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514A -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514A
KR20240059514A KR1020230054469A KR20230054469A KR20240059514A KR 20240059514 A KR20240059514 A KR 20240059514A KR 1020230054469 A KR1020230054469 A KR 1020230054469A KR 20230054469 A KR20230054469 A KR 20230054469A KR 20240059514 A KR20240059514 A KR 2024005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skin
fermented
top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 조
경진 김
솔 박
Original Assignee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4005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대상체에의 투여를 위한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i) 발효된 스쿠알란 오일; ii) 발효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및 iii)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의 발효된 오일 추출물. 상기 발효된 오일들은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국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스쿠알란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것; 혼합물에 박테리아 균주를 첨가하는 것; 혼합물을 적어도 48시간의 시간 기간 동안 발효에 적용하는 것; 및 발효된 혼합물을 고압 균질화에 적용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시키는 것.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대상체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COMPOSITION FOR PROMOTING MOISTURE ABSORPTION AND RETENTION IN SK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국소 화장품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더 구체적으로는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분 흡수, 수분 보유 및 심미감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일은 화장품 제제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에 따라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처리에 대해 주어지는 관심은 최소화되었었다. 최근, 화장품 생성물 중 성분으로서의 순수/천연 오일의 사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 생성물에서의 이러한 오일의 사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해당 생성물의 효능 및 심미감은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전기로 볼 때, 대상체의 피부에 투여하기 위한 보습 및 심미감을 촉진하는 개선된 국소 조성물을 제공할 기회는 남아있다. 그와 같은 피부 조성물의 개선된 제조 방법 및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할 기회 역시 남아 있다.
[발명의 개요]
대상체에의 투여를 위한 국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i) 발효된 스쿠알란 오일; ii) 발효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및 iii) 살비아 히스파니카 (Salvia hispanica ) 종자의 발효된 오일 추출물. 상기 발효된 오일들은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상기 국소 조성물은 더 우수한 흡수, 증가된 수화, 더 우수한 심미감을 제공하며, 오일을 포함하는 선행 조성물들에 비해 더 용이하게 퍼진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는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대상체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국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스쿠알란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혼합물에 박테리아 균주를 첨가하는 단계, 혼합물을 적어도 48시간의 시간 기간 동안 발효에 적용하는 단계, 및 발효된 혼합물을 고압 균질화에 적용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비발효된 오일 조성물과 비교한 본 개시의 실시양태에 따른 발효된 오일 조성물의 보습 내구성을 보여주는 플롯이며;
도 2는 피부 수화 연구 결과의 그래프이고 (평균 ± SEM, *p<0.05);
도 3은 피부 수화 연구 동안 포착된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화의 이미지 배열이며;
도 4는 효능 및 사용성과 관련한 자가-평가 설문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의 백분율을 보여주는 플롯이다.
대상체에의 투여를 위한 국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국소 조성물은 적어도 발효된 스쿠알란 오일, 발효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의 발효된 오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에 대해 하기하고, 연관 용도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을 후속하는 바이다. 상기 국소 조성물은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에 대한 국소 조성물의 투여시 대상체의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본 개시를 보면 이해하게 될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상기 3종 발효된 오일의 포함은 물론, 오일을 발효시키는 것에 후속하는 미세유동화(microfluidization)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이외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성물은 국소 조성물 (예컨대 화장품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고유하고 독립적인 요법제로, 또는 그와 상용성인 다른 요법제와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조성물은 건성 피부와 연관되어 있는 것들과 같은 다양한 이상을 처치, 방지 및/또는 개선하는 데에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를 보면 알게 될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양태의 조성물은 피부에 의한 흡수를 향상시키고, 피부 수화를 증가시키고, 피부 미생물군집을 개선하고, 질감 및 퍼짐성을 포함한 피부 심미감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국소 조성물은 적어도 발효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발효된 스쿠알란 오일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의 발효된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임의적으로는 본질적으로 그것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임의적으로는 그것으로 구성된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지방산 (중간-사슬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MCT)을 글리세린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지방산은 코코넛 오일과 같은 오일로부터, 또는 본 사례에서와 같이 팜 오일 (예컨대 RSPO-인증 MB (질량 균형) 등급 팜 오일, 즉 통상적인 팜 오일과 혼합된 인증된 공급원으로부터의 지속성 팜 오일)로부터 수득된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의 구체적인 예들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시중에서 구매 또는 달리 입수되거나, 제조되거나 (예컨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 사용),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국소 조성물 중에 적어도 49.9 중량%, 대안적으로는 49.9% 초과, 대안적으로는 59.9% 초과, 대안적으로는 69.9% 초과, 대안적으로는 79.9%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는 89.9% 초과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대략 49.9 내지 99 중량%의 범위, 대안적으로는 85 내지 98.9 중량%의 범위, 대안적으로는 86 내지 98%의 범위, 대안적으로는 87 내지 97%의 범위, 대안적으로는 88 내지 96%의 범위, 또는 대안적으로는 89 내지 95%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스쿠알란 오일은 스쿠알렌의 수소화 및 완전한 포화로부터 유래한다. 스쿠알란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스쿠알렌은 원래는 상어 간으로부터 수득되었었으나, 지금은 올리브 오일, 쌀, 및 본 발명 경우의 사탕수수와 같은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하기도 한다. 스쿠알란 오일의 구체적인 예들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스쿠알란 오일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시중에서 구매 또는 달리 입수되거나, 제조되거나 (예컨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 사용),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스쿠알란 오일은 국소 조성물 중에 적어도 1.0 중량% 내지 50.0 중량% 이하, 대안적으로는 대략 1.0 내지 15.0 중량% 범위, 대안적으로는 1.0 내지 12.0 중량% 범위, 또는 대안적으로는 1.0 내지 10.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의 오일 추출물, 즉 치아(chia) 종자 오일로도 알려져 있는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은 살비아 히스파니카 식물의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살비아 히스파니카는 단순하게 에스 . 히스파니카 또는 그의 일반명인 치아로 지칭될 수 있다. 에스 . 히스파니카는 주로 오메가-3 지방산 예컨대 알파-리놀렌산, 오메가-6 지방산 및 오메가-9 지방산을 포함한 지방산들이 풍부한 그의 식용 종자 ("치아 종자")용으로 경작되는 현화 초본이다. 에스 .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의 구체적인 예들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에스.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시중에서 구매 또는 달리 입수되거나, 제조되거나 (예컨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 사용),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 .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은 예컨대 스크류 프레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기계식 추출에 의해, 또는 침지-유형 또는 여과-유형 추출기에서의 펜탄, 헥산, 헵탄 또는 옥탄과 같은 용매를 사용한 용매 추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추출 후 오일에 남는 용매는 1종 이상의 증류 컬럼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에스 .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이 대안적으로는 수성 추출 또는 CO2 추출과 같은 다른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에스 .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은 국소 조성물 중에 대략 0.05 내지 0.1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스 .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은 0.06 내지 0.14 중량%, 0.07 내지 0.13 중량%, 0.08 내지 0.12 중량%, 0.09 내지 0.1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스쿠알란 오일 및 에스 .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은 상기한 비율 범위 내에서 서로 조합된 후, 혼합된다. 다음에, 혼합물은 비제한적으로 락토바실루스 레우테리 (Lactobacillus reuteri ) 균주와 같은 박테리아 균주의 접종 (도입)에 의한 발효에 적용된다. 락토바실루스 레우테리는 단순하게 엘. 레우테리로 지칭될 수 있으며, 락트산 박테리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락토바실루스 레우테리 균주는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루스 레우테리 CH53일 수 있다. 혼합물은 수시간 또는 수일, 예를 들면 적어도 12시간, 대안적으로는 적어도 24시간, 대안적으로는 적어도 36시간의 기간 동안 배양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적어도 48시간 동안 발효 진행이 허용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발효는 대략 33 내지 41℃ 범위의 온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온도는 34 내지 40℃, 35 내지 39℃, 또는 36 내지 38℃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온도는 대략 37℃일 수 있다.
혼합물의 발효가 완료된 후, 혼합물은 임의의 적합한 여과 기술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임의의 원치않는 발효 공정 부산물의 제거에 의해 농축될 수 있다. 다음에, 발효된 오일 혼합물은 나노에멀젼을 형성시키기 위한 고압 균질화 (미세유동화)에 적용된다. 상기 고압 균질화는 고전단 균질화기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대략 1,000 내지 1,500 psi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고압 균질화는 1회 초과로, 예를 들면 3회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고압 균질화는 대략 150 nm 미만 평균 입자 크기로의 입자 크기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평균 입자 크기는 140 nm 미만, 130 nm 미만, 120 nm 미만, 110 nm 미만 또는 100 nm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결과적인 평균 입자 크기는 대략 90 내지 110 nm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결과적인 평균 입자 크기는 95 내지 105 nm의 범위일 수 있거나, 또는 대략 100 nm일 수 있다. 고압 균질화 후, 혼합물은 최종 여과에 적용될 수 있다.
어떠한 특정 이론에도 얽매이고자 하는 것은 아니나, 오일 혼합물의 발효 및/또는 미세유동화 처리는 (하기 실시예 부문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국소 조성물의 개선된 성능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것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국소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보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스쿠알란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의 발효된 오일들 이외에, 국소 조성물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토코페롤 및/또는 헬리안투스 안누우스 ( Helianthus Annuus ) 종자의 오일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임의적으로는 본질적으로 그것으로 추가 구성되거나, 또는 임의적으로는 그것으로 추가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3종의 보충 성분들 중 1종만이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종의 보충 성분들 중 2종만이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또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보충 성분들 3종 모두가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식물 유래의 자연 발생 첨가제이다.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들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시중에서 구매 또는 달리 입수되거나, 제조되거나 (예컨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 사용),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국소 조성물 중에 대략 0.5 내지 1.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0.6 내지 1.4 중량%, 0.7 내지 1.3 중량%, 0.8 내지 1.2 중량%, 또는 0.9 내지 1.1 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토코페롤 (TCP)은 메틸화된 페놀이며, 그 중 일부가 비타민 E 활성을 가지고 있다. 토코페롤에는 알파-토코페롤, 베타-토코페롤, 감마-토코페롤 및 델타-토코페롤이 포함된다. 각 토코페롤은 입체이성질체들을 포함하는데, 그 중 1종만이 자연 발생이다. 따라서, 토코페롤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시중에서 구매 또는 달리 입수되거나, 제조되거나 (예컨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 사용),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토코페롤은 국소 조성물 중에 대략 0.16 내지 0.26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토코페롤은 0.17 내지 0.25 중량%, 0.18 내지 0.24 중량%, 0.19 내지 0.23 중량%, 또는 0.20 내지 0.22 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해바라기 종자 오일로도 알려져 있는 헬리안투스 안누우스 종자의 오일 추출물은 헬리안투스 안누우스 식물의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헬리안투스 안누우스(Helianthus Annuus)는 단순하게 에이치. 안누우스 또는 그의 일반명인 해바라기로 지칭될 수 있다. 에이치 . 안누우스(H. Annuus)는 주로 그의 장식용 꽃 머리, 그리고 전체적으로 먹을 수 있거나 그로부터 해바라기 오일이 추출되는 식용 종자 ("해바라기 씨")용으로 경작되는 일년생 초본이다. 에이치 . 안누우스 종자 오일의 구체적인 예들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에이치. 안누우스 종자 오일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시중에서 구매 또는 달리 입수되거나, 제조되거나 (예컨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 사용),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이치. 안누우스 종자 오일은 예컨대 스크류 프레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기계식 추출에 의해, 또는 침지-유형 또는 여과-유형 추출기에서의 펜탄, 헥산, 헵탄 또는 옥탄과 같은 용매를 사용한 용매 추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추출 후 오일에 남는 용매는 1종 이상의 증류 컬럼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에이치 . 안누우스 종자 오일이 대안적으로는 수성 추출 또는 CO2 추출과 같은 다른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에이치. 안누우스 종자 오일은 국소 조성물 중에 대략 0.04 내지 0.14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이치. 안누우스 종자 오일은 0.05 내지 0.13 중량%, 0.06 내지 0.12 중량%, 0.07 내지 0.11 중량%, 또는 0.08 내지 0.10 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정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대한 분명하고 일관성 있는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기의 정의를 제공한다.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는 것" 및 "피부의 심미적 외관을 개선하는 것"은 본원에서 피부 외관의 심미적 개선을 지칭하는 데에 호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대표적인 개선에는 피부 두께, 탄성, 복원력, 보습, 윤활성, 톤, 질감, 광휘, 광택, 밝기, 투명성, 윤곽, 탄탄함, 팽팽함, 유순성, 유연성, 민감성, 세공 크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된 바람직한 특징 및/또는 특성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용어는 부정적인 피부 이상의 개선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부정적인 피부 이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그를 초래하거나, 또는 그에 기인하는 대표적인 부정적 이상에는 건선, 습진, 지루, 피부염, 일광화상, 에스트로겐 불균형, 과다색소침착, 색소침착저하증, 변색, 황색화, 주근깨, 피부 위축증, 피부 파열, 피부 취약, 건조, 거친 촉각, 균열, 늘어짐, 얇아짐, 과다형성, 섬유증, 모공 확장, 셀룰라이트 형성, 타박, 여드름 형성, 세포자멸사, 세포 분화, 세포 탈-분화, 종양 유도 또는 종양 진행의 예방, 바이러스 감염, 진균 감염, 박테리아 감염, 거미상 정맥 (모세혈관확장증), 다모증, 장미증, 소양, 굳은살, 사마귀, 티눈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또는 "제제"라는 용어는 자연상의 상태, 생물학적 과정, 또는 질환 또는 장애와 연관되어 있는 특정 이상을 처치하거나, 개선하거나, 촉진하거나, 증가시키거나, 관리하거나, 조절하거나, 유지하거나, 최적화하거나, 변형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생성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조성물 또는 제제는 피부의 수화, 감각 및/또는 외관을 개선한다. 조성물 및 제제라는 상기 용어에는 유효량의 발효된 오일들을 포함하는 약제 (즉 약물), 일반매약(over-the counter) (OTC), 화장품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조성물 및/또는 제제에는 크림, 화장용 로션, 팩 또는 파우더, 또는 에멀젼, 로션, 도찰제 발포물 또는 연고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국소 적용/투여용으로 제제화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순수 화합물, 조성물 및/또는 활성 작용제 또는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유효량" 또는 "처치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투약량 및 시간 기간에서 효과적인 양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유효량" 또는 "처치 유효량"은 대상체 (예컨대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에게 투여되었을 때 피부의 수화, 감각 및/또는 외관을 개선하는 것과 같은 처치를 수행하는 데에 충분한 본 발명 순수 화합물, 조성물, 활성 작용제 또는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양을 지칭한다. "유효량" 또는 "요법상 효과적인 처치"을 구성하는 본 개시 조성물, 활성 작용제 또는 성분의 양은 활성 작용제, 화합물 또는 조성물, 처치되는 이상 및 그의 중증도, 투여 방식, 처치 기간, 또는 처치되는 대상체의 연령에 따라 달라지게 되기는 하지만,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그 자신의 지식 및 본 개시에 유념하여 일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이라는 용어는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에 부합하여 과도한 독성, 비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등이 없이 인간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물, 약제, 추출물 또는 불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적용하는 것" 및 "투여하는 것"이라는 용어는 비제한적으로 국소, 비경구, 협측, 경피, 직장, 근육내, 피하, 골내, 점막경유 또는 복막내 투여 경로를 포함한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경로를 통하여 대상체에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기술되는 조성물의 국소 투여 경로가 적합하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대상체" 또는 "개체"라는 용어에는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는 포유동물이 포함된다. 포유동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인간, 비-인간 영장류, 설치류 (유전자이전 및 비-유전자이전 마우스 포함) 등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동물이며,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조성물 (또는 제제)
조성물은 전체적으로 조성물에 이용되는 성분들의 수 및 유형을 바탕으로 선택되게 되는 임의 양의 발효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효된 오일은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화를 촉진하는 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1 내지 5000, 임의적으로는 2 내지 2000 mg, 임의적으로는 5 내지 1750, 임의적으로는 10 내지 1500, 임의적으로는 15 내지 1250, 임의적으로는 20 내지 1000, 임의적으로는 25 내지 750, 임의적으로는 30 내지 500, 임의적으로는 35 내지 500, 임의적으로는 40 내지 500, 임의적으로는 45 내지 450, 임의적으로는 50 내지 450, 또는 임의적으로는 50 내지 400 mg의 양으로 발효된 오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범위 외부이고/거나 그와 중복되는 양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발효된 오일 혼합물 중 각 발효된 오일의 양과 관련한 상기 범위는 전체로서의 조성물 중 각 발효된 오일의 양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제제는 하기를 포함한다: 발효된 스쿠알란 오일; 발효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의 발효된 오일 추출물;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토코페롤; 및 헬리안투스 안누 우스 종자의 오일 추출물. 추가적인 구체적인 실시양태들을 하기 표에 예시하였다.
표 1: 예시적인 제제 A
Figure pat00001
표 2: 예시적인 제제 B
Figure pat00002
표 3: 예시적인 제제 C
Figure pat00003
일반적으로, 발효된 오일들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제제, 주변 성분, 형태, 기능의 수 등의 면에서 조성물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조성물은 가변적일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부합하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제화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조성물은 포유동물 대상체 (예컨대 인간)에의 투여용으로 제제화되거나, 또는 달리 적합화된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인간 대상체에 국소적으로 투여되도록 적합화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또한 대상체에의 국소 투여용으로 제제화되는 국소 조성물로 정의된다. 그와 같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대상체의 피부에의 적용에 의해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상기 대상체는 통상적으로 인간이며, 다양한 연령의 남성 및 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조성물이 특정 대상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형태의 예에는 고체, 젤 및 액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대상체의 피부에의 적용을 위한 젤, 크림, 로션, 포마드, 무스, 분말 또는 발포물로서의 적용용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성물은 대상체의 피부 상에 분무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또는 펌프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로 분무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성물은 사전-보습된 타월렛(towelette)을 사용한 적용용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성물은 대상체의 피부 상에 문질러지는 고체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성물은 대상체의 피부에 부착되는 패치를 통한 전달용으로 제제화된다.
발효된 오일 및 보충 성분 (즉 "활성물질" 또는 "활성 성분") 이외에 조성물은 비제한적으로 부형제, 예컨대 희석제 및 결합제; 과립화제; 활택제 (또는 유동 조제); 충전제; 윤활제; 보존제; 안정화제; 코팅; 붕해제; 방향제; 및 색소를 포함한 불활성인 제약상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불활성 성분")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들과 제약상 허용되는 첨가제들은 원하는 대로 조합 또는 컴파운딩되어, 국소 적용되었을 때 인간 대상체에게 원하는 양의 활성 성분을 제공하는 개별 투여분을 형성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조성물은 첨가제와 같은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첨가제에는 비제한적으로 보습제, 완화제, 에멀젼화제, 계면활성제, 오일, 추출물, 피부 보호제, 소독제, 방부제, 약물 및 약물 물질, 진통 화합물, 항-신경통 화합물, 항-산화제, 혈액 순환 촉진제, 항우울 화합물, 항-불안 화합물, 항-스트레스 화합물, 일광차단제, 곤충 퇴치제, 보존제, 각질제거제, 방향제, 색상, 충전제, 용매, 비히클, 캐리어,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기타 유형의 첨가제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관련 기술분야에서 이해되는 것들이 포함된다. 그와 같은 첨가제들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적인 첨가제는 개인 관리 생성물 및 화장품 생성물에서 사용되는 임의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결합제, 윤활제, 활택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비제한적으로 메틸셀루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아카시아, 검, 왁스,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아크릴산 중합체 및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락토스, 칼슘 술페이트,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당,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MCC), 전분,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성분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성분들 및 통상적인 정제에 사용되는 기타 성분들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이해된다.
투여 방법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매일, 일 당 수회, 또는 원하는 결과가 달성되도록 하는 임의의 적합한 요법으로 투여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에서, 투여 (예컨대 국소 적용) 빈도는 원하는 피부 수화 수준을 포함한 몇 가지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요법은 아침의 투여 및/또는 저녁의 투여를 포함하는 하루 1회 또는 2회의 조성물 적용을 포함한다. 조성물 적용의 양 및/또는 빈도는 원하는 결과 수준 및 구체적인 조성물을 포함한 몇 가지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개선된 피부 수화 및 감각은 본 발명의 제제를 외용으로 투여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는 허용되는 캐리어와 함께 투여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제는 용액, 젤, 로션, 크림, 연고, 수-중-유 에멀젼, 유-중-수 에멀젼, 스틱, 스프레이, 페이스트, 무스, 토닉, 파운데이션의 형태, 또는 기타 화장용 및 국소용으로 적합한 형태로 국소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물은 포유동물 피부에 개선된 수화 및 감각을 제공하는 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제제에 의해 제공되는 원하는 피부 개선 및 보습 효과에 그것이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 한, 다양한 공지의 통상적인 화장용 아주반트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제는 추가로 관련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1종 이상의 첨가제 또는 기타 임의적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충전제 (예컨대 고체, 반-고체, 액체 등); 캐리어; 희석제; 증점제; 젤화제; 비타민, 레티노이드 및 레티놀 (예컨대 비타민 B3, 비타민 A 등); 색소; 방향제; 일광차단제 및 선블록; 항-산화제 및 라디칼 스캐빈저; 유기 히드록시 산; 각질제거제; 피부 컨디셔너; 보습제; 세라마이드, 슈도세라마이드, 인지질,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글루코사민, 제약상 허용되는 침투 작용제 (예컨대 n-데실메틸 술폭시드, 레시틴 유기젤, 티로신, 리신 등); 보존제; 항미생물제; 아미노산 예컨대 프롤린,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그의 유도체 및 염, 당류 이성질체, 판테놀,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소듐 히드록시드와 같은 염기와 함께인 완충제; 왁스, 예컨대 밀랍, 오조케라이트 왁스, 파라핀 왁스; 식물 추출물, 예컨대 알로에 베라, 수레국화, 윗치 하젤, 딱총나무꽃 또는 오이,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적합한 첨가제 및/또는 아주반트에 대해서는 U.S. 특허 제6,184,247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개재된다.
제제는 비제한적으로 계면활성제, 공동-용매 및 부형제를 포함한 추가적인 불활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및 소수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계면활성제가 제제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는 제제의 전체적인 조성 및 제제의 예정된 전달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에톡실화 (PEG) 지방산, PEG-지방산 디에스테르, PEG-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 혼합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알콜-오일 에스테르교환 생성물, 폴리글리세르화(polyglycerized) 지방산,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글리세롤 에스테르의 혼합물,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스테롤 및 스테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다당류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페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저급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제는 피부 수화 및 감각의 원하는 개선 수준을 가져오기에 충분한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매일 기준으로 국소 투여된다. 본 발명 제제의 국소 적용 투여는 임의의 적합한 시간 기간 동안 계속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최초 적용 수시간 이내 내지 수일 이내에, 사용자는 피부가 개선된 수화 및 감각을 나타내는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가 적용되어야 하는 빈도는 원하는 수화 및 감각 개선 수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미용 강화의 정도는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조성물의 총량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유용한 투약 형태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이해될 수 있을 방법 및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는 본원에서 기술되는 발효된 오일들을 포함하는 새롭고 유용한 국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와 같은 국소 조성물은 건성 피부를 경감하기 위한 잠재적인 요법적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 기술되는 조성물 및 방법은 피부 보습에 유용하다. 또한, 본 개시의 조성물 및 방법은 피부 미생물군집 균형도 개선한다.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조성물 및 생성물 계열은 그와 같은 발효된 오일들을 이용한 피부 관리 및 화장용 미용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예에는 그와 같은 발효된 오일들을 이용한 피부 보습제가 포함된다.
본 개시의 조성물 및 방법을 예시하는 하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실시예 ]
국소 조성물 일 실시양태의 보습 효능을 평가하였다. 하기의 표 및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국소 조성물은 개선된 수분의 흡수 및 보유를 나타내었다.
즉석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보습 내구성
연령 범위 30 내지 60세의 성인 12명에 대하여 조성물을 평가하였다. 대상체들의 평균 연령은 44.58세령이었으며, 그 중 2명의 사람은 30대였고, 그 중 7명의 사람은 40대였으며, 그 중 3명의 사람은 50대였다. 대상체들 중 누구도 시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임의의 특정 피부 증상 또는 임의의 질환 또는 약제 치료 이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시험 전에, 22 ± 2℃ 및 50 ± 10% 습도인 일정한 온도 및 습도 조건하의 룸에서 30분 동안 각 대상체를 대기시켰으며, 시험 동안에는 수분 섭취를 제한하였다. 각 대상체의 전완을 시험 영역으로 사용하였으며, 대상체의 팔목으로부터 5 cm 떨어진 거리에서 4.5 cm 곱하기 3.5 cm의 긴 "사각형" 틀을 사용하여 샘플을 적용하였다. 상기 틀을 1 cm 간격으로 3개 시험 영역으로 나누었다. 시험 영역들 중 하나는 비-처리 영역으로 사용하였으며, 또 다른 시험 영역을 제1 시험 샘플 (발효 없는 조성물)용으로 사용하였고, 나머지 시험 영역을 제2 시험 샘플 (본 개시의 실시양태에 따른 조성물, 즉 발효를 사용한 것)용으로 사용하였다. 대략 500 μL 내지 1 mL의 샘플을 한번에 각 시험 영역에 적용하였다. 시험 샘플 적용 전, 적용 1시간 후, 적용 3시간 후 및 적용 6시간 후에, 피부 수분 함량 및 보습 내구성을 측정하였다.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M825)를 사용하여 피부 수분을 측정하고, 수화 지수 (A.U.)를 수득하였으며, 모이스쳐맵(MoistureMap) (MM200)을 사용하여 수분 밀도/분포 이미지를 수득하였다.
피부 수분 함량의 평가
코르네오미터 CM825 프로브를 사용하여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하기 방정식에 의해, 피부 수분 함량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전"은 시험 샘플의 적용 전에 측정된 수분 함량이었으며, "후"는 각 처방 시간 기간 (1시간, 3시간, 6시간) 후 측정된 수분 함량이었음).
SPSS 통계학 27 표준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 (은 물론, 비-처리 영역)의 투여 전 및 후 피부 측정치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함으로써, 95% 신뢰 구간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예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평균 억제율도 알 수 있다.
표 4: 시험 샘플
Figure pat00005
표 5: 6-시간 보습 내구성
Figure pat00006
* "사용 전"을 0의 기준선 값으로 설정;
주의: 도 1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하였음)도 참조
표 6: 6-시간 보습 내구성의 결과 (코르네오미터 A.U.)
* 반복 측정 아노바에 의한 p<0.05, 사후 검정 본페로니 보정
** 프리드만 검정에 의한 p<0.05, 본페로니 보정을 동반한 사후 검정 윌콕슨 사인 순위 검정
*** 독립적 t-검정에 의한 p<0.05
표 7: 6-시간 보습 내구성의 결과 (모이스쳐맵: 회색 지수 A.U.)
Figure pat00008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오일 2 (발효 후)는 적용 1시간 후 40.86%, 적용 3시간 후 40.17% 및 적용 6시간 후 41.0%의 변화로, 그룹들 사이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오일 2는 캐리어 오일 1 (발효 없음/전)에 비해 뛰어난 수화 및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오일 2는 캐리어 오일 1에 비해 뛰어난 수화/수분 함량 및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흡수/심미감의 평가
민감화 시험을 사용하여, 피부 흡수 및 심미감을 측정하였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스쿠알란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의 발효된 오일을 포함하는 3종의 실시예 조성물은 물론,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스쿠알란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 비-발효된 오일의 2종 비교 실시예 조성물을 시험하였다.
표 8: 샘플
Figure pat00009
* "비교용"
표 9: 민감화 시험의 결과
Figure pat00010
상기 표 8 및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흡수 및 심미감에 있어서의 발효된 오일 조성물의 효능은 발효되지 않은 오일 조성물의 것에 비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최고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그의 발효되지 않은 상대물 (비교 실시예 2)과 비교한 피부 미생물군집에 대한 그의 효능에 대하여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시험하였다. 하기 2종의 바이오마커를 분석하였다: i)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유해 박테리아); 및 ii) 스태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유익 박테리아). 시험의 결과는 발효되지 않은 오일 조성물 (비교 실시예 2)은 유익 박테리아를 촉진하기는 하지만 유해 박테리아를 억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반면, 발효된 오일 조성물 (실시예 2)은 유익 박테리아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유해 박테리아도 억제하였다. 대조군 그룹과 비교해 보면, 발효된 오일 조성물은 약 130-160%만큼 유익 박테리아를 촉진하였으며, 약 90%만큼 유해 박테리아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발효된 오일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은 피부 미생물군집 균형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였다.
24-시간 수분 지속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연구
인간 피부에 대한 본 발명 국소 조성물 (발효된 오일 조성물) 및 비-발효 조성물 (즉 발효 전의 국소 조성물)의 피부 수화 및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에는, 포함 및 배제 기준을 충족하는 20명의 대상체가 참여하여, 본 발명 국소 조성물 (발효된 오일 조성물) 또는 비-발효된 오일 조성물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 시험 부위상에 1회 적용한 후, 대조군 (비-처리) 그룹과 비교하였다. 처리 전, 처리 1시간 후, 처리 6시간 후, 처리 12시간 후 및 처리 24시간 후를 포함하여 연구 동안 지정된 간격으로 각 대상체에 대하여 피부 수화를 평가하고 사진 촬영을 하였다. 처리 1시간 후, 처리 6시간 후, 처리 12시간 후 및 처리 24시간 후, 각 대상체에 대하여 안전성 평가도 수행하였다. 연구 종료시 (처리 24시간 후)에는, 각 대상체가 자가-평가 설문도 완료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포함 및 배제 기준을 충족하는 23 내지 55세 (평균 연령 39.60 ± 12.79세) 연령 범위의 20명의 대상체가 임상 평가 연구를 완료하였다. 처음에는, 20명을 초과하는 대상체가 연구용으로 모집되었었다. 포함 기준은 하기와 같았다: (1) 전완 영역에 피부 이상이 없는 20 내지 55세 연령의 여성 대상체; (2) 피부 이상을 포함한 급성 및 만성 질환이 없는 건강한 대상체; 및 (3) 연구의 목적 및 프로토콜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이해한 후 사전 동의서 형태에 자발적으로 서명한 대상체. 배제 기준은 하기와 같았다: (1) 임신하거나, 수유중이거나, 6개월 이내에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 (2) 전완 시험 영역상에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습진 또는 활성 계절성 알레르기를 포함한 피부 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체; (3) 항박테리아제, 면역억제제, 스테로이드를 함유하는 외용 피부 제제, 및 시험 영역상의 피부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1개월 초과 동안의 만성 피부 이상의 치료 를 사용한 적이 있는 대상체; (4) 동일 연구에 참여한 이후 1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대상체; (5) 연구 개시 전 1개월 이내에 시험 부위상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능의 화장품 및 의약을 사용한 대상체; (6) 만성 질환 (천식, 당뇨병, 고혈압 등)이 있는 대상체; (7)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또는 항-염증 약물을 계속하고 있는 대상체; (8) 연구를 수행한 임상 연구 연구소의 종업원인 대상체; 및 (9) 조사자의 판단에 따라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대상체. 대상체 철회 기준은 하기를 포함하였다: (1) 명맥한 부정적인 반응으로 인하여 연구에 참여하는 데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 대상체; (2) 참여 중지를 요청하는 대상체; (3) 연구자가 판단할 때, 임상 연구에 계속 참여하기에 부적적한 대상체 (범죄 활동 등을 포함한 불법적인 행동); (4) 소정의 피부 처치 또는 의학적 처치 (미용 수술)를 한 대상체; (5) 동시에 임의의 다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체; (6) 추적조사를 할 수 없는 대상체; 및 (7) 주요 검사 항목의 생략, 데이터 에러 또는 연구 종료시의 손상과 같이, 대상체 데이터가 연구 결과에 포함될 수 없는 임의의 다른 사례.
연구를 위하여, 각 대상체의 시험 부위를 세척하고, 온도가 22±2℃이며 습도가 50±5%인 일정 온도 및 습도의 룸에서 20분 동안 안정화시켰다. 처리 전에, 코르네오미터® CM 825 (C+K 사, 독일 소재)를 사용하여, 선택된 전완 영역의 피부 수화를 3회 측정하고, 평균 값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50 μL의 시험 생성물 (발효된 국소 오일 조성물 또는 비-발효 국소 오일 조성물)을 특정 전완 영역 (3 × 3 cm)상에 적용하고, 흡수를 위하여 태핑하였다(tapped). 처리 1시간 후, 처리 6시간 후, 처리 12시간 후 및 처리 24시간 후에, 코르네오미터® CM 825를 사용하여 다시 피부 수화를 측정하였다 (각각 3회). 피부 수화 측정과 관련하여, 표피는 높은 전기 저항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모든 전기적 현상은 전하의 이동에 의해 야기되며, 정전용량(capacitance)은 이러한 이동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지칭한다. 코르네오미터에서는, 프로브의 전극 플레이트들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측정 동안 생성되는 정전용량을 바탕으로 표피 각질층에서의 수분 함량이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되는 정전용량은 각질층에서의 수분 함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측정되는 값이 더 높을수록, 수분 함량은 더 높다.
연구 동안, 각 대상체의 선택된 전완 영역의 사진들도 포착하였다. 구체적으로, 처리 전, 처리 1시간 후, 처리 6시간 후, 처리 12시간 후 및 처리 24시간 후에, 엡실론(Epsilon)™ E100 (바이옥스(Biox) 사, 영국 소재)을 사용하여 선택된 전완 영역을 사진촬영하였다. 상기 엡실론 장치는 피부 수화 측정에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정전용량 측정법을 사용하여 피부 수화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는데, 이미지의 청색이 더 밝을수록, 피부 수분의 양은 더 많다.
자가-평가 설문은 1이 "강하게 맞지 않음"에 해당하고 6이 "강하게 맞음"에 해당하는 6-점 척도로 대상체에 의해 등급화되었을 때의 생성물의 효능 및 사용성과 관련된 질문들을 포함하였다. 각 대상체는 처리 24시간 후에 자가-평가 설문을 완료하였다. 4 내지 6점 범위의 답변을 긍정적인 반응으로 점수화하였다. 자가-평가 설문은 하기 10개의 질문을 포함하였다: (1) 생성물 사용 후, 그것이 피부를 보습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는지; (2) 생성물 사용 후, 수분이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었는지; (3) 생성물 사용 후, 피부가 유연해졌는지; (4) 생성물 사용 후, 피부가 광택성이 되었는지; (5) 생성물 사용 후, 피부가 탄탄해졌는지; (6) 생성물 사용 후, 피부가 촉촉해졌는지; (7) 생성물 사용 후, 피부가 전체적으로 개선되었는지; (8) 생성물의 퍼짐성이 만족스러웠는지; (9) 생성물의 흡수성이 만족스러웠는지; 및 (10) 생성물이 만족스러웠는지.
안전성 평가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대상체의 임상 관찰에 의해 주관적 및 객관적 징후들을 평가하였다. 부정적인 반응의 경우, 부정 반응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였으며, 상급 조사자들이 시험 생성물과의 반응의 관계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었다. 연구 동안, 부정적인 피부 반응은 관찰되거나 보고되지 않았다.
데이터의 통계분석은 SPSS® 소프트웨어 (IBM 사, 미국 소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정규성 검정은 샤피로-윌크(Shapiro-Wilk) 검정, 그리고 첨도(kurtosis) 및 왜도(skewness)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룹들 사이의 균질도는 짝비교(paired) t-검정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p 값이 0.1을 초과한 경우, 그룹들 사이의 선행 값이 균질한 것으로 결정하였다. 그룹들 사이의 비교는 RM-아노바(ANOVA) (반복 측정 분산 분석(Repeated Measured Analysis of Variance)) (p<0.05)에 의해 분석하였다. 변수들의 통계 분석 역시 p<0.05에서 RM-아노바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11
연구 결과는 하기와 같다. 처리 전과 비교하였을 때, 발효된 국소 오일 조성물 ("발효 후 캐리어 오일") 및 비-발효 국소 오일 조성물 ("발효 전 캐리어 오일") 적용 그룹들의 양 피부 수화는 모든 시점에서 상당히 증가 (개선)되었다 (p<0.05). 각 시간 간격에서 각각, 발효 전 캐리어 오일 그룹의 변화율은 81.98%, 58.35%, 39.57% 및 26.30% (p<0.05)이었으며, 발효 후 캐리어 오일 그룹의 변화율은 84.89%, 65.96%, 50.98% 및 39.64% (p<0.05)이었다. 이들 2개 그룹을 대조군 (비-처리) 그룹과 비교하면, 양 캐리어 오일 그룹 (발효 전 및 후)의 피부 수화는 처리 전 대비 모든 시점에서 대조군 그룹에 비해 상당히 더 증가 (개선)되었다 (p<0.05). 또한, 발효 후 캐리어 오일 그룹의 피부 수화는 처리 전 대비 처리 6시간 후, 처리 12시간 후 및 처리 24시간 후의 시간 간격에서 발효 전 캐리어 오일 그룹에 비해 상당히 더 증가 (개선)되었다 (p<0.05). 자가-평가 설문의 결과는 대상체 중 95%가 캐리어 오일의 효능 및 사용성과 관련한 모든 설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답변하였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하기 표 10-12는 물론, 도 2-4에 요약하였다.
표 10: 시점들 사이의 피부 수화 통계 분석 (N=20)
Figure pat00012
1 평균 값의 증가는 피부 수화의 개선을 나타냄
2 p<0.05*인 경우, 처리 전과의 비교에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
유의: 도 2도 참조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었음)
표 11: 그룹들 사이의 피부 수화 통계 분석 (N=20)
Figure pat00013
1 p<0.05*인 경우, 대조와의 비교에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
표 12: 자가-평가 설문에서의 긍정적인 답변의 결과 (N=20)
Figure pat00014
1-6의 효능 및 사용성 척도 (1: 강하게 맞지 않음 또는 배우 나쁨; 6: 강하게 맞음 또는 매우 우수함)
1n: 긍정적인 답변의 수 (등급 척도 4 내지 6)
2%: 긍정적인 답변의 수 / 대상체의 총 수 (N) x 100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다"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포함한", "포함되다", "본질적으로 ~로 구성되다" 및 "~로 구성되다"의 뜻을 의미하여 포괄하는 그의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예시적인 예들을 열거하는 "예를 들면", "예컨대", "~와 같은" 및 "~를 포함한"의 사용이 열거되는 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또는 "~와 같은"은 "예를 들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 또는 "~와 같으나,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을 의미하며, 다른 유사하거나 동등한 예들을 포괄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약"이라는 용어는 기기 분석에 의해 측정되거나 샘플 취급의 결과로서의 숫자 값의 미미한 변이를 합리적으로 포괄하거나 기술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와 같은 미미한 변이는 숫자 값의 ±0-10, ±0-5 또는 ±0-2.5% 수준일 수 있다. 또한, 값 범위와 연관되는 경우, "약"이라는 용어는 양 숫자 값에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약"이라는 용어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숫자 값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값의 범위에서 사용될 때의 하이픈 "-" 또는 대시 "-"는 "까지" 또는 "내지"이며; ">"는 "상위" 또는 "초과"이고; "≥"는 "적어도" 또는 "이상"이며; "<"는 "하위" 또는 "미만"이고; "≤"는 "최대" 또는 "이하"이다. 개별적인 기준으로, 상기언급된 특허 출원, 특히 및/또는 특허 출원 공개 각각은 하나 이상의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 명시적으로 참조로서 개재된다.
첨부되는 청구범위가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 화합물, 조성물 또는 방법을 표현하여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속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들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양태들의 구체적인 특징 또는 측면을 기술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의존하는 임의의 마쿠쉬 군(Markush group)들과 관련하여, 다른 모든 마쿠쉬 구성원으로부터 독립적인 각 마쿠쉬 군의 각 구성원으로부터 상이하고/거나, 특수하고/거나, 예상치 못한 결과가 수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 내에서, 마쿠쉬 군의 각 구성원은 특정 실시양태에 개별적으로 및 또는 조합으로 의존하여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위한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본 발명 실시양태들을 기술하는 것에 의존하는 임의의 범위 및 하위범위가 독립적이고도 집합적으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속하며, 해당 값이 본원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안의 전체 및/또는 분수 값들을 포함한 모든 범위를 기술하여 고려하는 것으로 양해된다는 것 역시 이해되어야 한다.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라면, 열거되는 범위 및 하위범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들을 충분히 기술하여 가능하게 하며, 그와 같은 범위 및 하위범위가 적격인 절반, 3분의 1, 4분의 1, 5분의 1 등으로 추가 표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단지 일 예로서, "0.1 내지 0.9의" 범위는 하위의 3분의 1, 즉 0.1 내지 0.3, 중간의 3분의 1, 즉 0.4 내지 0.6, 및 상위의 3분의 1, 즉 0.7 내지 0.9로 추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개별적이고도 집합적으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속하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속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개별적이고/거나 조합으로 의존하여 그를 위한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 초과", "~ 미만", "~ 이하" 등과 같이 범위를 한정하거나 수식하는 용어와 관련하여, 그와 같은 용어가 하위범위, 및/또는 상위 또는 하위 한계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적어도 10"이라는 범위는 본질적으로 적어도 10 내지 35의 하위범위, 적어도 10 내지 25의 하위범위, 25 내지 35의 하위범위 등을 포함하며, 각 하위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속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개별적이고/거나 조합으로 의존하여 그를 위한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시되는 범위 내의 개별 숫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속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의존하여 그를 위한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내지 9의" 범위는 3과 같은 다양한 개별 정수들은 물론, 4.1과 같이 소수점을 포함하는 개별 숫자들 (또는 분수)을 포함하며, 이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에 속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의존하여 그를 위한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예시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을 기술한 바, 사용된 용어법이 제한이라기보다는 기술하는 단어들의 특성으로 의도되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이들이 가능하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과 달리 실시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독립 청구항, 그리고 단일 및 다중 종속 양자의 종속 청구항들의 모든 조합의 주제가 명시적으로 고려된다.

Claims (20)

  1. 대상체의 피부에의 투여를 위한 국소 조성물이며,
    i) 발효된 스쿠알란 오일;
    ii) 발효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및
    iii) 살비아 히스파니카(Salvia hispanica) 종자의 발효된 오일 추출물
    을 포함하고,
    여기서, 발효된 오일은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발효된 스쿠알란 오일이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효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이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49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의 발효된 오일 추출물이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0.05 내지 0.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헬리안투스 안누우스(Helianthus Annuus) 종자의 오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헬리안투스 안누우스 종자의 오일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0.04 내지 0.1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코페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토코페롤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0.16 내지 0.2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11. 대상체의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는 방법이며,
    조성물을 대상체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국소 조성물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국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스쿠알란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및 살비아 히스파니카 종자 오일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혼합물에 박테리아 균주를 첨가하는 단계;
    혼합물을 적어도 48시간의 시간 기간 동안 발효에 적용하는 단계; 및
    발효된 혼합물을 고압 균질화에 적용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박테리아 균주가 락토바실루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CH53인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발효를 대략 33 내지 41℃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압 균질화를 고전단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고압 균질화를 대략 1,000 내지 1,500 psi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고압 균질화를 1회 초과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압 균질화가 대략 90 내지 110 nm 범위의 평균 입자 크기를 생성하는 것인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혼합물을 발효에 적용한 후;
    (ii) 고압 균질화 후; 또는
    (iii) (i) 및 (ii) 둘 다에서
    혼합물을 여과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국소 조성물.
KR1020230054469A 2022-10-27 2023-04-26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240059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419787P 2022-10-27 2022-10-27
US63/419,787 2022-10-27
US202363448528P 2023-02-27 2023-02-27
US63/448,528 2023-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514A true KR20240059514A (ko) 2024-05-07

Family

ID=9083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469A KR20240059514A (ko) 2022-10-27 2023-04-26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9514A (ko)
WO (1) WO20240914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2189B (en) * 2004-06-03 2009-07-15 James Steven Brown Sanitizing composition to Facilitate enforcement of Hand Hygiene Conditions
EP3010487A4 (en) * 2013-06-17 2016-12-07 Contract Pharmaceuticals Ltd NON-AEROSOL FOAM FOR TOPICAL ADMINISTRATION
KR20180053318A (ko) * 2015-09-17 2018-05-21 제이알엑스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수화 또는 보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법
US20210137825A1 (en) * 2019-11-08 2021-05-13 KuL, Inc.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1410A1 (en)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5797B (zh) 用于治疗痤疮的具有益生元特性的协同草药组合物
KR102623994B1 (ko)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두드러기, 항히스타민-내성 가려움증 및 노인성 가려움증의 치료를 위한 암보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Sandford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castor oil in managing blepharitis,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dry eye
WO200807294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Jones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s for common skin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CN104784223B (zh) 一种具有止痒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50118334A1 (en)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KR20070011939A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240059514A (ko) 피부에서 수분 흡수 및 보유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240005021A (ko)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
KR20240008375A (ko) 건선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망고스틴 과일 껍질 추출물의 용도
US20170020805A1 (en) Cordyceps containing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
KR20180092256A (ko) 민감성 피부용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60375078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ingredients for bruising or hematoma healing on skin and use thereof
KR20050048287A (ko)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1597505B1 (ko)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7834B1 (ko) 7, 8, 4&#39;-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308155B1 (ko) 천연 식물을 활용한 복합 기능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11499B2 (en) Cannabinoid formulation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and carrier for transdermal absorption to treat neuropathy
CN115813826B (zh) 一种紧致抗皱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1284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3859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7359A (ko) 유창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