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415A -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 Google Patents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415A
KR20240017415A KR1020247003145A KR20247003145A KR20240017415A KR 20240017415 A KR20240017415 A KR 20240017415A KR 1020247003145 A KR1020247003145 A KR 1020247003145A KR 20247003145 A KR20247003145 A KR 20247003145A KR 20240017415 A KR20240017415 A KR 2024001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lit
tape
adhesive layer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다마노
가츠히로 도이
가즈히코 노다
도모히사 가와이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649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168715A/ja
Publication of KR2024001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3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 B26D1/2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26D7/204Anvil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복수 조의 원반상의 슬릿날 (11) 이 피치 0.5 ㎜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날이 부착된 롤 (10) 과 앤빌 롤 (20) 의 사이에, 기재 필름 (31) 에 점착층 (32)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0) 과 캐리어 필름 (4) 을, 적층 필름 (30) 을 날이 부착된 롤 측 (10) 으로 하여 겹쳐 통과시키고, 적층 필름 (30) 을 스코어 컷 방식으로 슬릿한다. 이 슬릿날 (11) 의 날각을 30° 이하로 한다. 이에 따라,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고, 점착층의 비어져나옴도 발생하지 않도록, 테이프 폭 0.5 ㎜ 이하로 슬릿한다.

Description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SLITTING DEVICE, SLITTING METHOD, AND LAMINATED TAPE}
본 발명은,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의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필름의 슬릿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장척 (長尺) 의 적층 테이프가 도형, 문자 등을 물품에 전사하는 전사 리본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적층 테이프는,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슬릿함으로써 제조된다.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장척의 적층 테이프는, 전자 부품을 기판에 실장할 때의 접착재로서도 사용되고 있어, 최근에는 세폭 (細幅) 의 적층 테이프가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세폭으로 슬릿하면, 슬릿에 의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서는, 원반상의 상측날과 하측날을 사용하는 쉐어 컷 방식으로 적층 필름을 슬릿하는 장치 전체를 후드로 덮고, 적층 필름이 슬릿되고 나서 권취될 때까지의 온도 변동을 억제한다는 대규모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2). 이 방법에 의하면, 적층 필름을 테이프 폭 0.5 ㎜ ∼ 4 ㎜ 의 세폭으로 슬릿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측날과 하측날을 사용하는 쉐어 컷 방식에서는, 상측날과 하측날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한 날의 마모 분말이 슬릿 후의 테이프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그러한 마모 분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깨끗한 절단면을 얻기 위해서 필요해지는 칼날의 가공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는 슬릿 방식으로서,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을 사용하는 스코어 컷 방식에 있어서, 슬릿하는 필름을 캐리어 필름 (받침재) 과 함께 슬릿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323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904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85293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적층 필름을 폭 0.5 ㎜ 로 슬릿한 세폭의 테이프가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0.5 ㎜ 이하의 세폭으로 장척을 슬릿하기 위한 상세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기재와 점착층의 박리 문제는 필름이 세폭이 될수록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폭 0.5 ㎜ 이하의 세폭의 테이프에 대해서는 제품의 양품율 (良品率) 저하 등이 우려된다.
특허문헌 3 의 기재에 의하면, 날각 70° 의 날이 부착된 롤을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2 ㎜ 로 슬릿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테이프 폭 0.5 ㎜ 이하로 슬릿하고자 하면, 날이 부착된 롤에 있어서의 날의 피치가 좁아짐으로써, 슬릿된 적층 필름의 날의 침입측의 면은 그 반대측의 면에 비해서 슬릿폭 방향으로 강하게 압축되어, 점착층의 박리나 비어져나옴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고, 점착층의 비어져나옴도 없는 깨끗한 절단면으로, 테이프 폭 0.5 ㎜ 이하, 특히 0.5 ㎜ 미만으로 슬릿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을 사용하는 스코어 컷 방식의 슬릿 장치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고, 또한 날이 부착된 롤의 슬릿날을 특정한 날각으로 하면, 날이 부착된 롤에 있어서의 슬릿날의 피치를 0.5 ㎜ 이하, 특히 0.5 ㎜ 미만으로 해도,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게 슬릿할 수 있고, 슬릿한 테이프로부터의 점착층의 비어져나옴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하기에 이르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복수 조 (條) 의 원반상의 슬릿날이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을 구비하고 필름을 스코어 컷 방식으로 슬릿하는 슬릿 장치로서, 슬릿하는 필름과 앤빌 롤 사이에 캐리어 필름을 개재시키는 캐리어 필름 반송 기구를 갖고,
슬릿날의 날각이 30° 이하이고,
슬릿날의 피치가 0.5 ㎜ 이하인 슬릿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 조의 원반상의 슬릿날이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의 사이에,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과 캐리어 필름을, 적층 필름을 날이 부착된 롤 측으로 하여 겹쳐 통과시키고, 적층 필름을 슬릿하는 스코어 컷 방식의 슬릿 방법으로서,
슬릿날의 날각을 30° 이하로 하고,
슬릿날의 피치를 0.5 ㎜ 이하로 하는 슬릿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상기 서술한 슬릿 방법으로 슬릿하여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를 제공한다. 또,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테이프로서, 테이프 폭이 0.5 ㎜ 이하이고, 길이 1 m 의 그 적층 테이프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에 1 N 의 장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는 적층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슬릿 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슬릿 방법에 의해,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슬릿하면, 폭 0.5 ㎜ 이하, 특히 폭 0.5 ㎜ 미만의 적층 테이프를,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는 일 없이 얻을 수 있다. 이 적층 테이프로부터 길이 1 m 의 테이프를 임의로 잘라내고, 그 테이프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에 0.5 N, 바람직하게는 1 N, 보다 바람직하게는 5 N 의 장력을 가해도 기재 필름과 점착층은 박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적층 테이프를 릴에 감아 권장체로 하고, 권장체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해도, 권취 시나 인출 시의 장력에 의해서는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적층 테이프의 권장체에서는 점착층의 비어져나옴도 없다. 따라서, 권장체로 했을 경우에 블로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적층 테이프는, 물품에 점착층을 첩부 (貼付) 하는 세폭의 점착재로서 유용해져, 점착층을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면 접착재로서도 유용해진다.
도 1 은, 실시예의 슬릿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적층 필름을 슬릿하고 있는 슬릿 장치의 슬릿날 (절삭날) 의 배열 영역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3A 는, 실시예 장치의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 는,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의 장착 구조의 변형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C 는,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의 장착 구조의 변형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예의 장치의 슬릿날로 적층 필름을 슬릿하고 있을 때의 슬릿날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연결 테이프로 적층 필름끼리가 길이 방향으로 이어 붙여진 적층 필름을 슬릿하고 있을 때의 슬릿날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날각 70° 의 슬릿날로 적층 필름을 슬릿하고 있을 때의 슬릿날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슬릿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슬릿 장치 (1) 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는, 슬릿 장치 (1) 로 필름 (3) 을 슬릿하고 있을 때의 슬릿날의 배열 영역 부근의 측면도이다.
이 슬릿 장치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상의 슬릿날 (11) 이 원통상의 롤 (12) 에 소정 피치로 그 롤 (12) 의 회전축 (L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영역 (13) 을 갖는 날이 부착된 롤 (10) 과, 원통상의 앤빌 롤 (20) 을 구비하고 있고, 필름 (3) 을 스코어 컷 방식으로 슬릿하는 장치이다. 쉐어 컷 방식에서는 상측날과 하측날이 접촉하는 데 반해, 스코어 컷 방식에 의하면 칼날끼리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칼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슬릿 장치 (1) 에는, 슬릿하는 필름 (3) 을 날이 부착된 롤 (10) 과 앤빌 롤 (20) 사이에 통과시키는 반송 기구로서 필름 권출 장치 (2) 와 권취 장치 (도시하지 않음) 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 장치로는, 필름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복수 열의 테이프 중 인접한 테이프가 서로 상이한 방향에서 권취되도록, 짝수열의 테이프 (3a) 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와 홀수열의 테이프 (3b) 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짝수열의 테이프 (3a) 가 상방에서 권취되고, 홀수열의 테이프 (3b) 가 하방에서 권취되도록 기재하고 있지만, 짝수열의 테이프가 하방에서 권취되고, 홀수열의 테이프가 상방에서 권취되도록 해도 된다.
슬릿 장치 (1) 에는, 슬릿하는 필름 (3) 과 앤빌 롤 (20) 사이에 캐리어 필름 (4) 을 개재시키는 캐리어 필름 반송 기구로서, 캐리어 필름 권출 장치 (5) 와, 캐리어 필름 (4) 을 필름 (3) 과 중첩하는 1 쌍의 라미네이트 롤 (6) 과, 슬릿 후의 필름의 단부 (端部) (필름 귀) 와 캐리어 필름 (4) 을 합쳐 권취하는 캐리어 필름 권취부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 장치 (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릿하는 필름 (3) 이, 단층의 수지 필름, 또는 복수 층의 수지층이 접착 혹은 용착된 적층 필름 뿐만 아니라, 기재 필름 (31) 에 점착층 (32)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0) (도 4) 이더라도, 폭 0.5 ㎜ 이하, 특히 폭 0.5 ㎜ 미만으로 슬릿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릿날>
날이 부착된 롤 (10) 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날 (11) 은, 슬릿 방향을 안정시키는 점에서 양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날을 외날로 하면 (즉, 날끝을 형성하는 2 개의 칼날면의 일방을 플랫면으로 하고, 한편을 호면 (鎬面) 으로 하면), 슬릿 시에 슬릿날에 가해지는 필름 폭 방향의 힘이, 플랫면보다 호면에서 커져, 필름이 호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반송되기 때문에, 슬릿하는 필름의 폭 방향의 마진을 넓게 취할 필요가 생기고, 필름 단부의 폐기량도 많아진다. 이에 비해, 양날로 함으로써 슬릿 시에 슬릿날에 가해지는 필름 폭 방향의 힘이 칼날의 양측면에서 동일해지므로 필름의 반송 방향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름 단부의 폐기량도 저감시킬 수 있다.
슬릿날 (11) 의 날각 (α) 은, 기재 필름에 박리 가능하게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폭 0.5 ㎜ 이하, 특히 폭 0.5 ㎜ 미만의 세폭으로,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고 슬릿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30° 이하로 하고, 특히 2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릿날의 내구성의 점에서, 날각 (α) 은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날 (11) 의 피치 (p) 는, 필름 (3) 을 슬릿하여 얻는 테이프에 필요해지는 테이프 폭에 따라 정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세폭의 테이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한에 관해서는 0.5 ㎜ 이하, 특히 0.5 ㎜ 미만으로 하고, 또한, 0.4 ㎜ 이하로 할 수도 있다. 하한에 관해서는, 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날 (11) 의 슬릿날의 날높이 (h) 는, 슬릿 정밀도를 안정시키는 점에서는 높은 편이 바람직하고, 하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4 ㎜ 이상으로 한다. 한편, 슬릿날의 날높이 (h) 는, 슬릿날의 내구성의 점에서는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상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슬릿날의 날각 (α) 을 70° 로 하면, 피치를 0.5 ㎜ 이하로 했을 경우에, 기재 필름 상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슬릿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 (30) 이, 기재 필름 (31) 상에 점착층 (32) 및 커버 필름 (33) 이 순차 형성되고, 점착층 (32) 이 필름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도, 적층 필름 (30) 에 있어서의 슬릿날 (11) 의 침입측의 면은 그 반대측의 면에 비해서 슬릿폭 방향으로 강한 압축력 (F) 을 받는다. 그 때문에, 슬릿 후의 테이프에서는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리거나, 점착층 (32) 이 테이프의 측면으로부터 비어져나와, 테이프를 권장체로 하면 블로킹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거나 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슬릿날 (11) 의 날각을 30° 이하로 작게 하므로, 슬릿날 (11) 의 피치를 0.5 ㎜ 이하, 특히 0.1 ㎜ 이상 0.4 ㎜ 이하로 해도,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날 (11) 의 침입측의 면에 가해지는 압축력 (F) 이 경감되어, 기재 필름 (31) 상에 점착층 (32)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0) 을, 그것들의 박리를 일으키게 하는 일 없이 슬릿할 수 있고, 또, 테이프의 측면으로부터의 점착층 (32) 의 비어져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세폭의 테이프에서는 광폭의 테이프에 비해, 테이프 횡단면적당 가해지는 슬릿폭 방향의 힘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점착층의 비어져나옴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점착층 (32) 의 비어져나옴 억제는, 테이프 폭이 좁아지면 난이도가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날각 (α) 과 피치 (p) 로 슬릿날 (11) 이 배열되어 있는 영역 (13) 을 갖는 날이 부착된 롤 (10) 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롤의 절삭 가공에 의해 얻은 절삭날, 또는 날각 (α) 의 둥근날을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한 조합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도 2 에 나타내는 절삭날은, 탄소강 등의 고강도로 내구성이 높은 롤 (12) 의 표면에 절삭용이 합금층을 형성하고, 그 절삭용이 합금층을, 다이아몬드 공구를 사용한 정밀 절삭 가공 장치 등으로 절삭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조합날은 개개의 슬릿날 (11) 을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슬릿날을 소정 피치로 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슬릿날의 구성은, 날각 30° 이하, 피치 0.5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이하로 하고,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슬릿날을 형성하는 절삭용이성 합금 (즉, 피삭성이 좋은 합금) 으로는, 니켈-인 합금, 경질 구리 합금, 공구강, 초경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절삭용이성 합금의 내구성의 점에서 비커스 경도가 4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5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14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날이 부착된 롤과 앤빌 롤의 장착>
슬릿 장치 (1) 에 있어서 날이 부착된 롤 (10) 과 앤빌 롤 (20) 은,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베어링 (15, 25) 으로 지지되고, 회전축 (L1, L2) 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 (L1, L2) 이 평행이면, 회전축 (L1, L2) 의 방향은 수평이어도 되고 연직이어도 된다. 적층 필름 (30) 의 주행을 안정시키는 점에서는, 회전축 (L1, L2) 의 방향을 수평으로 하고, 날이 부착된 롤 (10) 을 앤빌 롤 (20)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 필름 (30) 에 이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는 점에서는 회전축 (L1, L2) 의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이 부착된 롤 (10) 과 앤빌 롤 (20) 은 기어 (16, 26) 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을 도 1 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날이 부착된 롤 (10) 과 앤빌 롤 (20) 을 개개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슬릿날 (11) 의 캐리어 필름 (4) 에 대한 절입량 (d2) (도 2) 은, 슬릿을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실시하는 점에서, 일례로서 바람직하게는 10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 로 한다. 슬릿 장치 (1) 에는, 캐리어 필름 (4) 의 두께에 따라 절입량 (d2) 을 조정할 수 있도록, 날이 부착된 롤 (10) 의 장착 위치를 앤빌 롤 (20) 에 대해서 움직이는 조정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정 기구로는, 조정 나사 (18) 에 의해 날이 부착된 롤 (10) 을 가이드 (17) 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리니어 가이드 기구 등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일정한 필름 두께의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날 (11) 의 날끝보다 앤빌 롤 (20) 측으로 돌출한 대경 (大徑) 부분 (14) 을 날이 부착된 롤 (10) 에 형성하고, 그 대경 부분 (14) 을 앤빌 롤 (20) 에 꽉 누르도록 해도 된다. 이 대경 부분 (14) 을 앤빌 롤 (20) 에 꽉 누르는 추력은 800 N 정도로 할 수 있다. 이 추력을 과도하게 크게 하면, 날이 부착된 롤 (10) 에 휨 문제가 발생한다. 또,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강, 초경합금 등을 원형으로 잘라, 절삭하고, 연마로 마무리한 두께 0.5 ㎜ 이하의 둥근날을 조합하고, 이것을 볼트 (19) 로 고정시킴으로써 조합날을 구성하고, 조합날에 의해 슬릿날의 배열 영역 (13) 을 형성해도 된다. 도 3C 에 나타낸 양태도, 도 3A 에 나타낸 양태와 마찬가지로, 앤빌 롤 (20) 과 날이 부착된 롤 (10) 의 장착 위치는 조정 나사 (18) 로 조정하므로, 날이 부착된 롤 (10) 을 앤빌 롤 (20) 에 꽉 누르기 위한 추력은 불필요하다.
<슬릿 방법>
본 발명의 슬릿 방법은, 상기 서술한 날이 부착된 롤 (10) 과 앤빌 롤 (20) 사이에, 기재 필름 (31) 에 점착층 (32) 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 (30) 을 통과시켜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는 방법으로서, 적층 필름 (30) 을 날이 부착된 롤 (10) 측으로 하고, 캐리어 필름 (4) 을 앤빌 롤 (20) 측으로 하여 적층 필름 (30) 과 캐리어 필름 (4) 을 겹쳐 통과시킴으로써, 적층 필름 (30) 을 스코어 컷 방식으로 슬릿하는 방법이다 (도 1, 도 4).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 (30) 이, 기재 필름 (31), 점착층 (32), 커버 필름 (33)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필름 (30) 의 기재 필름 (31) 을 날이 부착된 롤 (10) 측으로 하고, 커버 필름 (33) 을 캐리어 필름 (4) 측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커버 필름 (33) 과 캐리어 필름 (4) 을 접착하여 슬릿하고, 슬릿 후에 커버 필름 (33) 과 캐리어 필름 (4) 을 합쳐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한다. 한편, 적층 필름 (30) 의 커버 필름 (33) 을 날이 부착된 롤 (10) 측으로 하고, 기재 필름 (31) 을 캐리어 필름 (4) 측으로 하여 슬릿해도 된다.
이 슬릿으로 캐리어 필름 (4) 은 하프 컷 되지만, 적층 필름 (30) 은 소정 피치로 관통 컷 되므로, 적층 필름 (30) 이 관통 컷 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열의 테이프 중, 인접한 테이프가 서로 상이한 방향에서 권취되도록, 짝수열의 테이프 (3a) 와 홀수열의 테이프 (3b) 를 각각 권취 장치로 권취한다.
또한, 슬릿 후의 적층 필름 (30) 의 단부 (적층 필름의 귀) (3c) 와 하프 컷 된 캐리어 필름 (4) 은 합쳐 권취한다. 또, 커버 필름 (33) 을 캐리어 필름 (4) 과 함께 권취하도록 해도 된다.
슬릿날 (11) 에 의한 캐리어 필름 (4) 에 대한 절입량 (d2) 은, 전술한 바와 같이 10 ㎛ 이상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날높이 (h) 에 대하여, 피슬릿물 (적층 필름 (30) 과 캐리어 필름 (4)) 의 합계 두께는 9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날높이 300 ㎛ 일 때, 피슬릿물의 합계 두께는 27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보다 바람직하게는, 날높이 (h) 에 대하여 피슬릿물의 합계 두께를 70 % 이하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로 한다.
또한, 슬릿은 클린 룸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환경 온도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슬릿 장치 전체를 덮는 후드를 설치하는 것은 불필요하지만, 설치해도 된다.
<적층 필름>
본 발명의 슬릿 방법으로 슬릿하는 적층 필름 (30) 으로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12 ∼ 75 ㎛, 특히 25 ∼ 75 ㎛ 의 기재 필름 (31), 두께 5 ∼ 40 ㎛, 특히 5 ∼ 25 ㎛ 의 점착층 (32), 두께가 기재 필름보다 얇거나 또는 두께 10 ∼ 50 ㎛ 의 커버 필름 (33) 이 순차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박리 가능하다는 것은,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에 셀로판 테이프를 붙이고 떼어내는 것, 또는 기재 필름 (31) 혹은 커버 필름 (33) 의 단 (端) 을 필름용 핀셋 (이하, 핀셋) 으로 잡고 떼어냄으로써,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을 점착층 (32) 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 시에 기재 필름 (31) 을 슬릿날 (11) 의 침입측에 배치해도 되고, 커버 필름 (33) 을 슬릿날 (11) 의 침입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적층 필름을 슬릿하여 얻는 적층 테이프의 용도에 따라서는, 적층 필름 (30) 에는 커버 필름 (33) 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캐리어 필름 (4) 을 적층 필름 (30) 에 중첩하면, 필름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므로, 커버 필름 (33) 이 없어도 슬릿 직후에 슬릿날 (11) 에 점착층 (32) 이 첩부됨으로써 기재 필름 (31) 으로부터 점착층 (32) 이 박리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적층 테이프의 오염 방지의 점에서는, 커버 필름 (33) 이 있는 쪽이 바람직하고, 특히 폭좁은 적층 테이프를 얻는 경우에는 커버 필름 (33) 은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접착재로서 사용되는 형태인 권장체로는, 커버 필름이 오염 방지를 위해서 있어도 되고,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서 없어도 된다.
(기재 필름, 커버 필름)
기재 필름 (31) 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커버 필름 (33) 은, 점착층 (32) 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기재 필름 (31) 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 (31) 이나 커버 필름 (33) 의 표면은,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과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슬릿 후에 먼저 커버 필름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재 필름 (31) 보다 커버 필름 (33) 에 있어서 보다 박리되기 쉬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강성이 낮은 점착층 (32) 과 비교적 강성이 높은 기재 필름 (31) 을 동시에 슬릿하고, 또한 슬릿 시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슬릿 후의 적층 테이프의 사용 시에는 점착층 (32) 과 기재 필름 (31) 을 박리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의 인장 탄성률은 개략 1100 ∼ 4200 ㎫ 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과, 필름과 강성이 상이한 점착층 (32) 을 동시에 폭 0.5 ㎜ 이하의 세폭으로 슬릿하고, 또한 슬릿 시에 필름과 점착층의 분리 또는 박리를 억제하는 것은 난이도가 높은 기술이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슬릿이 가능해진다.
(점착층)
점착층 (32) 으로는, 점착 필름이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점착제의 도막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에 따라, 점착층 (32) 은, 단일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수지층의 적층체 또는 다층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점착층 (32) 에는, 필요에 따라 필러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층의 필러)
점착층에 필러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필러는,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에 따라, 공지된 무기계 필러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등), 유기계 필러 (수지, 고무 등), 유기계 재료와 무기계 재료가 혼재한 필러 등에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광학적 용도나 광택 제거 용도에서는, 실리카 필러, 산화티탄 필러, 스티렌 필러, 아크릴 필러, 멜라민 필러나 각종 티탄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콘덴서용 필름의 용도에서는, 산화티탄,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아연, 티탄산비스무트, 산화란탄, 티탄산칼슘,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바륨, 티탄산지르콘산바륨, 티탄산지르콘산납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재로서의 용도에서는 폴리머계의 고무 입자, 실리콘 고무 입자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전자 부품 실장의 용도에서는 필러는 도전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절연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필러가 절연성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필러를 스페이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필러의 입자경은,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테이프를 전자 부품의 실장에 사용하는 경우, 필러의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30 ㎛ 이하이다.
여기서, 입자경은 평균 입자경을 의미한다.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 (30) 의 점착층 (32) 의 평면 화상 또는 단면 (斷面) 화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 필러를 적층 필름 (30) 의 점착층 (32) 에 함유시키기 전의 원료 입자로서의 필러의 평균 입자경은 습식 플로식 입자경·형상 분석 장치 FPIA-3000 (말번사) 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N 수는 1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이다. 한편, 필러에는 입자경 1 ㎛ 미만의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입자경 1 ㎛ 미만의 필러 (소위 나노 필러) 로는 점도 조정용의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크기는 전자 현미경 (TEM, SEM) 의 관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N 수는 200 이상이 바람직하다.
필러로서, 양자 도트와 같이 기능성을 가진 것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필러의 크기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2 ㎚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크기도 전자 현미경 (TEM, SEM) 의 관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N 수는 2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하에 서술하는 필러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입자경 1 ㎛ 이상의 필러를 가리킨다. 즉, 표면 개질제나 충전제로서 사용되는 나노 필러는 제외된다.
점착층에 있어서, 필러는 수지 중에 혼련되어 랜덤하게 분산되어 있어도 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개개로 비접촉이어도 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소정 배열을 반복하는 규칙적인 배치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필러의 개수 밀도는, 필름의 슬릿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며, 면 시야에 있어서 예를 들어, 30 ∼ 100000 개/㎟ 로 할 수 있다. 이 개수 밀도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광학 현미경이나 금속 현미경을 사용하여 점착층 중의 필러를 관찰하고, 10 개 지점 이상의 영역을 합계 2 ㎟ 이상으로 하고, 필러수 합계가 200 이상이 되도록 하여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한편, 점착층 (32) 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의 용도, 필러의 유무 등에 따라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이 적절히 선택되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고점도 점착성 수지 조성물, 또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등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를 전자 부품의 실장 등에 사용하는 접착재로 하는 경우, WO2018/074318A1 공보에 기재된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점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중합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소위 핫멜트 타입의 접착재여도 된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중합 개시제로는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되고,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되며, 그것들을 병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열중합 개시제로서 열 카티온계 중합 개시제, 열중합성 화합물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고, 광 중합 개시제로서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 중합성 화합물로서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다. 열중합 개시제로서, 열 아니온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된다. 열 아니온계 중합 개시제로는, 이미다졸 변성체를 핵으로 하고 그 표면을 폴리우레탄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캡슐형 잠재성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연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층 전체적인 최저 용융 점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필름 형성의 점에서 100 ㎩·s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점착층 (32) 을 물품에 열 압착할 때의 필러의 불필요한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500 ㎩·s 이상으로 한다. 한편, 최저 용융 점도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례로서, 바람직하게는 15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s 이하이다. 이 최저 용융 점도는, 일례로서 회전식 레오미터 (TA instrument 사 제조) 를 사용하고, 측정 압력 5 g 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직경 8 ㎜ 의 측정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범위 30 ∼ 200 ℃ 에 있어서, 승온 속도 10 ℃/분, 측정 주파수 10 ㎐, 상기 측정 플레이트에 대한 하중 변동 5 g 으로 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최저 용융 점도의 조정은, 용융 점도 조정제로서 함유시키는 미소 고형물의 종류나 배합량, 수지 조성물의 조정 조건의 변경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점착층의 점착력)
·박리 가능성
점착층 (32) 의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에 대한 점착력은, 점착층 (32) 을, 그 테이프의 용도마다 소정의 물품에 첩착 (貼着) 했을 경우의 점착층 (32) 의 점착력보다 약하여,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커버 필름 (33) 을 박리 후, 점착층 (32) 을 물품에 첩부하여 기재 필름 (31) 의 박리 가능성을 평가한다.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 가능하다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에 셀로판 테이프를 붙이고 떼어냄으로써, 또는 핀셋으로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의 단을 잡고 떼어냄으로써, 이들을 점착층 (32) 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을 말하지만, 이 구체적인 지표로는, 슬릿 전의 적층 필름을 폭 5 ㎝, 길이 15 ㎝ 로 컷 하고, 박리 시험으로서 T 형 박리 시험 (JIS K 6854) 을 했을 경우에, 접착 강도가 0.005 ∼ 0.2 N 인 것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 (31) 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서는, 180° 박리 시험이나 90° 박리 시험에 의해 평가해도 된다. 셀로판 테이프를 사용하여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으로부터 커버 필름 (33) 을 먼저 떼어내고, 점착층 (32) 을 물품에 첩부한 후, 기재 필름 (31) 을 핀셋으로 떼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정성
한편, 적층 필름 (30) 을 테이프로 슬릿하고, 권취 장치로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여 권장체로 할 때나, 권장체로 한 테이프를 접착재로서 사용할 때에 권장체를 접속 장치에 장착하여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할 때에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에 텐션 (장력) 이 가해진다. 그래서, 테이프에 이러한 텐션이 가해진 경우에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이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접속 장치에서 권장체에 요구되는 테이프 길이는 통상적으로 5 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 이상이며,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할 때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텐션은 1 N ∼ 5 N 정도가 일반적이다. 또한, 접속 장치의 가동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릴에 락이 걸려, 테이프에 5 ∼ 6 N 의 텐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에는 5 N 정도의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상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텐션에 있어서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첩착 상태나 릴과 기재 필름의 접속 (릴로부터 꺼낸 리드와 기재 필름의, 실리콘 테이프 등의 접착 필름에 의한 접속, 또는 초음파 용착) 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테이프를 세폭으로 했을 경우에 종전의 텐션을 테이프에 가하면, 기재 필름이 파단하거나,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거나 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서는 우려된다. 그래서, 기존 설비를 가능한 한 살려 세폭의 테이프의 권취나 인출을 실시하는 경우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텐션은 0.5 N 정도로 하면 되고, 1 N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에 대해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N 이하이다.
이와 같은 권취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실용상의 요청으로부터, 점착층 (32) 에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폭 0.1 ㎜ 이상 0.5 ㎜ 이하로 슬릿한 적층 테이프의 길이 1 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m 이상의 것에, 길이 방향으로 0.5 N 이상, 바람직하게는 1 N, 보다 바람직하게는 5 N 의 장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다는 안정성이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박리 가능성은, 기재 필름 (31) 및 커버 필름 (33) 에 대한 점착층 (32) 의 점착력의 상한에 관한 성질이지만, 이 안정성은 점착력의 하한에 관한 성질이다.
안정성 시험은 간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시험 방법으로는, 적층 테이프의 시험 길이를 1 m 로 하고, 길이 1 m 로 재단한 적층 테이프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에 0.5 N, 바람직하게는 1 N, 보다 바람직하게 5 N 을 부하하고,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의 박리 유무를 관찰하는 시험을 들 수 있다. 또, 보다 실용적인 시험 방법으로는,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1 m 이상 인출하고, 그 단부에 0.3 N, 0.5 N, 1 N, 또는 5 N 을 부하하고, 박리의 유무를 관찰하는 시험을 들 수 있다. 또, 권장체로부터 테이프의 전체 길이를 인출하고, 임의의 20 개 지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개 지점 이상에서 박리의 유무를 관찰해도 된다. 이와 같은 시험에 있어서, 실용상 필요해지는 점착력의 지표의 일례로는, (i) 적층 필름을 본 발명 방법으로 폭 0.1 ㎜ 이상 0.5 ㎜ 이하의 적층 테이프로 슬릿하고, 커버 필름을 떼어내어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테이프의 권장체로 하고,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길이 1 m 인출하여 릴의 권심 (卷芯) 과 테이프의 연결 위치를 고정시키고, 테이프 단부에 대한 정하중의 부하에 의해 0.3 N, 바람직하게는 0.5 N, 보다 바람직하게는 1 N, 더욱 바람직하게는 5 N 의 텐션을 연결 위치각 (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37188호) 을 90° 로 하여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이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것, 또, 인출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비어져나옴이 발생하지 않는 것 (ii)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적층 필름을 폭 0.1 ㎜ 이상 0.5 ㎜ 이하로 슬릿한 적층 테이프로부터 임의로 잘라낸 시험 길이 1 m 의 시험편에 있어서, 그 시험편의 길이 방향으로 0.5 N, 바람직하게는 1 N, 보다 바람직하게는 5 N 의 장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 (31)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것, (iii)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테이프를 0.5 N 으로 권심에 5 m 이상 휘감은 권장체로부터 손으로 테이프를 모두 인출했을 경우에 테이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박리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것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 을 들 수 있다. 간이적으로 시험하는 점에서는 (iii) 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시험 길이 1 m 정도로 재단하고, 손으로 양단에 부하 (대략 1 N ∼ 5 N 정도) 를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해도 된다.
적층 테이프가 상기 서술한 점착력을 가지면, 이 적층 테이프를 바람직하게는 길이 5 m 이상, 10 m 이상, 50 m 이상, 나아가서는 길이 100 m 이상의 권장체에 감고, 그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바람직하게는 1 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 이상 인출한 경우에도, 인출한 테이프에 있어서 기재 필름 (31) 이 점착층 (32) 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 테이프를 전자 부품의 실장에 제공할 수 있다.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점착력
한편, 전자 부품, 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점착력이라는 관점에서 점착층에 요구되는 점착력의 시험 방법으로는, 적층 테이프로부터 임의로 채취한 길이 2 ㎝ 의 소편 (상기 서술한 (ii) 의 1 m 의 적층 테이프의 시험편을 재단한 소편이어도 된다) 을 소(素) 유리에 점착층측으로부터 임시로 붙여 (예를 들어 45 ℃ 에서 첩부), 핀셋으로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의 단만을 잡고 제거하는 박리 시험을 실시하고, 그 박리 시험에 있어서 기재 필름 (31) (또는 커버 필름 (33)) 만을 제거할 수 있어, 점착층은 소 유리에 형상이 변화되지 않고 첩착한 채로 할 수 있었던 경우를 성공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박리 시험에서는, N 수가 20 이상이고 75 % 이상의 성공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의 성공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상의 성공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결 테이프의 첩착)
적층 필름 (30) 에는, 권장체의 권시 (卷始) 나 권출 시의 리드를 장착하기 위해서, 또는 제 1 적층 필름과 제 2 적층 필름을 첩합하여 장척화하기 위해서, 적층 필름 (30) 에 연결 테이프가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 지점은 규칙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복수 지점으로 할 수 있다. 또, 적층 필름과 리드의 장착에 있어서는, 적층 필름 (30) 의 기재 필름 (31) 과 리드를 연결 테이프로 맞붙일 수 있다. 적층 필름의 리드에 대한 장착은, 초음파 용착 등의 공지된 수법이어도 된다.
연결 테이프로는, 박리성이 높고, 총두께가 비교적 얇은 기재가 부착된 점착 테이프 (예를 들어, 실리콘 테이프) 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5 ∼ 75 ㎛ 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적층 필름 (30) 에 연결 테이프가 첩착되어 있는 부분을 슬릿할 때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날 (11) 이 적층 필름 (30) 및 연결 테이프 (35) 의 적층체에 깊게 들어간다. 그 때문에, 종전의 슬릿 장치에 의하면, 슬릿날 (11) 의 침입측의 적층체의 면은, 인접하는 칼날끼리의 간격이 현저하게 좁아져, 그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슬릿날 (11) 의 측면으로부터 강한 압축력 (F) 을 받아, 커버 필름 (33) 또는 기재 필름 (31) 과 점착층 (32) 이 박리되거나, 슬릿한 적층체의 측면으로부터 점착층 (32) 이 비어져나오기 쉬워진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 필름 (30) 에 연결 테이프 (35) 가 첩착되어 있어도, 이와 같은 박리나 비어져나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층 테이프>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는, 상기 서술한 슬릿 방법으로 적층 필름 (30) 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테이프이다. 따라서, 이 테이프는, 기재 필름에 점착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적층 테이프로서, 테이프 폭의 상한에 대해 0.5 ㎜ 이하, 특히 0.5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이다. 하한에 대해서는 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0.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다.
이 적층 테이프는, 그 테이프로부터 임의로 잘라낸 시험 길이 1 m 가 되도록 시험편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에 0.3 N, 0.5 N 혹은 1 N 의 장력을 가한 경우에,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고, 또, 권장체에서는 점착층 (32) 의 비어져나옴이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 적층 테이프는, 그 테이프를 길이 2 ㎝ 의 소편으로 잘라 점착층 (32) 을 소 유리에 붙이고, 핀셋으로 기재 필름 (31) 의 단만을 잡고 제거한 경우에, 점착층이 소 유리로부터 잘 박리되지 않는다는 실용상의 요청을 만족하고, 소위, 첩착이나 전착 (轉着) 을 가능하게 한다.
취급성의 점에서 이 테이프를 릴에 감은 권장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장체에 있어서의 테이프 길이는, 실용상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m 이상 5000 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 이상 1000 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m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폭이 세폭이 되면, 권장체에서는 블로킹이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에 따르면 권장체에서 블로킹이 잘 발생하지 않고, 권장체로부터 테이프를 5 m 이상 인출해도, 인출한 테이프에, 기재 필름 (31) 이나 커버 필름 (33) 과 점착층 (32)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층 필름을 슬릿하여 얻어지는 적층 테이프의 슬릿의 절단면이 되는 단부에는 육안으로 보아 들뜸 (변색 부분)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폭이 0.5 ㎜ 이하로 세폭이 되면, 적층 테이프의 양단의 들뜸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불필요한 박리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날카로운 양날로 적층 필름을 슬릿하므로, 권장체를 형성하는 테이프 전체 길이로부터 임의로 20 개 지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개 지점 이상에서 들뜸의 유무를 육안 관찰에 의해 조사해도, 들뜸은 잘 관찰되지 않는다. 적층 테이프의 슬릿의 절단면을 따른 단부에 들뜸이 관찰되는 경우에도, 들뜸은 길이가 5 ㎝ 미만, 폭은 테이프 폭에 대하여 40 % 이하, 특히 1/3 이하로,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에 의하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이 잘 어긋나지 않고, 블로킹이나 들뜸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권장체의 권취, 인출의 작업성이 좋고, 권장체로부터 인출하여 잘라낸 테이프를 대상 부재에 첩부할 때에는 첩부 위치에 어긋남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 테이프는, 세폭의 점착재 또는 접착재로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점착층 (32) 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종류 등은 테이프를 첩부하는 대상 부재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실시예
실시예 1
기재 필름이 두께 38 ㎛ 의 박리 처리된 PET 필름으로 형성되고, 점착층이 두께 10 ㎛ 의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 (접착성 필름, 덱세리알즈 제조) 로 형성되고, 커버 필름이 두께 12 ㎛ 의 PET 필름으로 형성된 적층 필름을, 도 2 에 나타낸 절삭날을 사용하여 1 회로 폭 0.3 ㎜, 길이 100 m 의 테이프로 슬릿하고, 커버 필름은 떼어내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을 φ90 ㎜ 의 플랜지가 부착된 권심 (플랜지간 거리 0.4 ㎜) 에 장력 (권취 텐션) 0.3 ∼ 0.6 N 을 가하여 권취함으로써 권장체로 하고, 다음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1) 들뜸
권장체로 한 100 m 의 테이프를 모두 손으로 인출하고, 인출한 테이프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길이 10 ㎝ 의 시험 영역 20 개 지점을 육안 관찰하고, 들뜸 유무에 관한 다음의 항목 a, b, c 에 기초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 길이 5 ㎝ 이상의 들뜸이 없다
b : 폭이 테이프 폭의 1/3 을 초과하는 들뜸이 없다
c : 길이 5 ㎝ 미만의 들뜸 또는 폭이 테이프 폭의 1/3 이하의 들뜸의 존재 지점이 5 개 지점 이하
평가 A : abc 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평가 B : ab 를 함께 만족하는 경우
평가 C : 상기의 평가 A 및 평가 B 이외
이 평가 결과는 평가 A 였다. 또한, 실용상은 평가 B 를 만족하면 문제 없고, 추가로 c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박리
상기 시험에 있어서, 들뜸의 육안 관찰을 실시한 지점과, 그 이외의 30 개 지점의 합계 50 개 지점에서 박리는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 중 전체 길이를 인출하면서 육안 관찰하고 있었지만, 대체로 박리는 없었다.
또, 작업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점착층의 비어져나옴의 발생은 없고, 플랜지에 대한 점착층의 부착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서술한 (1), (2) 의 결과는 절삭날에 의한 슬릿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슬릿 장치
2 : 필름 권출 장치
3 : 필름
4 : 캐리어 필름
5 : 캐리어 필름 권출 장치
6 : 라미네이트 롤
10 : 날이 부착된 롤
11 : 슬릿날, 둥근날
12 : 롤
13 : 영역
14 : 대경 부분
15 : 베어링
16 : 기어
17 : 가이드
18 : 조정 나사
19 : 볼트
20 : 앤빌 롤
25 : 베어링
26 : 기어
30 : 적층 필름
31 : 기재 필름
32 : 점착층
33 : 커버 필름
35 : 연결 테이프
α : 슬릿날의 날각
d1 : 슬릿날의 날끝과 앤빌 롤의 간극
d2 : 슬릿날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절입량
F : 압축력
h : 슬릿날의 날높이
L1, L2 : 회전축
p : 슬릿날의 피치

Claims (1)

  1. 본원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슬릿 장치.
KR1020247003145A 2019-03-31 2020-03-31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KR20240017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9545 2019-03-31
JP2019069545 2019-03-31
JP2020064948A JP2020168715A (ja) 2019-03-31 2020-03-31 スリット装置、スリット方法及び積層テープ
PCT/JP2020/014951 WO2020204049A1 (ja) 2019-03-31 2020-03-31 スリット装置、スリット方法及び積層テープ
JPJP-P-2020-064948 2020-03-31
KR1020217030351A KR20210132119A (ko) 2019-03-31 2020-03-31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51A Division KR20210132119A (ko) 2019-03-31 2020-03-31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415A true KR20240017415A (ko) 2024-02-07

Family

ID=7266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145A KR20240017415A (ko) 2019-03-31 2020-03-31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62035A1 (ko)
KR (1) KR20240017415A (ko)
WO (1) WO2020204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2910B (zh) * 2021-04-29 2022-11-08 东莞市金恒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uv增粘保护膜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293A (ja) 2002-03-27 2003-10-07 Hitachi Chem Co Ltd スコアカットスリッ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スリット方法
JP2007090461A (ja) 2005-09-27 2007-04-12 Hitachi Chem Co Ltd 粘着材層を備えたフィルム材の切断方法、及びスリット装置
JP2012232392A (ja) 2011-05-09 2012-11-29 Toppan Printing Co Ltd スリッター装置、スリッター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330B1 (en) * 1998-08-13 2002-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slitting and processing a web into plural use supply forms
JP4132569B2 (ja) * 2000-05-01 2008-08-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リッタ刃
JP2005126623A (ja) * 2003-10-27 2005-05-19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ポリエステル系樹脂支持体回収方法
JP2017014504A (ja) * 2015-06-29 2017-01-19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物品及び携帯電子端末
JP2017137188A (ja) * 2016-02-05 2017-08-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フィルム巻装体のはみ出し試験方法
JP6951902B2 (ja) * 2017-08-07 2021-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293A (ja) 2002-03-27 2003-10-07 Hitachi Chem Co Ltd スコアカットスリッ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スリット方法
JP2007090461A (ja) 2005-09-27 2007-04-12 Hitachi Chem Co Ltd 粘着材層を備えたフィルム材の切断方法、及びスリット装置
JP2012232392A (ja) 2011-05-09 2012-11-29 Toppan Printing Co Ltd スリッター装置、スリッター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62035A1 (en) 2022-05-26
WO2020204049A1 (ja)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2656B1 (de) Trennverfahren für ein schichtsystem umfassend einen wafer
JP6055171B2 (ja) 偏光板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32119A (ko)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KR20240017415A (ko)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JP2008081287A (ja) 粘着性極細幅長尺テープ捲回物の製造方法及び同装置
CN105522608A (zh) 用以切割膜的刀具与设备
JP2016184596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材と配線基板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icカード
KR20240058996A (ko)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KR102092530B1 (ko) 필름 권장체, 및 필름 권장체의 제조 방법
KR20210128478A (ko) 상날 롤, 슬릿 장치, 슬릿 방법 및 적층 테이프
JP6891999B2 (ja) 熱伝導シートの転写方法および転写装置
TW200300789A (en) Release lin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lease liner
JP5927533B2 (ja) 機能シート貼付装置における機能シート不良部分の廃棄方法
WO2013073247A1 (ja) 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システム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方法
JP2017217840A (ja) 積層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異物除去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4071061A1 (ja) 接着シート、接着方法及び巻回体
DE102020006970B4 (de) Dekaschiervorrichtung zur Herstellung doppelseitiger Klebebänder
JP2012131131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シート貼合方法
CN116751525A (zh) 粘合带和带卷
EP3533590B1 (en) Production method for film laminate
JP2020073673A (ja) 接着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巻装体、フィルム巻装体の製造方法、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747210B2 (ja) 熱伝導シートの転写方法および転写装置
JP2006274055A (ja) ロール状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状両面粘着テープ
JP2002220570A (ja) ラビング布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EP2828885B9 (de) Druckübertragungsplatte zur druckübertragung eines bondingdru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