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996A -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 Google Patents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996A
KR20240058996A KR1020247013907A KR20247013907A KR20240058996A KR 20240058996 A KR20240058996 A KR 20240058996A KR 1020247013907 A KR1020247013907 A KR 1020247013907A KR 20247013907 A KR20247013907 A KR 20247013907A KR 20240058996 A KR20240058996 A KR 20240058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ilm
adhesive layer
laminat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나카무라
요시카츠 고다이라
도모히사 가와이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703056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28478A/ko
Publication of KR2024005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26D1/2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53Cutting members therefor having a special cutting edge section or blad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7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repositionable or removabl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기재 필름 (31) 에 점착층 (32)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0) 을, 특정 상날 (11) 이 0.5 mm 이하의 피치 p 로 형성되어 있는 상날 롤 (10) 을 사용하여 시어 컷 방식으로 슬릿한다. 상날 (11) 은, 날끝 (11a) 을 구성하는 일방의 측면이 플랫면 (11x) 이며, 타방의 측면에 날끝 (11a) 측으로부터 제 1 호 (11b1) 와 제 2 호 (11b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날 (11) 을 사용하는 슬릿에 의해,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기재 필름과 점착층을 박리시키지 않고 테이프 폭 0.5 mm 이하로 슬릿하고, 또한 슬릿한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층의 돌출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UPPER BLADED ROLLER, SLITTING DEVICE, SLITTING METHOD, AND LAMINATED TAPE}
본 발명은,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의 슬릿에 적합한 상날 롤, 그 상날 롤을 사용한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필름의 슬릿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장척의 적층 테이프가 도형, 문자 등을 물품에 전사하는 전사 리본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적층 테이프는,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슬릿함으로써 제조된다.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장척의 적층 테이프는, 전자 부품을 기판에 실장할 때의 접착재로서도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세폭의 적층 테이프가 필요로 되고 있다. 그러나,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세폭으로 슬릿하면, 슬릿에 의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서는, 원반상의 상날과 하날을 사용하는 시어 컷 방식에 있어서 상날에 플랫날을 사용하고, 적층 필름을 슬릿하는 장치 전체를 후드로 덮어, 적층 필름이 슬릿되고 나서 권취될 때까지의 온도 변동을 억제한다는 대규모의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2). 이 방법에 의하면, 적층 필름을 테이프 폭 0.5 mm ~ 4 mm 의 세폭으로 슬릿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 필름을 시어 컷 방식으로 슬릿하는 방법으로서는, 상날에 콘날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3). 콘날을 사용하는 경우,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날 (11) 에 측압 (F) 을 가하여 슬릿함으로써 절단성이 향상된다. 또, 상날 (11) 을 하날 (21) 에 압박해도, 상날 (11) 과 하날 (21) 의 접촉압이 완화되므로 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특허문헌 3 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를 1/8 인치 폭으로 슬릿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323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904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0191호
그러나, 콘날로 가공 정밀도를 내는 것은 어려워, 콘날을 사용하는 시어 컷 방식으로 필름을 세폭으로 슬릿하려고 해도 테이프 폭을 0.7 mm 로 하는 것이 한계이며, 테이프 폭 0.5 mm 이하로 슬릿할 수는 없었다.
한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적층 필름을 폭 0.5 mm 로 슬릿한 세폭의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고 되어 있지만, 0.5 mm 이하의 세폭으로 장척을 슬릿하기 위한 상세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기재와 점착층의 박리의 문제는 필름이 세폭이 될수록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폭 0.5 mm 이하의 세폭의 테이프에 대해서는 제품의 양품률의 저하 등이 염려된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날을 사용하는 시어 컷 방식으로 필름 (3) 을 슬릿할 때에는, 먼저 날끝 (11a) 에 의해 필름 (3) 이 압입되어 처짐이 발생하고, 또한 날끝 (11a) 이 압입되어 필름 (3) 이 전단에 의해 잘리고, 더욱 압입되면 파단에 의해 필름 (3) 이 잘려 테이프 (4) 로 재단되지만, 이 필름 (3) 이 기재 필름 (31) 에 점착층 (32) 이 적층된 적층 필름 (30) 이면, 재단 시의 테이프 (4) 는 호 (鎬) (11b) 측으로 신장하여 휘어 있고, 그 후, 그 휨이 돌아오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 (11b) 측에 위치하고 있던 테이프 단부 (端部) (4p) 의 기재 필름 (31) 에 융기부 (36) 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융기부 (36) 는, 적층 필름 (30) 을 세폭의 테이프로 슬릿할수록 커진다. 그 때문에, 테이프를 권장체 (卷裝體) 로 하면, 권장체의 일방의 단부에서 융기의 영향이 합산되어, 테이프의 평면성에 지장이 초래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권장체에서는 점착층이 돌출되어 블로킹의 원인이 되는 것도 염려되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깔끔한 절단면으로 테이프 폭 0.5 mm 이하로 슬릿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슬릿 후의 적층 테이프에서 기재 필름에 융기가 생기는 것이 억제되고,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고, 권장체에서는 점착층의 돌출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시어 컷 방식으로 필름을 슬릿하는 데에 있어서, 상날을, 편면에 호가 2 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플랫날로 하면, 필름을 폭 0.5 mm 이하의 세폭으로 슬릿하는 가공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절단성도 향상되고, 슬릿된 테이프의 단부에 융기가 형성되기 어려운 것, 또, 상날이 휘는 것에 의해, 콘날과 같이 상날과 하날의 접촉압을 완화할 수 있어, 상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것을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복수 조 (條) 의 원반상의 상날이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상날 롤로서, 그 상날의 날끝을 구성하는 일방의 측면이 플랫면이며, 타방의 측면에 날끝측으로부터 제 1 호와 제 2 호가 형성되어 있고, 상날의 피치가 0.5 mm 이하인 상날 롤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상날 롤과, 그 상날 롤의 상날에 대응하여 하날이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하날 롤을 구비하고, 시어 컷 방식으로 필름을 폭 0.5 mm 이하로 슬릿하는 슬릿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상기 서술한 상날 롤과 그 상날 롤의 상날에 대응하여 하날이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하날 롤을 사용하여 시어 컷 방식으로 슬릿하여, 테이프 폭 0.5 mm 이하의 적층 테이프로 하는 슬릿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테이프로서, 테이프 폭이 0.5 mm 이하이며, 그 테이프의 폭 방향의 일단에서 기재 필름이 융기하고 있는 경우에, 그 융기부의 테이프 폭 방향의 폭이 테이프 폭의 7 % 이하인 적층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날 롤을 사용하여 시어 컷 방식으로 필름을 슬릿하면, 필름을 폭 0.5 mm 이하, 특히 폭 0.5 mm 미만의 세폭으로 슬릿할 수 있고, 또한 종전의 슬릿폭 0.7 mm 이상의 콘날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플랫날은 상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슬릿하여 적층 테이프를 얻은 경우에, 상날의 호측에 위치하고 있던 테이프 단부에서 기재 필름이 융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테이프를 권장체로 한 경우에, 권장체의 편측에서 융기 부분이 합산되어 테이프의 평면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권장체에 있어서의 점착층의 돌출이나 블로킹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적층 테이프는, 물품에 점착층을 첩부하는 세폭의 점착재로서 유용해지고, 점착층을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면 접착재로서도 유용해진다.
도 1 은, 실시예의 슬릿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실시예의 슬릿 장치로 슬릿 가능한 적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필름을 슬릿하고 있는 실시예의 슬릿 장치의 상날 롤과 하날 롤의 날끝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실시예의 상날의 날끝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B 는, 실시예의 변형 양태의 상날의 날끝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5A 는, 실시예의 슬릿 장치의 하날의 날끝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5B 는, 실시예의 슬릿 장치의 하날의 날끝 부분의 변형 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6A 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시어 컷 방식의 슬릿 장치로 적층 필름을 400 m 슬릿한 후의 슬릿으로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의 호측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6B 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시어 컷 방식의 슬릿 장치로 적층 필름을 50000 m 이상 슬릿한 후의 슬릿으로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의 호측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플랫날을 사용한 시어 컷 방식의 슬릿 장치의 상날 롤과 하날 롤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플랫날을 사용하는 시어 컷 방식으로 필름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콘날의 상날과 하날의 날끝 부분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슬릿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슬릿 장치 (1) 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슬릿 장치 (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조의 원반상의 상날 (11) 이 원통상의 롤에 소정 피치 p 로 그 롤의 회전축 L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날 롤 (10) 과, 상날 롤 (10) 의 상날 (11) 에 대응하여 하날 (21) 이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하날 롤 (20) 을 구비하고, 필름 (3) 을 시어 컷 방식으로 슬릿하는 장치이다.
이 슬릿 장치 (1) 에서는 여러 가지 필름 (3) 을 슬릿할 수 있다. 이 필름 (3) 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 (31) 상에 점착층 (32)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점착층 (32) 상에 커버 필름 (33)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적층 필름 (30) 을 들 수 있다.
슬릿 장치 (1) 에는, 필름 (3) 을 상날 롤 (10) 과 하날 롤 (20) 사이로 통과시키는 반송 기구로서 필름 권출 장치 (2) 와, 필름 (3)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권취 장치로서는, 필름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복수열의 테이프 중 인접한 테이프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짝수열의 테이프 (4a) 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7a) 와 홀수열의 테이프 (4b) 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7b) 와 필름의 에지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7c) 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짝수열의 테이프 (4a) 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7a) 와 홀수열의 테이프 (4b) 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7b) 와 필름의 에지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7c) 의 위치 관계는 도 1 에 나타낸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슬릿 장치 (1) 에는, 필름 (3) 을 상날 롤 (10) 과 하날 롤 (20) 사이로 통과시키기 전에 필름 (3) 의 교체 연결을 위해서 스플라이스부 (5) 를 가질 수 있다. 즉, 스플라이스부 (5) 에서는, 필름의 장척화를 위해서 필름 (3) 끼리를 연결하거나, 필름 (3) 의 전환에 필요한 공정수를 줄이기 위해서 필름 (3) 에 반송용 필름을 연결하거나 한다. 또한, 슬릿 시의 오염 방지를 위해서 커버 필름을 형성하고 슬릿을 실시해도 된다. 이 커버 필름은 슬릿 전 혹은 후에 박리하면 된다.
이 슬릿 장치 (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릿하는 필름 (3) 이, 단층의 수지 필름, 또는 복수층의 수지층이 접착 혹은 용착된 적층 필름뿐만 아니라,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0) 이어도, 폭 0.5 mm 이하, 특히 폭 0.5 mm 미만으로 슬릿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날>
상날 롤 (10) 에 형성되어 있는 원반상의 상날 (11)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 (11a) 을 구성하는 일방의 측면이 평탄하고, 회전축 L1 에 수직인 플랫면 (11x) 으로 되어 있는 플랫날이다. 플랫면 (11x) 의 반대의 측면에는 호가 2 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날끝 (11a) 측에 제 1 호 (11b1) 를 갖고, 그것보다 원반상의 상날 (11) 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제 2 호 (11b2) 를 갖는다. 도 4A 는, 이 상날 (11) 의 날끝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날끝 (11a) 과 제 1 호 (11b1) 사이의 상날 측면과 플랫면 (11x) 이 이루는 각도 (날각) α 는 절단성의 향상과 장수명화의 점에서 20°이상, 4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호 (11b1) 와 제 2 호 (11b2) 사이의 상날 측면과 플랫면 (11x) 이 이루는 각도 β 는, 상날 (11) 을 휘기 쉽게 하고, 절단성을 향상시키고, 상날 (11) 과 하날 (21) 의 접촉압을 완화하여 날의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해서 각도 α 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이상, 15°이하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이상 8°이하로 한다.
또, 날끝 (11a) 과 제 1 호 (11b1) 의 상날의 반경 방향의 거리 h1 이 0.13 mm 이상 0.40 mm 이하이며, 날끝 (11a) 과 제 2 호 (11b2) 의 상날의 반경 방향의 거리 h2 가 0.4 mm 이상 7.6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날 (11) 에 제 1 호 (11b1) 와 제 2 호 (11b2) 를 형성하고, 날끝 (11a) 측을 가늘게 함으로써, 플랫날임에도 불구하고 날끝측이 휘기 쉬워져, 콘날과 같이 상날과 하날의 접촉압을 완화할 수 있고, 또한 콘날과 같이 만곡된 외형을 갖지 않기 때문에, 상날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날 (11) 에는, 필요에 따라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호 (11b2) 보다 상날 (11) 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단부 (段部) (11c) 를 형성하여, 날끝측을 가늘게 해도 된다. 이로써 보다 한층 상날 (11) 을 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날 (11) 의 피치 p 는, 필름 (3) 을 슬릿하여 얻는 테이프에 필요로 되는 테이프 폭에 따라 정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세폭의 테이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한에 관해서는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으로 하고, 특히 0.4 mm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또, 하한에 관해서는 0.1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날 (11) 의 형상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단의 호 (11b1, 11b2) 를 갖는 것으로 하면, 상날 (11) 의 피치 p 를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으로 하고, 필름 (3, 30) 을 폭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의 세폭으로 슬릿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서술한 상날 (11) 이 피치 p 로 배열되어 있는 상날 롤 (10) 은, 고속도강,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등의 경도와 인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를, 정밀 절삭 가공 장치 등으로 절삭 가공 및 연마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날 (11) 을 형성하고, 그것을 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날은, 사용 후에 재차 연마 가공을 하여 재이용해도 된다.
<하날>
한편, 하날 (21) 은 종전의 플랫날의 시어 컷 방식의 하날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의 파손의 회피와 슬릿의 폭의 정밀도를 일정 이상으로 하는 점에서 날끝 (21a) 의 선단을 플랫으로 하고, 그 폭 w1 을 0.05 mm 이상, 0.3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날끝 (21a) 을 예각으로 하면 날끼리의 깎임 (갉아먹음) 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상날 (11) 의 날끝 (11a) 과 제 1 호 (11b1) 사이의 날면에 대향하는 면 (21b) 을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면 (21b) 의 경사각 γ 는 15°이상 4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 (22) 를 형성하여, 날끝 (21a) 의 각도를 예각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절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날 롤과 하날 롤의 장착>
슬릿 장치 (1) 에 있어서 상날 롤 (10) 과 하날 롤 (20)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날 (11) 과 하날 (21) 의 겹침량 h4 가 0.05 mm 이상 0.5 mm 이하가 되도록, 이들의 회전축 L1, L2 가 평행이 되도록 장착한다.
또, 상날 롤 (10) 과 하날 롤 (20) 은 기어로 접속하고, 도 1 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날 (11) 을 하날 (21) 에 압박하는 측압 기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압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날의 플랫면을 하날의 측면에 기계적으로 가압하는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릿 방법>
본 발명의 슬릿 방법은, 상기 서술한 상날 롤 (10) 과 하날 롤 (20) 을 사용하여, 기재 필름 (31) 에 점착층 (32)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0) 을 시어 컷 방식에 의해 슬릿하여, 폭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폭 0.5 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mm 이하의 적층 테이프를 얻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시어 컷 방식의 슬릿 장치로 필름을 슬릿하는 경우, 슬릿 길이가 길어지면 날끝 (11a) 이 마모되어, 절단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슬릿 후의 테이프의 호측 단부에 돌출부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는, 도 7 에 나타낸 종래의 시어 컷 방식의 슬릿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 두께 50 ㎛ 의 PET 필름에, 점착층으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층두께 10 ㎛ 로 적층한 적층 필름을, 폭 1.5 mm 이고 길이 400 m 슬릿한 후의 슬릿으로 얻은 테이프의 폭 방향의 단면의 호측 단부의 사진 (1000 배) 을 도면으로 그려 나타낸 것이며, 도 6B 는, 동일하게 적층 필름을 길이 50000 m 이상 슬릿한 후의 슬릿으로 얻은 테이프의 폭 방향의 단면의 호측 단부의 사진을 도면으로 그려 나타낸 것이다. 도 6B 에 나타낸 테이프에는, 호측 단부의 기재 필름 (31) 에 융기부 (36) 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슬릿 장치에 의하면, 종전의 콘날을 사용한 슬릿 장치에 비해 칼날의 수명이 길어지지만, 슬릿 길이가 길어지면 날끝은 마모된다. 그래서, 적층 필름을 슬릿하는 생산 라인에서는, 소정의 슬릿 길이에서 슬릿날을 교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소정의 슬릿 길이에서 슬릿날을 교환하는 경우여도, 슬릿날의 사용 개시로부터 교환에 이를 때까지의 동안에는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융기부 (36) 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적층 필름을 길이 100 m 이상 슬릿한 후에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를 테이프 폭 방향으로 절단하고, 그 단면을 배율 1000 배 정도의 광학 현미경, 마이크로스코프 등으로 관찰하면, 융기부 (36) 가 테이프 폭의 0 % 보다 큰 폭 w 로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융기부 (36) 의 폭 w 는 테이프 폭의 7 %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는 없다. 5 %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2 %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 % 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0 % 란 융기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 혹은 융기라고 단언할 수 없는 변화가 관찰된 상태를 가리킨다). 융기부 (36) 의 높이의 기재 필름의 필름 두께에 대한 비율은, 블로킹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 폭이 좁아지면, 점착층은 상대적으로 융기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기재 필름으로부터의 박리나, 돌출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 해소의 요청에 응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슬릿 방법에서는, 융기부 (36) 의 폭 w 가, 테이프 폭의 7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가 되도록, 상날 (11) 혹은 상날 (11) 과 하날 (21) 을 적절히 교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날 또는 하날을 적절히 교환하고, 적층 필름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를, 테이프 길이 5 ~ 500 m 의 권장체로 한 경우에, 융기부의 폭 w 가 테이프 폭에 대해 0 % 보다 크고 7 % 이하로 되어 있는 융기부 (36) 가 존재하는 권장체의 발생 빈도는 0.005 ~ 3 % 가 된다.
<적층 필름>
본 발명의 슬릿 방법으로 슬릿하는 적층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12 ~ 75 ㎛, 특히 25 ~ 75 ㎛ 의 기재 필름 (31), 두께 5 ~ 40 ㎛, 특히 5 ~ 25 ㎛ 의 점착층 (32), 두께가 기재 필름보다 얇거나 또는 두께 10 ~ 50 ㎛ 의 커버 필름 (33) 이 순차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커버 필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없어도 된다. 커버 필름의 유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여기서, 박리 가능이란,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에 셀로판 테이프를 부착하고 박리하는 것, 혹은 필름용 핀셋 (이하, 핀셋) 으로 끝을 집어 박리함으로써, 이들을 점착층 (32) 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슬릿 시에 상날 (11) 의 침입측에, 적층 필름 (30) 의 커버 필름 (33) 을 배치해도 되고, 기재 필름 (31) 을 배치해도 된다.
(기재 필름, 커버 필름)
기재 필름 (31) 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커버 필름 (33) 은, 점착층 (32) 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기재 필름 (31) 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 (31) 이나 커버 필름 (33) 의 표면은,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과 박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슬릿 후에 먼저 커버 필름을 박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재 필름 (31) 보다 커버 필름 (33) 에 있어서 보다 박리하기 쉬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접착재로서 사용되는 형태인 권장체로서는, 커버 필름이 오염 방지를 위해서 있어도 되고,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서 없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강성이 낮은 점착층 (32) 과 비교적 강성이 높은 기재 필름 (31) 을 동시에 슬릿하고, 또한 슬릿 시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슬릿 후의 적층 테이프의 사용 시에는 점착층 (32) 과 기재 필름 (31) 을 박리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의 인장 탄성률은 개략 1100 ~ 4200 MPa 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기재 필름 (31) 과, 기재 필름 (31) 과 강성이 상이한 점착층 (32) 을 동시에 폭 0.5 mm 이하의 세폭으로 슬릿하고, 또한 슬릿 시에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분리 또는 박리를 억제하는 것은 난이도가 높은 기술이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슬릿이 가능해진다.
(점착층)
점착층 (32) 으로서는, 점착 필름이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점착제의 도막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에 따라, 점착층 (32) 은, 단일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수지층의 적층체 또는 다층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점착층 (32) 에는, 필요에 따라 필러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층의 필러)
점착층에 필러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필러는,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에 따라, 공지된 무기계 필러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등), 유기계 필러 (수지, 고무 등), 유기계 재료와 무기계 재료가 혼재한 필러 등으로부터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광학적 용도나 광택 제거의 용도에는, 실리카 필러, 산화티탄 필러, 스티렌 필러, 아크릴 필러, 멜라민 필러나 다양한 티탄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콘덴서용 필름의 용도에는, 산화티탄,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아연, 티탄산비스무트, 산화란탄, 티탄산칼슘,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바륨, 티탄산지르콘산바륨, 티탄산지르콘산납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재로서의 용도에는 폴리머계의 고무 입자, 실리콘 고무 입자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전자 부품의 실장의 용도에는 필러는 도전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절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필러가 절연성을 갖는 경우, 필러를 스페이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필러의 입자경은,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테이프를 전자 부품의 실장에 사용하는 경우, 필러의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30 ㎛ 이하이다.
여기서, 입자경은 평균 입자경을 의미한다.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 (30) 의 점착층 (32) 의 평면 화상 또는 단면 화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 필러를 적층 필름 (30) 의 점착층 (32) 에 함유시키기 전의 원료 입자로서의 필러의 평균 입자경은 습식 플로식 입자경·형상 분석 장치 FPIA-3000 (말베른 파날리티칼사) 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N 수는 1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이다. 한편, 필러에는 입자경 1 ㎛ 미만의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입자경 1 ㎛ 미만의 필러 (소위 나노 필러) 로서는 점도 조정용의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크기는 전자현미경 (TEM, SEM) 의 관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N 수는 200 이상이 바람직하다.
필러로서, 양자 도트와 같이 기능성을 가진 것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필러의 크기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2 n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크기도 전자현미경 (TEM, SEM) 의 관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N 수는 2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하에 서술하는 필러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입자경 1 ㎛ 이상의 필러를 가리킨다. 즉, 표면 개질제나 충전제로서 사용되는 나노 필러는, 제외된다.
점착층에 있어서, 필러는 수지 중에 혼련되어 랜덤으로 분산되어 있어도 되고, 평면에서 볼 때 개개로 비접촉이어도 되고, 평면에서 볼 때 소정 배열을 반복하는 규칙적인 배치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필러의 개수 밀도는, 필름의 슬릿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고, 면시야에 있어서 예를 들어, 30 ~ 100000 개/㎟ 로 할 수 있다. 이 개수 밀도는, 평면에서 볼 때 광학 현미경이나 금속 현미경을 사용하여 점착층 중의 필러를 관찰하고, 10 지점 이상의 영역을 합계 2 ㎟ 이상으로 하여, 필러수 합계가 200 이상이 되도록 하여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한편, 점착층 (32) 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 필러의 유무 등에 따라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이 적절히 선택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고점도 점착성 수지 조성물, 또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를 전자 부품의 실장 등에 사용하는 접착재로 하는 경우, WO2018/074318A1 공보에 기재된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 동일하게, 점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중합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소위 핫멜트 타입의 접착재여도 된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중합 개시제로서는 열 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되고,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되고, 그것들을 병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열 중합 개시제로서 열 카티온계 중합 개시제, 열 중합성 화합물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고, 광 중합 개시제로서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 중합성 화합물로서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다. 열 중합 개시제로서, 열 아니온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된다. 열 아니온계 중합 개시제로서는, 이미다졸 변성체를 핵으로 하고 그 표면을 폴리우레탄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캡슐형 잠재성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연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층 전체로서의 최저 용융 점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필름 형성의 점에서 100 Pa·s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점착층 (32) 을 물품에 열압착할 때의 필러의 불필요한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500 Pa·s 이상으로 한다. 한편, 최저 용융 점도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례로서, 바람직하게는 15000 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Pa·s 이하이다. 이 최저 용융 점도는, 일례로서 회전식 레오미터 (TA Instruments 사 제조) 를 사용하고, 측정 압력 5 g 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직경 8 mm 의 측정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범위 30 ~ 200 ℃ 에 있어서, 승온 속도 10 ℃/분, 측정 주파수 10 Hz, 상기 측정 플레이트에 대한 하중 변동 5 g 으로 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최저 용융 점도의 조정은, 용융 점도 조정제로서 함유시키는 미소 고형물의 종류나 배합량, 수지 조성물의 조정 조건의 변경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점착층의 점착력)
·박리 가능성
점착층 (32) 의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에 대한 점착력은, 점착층 (32) 을, 그 테이프의 용도별로 소정의 물품에 첩착한 경우의 점착층 (32) 의 점착력보다 약하여,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커버 필름 (33) 을 박리 후, 점착층 (32) 을 물품에 첩부하여 기재 필름 (31) 의 박리 가능성을 평가한다.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 가능하다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에 셀로판 테이프를 부착하고 박리함으로써, 또는 핀셋으로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의 끝을 집어 박리함으로써, 이들을 점착층 (32) 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을 말하지만, 이 구체적인 지표로서는, 슬릿 전의 적층 필름을 폭 5 cm, 길이 15 cm 로 컷하고, 박리 시험으로서 T 형 박리 시험 (JIS K 6854) 을 한 경우에, 접착 강도가 0.005 ~ 0.2 N 인 것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 (31) 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서는, 180°박리 시험이나 90°박리 시험에 의해 평가해도 된다. 셀로판 테이프를 사용하여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으로부터 커버 필름 (33) 을 먼저 박리하고, 점착층 (32) 을 물품에 첩부한 후, 기재 필름 (31) 을 핀셋으로 박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정성
한편, 적층 필름 (30) 을 테이프로 슬릿하고, 권취 장치로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여 권장체로 할 때나, 권장체로 한 테이프를 접착재로서 사용할 때에 권장체를 접속 장치에 장착하여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할 때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에 텐션 (장력) 이 가해진다. 그래서, 이와 같은 텐션이 가해진 경우에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이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접속 장치에서 권장체에 요구되는 테이프 길이는 통상 5 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 이상이며,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할 때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텐션은 1 ~ 5 N 정도가 일반적이다. 또한, 접속 장치의 가동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릴에 록이 걸려, 테이프에 5 ~ 6 N 의 텐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에는 5 N 정도의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상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텐션에 있어서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첩착 상태나 릴과 기재 필름의 접속 (릴로부터 나오게 한 리드와 기재 필름의, 실리콘 테이프 등의 접착 필름에 의한 접속, 또는 초음파 용착) 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테이프를 세폭으로 한 경우에 종전의 텐션을 테이프에 가하면 기재 필름이 파단되거나,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거나 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서는 염려된다. 그래서, 기존 설비를 가능한 한 활용하여 세폭의 테이프의 권취나 인출을 실시하는 경우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가하는 텐션은 0.5 N 정도로 하면 되고, 1 N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0.7 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 이하이다.
이와 같은 권취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실용상의 요청으로부터, 점착층 (32) 에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폭 0.1 mm 이상 0.5 mm 이하로 슬릿한 적층 테이프의 길이 1 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m 이상인 것에, 길이 방향으로 0.5 N 이상, 바람직하게는 1 N, 보다 바람직하게는 5 N 의 장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다는 안정성이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박리 가능성은,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에 대한 점착층 (32) 의 점착력의 상한에 관한 성질이지만, 이 안정성은 점착력의 하한에 관한 성질이다.
안정성의 시험은 간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시험 방법으로서는, 적층 테이프의 시험 길이를 1 m 로 하고, 길이 1 m 로 재단한 적층 테이프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에 0.5 N, 바람직하게는 1 N, 보다 바람직하게 5 N 을 부하하고,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의 박리의 유무를 관찰하는 시험을 들 수 있다. 또, 보다 실용적인 시험 방법으로서는,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1 m 이상 인출하고, 그 단부에 0.3 N, 0.5 N, 1 N, 또는 5 N 을 부하하고, 박리의 유무를 관찰하는 시험을 들 수 있다. 또, 권장체로부터 테이프의 전체 길이를 인출하고, 임의의 20 지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지점 이상에서 박리의 유무를 관찰해도 된다. 이와 같은 시험에 있어서, 실용상 필요로 되는 점착력의 지표의 일례로서는, (i) 적층 필름을 본 발명의 방법으로 폭 0.1 mm 이상 0.5 mm 이하의 적층 테이프로 슬릿하고, 커버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테이프의 권장체로 하고,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길이 1 m 인출하여 릴의 권심과 테이프의 연결 위치를 고정하고, 테이프 단부에 대한 정하중의 부하에 의해 0.3 N, 바람직하게는 0.5 N, 보다 바람직하게는 1 N, 더욱 바람직하게는 5 N 의 텐션을, 연결 위치각 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37188호) 를 90°로 하여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이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것, 또, 인출에 영향을 줄 정도의 돌출이 발생하지 않을 것 (ii)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적층 필름을 폭 0.1 mm 이상 0.5 mm 이하로 슬릿한 적층 테이프로부터 임의로 잘라낸 시험 길이 1 m 의 시험편에 있어서, 그 시험편의 길이 방향으로 0.5 N, 바람직하게는 1 N, 보다 바람직하게는 5 N 의 장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 (31)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것, (iii)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테이프를 0.5 N 으로 권심에 5 m 이상 감은 권장체로부터 손으로 테이프를 모두 인출한 경우에 테이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박리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을 것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 을 들 수 있다. 간이적으로 시험하는 점에서는 (iii) 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시험 길이 1 m 정도로 재단하고, 손으로 양단에 부하 (대략 1 N ~ 5 N 정도) 를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해도 된다.
적층 테이프가 상기 서술한 점착력을 가지면, 이 적층 테이프를 바람직하게는 길이 5 m 이상, 10 m 이상, 50 m 이상, 나아가서는 길이 100 m 이상의 권장체에 감고, 그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바람직하게는 1 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 이상 인출한 경우여도, 인출한 테이프에 있어서 기재 필름 (31)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이 테이프를 전자 부품의 실장에 제공할 수 있다.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점착력
한편, 전자 부품, 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점착력이라는 관점에서 점착층에 요구되는 점착력의 시험 방법으로서는, 적층 테이프로부터 임의로 채취한 길이 2 cm 의 소편 (상기 서술한 (ii) 의 1 m 의 적층 테이프의 시험편을 재단한 소편이어도 된다) 을 맨유리에 점착층측으로부터 가부착하고 (예를 들어 45 ℃ 에서 첩부), 핀셋으로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의 끝만을 집어 제거하는 박리 시험을 실시하고, 그 박리 시험에 있어서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만) 을 제거할 수 있고, 점착층은 맨유리에 형상이 변화하지 않고 첩착한 채로 할 수 있었던 경우를 성공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박리 시험에서는, N 수가 20 이상에서 75 % 이상의 성공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의 성공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상의 성공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결 테이프의 첩착)
적층 필름 (30) 에는, 권장체의 권취 개시나 권출 시의 리드를 장착하기 위해, 또는 제 1 적층 필름과 제 2 적층 필름을 첩합하여 장척화하기 위해서, 적층 필름 (30) 에 연결 테이프가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 지점은 규칙적으로 또는 랜덤으로 복수 지점으로 할 수 있다. 또, 적층 필름과 리드의 장착에 있어서는, 적층 필름 (30) 의 기재 필름 (31) 과 리드를 연결 테이프로 연결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리드에 대한 장착은, 초음파 용착 등의 공지된 수법이어도 된다.
연결 테이프로서는, 박리성이 높고, 총두께가 비교적 얇은 기재 부착 점착 테이프 (예를 들어, 실리콘 테이프) 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 지점은 규칙적으로 또는 랜덤으로 복수 지점으로 할 수 있다. 연결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5 ~ 75 ㎛ 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적층 필름 (30) 에 연결 테이프가 첩착되어 있는 부분을 슬릿할 때에는, 상날 (11) 이 적층 필름 (30) 및 연결 테이프의 적층체에 깊게 들어간다. 그 때문에, 종전의 슬릿 장치에 의하면, 상날 (11) 의 침입측의 적층체의 면은, 인접하는 날끼리의 간격이 현저하게 좁아져, 그 반대측의 면에 대해 상날 (11) 의 측면으로부터 강한 압축력을 받아, 커버 필름 (33) 또는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이 박리되거나, 슬릿한 적층체의 측면으로부터 점착층 (32) 이 돌출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날 (11) 에 호가 2 단계로 형성되어 있어, 상날 (11) 의 선단측이 종전의 플랫날보다 세폭이 되므로, 적층 필름 (30) 및 연결 테이프의 적층체에 상날 (11) 이 깊게 들어가도, 적층체는 상날 (11) 의 측면으로부터 강한 압축력을 받지 않아, 적층 필름 (30) 에 연결 테이프가 첩착되어 있어도, 커버 필름 (33) 또는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이 박리되거나, 권장체에 있어서 점착층 (32) 이 돌출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세폭의 테이프에서는 광폭의 테이프에 비해, 테이프 횡단면적당 가해지는 슬릿 폭 방향의 힘이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점착층의 돌출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점착층 (32) 의 돌출 억제는, 테이프 폭이 좁아지면 난이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융기의 억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테이프 폭이 좁아지면 난이도가 높아진다.
<적층 테이프>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는, 상기 서술한 슬릿 방법으로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이다. 따라서, 이 테이프는,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테이프이고, 테이프 폭의 상한에 대해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mm 이하이다. 하한은, 0.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mm 이상이다.
이 적층 테이프에서는 그 테이프 폭 방향의 일단에서 기재 필름 (31) 이 융기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고, 기재 필름 (31) 에 융기부 (36) 가 존재하는 경우여도 융기부의 테이프 폭 방향의 폭은 테이프 폭의 7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기 때문에, 실사용상 문제가 없다. 적층 테이프로부터 복수의 권장체 (릴체라고도 한다) 를 제조한 경우에, 그 중 하나의 권장체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융기가 억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적층 테이프로부터 동시에 제조한 다른 권장체 (소위, 동일 로트의 권장체) 나, 상이한 시기에 제조한 동일한 권장체 (로트가 상이한 권장체) 모두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융기가 억제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동일 로트에 속하는 모든 권장체나, 나아가서는 상이한 로트에 속하는 모든 권장체에 있어서도, 박리나 돌출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적층 테이프는, 그 테이프로부터 임의로 잘라낸 시험편 길이 1 m 의 시험편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에 0.5 N 혹은 1 N 의 장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고, 권장체에서는 점착층 (32) 의 돌출이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 적층 테이프는, 그 테이프를 길이 2 cm 의 소편으로 잘라 점착층을 맨유리에 부착하고, 핀셋으로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의 끝만을 집어 제거한 경우에, 점착층이 맨유리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기재 필름 또는 커버 필름 (33) 만이 제거된다는 실용상의 요청을 만족하여, 소위, 첩착이나 전착을 가능하게 한다.
취급성의 점에서 이 적층 테이프를 권장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장체의 테이프 길이는, 실용상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m 이상 5000 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 이상 1000 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m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폭이 세폭이 되면 권장체에서는 블로킹이 생기기 쉬워지지만,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에 의하면 권장체에서 블로킹이 생기기 어렵고, 권장체로부터 적층 테이프를 5 m 이상 인출해도, 인출한 적층 테이프에, 기재 필름 (31) 이나 커버 필름 (33) 과 점착층 (32) 간에 박리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층 필름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의 슬릿의 절단면이 되는 단부에는 육안에 있어서 들뜸 (변색 부분) 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폭이 0.5 mm 이하로 세폭이 되면, 적층 테이프의 단부의 들뜸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불필요한 박리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호가 2 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리한 플랫날로 적층 필름을 슬릿하므로, 권장체를 형성하는 테이프 전체 길이로부터 임의로 20 지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지점 이상에서 들뜸의 유무를 육안 관찰에 의해 조사해도, 들뜸은 관찰되기 어렵다. 적층 테이프의 슬릿의 절단면을 따른 단부에 들뜸이 관찰되는 경우여도 들뜸의 길이는 5 cm 미만, 폭은 테이프 폭에 대해 40 % 이하, 특히 1/3 이하이며,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에 의하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어긋나기 어렵고, 블로킹이나 들뜸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권장체의 권취, 인출의 작업성이 양호하고, 권장체로부터 인출하여 잘라낸 테이프를 대상 부재에 첩부할 때는 첩부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는, 세폭의 점착재 또는 접착재로서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점착층 (32) 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종류 등은 테이프를 첩부하는 대상 부재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실시예
도 4A 에 나타낸 형상의 상날을 피치 p 0.4 mm 로 배열시킨 상날 롤과, 도 5A 에 나타낸 형상의 하날을 배열시킨 하날 롤을 사용하고, 기재 필름이 두께 38 ㎛ 의 박리 처리된 PET 필름으로 형성되고, 점착층이 두께 10 ㎛ 인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 (접착성 필름, 덱세리얼즈 제조) 로 형성된 적층 필름을 시어 컷 방식으로 1 회에 폭 0.4 mm, 길이 100 m 의 테이프로 슬릿하고, φ90 mm 의 플랜지 부착 권심 (플랜지 간 거리 0.5 mm) 에 장력 0.3 ~ 0.7 N 을 가하여 권취함으로써 권장체로 했다. 또, 슬릿할 때마다 날의 연마를 실시하고, 누계로 테이프 길이 1000 m 의 권장체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권장체에 다음의 평가를 실시했다.
(1) 융기
슬릿에 의해 얻어진 폭 0.4 mm 의 테이프를, 합계 슬릿 길이 800 m, 900 m, 1000 m 의 위치에서 테이프 폭 방향으로 나이프로 절단하고, 그 단면을 광학 현미경 (1000 배) 으로 관찰한 바, 기재 필름에 융기는 확인되지 않았다.
(2) 들뜸
권장체로 한 100 m 의 테이프를 모두 손으로 인출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점착층과 기재 필름에 박리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점착층의 돌출의 발생도 없고, 플랜지에의 점착층의 부착도 확인할 수 없었다. 인출한 테이프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길이 10 cm 의 시험 영역 20 지점을 육안 관찰하고, 들뜸의 유무에 관한 다음의 항목 a, b, c 에 기초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 길이 5 cm 이상의 들뜸이 없음
b : 폭이 테이프 폭의 1/3 을 초과하는 들뜸이 없음
c : 길이 5 cm 미만의 들뜸 또는 폭이 테이프 폭의 1/3 이하의 들뜸의 존재 지점이 5 지점 이하
평가 A : abc 를 전부 만족하는 경우
평가 B : ab 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평가 C : 상기의 평가 A 및 평가 B 이외
그 결과, 평가 결과는 평가 A 였다. 또한, 실용상은 평가 B 를 만족하면 문제 없고, 추가로 c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으로 인출했을 때, 작업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점착층의 돌출의 발생은 없고, 플랜지에의 점착층의 부착도 확인할 수 없었다.
(3) 박리 시험, 돌출 (블로킹)
권장체로부터 길이 5 m 의 테이프를 인출하고, 그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에 50 g (0.5 N) 의 추를 달아 테이프를 매달고, 35 ℃ 에서 6 시간 방치하고, 방치 후의 테이프에 대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박리 및 들뜸의 유무를 육안 관찰했다.
그 결과,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박리는 생기지 않고, 들뜸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 권장체로부터의 테이프의 인출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점착층의 돌출은 없었다. 즉,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37188호 등에 기재된 돌출이나 블로킹은 없었다. 길이를 1 m 로 해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4) 점착성 시험
권장체로부터 길이 2 cm 의 테이프를 임의로 20 개 잘라내고, 각 테이프의 커버 필름을 박리 제거하고, 핫 플레이트 (45 ℃) 상의 맨유리 (플로트 판유리) 에 점착층을 첩부했다. 그 후, 핀셋을 사용하여 테이프 표면의 일단의 기재 필름을 집고, 점착층이 맨유리에 첩착한 채가 되는지 여부를 육안 관찰했다.
그 결과, 점착층이 맨유리에 완전히 잔존한 성공예는 20 개 중 20 개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1) ~ (4) 의 시험 결과는, 기재 필름의 두께가 38 ㎛ 인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조건의 조정에 따라 기재 필름은 두껍게 해도 되고 얇게 해도 된다고 생각된다.
1 : 슬릿 장치
2 : 필름 권출 장치
3 : 필름
4, 4a, 4b : 테이프
4p : 호측의 테이프 단부
5 : 스플라이스부
7a, 7b, 7c : 권취 장치
10 : 상날 롤
11 : 상날
11a : 날끝
11b : 호
11b1 : 제 1 호
11b2 : 제 2 호
11c : 단부
11x : 플랫면
20 : 하날 롤
21 : 하날
21a : 날끝
21b : 면
22 : 단차
30 : 적층 필름
31 : 기재 필름
32 : 점착층
33 : 커버 필름
36 : 융기부
α : 상날의 날각
F : 측압 압축력
h1 : 제 1 호와 날끝의 상날의 반경 방향의 거리
h2 : 제 2 호와 날끝의 상날의 반경 방향의 거리
h4 : 상날과 하날의 겹침량
L1, L2 : 회전축
p : 상날의 피치
w : 융기부의 폭
w1 : 하날의 날끝의 폭
γ : 경사각
β : 각도

Claims (1)

  1. 본원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상날 롤.
KR1020247013907A 2019-03-31 2020-03-31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KR20240058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9546 2019-03-31
JP2019069546 2019-03-31
JPJP-P-2020-064981 2020-03-31
KR1020217030560A KR20210128478A (ko) 2019-03-31 2020-03-31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JP2020064981A JP2020168716A (ja) 2019-03-31 2020-03-31 上刃ロール、スリット装置、スリット方法及び積層テープ
PCT/JP2020/014953 WO2020204050A1 (ja) 2019-03-31 2020-03-31 上刃ロール、スリット装置、スリット方法及び積層テープ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560A Division KR20210128478A (ko) 2019-03-31 2020-03-31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996A true KR20240058996A (ko) 2024-05-03

Family

ID=7266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907A KR20240058996A (ko) 2019-03-31 2020-03-31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68916A1 (ko)
KR (1) KR20240058996A (ko)
WO (1) WO202020405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191A (ja) 1999-07-23 2001-02-06 Sony Corp 切断装置
JP2007090461A (ja) 2005-09-27 2007-04-12 Hitachi Chem Co Ltd 粘着材層を備えたフィルム材の切断方法、及びスリット装置
JP2012232392A (ja) 2011-05-09 2012-11-29 Toppan Printing Co Ltd スリッター装置、スリッター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226A (en) * 1896-10-27 Ringed roller for printing-machines
US1525590A (en) * 1923-08-07 1925-02-10 Hood Rubber Co Inc Slitting machine
LU34754A1 (ko) * 1955-03-17
US3253494A (en) * 1964-02-03 1966-05-31 Beloit Corp Bottom slitter band
US3677122A (en) * 1971-03-23 1972-07-18 Lord Corp Slitting apparatus having independent resiliently supported anvil means
DE2304092A1 (de) * 1973-01-27 1974-08-01 Goebel Gmbh Maschf Einrichtung zum laengsschneiden schmaler streifen
JPS6043301B2 (ja) * 1978-08-31 1985-09-27 三井化学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88993A (ja) * 1996-04-19 1997-11-04 Sharp Corp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を利用した表示装置
CN1127546C (zh) * 1998-02-02 2003-11-12 株式会社辻电 双面胶带的制造方法与制造装置
IT1302763B1 (it) * 1998-09-07 2000-09-29 Tristano Ciani Utensile circolare per il taglio di rotoli di carta e simili
US7455004B2 (en) * 2003-03-06 2008-11-25 Alc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sheet material
JP2005126623A (ja) * 2003-10-27 2005-05-19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ポリエステル系樹脂支持体回収方法
US7350387B1 (en) * 2004-01-23 2008-04-01 Lisk Rodger A Tooling assembly
JP5102000B2 (ja) * 2007-12-04 2012-12-19 東洋刃物株式会社 スリッタ装置
JP2011212773A (ja)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被裁断物の裁断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紙の製造装置。
JPWO2011155594A1 (ja) * 2010-06-11 2013-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モジュールのトリミング処理方法及びトリミング処理装置
JP5328820B2 (ja) * 2011-02-02 2013-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被裁断物の裁断装置、インクジェット用紙の製造装置、インクジェット用紙の製造方法
JP2017137188A (ja) * 2016-02-05 2017-08-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フィルム巻装体のはみ出し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191A (ja) 1999-07-23 2001-02-06 Sony Corp 切断装置
JP2007090461A (ja) 2005-09-27 2007-04-12 Hitachi Chem Co Ltd 粘着材層を備えたフィルム材の切断方法、及びスリット装置
JP2012232392A (ja) 2011-05-09 2012-11-29 Toppan Printing Co Ltd スリッター装置、スリッター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050A1 (ja) 2020-10-08
US20220168916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828B1 (ko)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KR102455837B1 (ko)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US11660783B2 (en) Fiber-reinforced resin material 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resin material mo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resin material
JP6055171B2 (ja) 偏光板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125804A (en) Reel
EP2977203B1 (en) Long thin glass body
US20170036876A1 (en) Thin glass laminate
US20190315566A1 (en) Adhesive film storage box, adhesive film storage device, and infection prevention film
KR102455834B1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CN113613853B (zh) 切缝装置、切缝方法和层叠带
JP4241794B2 (ja) 粘着性極細幅長尺テープ捲回物の製造方法及び同装置
KR20240058996A (ko)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KR20240017415A (ko)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TW201610080A (zh) 透明導電性膜用表面保護膜以及使用該保護膜之透明導電性膜
KR20160095112A (ko) 접착 테이프 구조체 및 접착 테이프 수용체
CN113613854B (zh) 上刃辊、切缝装置、切缝方法和层叠带
JP6216586B2 (ja) 凸部が設けられたシート
CN108350324B (zh) 膜卷装体和膜卷装体的制造方法
US20220144574A1 (en) Method for conveying glass film composite
EP3064461A1 (en) Reel member and film accommodating body
WO2009118826A1 (ja) 粘着性極細幅長尺テープ捲回物の製造方法及び同装置
JP2017217840A (ja) 積層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異物除去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2131131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シート貼合方法
EP3533590B1 (en) Production method for film laminate
JP6779452B2 (ja) クリーニング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