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050A - 식재료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재료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050A
KR20240060050A KR1020220141260A KR20220141260A KR20240060050A KR 20240060050 A KR20240060050 A KR 20240060050A KR 1020220141260 A KR1020220141260 A KR 1020220141260A KR 20220141260 A KR20220141260 A KR 20220141260A KR 20240060050 A KR20240060050 A KR 20240060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flow
flow forming
washer
for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김의성
김양경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050A/ko
Publication of KR2024006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08B3/1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using propel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물탱크 내의 물 유동으로 식재료를 세척하는 식재료 세척기에 있어서, 수류를 형성하는 구성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세척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를 구성하는 일 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수류 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류 형성부재와 상기 일 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류 형성부재와 상기 일 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홈이 형성되는 식재료 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재료 세척기 {FOOD INGREDIENTS WASHER}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식재료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탱크 내의 물 유동으로 식재료를 세척하는 식재료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재료 세척기는 채소 또는 과일 등 다양한 식재료를 세척수의 유동을 통해 자동으로 씻어준다. 가정에서 채소 또는 과일을 일일이 세척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동을 필요로 한다. 식재료 세척기는 기계 장치에 의해 물의 유동을 형성하여 채소 및 과일 표면을 자동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애고 시간을 절약해준다.
식재료는 종류에 따라 물에 대해 다양한 특성을 갖는다. 일 예로 방울 토마토와 같이 물에 가라 앉거나, 브로콜리와 같이 물에 뜨지만 균일하지 않고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거나, 상추나 깻잎과 같이 넓은 면적으로 가지고 뭉쳐 있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식재료가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특성을 갖는 식재료에 대해 하나의 고정된 유동 패턴만을 사용하여 세척을 할 경우, 세척수가 겉돌거나 식재료가 구석에 몰려서 정체될 수도 있고, 식재료의 위치에 따라 세척 정도가 달라져 불균일하게 세척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 식재료 세척기는 물의 유동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 구조를 갖는데, 이 구동 구조는 물에 닿아서는 안되는 영역(예를 들어, 모터 및 회로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이 영역의 방수를 위한 구조를 요구한다. 이러한 방수 구조는 설계 제조 비용의 증가, 고장 가능성의 증가 우려가 있다.
관련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254100호 (2000. 1. 29. 등록, 이하, "종래기술 1")는 야채과일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 내부의 물을 펌프로 순환시켜 다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순환펌프 및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해당 발명은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척대상을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급수노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고압 세척수의 효과를 받는 곳이 한 지점에 국한되고, 그로 인해 생성되는 전체 세척수의 유동 형태 또한 고정적이다. 결국 세척 대상인 식재료의 위치에 따라 세척 정도의 불균일이 발생하고, 식재료의 종류에 맞는 세척수 유동을 만들 수 없다.
또 다른 관련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246429호 (1999. 12. 6. 등록, 이하, "종래기술 2")는 식품세척기가 장착된 복합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세척조에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이 세척조에 설치된 세척날개 및 모우터에 의해 유동을 형성하여 식품을 세척한다. 해당 발명은 식재료의 자동 세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세척날개에 연결된 모우터의 축이 세척조의 바닥면을 통과해야 하므로 신뢰도 있는 실링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는 설계 및 제조상의 비용 증가를 가져오며, 세척조를 세척하기가 어려워 위생 상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기술 1 및 2과 같은 종래 형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다양한 물의 유동, 즉 다양한 수류가 생성되어 효과적인 식재료 세척이 가능한 식재료 세척기가 요구된다.
또한, 종래기술 2와 같은 종래 형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하는 실링 및 수조의 세척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수류 생성 구조를 갖는 식재료 세척기가 요구된다.
또한, 종래기술 2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력을 통해 구현되는 분리형 구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계적인 고정 부재의 부재로 인한 교반기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식재료 세척기가 요구된다.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탱크에 별도의 관통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수류 생성이 가능한 식재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물탱크의 바닥면에 관통 구조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별도의 실링 구조가 필요 없고, 식재료 세척기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물탱크의 세척이 용이한 식재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류 형성부재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식재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수류 형성부재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수류 형성부재와, 물탱크를 구성하는 일 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세척수 유동을 위한 구동 구조로서 수류 형성부재는 물탱크를 구성하는 일 면을 기준으로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되고, 구동부가 수류 형성부재에 대응하여 일 면을 기준으로 수용 공간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 수류 형성부재와 구동부가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와 구동부 사이에 물탱크의 일 면에서의 세척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 구조를 생략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구동부가 마그네틱 교반기인 수류 형성부재에 대응하는 구동 자석을 포함하는 로터 및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수류 형성부재와 구동 자석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구동부에 의해 수류 형성부재가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마그네틱 교반기가 구동 자석에 대응되는 피구동 자석을 포함하고, 피구동 자석은 로터의 구동 자석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부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마그네틱 교반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구동 자석과 피구동 자석이 수류 형성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수류 형성부재에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 홈이 물탱크의 일 면에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물탱크의 일 면에 부싱과, 부싱이 삽입되는 부싱 홈이 구비되고, 돌기 홈은 부싱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수류 형성부재는 돌기가 돌기 홈에 안착됨으로써 부싱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부싱의 높이가 부싱 홈의 깊이보다 크도록 구비되어, 수류 형성부재와 물탱크의 일 면 사이에 이격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의 회전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수류 형성부재에 안착 홈이 형성되고, 부싱의 돌출된 부분이 안착 홈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수류 형성부재의 위치 이탈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안착 홈의 깊이는 부싱의 물탱크 일 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안착 홈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류 형성부재와 물탱크의 일 면 사이의 이격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부싱이 스테인레스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재질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부싱이 수류 형성부재와 구동부 사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부싱의 내마모성 및 윤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돌기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기 홈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수류 형성부재의 회전이 원활해지고, 소음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세척기는 돌기가 원기둥 형상의 제1 부분과,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수류 형성부재가 안정적으로 구동하면서도, 수류 형성부재의 이탈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물탱크에 별도의 관통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수류 생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관통 구조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별도의 실링 구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링에 소요되는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물탱크의 세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수류 형성부재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식재료 세척기의 구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하방 수류 형성부의 몇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측방 수류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의 일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식재료 세척기의 세척수를 제어하는 몇 가지 상황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써,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는 물탱크(110)와, 바스켓(120)과, 하우징(130)과,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와, 급수부(160)와, 수량 감지 센서(170)와, 배수부(180)와, 살균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를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재료 세척기(100)는 물탱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10)의 내부에는 세척수 수용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110)에 채워진 세척수는 식재료에 유동에 의한 마찰을 일으켜 식재료를 세척할 수 있다.
물탱크(110)는 상면이 뚫린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10)의 수평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물탱크(110)의 수평 단면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세장형(細長型)일 수 있다. 세장형 물탱크(110)를 갖는 식재료 세척기(100)는 일 방향(실시예의 경우 폭 방향)에 대해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물탱크(110)의 하우징(130),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접하는 하부(132) 및 물탱크(110)의 일 측면에 접하는 측부(133)의 폭은 세장형 물탱크(11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물탱크(110)의 수평 단면은 식재료 세척기(100)의 취급하는 식재료의 종류 또는 요구되는 심미감이나 세척 성능 등의 요인에 따라 정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물탱크(110)는 수직 방향을 따라 동일한 수평 단면을 갖는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물탱크(110)는 필요에 따라 수직 방향을 따라 단면의 형상 또는 크기가 일정하지 않게 설계될 수도 있다.
물탱크(110)는 측면(111)과 바닥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어느 한 측면은 하우징(130)의 측부(133)에 의해 형성되고,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은 하우징(130)의 하부(1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적어도 일부는 광학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측면(111)은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plastic) 소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강화 유리(tempered glass)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적어도 일부가 광학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외부에서 세척수 및 식재료가 물탱크(110)에 들어있는지 여부, 세척수의 유동 상태 및 식재료 세척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30)의 형상 및 배치 등에 따라, 물탱크(110)의 측면(111)은 모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모두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물탱크(110)에는 급수구(16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급수구(161)는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하우징(130)의 측부(133)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는 급수구(161)를 통해 물탱크(110)의 수용 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급수구(161)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탱크(110)에는 배수구(18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배수구(181)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는 배수구(18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커버(10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01)를 개방한 상태에서 바스켓(120)에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커버(101)는 물탱크(110) 또는 바스켓(12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식재료 또는 세척수가 외부로 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바스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120)은 물탱크(110)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바스켓(120)은 상면이 뚫린 입체 형상일 수 있다. 바스켓(120)은 물탱크(110) 내에서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즉, 바스켓(120)은 식재료들이 직접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스켓(120)은 물탱크(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물탱크(11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물탱크(110)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물탱크(110)의 수용 공간(s)에 대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스켓(120)은 세척이 요구되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바스켓(12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121)를 포함하는 개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척수는 바스켓(120)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121)를 통해 자유롭게 바스켓(120)의 내외부를 출입할 수 있다. 바스켓(120)의 개구(121)는 복수로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열(예를 들어, 그물망 형태) 될 수 있다. 이 때, 개구(121)는 통상의 식재료가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스켓(120)에 개구(121)가 형성됨에 따라, 하방 수류 형성부(140) 및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의해 형성된 수류는 바스켓(120)의 내측의 세척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121)가 구비된 개방형 바스켓(120)은 식재료를 용이하게 물탱크(110)에 담그거나, 세척이 완료된 식재료를 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스켓(120)이 물탱크(110)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재료를 바스켓(120)에 투입한 이후, 식재료가 들어있는 바스켓(120)을 물탱크(110)에 넣는 경우, 세척수가 개구(121)를 통해 자연스럽게 바스켓(120)의 내부로도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식재료의 세척이 완료되어 꺼내야 할 때, 식재료가 바스켓(12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스켓(120)을 들어올리면, 식재료는 바스켓(120)의 내부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세척수만 개구(121)를 통해 바스켓(120)의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1)는 바스켓(120)의 측면 및 하부면에 걸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식재료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세척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개구(121)는 바스켓(120)의 측면 중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대향하는 위치 및 하부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스켓(120)의 측면 중 측방 수류 형성부(150)를 통해 세척수가 측방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은 막혀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식재료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 개구(121)에 의한 세척수 유동의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세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재료 세척기(100)는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에는 세척수 공급/배수/유동형성 등의 동작들을 수행하고 제어하는 전장부(131)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하우징(130)은 물탱크(110)의 하부 및 일 측부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130)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과 접하는 하부(132) 및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일 면에 접하는 측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세척수 공급/배수/유동형성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배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물탱크(110)의 하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고,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측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구비될 수 있고,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하우징(130)의 측부(133)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수류 형성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물탱크(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세척수와 직접 접촉하여 세척수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에서 수류 형성부재(141)는 마그네틱 교반기(magnetic stirrer)(141)일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부싱(1121)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싱(1121)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일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싱(1121)은 수류 형성부재(141)를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와, 부싱(1121)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식재료 세척기(100)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물탱크(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물탱크(110)의 하부 영역에서 세척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장치 수직 방향 위주의 세척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모인 후(흡입 유동) 방사형으로 퍼져나가는(토출 유동)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세장형으로 형성되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지점에서,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수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하방 수류 형성부(140)에 의해 다양하고 광범위한 영역의 수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다양한 수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개수, 배치 위치 및 정렬 방향은 수류 특성에 영향을 주고, 각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방향 전환 가능성 여부도 수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수류 형성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물탱크(110)를 구성하는 일 면을 기준으로 수용 공간(s)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수류 형성부재(141)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세척수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류 형성부재(141)는 물탱크(11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수류 형성부재(141)는 세척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세척수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형성부재(141)는 세척수의 수직 방향 위주의 수류(예를 들어, 회오리 형태의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물탱크(110)와 바스켓(120)의 인접한 두 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스켓(120)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1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류 형성부재(141)에 의해 형성된 세척수의 유동은 바스켓(120)의 내부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구동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2)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일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2)는 전장부(131)의 일 구성인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구동부(142)는 물탱크(110)를 구성하는 일 면을 기준으로 수용 공간(s)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구동부(142)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142)는 하우징(130)의 하부(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는 물탱크(110)를 구성하는 일 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구동부(142)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42)는 수류 형성부재(14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형성부재(141)는 피구동 자석(1413)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교반기(141)일 수 있고, 구동부(142)는 자기력(magnetic force)을 이용하여 마그네틱 교반기(14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가 구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에서는,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가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를 연결하는 구동축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의 사이는 물탱크(110)를 구성하는 일 면에 의해 막혀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의 사이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의해 막혀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탱크(110)에는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를 연결하는 구동축을 위한 홀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가 하우징(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 구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링 구조가 필요 없으므로 실링에 소요되는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물탱크의 세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식재료 세척기(100)는 측방 수류 형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측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하우징(130)의 측부(133)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측면 영역에서 장치 수평 방향 위주의 세척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용량이나 식재료의 크기 등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세척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펌프(15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측방 수류 형성부(150)의 펌프(154)는 펌프(pump)일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펌프(154)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110) 내에서 세척수를 측방으로 퍼뜨리는 위주의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의한 수류에 대해서는 도 11과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가이드 브라켓(15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5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10)의 측면(111)에서 수용 공간(s) 측으로 드러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브라켓(151)은 측방 수류 형성부(150)가 구비되는 물탱크(110)의 측면(111)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51)은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유입 및 유출되는 세척수의 경로를 형상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51)은 물탱크(110)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토출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52)는 두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토출구(152)는 가이드 브라켓(151)에서 좌우로 구비되어 물탱크(110)의 폭 방향에 대해 수류의 사각 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이드 브라켓(151)은 측방 수류 형성부(150)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흡입구(15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53)는 토출구(152)의 구멍보다 작은 미세 타공 형태로 배열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방향성이 최대한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측방 수류 형성부(15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동으로 인해 측방 수류 형성부(150)로부터 유출되는 세척수의 유동이 최대한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가이드 브라켓(151)과 펌프(154)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가이드 브라켓(151)과 펌프(154)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하우징(130)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브라켓(151)이 측면(111)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펌프(154)는 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하우징(130)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이 가이드 브라켓(151)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즉, 측방 수류 형성부(150)의 구성은 하우징(130)의 측부(133)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용 공간(s)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고, 토출구(152) 및/또는 흡입구(153)는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하우징(130)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의 동작은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의 속도 및 회전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포함된 펌프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척이 요구되는 식재료의 크기, 형상, 모양 등에 따라 세척수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세척수를 물탱크(110)에 공급하는 급수부(160)와, 세척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량/배수량을 감지하는 수량 감지 센서(170)와, 물탱크(110)의 세척수 또는 살균수를 배수하는 배수부(180)와, 살균수를 생성하여 물탱크(110)에 공급하는 살균부(190)와, 세척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배수,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해서는 도 12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5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의 식재료 세척기(100)의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그 주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수류 형성부재(141)가 마그네틱 교반기(14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마그네틱 교반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물탱크(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상부 케이스(1411)와, 하부 케이스(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11)와 하부 케이스(1412)는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11)와 하부 케이스(1412)의 사이에는 피구동 자석(1413)이 실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일체형의 케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이 아닌 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케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피구동 자석(1413)을 포함할 수 있다. 피구동 자석(1413)은 로터(1421)에 구비되는 구동 자석(1421c)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구동 자석(1413)은 구동 자석(1421c)에 대응되는 자성을 띌 수 있고, 이로 인해 형성되는 자기력을 통해 로터(1421)가 회전하면 마그네틱 교반기(141)가 회전할 수 있다. 피구동 자석(1413)은 구동 자석(1421c)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피구동 자석(1413)과 구동 자석(1421c) 사이에는 인력이 형성될 수 있다.
피구동 자석(1413)은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상부 케이스(1411)와 하부 케이스(14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구동 자석(1413)은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피구동 자석(1413)은 로터(1421)의 구동 자석(1421c)과의 상호작용하여 마그네틱 교반기(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피구동 자석(1413)은 케이스에 의해 감싸져 세척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는 피구동 자석(1413)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일체형 케이스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부 케이스(1411) 및 하부 케이스(1412)는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관한 특징은 후술하는 로터(1421)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12)는 피구동 자석(1413)의 안착 영역을 마련하여 피구동 자석(1413)의 안정적인 안착을 돕고, 피구동 자석(1413)과 구동 자석(1421c)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로터(1421)의 상부 케이스(1421a) 내측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피구동 자석(1413)은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회전축(x)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구동 자석(1413)은 복수로 구비되어 회전축(x)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142)의 로터(1421)로부터 자기력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피구동 자석(1413)과 구동 자석(1421c) 사이에 충분히 강한 자기력이 형성되는 경우, 피구동 자석(1413)은 단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피구동 자석(1413)은 구동 자석(1421c)과 상호 인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 발생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구동 자석(1421c)과 대응되는 형상, 구조 및 배치를 가질 수 있다.
피구동 자석(1413)과 구동 자석(1421c)은 대응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응면이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부피 대비 발생하는 인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피구동 자석(1413)과 구동 자석(1421c)은 회전축(x) 수직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피구동 자석(1413)과 구동 자석(1421c)은 회전축(x) 수직면에 대해 일정 각도 틸트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구동 자석(1421c)이 피구동 자석(1413) 보다 선행하여 회전하는 점을 고려한 구조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몸체(141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414)는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하부 부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몸체(1414)는 납작한 원반 형상일 수 있다. 몸체(1414)는 상부 케이스(1411)의 일부와 하부 케이스(14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몸체(1414)는 상부 케이스(1411) 및 하부 케이스(1412)에 의해 상하로 분리될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날개(1415)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1415)는 몸체(1414)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날개(1415)는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가 회전하면, 날개(1415)가 세척수를 가르면서 세척수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1415)가 구비된 마그네틱 교반기(141)가 회전함에 따라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상부에서는 세척수의 회오리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해, 세척수는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회전축(x)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모이면서 축 방향 하방으로 유동한 후(흡입 유동), 날개(1415)에 의해 방사형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토출 유동).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구동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2)는 하우징(130)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2)는 하우징(130) 내의 전장부(131)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구동부(142)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2)는 마그네틱 교반기(141)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2)는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142)는 로터(1421)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1421)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근접하여 회전할 수 있다. 로터(1421)는 샤프트(1423)에 의해 모터(1422)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로터(1421)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1421)는 상부 케이스(1421a)와, 하부 케이스(1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21a)와 하부 케이스(1421b)는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21a)와 하부 케이스(1421b)의 사이에는 구동 자석(1421c)이 실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로터(1421)는 일체형의 케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이 아닌 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케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로터(1421)는 구동 자석(1421c)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자석(1421c)은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자석(1421c)은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구비되는 피구동 자석(1413)에 대응되는 자성을 띌 수 있고, 이로 인해 형성되는 자기력을 통해 로터(1421)가 회전하면 마그네틱 교반기(141)가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자석(1421c)은 로터(1421)의 상부 케이스(1421a)와 하부 케이스(142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자석(1421c)은 로터(1421)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 자석(1421c)은 마그네틱 교반기(141)의 피구동 자석(1413)과 상호작용하여 마그네틱 교반기(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자석(1421c)은 로터(1421)의 회전축(x)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자석(1421c)은 복수로 구비되어 회전축(x)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자기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 자석(1421c)과 피구동 자석(1413) 사이에 충분히 강한 자기력이 형성되는 경우, 구동 자석(1421c)은 단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동 자석(1421c)은 피구동 자석(1413)과 상호 인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 발생을 극대화하기 위해 피구동 자석(1413)과 대응되는 형상, 구조 및 배치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142)는 모터(142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22)는 로터(14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1422)는 로터(14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1422)에서 형성된 회전력은 샤프트(1423)를 통해 로터(1421)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423)는 로터(1421)의 상부 케이스(1411) 및 하부 케이스(1412)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모터(1422)에 의해 로터(1421)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로터(1421)에 구비되는 구동 자석(1421c)과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구비되는 피구동 자석(1413)이 서로 상호작용(예를 들어, 자기력)하면서, 마그네틱 교반기(141)가 로터(14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교반기(141)와 로터(1421)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의해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와 로터(1421)의 사이에 구비되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또는, 하우징(130)의 부재 일 영역)은 구동 자석(1421c)과 피구동 자석(1413) 사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재(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과 같은 비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교반기(141) 및 로터(1421)는 회전 구동시 편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축(x) 수직면을 기준으로 등방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피구동 자석(1413) 및 구동 자석(1421c)은 균일한 직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2)는 고정 지그(14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22)는 고정 지그(143)에 의해 하우징(1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422)는 고정 지그(143)의 중앙 영역에 고정되고, 고정 지그(143)의 양 단부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즉 하우징(130)의 하부(132)의 윗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지그(143)의 중앙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샤프트(1423)는 개구부를 통해 고정 지그(143)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로터(1421)는 고정 지그(14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샤프트(142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1422)가 하우징(13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고정 지그(143)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모터(1422)가 하우징(130)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 고정 지그(143)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통해,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관통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도 마그네틱 교반기(141)가 물탱크(11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별도의 실링 구조가 필요 없어지므로, 실링 구조를 위한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이 막혀있는 구조를 통해 하우징(130)으로의 세척수 유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습기로 인한 식재료 세척기(10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에서 마그네틱 교반기(141)는 구동부(142)와의 별도의 기계적인 결합 없이, 자기력에 의해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안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마그네틱 교반기(141)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당기면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서 쉽게 탈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틱 교반기(141)를 손 쉽게 분리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류 형성부재(141)의 측 방향 이탈 방지를 위한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후술한다.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일 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1416)를 포함할 수 있고,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일 면 중 다른 하나에는 돌기(1416)가 삽입되는 돌기 홈(11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416)는 수류 형성부재(141)에 형성될 수 있고, 돌기 홈(1123)은 물탱크(11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물탱크(110)의 일 면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돌기(1416)가 수류 형성부재(141)에 구비되고, 돌기 홈(1123)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류 형성부재(141)는 돌기(1416)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416)는 수류 형성부재(141)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1416)는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축(x)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돌기(1416)는 수류 형성부재(141)가 물탱크(110)의 하부면에 안착되었을 때 돌기 홈(1123)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돌기 홈(1123)은 물탱크(11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홈(1123)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돌기 홈(1123)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일 구성인 부싱(1121)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1416)는 원기둥 형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 홈(1123)은 돌기(1416)의 원기둥 형상 부분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141)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1416)는 제1 부분(141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416a)은 수류 형성부재(141)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1416a)은 돌기(1416) 전체에서 수류 형성부재(141) 몸체(1414)에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1416a)의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은 돌기 홈(1123)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분(1416a)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기 홈(1123)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416a)이 돌기 홈(1123)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부분(1416a)의 외주면과 돌기 홈(1123)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141)가 회전할 때, 돌기 홈(1123)에 대해 측 방향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부분(1416a)의 길이는 돌기 홈(1123)의 깊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부분(1416a)의 외주면과 돌기 홈(1123)의 내주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 마찰이 감소할 수 있다.
돌기(1416)는 제2 부분(141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416b)은 돌기(1416) 전체에서 수류 형성부재(141)에서 먼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분(1416b)은 제1 부분(1416a)의 단부의 중앙 영역에서 제1 부분(1416a)의 반경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돌출될 수 있다. 제2 부분(1416b)은 제1 부분(1416a)에서 추가적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 시 제1 부분(1416a)이 돌기 홈(1123)에서 이탈하더라도, 제2 부분(1416b)이 돌기 홈(1123)에 걸림으로써 수류 형성부재(141)의 측 방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는 안착 홈(1417)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홈(1417)은 돌기(1416)의 주변 영역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1417)의 수평 단면은 부싱(1121)의 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1121)의 상단 부분은 안착 홈(1417)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141)의 측 방향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물탱크(110)의 일 면에는 부싱(1121)과, 부싱(1121)이 삽입되는 부싱 홈(1122)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은 부싱(1121)과, 부싱(1121)이 삽입되는 부싱 홈(1122)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싱(1121)은 수류 형성부재(141)의 하부면 및 돌기(1416)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부싱(112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부싱 홈(1122)은 부싱(1121)이 알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1121)은 부싱 홈(11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부싱(1121)은 돌기 홈(1123)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 홈(1123)은 부싱(112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의 돌기(1416)가 부싱(1121)에 형성된 돌기 홈(1123)에 안착됨으로써, 수류 형성부재(141)는 부싱(112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돌기 홈(1123)은 부싱(1121)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싱(1121)을 분리하여 세척할 때, 돌기 홈(1123)이 형성된 부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부싱(1121)에 형성되는 돌기 홈(1123)은 하방이 막혀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돌기(1416)의 하단면이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직접 닿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 마찰이 감소할 수 있다.
부싱(1121)의 높이는 부싱 홈(1122)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부싱(1121)이 부싱 홈(1122)에 안착되었을 때, 부싱(1121)의 상단 부분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141)가 부싱(1121)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에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에는 0.5mm 내지 1mm의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을 통해,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므로,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마모/파손/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의 마찰이 감소함에 따라 수류 형성부재(141)가 더욱 빠르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세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에 형성되는 안착 홈(1417)의 깊이는 부싱(1121)이 물탱크(110)의 일 면에 안착되었을 때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141)가 부싱(1121)의 상부면에 안착되었을 때, 여전히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에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싱(1121)은 수류 형성부재(141)와 로터(1421)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수류 형성부재(141)와 로터(1421) 사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있도록, 자성이 없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싱(1121)은 STS304 계열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부싱(1121)은 수류 형성부재(141)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윤활성분을 띄어 마찰에 유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싱(1121)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싱(1121)은 상부면이 평평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류 형성부재(141)가 부싱(1121)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부싱(1121)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부싱(1121)이 파손되는 우려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싱(1121)의 상부면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싱(1121)과 수류 형성부재(141)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수류 형성부재(141)에 돌기(1416)가 구비되고,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돌기 홈(1123)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수류 형성부재(141)에 돌기 홈(1123)이 형성되고,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돌기(141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의 계합 구조는 도 5에서 돌기(1416)와, 돌기 홈(1123)과, 부싱(1121)의 구조가 상하로 반전된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부싱(1121)은 수류 형성부재(141)에 형성된 부싱 홈(1122)에 안착되고,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서 돌출된 돌기(1416)는 부싱(112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돌기 홈(1123)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앞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의 식재료 세척기(100)와 마찬가지로, 수류 형성부재(141)의 측 방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가 구비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 중 일부만을 구비하여 실시될 수도 있고, 이 외의 추가적인 수류 형성부가 구비되어 실시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식재료 세척기(100)가 수류 형성부재(141), 즉 마그네틱 교반기(141)를 이용하여 수직 방향 위주의 수류를 형성하고,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펌프를 이용하여 측방 위주의 수류를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펌프를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마그네틱 교반기(141)를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가 모두 수류 형성부재(141)를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할 수도 있고,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가 모두 펌프 구성을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가 펌프 방식이 아닌, 하방 수류 형성부(140)와 마찬가지로 수류 형성부재(141)가 회전함으로써 수류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술한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이 전체적으로 90도만큼 회전하여 물탱크(110)의 측면(111)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수류 형성부재(141)와 구동부(142)는 물탱크(110)의 측면(111)에 의해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물탱크(110)의 측면(111)에는 수류 형성부재(141)의 구동을 위한 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하방 수류 형성부의 몇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8 및 도 9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수류 형성부재(141)가 단일로 구비된 경우의 세척수 유동을, 도 10은 하방 수류 형성부(140)의 수류 형성부재(141)가 복수로 구비된 경우의 세척수 유동을 도시한 것이다.
하방 수류 형성부(140)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수류 형성부재(141)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에 대응하여 단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수류 형성부재(141)의 구동 방향에 따라 다양한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렇듯, 각 수류 형성부재(141)의 회전 방향을 조합함에 따라 세척수 전체 유동도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류 형성부재(141)는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중앙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폭 방향 측 벽면 사이는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 수류는 강하게 형성되고,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길이 방향 측 벽면 사이는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 수류가 약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류 형성부재(141)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서 일 측에 편중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물탱크(110)의 폭 방향 공간 및 일측 공간은 수류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형성되고, 타측 공간은 수류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방 수류 형성부(14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류 형성부재(140)도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형성부재(141)는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141)가 복수로 구비되면, 수류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세척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물탱크(110)는 일 측방으로 연장된 세장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일의 수류 형성부재(141)로는 수용 공간(s)의 전 영역에서의 세척수 유동을 형성하기 힘들 수 있는데, 수류 형성부재(141)가 복수로 구비되어 세장형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구성되는 경우, 수류 발생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류 형성부재(141)의 여러가지 회전 방향의 조합을 통해 수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두 수류 형성부재(141)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수류 형성부재(141)가 두 개로 구비되는 경우의 세척수 유동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는 세장형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의 사이의 수류는 상쇄되고,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측면(111) 사이에는 큰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 사이의 수류는 강화되고, 두 개의 수류 형성부재(141) 둘레의 수류는 각자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와 같이 물탱크(110)가 세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의 유동을 골고루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 형성부재(141)가 두 개 구비되고, 각각의 수류 형성부재(14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물탱크(110)의 측면(111)을 따라 큰 수류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 형성부재(141)가 두 개 구비되고, 각각의 수류 형성부재(141)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물탱크(110)가 더욱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류 형성부재(141)는 세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수류 형성부재(141)는 이웃하는 수류 형성부재(141)와 반대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10)의 수평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운 경우에는,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 유동을 골고루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수류 형성부재(141)가 단수로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물탱크(110)의 형상에 따라 수류 형성부재(141)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측방 수류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의 일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측방 수류 형성부(150)는 물탱크(110)의 측면(111)에 구비될 수 있다.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서 세척수가 토출되면 도 10을 기준으로 세척수는 좌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좌측으로 유동한 세척수는 물탱크(110)의 측면(111) 중 측방 수류 형성부(150)가 구비되는 측면(111)의 반대측 측면(111)에 부딪힌 후 상하로 산개되면서 다시 우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우측으로 유동하여 다시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도달한 세척수는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유입된 후, 측방 수류 형성부(150)의 내측에 구비되는 펌프에 의해 다시 펌핑되어 좌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는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의해 위와 같은 흡입 유동과 토출 유동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물탱크(110)의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방 수류 형성부(140)에 의한 세척수의 유동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의한 세척수의 유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가 작동하면, 물탱크(110)의 내부에서는 하방 수류 형성부(140)에 의한 수직 방향 위주의 수류(예를 들어, 회오리 모양의 수류)와, 측방 수류 형성부(150)에 의한 수평 방향 위주의 수류(예를 들어, 세척수의 측 방향 수류)가 동시에 일어나면서 매우 복잡한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잡한 수류는 세척수와 식재료 사이에 마찰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식재료가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식재료 세척기(100)의 세척수를 제어하는 몇 가지 상황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것이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물탱크(110)에 세척수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세척수를 살균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물탱크(1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도 14 및 도 15는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식재료 세척기(100)는 급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60)는 식재료 세척기(100) 외부의 물 공급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물 공급 배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하우징(130) 내부에 설치된 급수관(163)을 지나 물탱크(110)에 구비된 급수구(161)를 통해 물탱크(1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재료 세척기(100)에 편리하게 세척수를 보충할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수량 감지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량 감지 센서(170)는 물탱크(110)에 충분한 물이 채워졌는지 인식할 수 있다. 수량 감지 센서(170)는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 양을 측정하거나, 물탱크(110)로 공급된 세척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수량 감지 센서(170)는 수면의 높이를 인식하는 수면 센서일 수 있다. 수면 센서는 광학 측정 방식 또는 파장 측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수량 감지 센서(170)는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수량 감지 센서(170)는 물탱크(110) 내로 공급된 세척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일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식재료 세척기(100)는 배수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80)는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수부(180)는 식재료 세척기(100) 외부의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는 배수구(18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81)를 통해 빠져나가 물은 배수관(182)을 통해 외부 배관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배수부(180)를 통한 세척수의 배수량은 앞서 설명한 수량 감지 센서(17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수량 감지 센서(170)는 급수 과정에서 수량 감지를 위한 센서 및 배수 과정에서 수량 감지를 위한 센서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통합된 형태의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급수부(160) 및 배수부(180)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추가적인 수고 없이 세척수를 보충하고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모드에 따라 세척수의 보충 정도 또는 배출 정도를 달리하여 목표로 하는 여러가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제어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수량 감지 센서(170)의 신호를 기반으로 급수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급수부(160)의 동작은 급수 밸브(162)를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량 감지 센서(170)가 감지한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 양이 목표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02)는 급수 밸브(162)로 하여금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급수 밸브(162)로 하여금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수량 감지 센서(170)의 신호에 기반하여 배수부(1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배수부(180)의 동작은 배수 밸브(183)를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는 수량 감지 센서(170)가 감지한 물탱크(110) 내의 세척수 양이 목표량 미만이 될 때까지 배수 밸브(183)를 제어하여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10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시스템-온-칩(system-on-chip) 등과 같은 칩셋(chipset)의 물리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식재료 세척기(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자적 구성들, 예를 들어 배터리(battery), 센서(sensor), 메모리(memory) 등과 같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어 기능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물탱크(110)의 세척수를 순환시키면서 살균을 수행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식재료 세척기(100)는 살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부(190)는 급수부(16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경로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공급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살균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세척수 순환 살균 방식은 살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살균 효과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순환 살균 방식 방식은 새로운 물의 공급 없이 이미 물탱크(110)에 공급된 세척수를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물을 절약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살균부(190)는 급수부(160) 및 배수부(180)와 같이 하우징(13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출수구(192)는 물탱크(110)의 세척수가 출수되어 살균 모듈(193)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입수구(191)는 살균 모듈(193)에서 형성된 살균수가 물탱크(110)로 입수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관(194)은 살균부(190)를 순환하는 세척수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살균부(190)의 입수구(191)는 급수부(160)의 급수구(161)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물탱크(110)에 살균수가 유입되는 구멍과, 세척수가 유입되는 구멍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급수부(160)를 통해 최초로 공급된 세척수가 다시 살균부(190)로 유입되어 살균수가 형성된 후, 생성된 살균수가 다시 물탱크(110)로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 모듈(193)이 급수관(163)에 연결되거나, 살균부(190)의 순환관(194)의 일 지점이 급수관(163)에 연결될 수 있다.
살균 모듈(193)은 살균부(190)로 유입된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도물에는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전기분해하면 차아염소산(HOCL)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 모듈(193)은 약품 투입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살균 모듈(193)은 살균 모듈(193)에 수용되어 있는 살균 물질은 유입된 세척수에 희석시키는 방식으로 살균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살균부(190)에 의해 물탱크(110)로 공급되는 살균수는 식재료에 묻어있는 농약 성분을 분해할 뿐만 아니라, 식재료나 물탱크(110)의 벽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즉, 살균수를 통해 물탱크(110) 자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물탱크(110)를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200)와 관련하여 설명되지 않는 세부 구성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물탱크(210)의 일 면은 단차부(2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200)에서는, 단차부(2121)가 물탱크(210)의 바닥면(212)에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2121)는 주변보다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단차부(2121)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부싱(1121)의 상단 부분이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에서 돌출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부싱(1121)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200)의 단차부(2121)는 물탱크(210) 바닥면(212)과 일체로 구비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돌기 홈(2123)은 단차부(212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241)의 돌기(2416)가 단차부(2121)에 형성된 돌기 홈(2123)에 안착됨으로써, 수류 형성부재(241)는 단차부(212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241)가 단차부(2121)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단차부(2121)가 물탱크(210)의 바닥면(21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241)와 물탱크(210)의 바닥면(212) 사이에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에는 0.5mm 내지 1mm의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에는 0.5mm 내지 1mm의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을 통해,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므로,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의 마모/파손/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수류 형성부재(141)와 물탱크(110)의 바닥면(112) 사이의 마찰이 감소함에 따라 수류 형성부재(141)가 더욱 빠르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세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단차부(2121)의 상부면은 평평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류 형성부재(241)가 단차부(2121)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단차부(2121)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단차부(2121)가 파손되는 우려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차부(2121)의 상부면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차부(2121)와 수류 형성부재(241)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수류 형성부재(241)의 회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241)는 안착 홈(2417)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홈(2417)은 돌기(2416)의 주변 영역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2417)의 수평 단면은 단차부(2121)의 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안착 홈(2417)에는 단차부(2121)의 상단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수류 형성부재(241)가 물탱크(210) 내에 장착되었을 때, 단차부(2121)의 상단 부분이 안착 홈(2417)의 내측에 안착됨으로써, 수류 형성부재(241)의 측 방향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안착 홈(2417)의 깊이는 단차부(212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241)가 단차부(2121)의 상부면에 안착되었을 때, 여전히 수류 형성부재(241)와 물탱크(210)의 바닥면(212) 사이에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1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300)의 세부 구성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300)에서, 돌기(3416)의 높이는 돌기 홈(3123)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류 형성부재(341)에 구비된 돌기(3416)의 높이는 물탱크(310)의 바닥면(312)에 형성되는 돌기 홈(3123)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수류 형성부재(341)가 물탱크(310)의 바닥면(312)에 장착되었을 때,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100)의 부싱(1121)이나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200)의 단차부(2121) 없이도, 수류 형성부재(341)와 물탱크(310)의 바닥면(312) 사이에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세척기(300)에서는, 수류 형성부재(341)와 물탱크(310)의 바닥면(312)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수류 형성부재(341)의 회전 마찰이 줄어들어 회전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에 사용된 특정 용어들은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식재료 세척기
101: 커버
102: 제어부
110: 물탱크
111: 측면
112: 바닥면
1121: 부싱
1122: 부싱 홈
1123: 돌기 홈
120: 바스켓
121: 개구
130: 하우징
131: 전장부
132: 하부
133: 측부
140: 하부 수류 형성부
141: 수류 형성부재, 마그네틱 교반기
1411: 상부 케이스
1412: 하부 케이스
1413: 피구동 자석
1414: 몸체
1415: 날개
1416: 돌기
1416a: 제1 부분
1416b: 제2 부분
1417: 안착 홈
142: 구동부
1421: 로터
1421a: 상부 케이스
1421b: 하부 케이스
1421c: 구동 자석
1422: 모터
1423: 샤프트
143: 고정 지그
150: 측방 수류 형성부
151: 가이드 브라켓
152: 토출구
153: 흡입구
154: 구동부
160: 급수부
161: 급수구
162: 급수 밸브
163: 급수관
170: 수량 감지 센서
180: 배수부
181: 배수구
182: 배수관
183: 배수 밸브
190: 살균부
191: 입수구
192: 출수구
193: 살균 모듈
194: 순환관

Claims (17)

  1. 세척수 유동을 이용하는 식재료 세척기로서,
    내부에 세척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를 구성하는 일 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수류 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류 형성부재와 상기 일 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류 형성부재와 상기 일 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홈이 형성되는 식재료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일 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 공간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류 형성부재와 상기 구동부는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식재료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부재는 마그네틱 교반기(magnetic stirrer)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그네틱 교반기에 대응되는 구동 자석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실장하는 식재료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교반기는 상기 구동 자석에 대응되는 피구동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피구동 자석은 상기 구동 자석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식재료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자석과 상기 피구동 자석은 상기 수류 형성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식재료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류 형성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 홈은 상기 일 면에 형성되는 식재료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 면에는 부싱과, 상기 부싱이 삽입되는 부싱 홈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부싱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수류 형성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부싱의 상부에 안착되는 식재료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높이는 상기 부싱 홈의 깊이보다 큰 식재료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부재는 상기 돌기의 주변 영역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의 상단 부분이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되는 식재료 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의 깊이는 상기 부싱의 상기 일 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높이보다 작은 식재료 세척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스테인레스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재질로 형성되는 식재료 세척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 면은 주변보다 돌출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단차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식재료 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부재는 상기 돌기의 주변 영역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되는 식재료 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의 깊이는 상기 단차부의 높이보다 작은 식재료 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돌기 홈의 깊이보다 큰 식재료 세척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 홈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재료 세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류 형성부재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단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부분의 반경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돌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돌기 홈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재료 세척기.
KR1020220141260A 2022-10-28 2022-10-28 식재료 세척기 KR20240060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260A KR20240060050A (ko) 2022-10-28 2022-10-28 식재료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260A KR20240060050A (ko) 2022-10-28 2022-10-28 식재료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050A true KR20240060050A (ko) 2024-05-08

Family

ID=9107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260A KR20240060050A (ko) 2022-10-28 2022-10-28 식재료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0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733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pump integrally formed with a filter
EP3029193B1 (en) Washing machine
JP6521603B2 (ja) 洗濯機
TWI467073B (zh) 洗滌裝置
JP6846902B2 (ja) 食品洗浄装置
KR20240060050A (ko) 식재료 세척기
KR20190015083A (ko) 세탁기
TWI755557B (zh) 洗衣機
JP6543808B2 (ja) 洗濯機
BRPI0905459A2 (pt) método e máquina de lavar roupa provida de recirculação com vazão controlada
KR20240063665A (ko) 식재료 세척기
JP5257392B2 (ja) 食器洗い機
JP2019030626A (ja) 縦型の洗濯機、及びその槽洗浄方法
KR20240059261A (ko) 식재료 세척기
TWI676722B (zh) 洗衣機
KR100634799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CN215583937U (zh) 果蔬清洗机
CN108699749B (zh) 清洗机
JP2014051831A (ja) 便器装置
JP4325346B2 (ja) 洗濯機
JP2017018467A (ja) 洗濯機
JP6609793B2 (ja) 洗濯機
JP4278491B2 (ja) 洗濯機
KR102617077B1 (ko) 식기세척기
KR20230124339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