 스프, 면, 대파 등의 식재료일 수 있으며, 조리량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인분에 대응되는 라면의 양일 수 있다. 또한, 조리과정정보는 라면을 끓이기 위한 재료 투입 순서, 끓이는 온도, 끓이는 시간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조리과정정보는 복수 개의 조리스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조리스텝 각각은 음식메뉴에 대한 가열세기 및 조리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과정정보가 라면 끓이기에 대한 조리과정정보인 경우 복수 개의 조리스텝은 순수 물을 5분 동안 센불로 가열하는 스텝, 면과 스프를 넣고 5분 동안 중불로 가열하는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개시명령은 복수 개의 조리 스텝 중 물을 끓이는 스텝에서 입력될 수 있다.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는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센서(32)를 통하여 용기(31)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1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용기(31)에 물이 수용되고 용기(31)에 수용된 물이 끓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센서(3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소정 범위 내에 속하면 만족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온도가 변화하지 않으며, 용기(31) 내의 물이 끓어서 포화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예시로,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기 설정된 최소가열시간 동안 용기(31)가 가열부(21)에 의해 가열되면 만족될 수 잇다. 이 경우 최소가열시간 동안 용기(31)가 가열부(21)에 의해 가열되면, 용기(31) 내의 물은 포화온도에 도달하였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용기(31) 내의 물은 포화온도에 도달하며, 센서(32)는 용기(31) 내의 물이 포화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의 용기(31)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 획득된 제1 측정값은 용기(31) 내의 물이 포화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용기(31)의 온도값일 수 있다.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300)에서는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 획득된 제1 측정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인 제1 차이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은 물의 끓는점에 상응하는 값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물의 포화온도인 100℃일 수 있다. 또한, 제1 측정값이 98℃인 경우 제1 차이값은 2℃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 및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300)는 보정개시명령이 입력되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S100)에서 사용자로부터 보정개시명령이 입력되거나, 자동조리 기능에 의해 보정개시명령이 입력되면,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 및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400)에서는 센서(32)를 통하여 용기(31)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용기(31)의 온도에 제1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2)를 통하여 용기(31)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용기(31)의 온도가 97℃인 경우 제1 차이값인 2℃만큼 보정하여 99℃로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에서는 조리기기(20)가 자동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센서(32)를 통하여 용기(31)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용기(31)의 제2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에서 가열조건은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의 가열조건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에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용기(31) 내의 물은 포화온도에 도달하며, 센서(32)는 용기(31) 내의 물이 포화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의 용기(31)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에서 획득된 제2 측정값은 용기(31) 내의 물이 포화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용기(31)의 온도값일 수 있다.
제2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600)에서는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에서 획득된 제2 측정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인 제2 차이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측정값은 97℃일 수 있으며, 제2 차이값은 3℃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 및 제2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600)는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 및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300)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00) 및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300)가 수행된 이후에 보정개시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 및 제2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차이값과 제2 차이값을 비교하는 단계(S700)에서는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S300)에서 획득된 제1 차이값과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500)에서 획득된 제2 차이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이값과 제2 차이값이 동일한 경우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400)에서 센서(32)를 통하여 용기(31)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용기(31)의 온도에 제1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1 차이값과 제2 차이값이 상이한 경우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400)에서 센서(32)를 통하여 용기(31)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용기(31)의 온도에 제2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고장 판단 단계(S800)에서는 제1 차이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용기(31) 또는 센서(32)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이값이 0℃ 내지 10℃ 범위를 벗어난 경우 용기(31) 또는 센서(32)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다한다. 또한, 최소가열시간 보다 적은 시간 동안 용기(31)가 가열부(21)에 의해 가열되었을 때, 측정된 용기(31)의 온도가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센서(32)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가열시간 보다 적은 시간 동안 용기(31)가 가열되었을 때, 측정된 용기(31)의 온도가 포화온도에 도달하면 센서(32)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가열시간은 가열부(21)의 출력 및 용기(31) 내의 물의 양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조리기기 세트
10: 조리기기 제어장치 20: 조리기기
21: 가열부 30: 쿡웨어
31: 용기 32: 센서
100: 프로세서 200: 통신단말
300: 메모리 400: 입출력부

Claims (13)

  1.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센서를 통하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인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상기 용기의 온도에 상기 제1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상기 용기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물이 끓는 조건이고,
    상기 기 저장된 기준값은 상기 물의 끓는점에 상응하는 값인,
    조리기기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온도는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식메뉴 및 상기 음식메뉴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시피에 기초하여 자동조리음식을 조리하는 자동조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보정개시명령은 상기 자동조리 기능에 의해 입력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리 기능은 물을 끓이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개시명령은 상기 물을 끓이는 스텝에서 입력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상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소정 범위 내에 속하는 조건인,
    조리기기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가열조건은 기 설정된 최소가열시간 동안 상기 용기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건인,
    조리기기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이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센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고장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가열시간은 상기 가열부의 출력 및 상기 용기 내의 물의 양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
  10.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제어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정개시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센서를 통하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인 제1 차이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상기 용기의 온도에 상기 제1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제어장치.
  11.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쿡웨어;
    상기 쿡웨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 제어장치는,
    기 설정된 가열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센서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과 기 저장된 기준값 간의 차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온도를 재측정할 때, 재측정된 상기 용기의 온도에 상기 차이값만큼 보정하여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세트.
  12.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45540A 2022-11-03 2022-11-03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KR20240063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540A KR20240063663A (ko) 2022-11-03 2022-11-03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540A KR20240063663A (ko) 2022-11-03 2022-11-03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663A true KR20240063663A (ko) 2024-05-10

Family

ID=9107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540A KR20240063663A (ko) 2022-11-03 2022-11-03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36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767A (ko) 2015-07-09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주방기기와 조리기기의 연동 시스템 및 주방기기와 연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00109911A (ko) 2019-03-15 2020-09-23 김혁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767A (ko) 2015-07-09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주방기기와 조리기기의 연동 시스템 및 주방기기와 연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00109911A (ko) 2019-03-15 2020-09-23 김혁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4125B2 (ja) 加熱調理器
JP6687676B2 (ja) 食品調理装置
US10412789B2 (en) Method for regulating a cooking process
EP3477206B1 (en) Cooking appliance with a user interface
CN104823518B (zh) 用于控制感应烹饪炉架上的烹饪过程的方法和控制单元
CN109683529B (zh) 一种烹饪控制方法、装置及烹饪设备
CN111706887A (zh) 烹饪器具、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42815B1 (ko) 레시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9863824A (zh) 用于烹饪系统的自适应热控制
CN110687810B (zh) 烹饪方法、烹饪器具、烹饪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83167A (ko) 조리 기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JP6669482B2 (ja) 加熱調理器
CN112515460A (zh) 温度检测方法、锅具及烹饪器具
CN110737293A (zh) 进行菜谱烹饪的方法、装置及其灶具
JP5496168B2 (ja) 加熱調理器
JP7329611B2 (ja) レシピ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40063663A (ko)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CN211432216U (zh) 锅具及烹饪器具
JP7325525B2 (ja) レシピ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7482680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加熱調理器、および端末装置
KR20240025388A (ko) 조리기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
KR20230151292A (ko) 조리기기
CN114831493B (zh) 一种智能保鲜方法及烹饪保鲜设备
KR20240063661A (ko) 조리기기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CN112965542B (zh) 智能烹饪设备控制方法、控制设备、智能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