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065A -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7065A KR20240057065A KR1020220137326A KR20220137326A KR20240057065A KR 20240057065 A KR20240057065 A KR 20240057065A KR 1020220137326 A KR1020220137326 A KR 1020220137326A KR 20220137326 A KR20220137326 A KR 20220137326A KR 20240057065 A KR20240057065 A KR 202400570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uoy
- mooring
- movement range
- propul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관측활동을 수행하는 부이의 이동범위를 조절하도록 추진모터를 설치하여 계류부에 가해지는 장력의 부담을 저감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은, 해상에서 부유하며, 해양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측장비(11)가 구비되고, 하부측은 계류를 위한 계류브래킷(12)이 구비되는 부이장치부(10); 상기 부이장치부(10) 일측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부(20); 상기 부이장치부(10)를 계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계류브래킷(12)과 연결되고, 타측은 해저면에 고정된 고정대(31)와 연결되는 계류라인(32)이 구비되는 계류부(30); 및 상기 부이장치부(1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이동범위좌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부이몸체(10)가 상기 이동범위좌표 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관측활동을 수행하는 부이의 이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추진모터를 설치하여 부이와 계류부 사이에 발생되는 장력의 부담을 저감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Buoy)는 해양의 해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로 된 항로표지의 일종으로,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또는 암초, 침몰선 등 항해양의 위험물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용과, 해류의 흐름, 표층수온, 기압, 풍향, 풍속 등과 같은 기상 정보를 감지하는 해양 기상관측용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부이는 자체 내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여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이는 해풍이나 해류와 같은 외력에 의해 이동하므로 부이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부이와 해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블록에 체인으로 서로 연결하여 부이를 계류하였다.
하지만, 해류는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므로 부이와 바닥을 연결하는 계류부는 지속적으로 장력에 의한 부하가 발생하였으며, 계류부의 부하를 저감하도록 체인을 늘리는 경우는 부이의 이동 반경이 넓어지므로 넓은 반경에 대한 해양 이용료가 증가하고, 부이가 넓은 반경을 표류하므로 선박에 의한 사고 위험 또한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하여, 계류부의 체인이 짧은 경우에는 부이의 이동 반경이 좁아지므로 계류부가 받는 장력에 의한 부하가 증가하였으므로 부이의 이동범위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계류부가 받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부이 시스템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17778호‘해양 관측용 부이 장치’는 관측용 부이의 양측에 보조부이를 설치하여 계류부가 받는 부하를 저감하는 기술을 공지하였으나, 이는 계류부에 발생된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지만 장력 부하의 발생을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잔존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에서 부유(浮遊)하며 기상을 관측하는 해양 기상관측용 부이장치의 이동범위를 기 설정된 이동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여 계류부에 가해지는 장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계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급격히 변화하는 해류에 의해 발생하는 계류부의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은, 해상에서 부유하며, 해양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측장비(11)가 구비되고, 하부측은 계류를 위한 계류브래킷(12)이 구비되는 부이장치부(10); 상기 부이장치부(10) 일측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부(20); 상기 부이장치부(10)를 계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계류브래킷(12)과 연결되고, 타측은 해저면에 고정된 고정대(31)와 연결되는 계류라인(32)이 구비되는 계류부(30); 및 상기 부이장치부(1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이동범위좌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부이몸체(10)가 상기 이동범위좌표 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관측장비(11)는, 상기 부이장치부(10)의 평면위치좌표를 측정하는 GPS장치(1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이동범위좌표와 상기 평면위치좌표 사이의 벡터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추진부(20)의 추진 세기와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측장비(11)는, 상기 부이장치부(10)의 이동방향을 측정하는 관성측정센서(15)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20)는, 상기 벡터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계류부(30)는, 상기 계류라인(32)이 상기 계류브래킷(12)에서 연장되는 방향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33)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도센서(33)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추진부(20)의 추진 세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류부(30)는, 상기 계류라인(32)을 내부 방향으로 감는 텐션을 제공하는 계류풀리(34)를 포함하여 상기 계류라인(32)에 가해지는 장력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은 해상에서 부유(浮遊)하며 기상을 관측하는 해양 기상관측용 부이장치의 이동범위를 기 설정된 이동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여 계류부에 가해지는 장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계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격히 변화하는 해류에 의해 발생하는 계류부의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장치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이장치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장치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이장치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장치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은 부이장치부(10), 추진부(20), 계류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장치부(10)는 해상에서 부유하며,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水密)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측에는 해양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측장비(11)가 구비되며, 하부측에는 계류를 위한 계류브래킷(12)이 구비된다.
여기서, 해양의 상태 측정을 위한 관측장비(11)는 해상의 기류를 관측하는 윈드라이다,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는 풍향풍속계, 해풍의 습도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습도계, 부이장치부(10)의 3차원 x,y,z축에 대한 회전인 피치(pitch), 요(yaw), 롤(roll)을 통한 이동방향과 기울기를 측정하는 관성측정센서(15), 부이장치부(10)의 평면위치좌표를 측정하는 GPS장치(14)와 전술한 관측장비(11) 및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풍력발전기 또는 태양열발전기로 구성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이장치부(10)의 하면에는 해수의 깊이별 유속을 측정하는 음향도플러유속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진부(20)는 부이장치부(10)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수중에서의 추진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추진부(20)는 전기에너지를 입력받아 프로펠러를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모터(21)와, 상기 추진력이 일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추진모터(21)를 부이장치부(10)의 하부면 선미측에 고정시키고,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내장되는 시트부(22)가 구비된다.
그리고, 부이장치부(10)는 해류, 해풍 등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에 선수(船首)측이 외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부면에 지느러미 형상의 킬(keel)부(13)가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해류가 부이장치부(10) 하방에서 일방향으로 흐르며 킬부(13)를 통과할 때, 부이장치부(10)의 선수가 해류가 흐르는 방향의 역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부이장치부(10)는 해수면에 배치되되, 선수(船首)는 해저면에 고정된 고정대(31)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추진부(20)는 선미(船尾)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켜 부이장치부(10)가 이동범위의 센터(c)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추진부(20)는 킬부(13)를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시트부(22)의 길이를 통하여 추진부(20)와 추진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추진부(20)에서 발생되는 추진력에 의한 해수의 흐름에 의해 부이장치부(10)의 이동방향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22)는 하나 이상의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어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선수와 선미를 통한 부이장치부(10)의 자세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방향과 대칭되는 반대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부이장치부(10)의 하부측에는 부이장치부(10)가 소정의 이동 범위로 이동하고 표류하지 않도록 계류부(30)가 구비된다.
여기서, 계류부(30)는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대(31)와, 상기 고정대(31)와 부이장치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계류브래킷(12) 사이를 연결하는 계류라인(32)이 구비되며, 고정대(31)는 콘크리트블록, 닻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은 부이장치부(1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이동범위좌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부이몸체(10)가 상기 이동범위좌표 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어부(40)는 부이장치부(10) 상부측에 배치되는 GPS장치(14)를 통하여 측정된 부이장치부(10)의 평면위치좌표를 입력받으며, 측정된 평면위치좌표와 기 설정된 이동범위좌표를 비교하여 부이장치부(10)가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평면위치좌표가 이동범위좌표에 근접하는 것을 판단하여 추진부(20)를 동작시킨다.
다시 말하여, 부이장치부(10)는 계류부(30)에 의해 환형의 이동범위(S) 내에 위치하며, 해상의 기후변화에 의해 부이장치부(10)가 이동하게 되어 부이장치부(10)의 평면위치좌표가 이동범위(S)의 경계에 근접하여 a(x1,y1)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40)는 추진부(20)를 동작하여 부이장치부(10)를 센터(c)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이동범위좌표와 상기 평면위치좌표 사이의 거리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추진부(20)의 추진 세기와 동작시간을 설정한다.
즉, 부이장치부(10)의 위치가 a(x1,y1)에 있는 경우, b(x2,y2)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추친부(20)의 추진 세기는 커지고, 동작시간은 더 길어지는 것이다.
다만, 이는 선수의 방향이 고정대(31) 방향을 바라봄으로써 센터(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며, 해상의 날씨에 의해 선수의 방향이 다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부이장치부(10)의 이동방향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이장치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먼저, 관측장비(11)는 부이장치부(10)의 이동방향을 측정하는 관성측정센서(15)를 포함하며, 제어부(40)는 관성측정센서(15)를 통하여 측정되는 이동방향과, 이동범위좌표와 평면위치좌표를 통하여 연산된 벡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벡터와 관성측정센서(15)를 통하여 측정되는 이동방향의 각도 차이에 대응하는 각도 만큼 추진부(20)를 회전시켜 부이장치부(10)의 이동방향을 보정한다.
다시 말하여, 추진부(20)는 제어부(40)에 의해 연산된 벡터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이장치부(10)의 수직방향으로 서포터(23)가 설치되며, 서포터(23)의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추진부(20)가 설치되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포터(23) 내부에는 상기 벡터와 관성측정센서(15)를 통하여 측정되는 이동방향의 각도 차이에 대응하는 각도 만큼 추진부(20)의 각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보모터(24)가 구비되어 추진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계류부(30)를 통하여 계류라인(32)이 받는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계류부(30)는 계류라인(32)을 내부?향으로 감는 텐션을 제공하는 계류풀리(34)를 구비하며, 계류풀리(34)는 계류브래킷(1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계류풀리(34)의 내부에는 계류라인(32)이 소정의 길이만큼 감길 수 있는 원통형의 타래와, 상기 타래에 텐션을 제공하는 탄성부(35)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타래의 외주면에는 계류라인(32)이 간섭되지 않도록 톱니(36)가 형성되고, 톱니(36)는 계류풀리(34)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37)와 맞물리며 타래의 회전을 조절한다.
다시 말하여, 톱니(36)와 스토퍼(37)가 맞물려 타래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도, 계류풀리(34)는 부이장치부(10)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스토퍼(37)가 톱니(36)와 분리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부이장치부(10)가 위치좌표 a(x1,y1)와 b(x2,y2)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좌표 a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위치좌표 b에 위치할 때, 부이장치부(10)와 계류라인(32)이 형성하는 각도가 더 커지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계류부(30)는 계류라인(32)이 계류브래킷(12)에서 연장되는 방향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33)를 구비하며, 제어부(40)는 각도센서(33)에서 측정된 각도(θ)에 대응하여 상기 추진부(20)의 추진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40)는 부이장치부(10)와 계류라인(32)이 형성하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를 부이장치부(10)가 센터(c)에서 멀어진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부이장치부(10)가 기 설정된 이동범위좌표를 넘어갈 수 있으므로 계류라인(32)의 최대 이동반경(L)을 초과하여 장력 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부이장치부(10)가 설정된 이동범위좌표를 초과하는 경우에, 스토퍼(37)가 톱니(36)를 분리하여 타래를 풀며 계류라인(32)을 연장시킴으로써 계류라인(32)에 가해지는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부이장치부(10)가 위치하는 해상 또한 조수 간만의 차가 존재하며, 수위는 소정의 간격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해수면이 낮아지는 경우는 부이장치부(10)의 이동범위가 비교적 넓어지게 되고, 반대로 해수면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부이장치부(10)의 이동범위가 비교적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계류부(30)는 계류라인(32)을 내부?향으로 감는 텐션을 제공하는 계류풀리(34)를 통하여 해수면이 낮아지는 경우 탄성부(35)를 통해 타래를 감아 계류라인(32)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동반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해수면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스토퍼(37)를 분리하여 이동범위가 좁아지며 발생할 수 있는 계류라인(32)의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해류, 해풍에 의해 부이장치부(10)가 이동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계류풀리(34)의 타래를 풀어주며 계류라인(32)을 연장시킴으로써 계류라인(32)에 가해지는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계류풀리(34)는 계류라인(32)이 감긴 타래가 모두 풀리는 경우, 계류라인이 당겨지며 발생하는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측정센서(39)를 구비하고, 제어부(40)는 장력측정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추진부(20)를 구동하여 계류라인(32)에 가해지는 장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류풀리(34)는 스토퍼(37)의 전진 후퇴를 조정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38)가 구비되며, 제어부(40)는 전술한 상황에서 액츄에이터(38)의 전진 후퇴를 조정하여 스토퍼(37)와 톱니(36)의 결합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계류라인(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부(35)를 사용하였으나, 타래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 등의 구성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은 해상에서 부유(浮遊)하며 기상을 관측하는 해양 기상관측용 부이장치의 이동범위를 기 설정된 이동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추진부(20)를 제어하여 계류부에 가해지는 장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계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급격히 변화하는 해류에 의해 발생하는 계류부의 장력 부하를 계류풀리(34)를 통하여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부이장치부
11: 관측장비 12: 계류브래킷
13: 킬부 14: GPS장치
15: 관성측정센서
20: 추진부
21: 추진모터 22: 시트부
23: 서포터 24: 서보모터
30: 계류부
31: 고정대 32: 계류라인
33: 각도센서 34: 계류풀리
35: 탄성부 36: 톱니
37: 스토퍼 38: 액츄에이터
40: 제어부
c: 센터
S: 이동범위
L: 최대 이동반경
11: 관측장비 12: 계류브래킷
13: 킬부 14: GPS장치
15: 관성측정센서
20: 추진부
21: 추진모터 22: 시트부
23: 서포터 24: 서보모터
30: 계류부
31: 고정대 32: 계류라인
33: 각도센서 34: 계류풀리
35: 탄성부 36: 톱니
37: 스토퍼 38: 액츄에이터
40: 제어부
c: 센터
S: 이동범위
L: 최대 이동반경
Claims (5)
- 해상에서 부유하며, 해양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측장비(11)가 구비되고, 하부측은 계류를 위한 계류브래킷(12)이 구비되는 부이장치부(10);
상기 부이장치부(10) 일측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부(20);
상기 부이장치부(10)를 계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계류브래킷(12)과 연결되고, 타측은 해저면에 고정된 고정대(31)와 연결되는 계류라인(32)이 구비되는 계류부(30); 및
상기 부이장치부(1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이동범위좌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부이몸체(10)가 상기 이동범위좌표 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장비(11)는,
상기 부이장치부(10)의 평면위치좌표를 측정하는 GPS장치(1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이동범위좌표와 상기 평면위치좌표 사이의 벡터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추진부(20)의 추진 세기와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장비(11)는,
상기 부이장치부(10)의 이동방향을 측정하는 관성측정센서(15)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부(20)는,
상기 벡터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30)는,
상기 계류라인(32)이 상기 계류브래킷(12)에서 연장되는 방향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33)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도센서(33)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추진부(20)의 추진 세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30)는,
상기 계류라인(32)을 내부 방향으로 감는 텐션을 제공하는 계류풀리(34)를 포함하여 상기 계류라인(32)에 가해지는 장력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7326A KR20240057065A (ko) | 2022-10-24 | 2022-10-24 |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7326A KR20240057065A (ko) | 2022-10-24 | 2022-10-24 |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7065A true KR20240057065A (ko) | 2024-05-02 |
Family
ID=9107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7326A KR20240057065A (ko) | 2022-10-24 | 2022-10-24 |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7065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7778B1 (ko) | 2016-03-25 | 2017-03-17 | (주)씨텍 | 해양 관측용 부이 장치 |
-
2022
- 2022-10-24 KR KR1020220137326A patent/KR2024005706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7778B1 (ko) | 2016-03-25 | 2017-03-17 | (주)씨텍 | 해양 관측용 부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10176B2 (en) | Method and system of a controllable tail buoy | |
JP5072566B2 (ja) | 津波・波浪観測用ブイ | |
JP6056967B2 (ja) | 海流発電装置及び海流発電装置の姿勢制御方法 | |
KR101206748B1 (ko) | 풍력선의 자유비행 카이트식 수풍 부재를 위한 포지셔닝장치 | |
US5507596A (en) | Underwater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 |
US20170241408A1 (en) | Multi-turbine wind power platform for offshore applications | |
US4769773A (en) | Vessel wave heading control apparatus | |
JP6591301B2 (ja) | 水上ロボットの位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位置制御方法 | |
RU2006140809A (ru) | Судно, содержащее свободно летящий, типа воздушного змея, атакуемый ветром элемент в качестве ветрового приводного блока | |
CN110239675B (zh) | 一种可实现低速、恒速拖带作业的科学考察船 | |
US9758218B2 (en) | Method for reducing the swinging of ships, anchored or moored to a buoy, an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 |
CN210175084U (zh) | 一种基于恒张力控制的悬垂锚缆精确定位浮标装置 | |
JP6786907B2 (ja) | 水中浮遊式発電装置の姿勢制御システムおよび姿勢制御方法 | |
KR20170049249A (ko) | 부유식 감지기를 이용한 해류 감지 예측 시스템 | |
KR20240057065A (ko) | 이동 범위가 조절되는 해양 관측용 부이 시스템 | |
KR102443107B1 (ko) | 수중 드론 시스템 | |
CN109572964A (zh) | 一种应用于非动力定位船只的水下机器人自动控制系统 | |
KR20150026411A (ko) | 예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위치 제어 방법 | |
JP2003048594A (ja) | インテリジェントブイ | |
KR102217814B1 (ko) |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 |
WO1997034128A1 (fr) | Procede de sondage de la croute terrestre sous-marine | |
JP6926932B2 (ja) | 水中浮遊式発電装置の姿勢制御システム | |
JP2017020420A (ja) | 浮遊式水中発電装置の姿勢制御システムおよび姿勢制御方法 | |
KR102580716B1 (ko) | 로봇 부이 | |
JP2019189059A (ja) | 洋上移動体の姿勢制御システム並びに該姿勢制御システムを有するブ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