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814B1 -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 Google Patents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814B1
KR102217814B1 KR1020190169773A KR20190169773A KR102217814B1 KR 102217814 B1 KR102217814 B1 KR 102217814B1 KR 1020190169773 A KR1020190169773 A KR 1020190169773A KR 20190169773 A KR20190169773 A KR 20190169773A KR 102217814 B1 KR102217814 B1 KR 10221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floating body
coupled
sensor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순
박준석
고동휘
서한경
정무혜
주병곤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69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5/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referred to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는, 해수면에 부양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계류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부유체; 및 등(light) 및 통신장비를 구비하여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류라인에 의해 조류에 저항하는 상기 부유체가 조류에 대한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향유지용 베인이 마련되되, 상기 방향유지용 베인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베인 및 제2 베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베인의 한쪽 각 단부가 상기 외주면에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2 베인의 반대쪽 각 단부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한다.

Description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Hybrid private aid to navigation adaptable to sites with strong tidal currents for observation of ocean-environment}
본 발명은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한 유속에서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고 관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해양관측 정보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Buoy 또는 부표)는 수면에 띄운 부체로 항로 표지 또는 해양 관측을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이(Buoy)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 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해저와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떠내려가지 않도록 되어 있는 항로 표지용이 있고, 또는 해류의 흐름, 표층수온, 기압, 풍향, 풍속 등과 같은 기상 정보를 감지하여 자체 내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여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해양 관측용 등이 있다.
이러한 부표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27063호(공고일 : 2014.08.07)에는 해양 관측 등부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해양 관측 등부표는 해양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 또는 관측하는 해양 관측 장비나 등(light)과 같은 해양 표지 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부력조절이 가능하고 수심제약을 적게 받아 해양 관측, 등부표로서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부표(부이 또는 등부표)는 조류속도가 매우 빠른 강유속의 영역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류의 빠른 지역에 부표를 설치할 경우에 빠른 조류에 의해 부표의 방향성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방향성이 일정하지 않고 움직임이 빠르게 변화됨으로써 안정적인 해양관측이 곤란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관측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27063호(공고일 : 2014.08.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한 유속에서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고 관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해양관측 정보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해수면에 부양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계류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부유체; 및 등(light) 및 통신장비를 비롯한 관측장비를 구비하여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류라인에 의해 조류에 저항하는 상기 부유체가 조류에 대한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향유지용 베인이 마련되되, 상기 방향유지용 베인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베인 및 제2 베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베인의 한쪽 각 단부가 상기 외주면에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2 베인의 반대쪽 각 단부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향유지용 베인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 베인은 40 - 60°의 각도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부유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볼트부재; 및 상기 제1,2 베인의 한쪽 각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각 결합단의 볼트공을 관통한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유체에는, 해양 관측장비가 설치되기 위한 센서 설치공이 직하방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센서 설치공에는,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수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센서 설치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설치장치는,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쪽이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 일단이 상기 삽입부의 반대쪽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센서 설치공의 상부쪽 입구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결합판이 관통공을 구비하여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일단 쪽 영역에는 다수개의 작동장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경에 암나산이 형성된 안내 지지부재가 마련된 중공형의 지지관체; 일단 외주면 영역에 상기 작동장공들에 대응되는 수의 지지홈들이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고, 각 상기 지지홈들에는 확장편들의 각 일단이 축으로 각각 결합된 확장편 지지체; 및 상기 확장편 지지체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내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마련되며, 타단에는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공구 결합부가 상기 관통공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확장편 지지체와 결합되어 각 상기 확장편들의 일부가 상기 작동장공들로 노출되도록 상기 지지관체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센서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로 상기 센서 고정체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센서 설치공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고정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확장편들이 펼쳐지면서 상기 센서 설치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관체와 상기 내주면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편의 끝단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첨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편의 끝단에는,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캡이 결합되거나, 충격흡수층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설치공은,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조류방향과 마주하도록 상기 방향유지용 베인과 반대 방향의 상기 부유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 또는 부유체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상기 부유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감지한 감지값을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류라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부유체에 조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방향유지용 베인이 설치됨으로써 강한 유속에서도 등부표의 방향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해양 관측장비를 센서 설치장치로 흔들림없이 지지함으로써 해양 조사장비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며, 따라서 해양관측 결과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체나 부유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해양 관측장비가 감지한 감지값을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센서가 마련됨으로써 부유체나 상부체의 흔들림에 의한 관측자료의 층간 뒤섞임을 방지하여 관측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설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 설치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설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 설치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30)는, 해수면에 부양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계류라인(20)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고리(36)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부유체(32)와, 등(light)이나 통신장비, 풍향계, 태양광 발전기 등 비롯한 다양한 관측에 필요한 장비를 구비하여 부유체(32)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체(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유체(3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계류라인(20)에 의해 특정위치에 계류될 수 있다. 이때, 연결고리(36)는 부유체(32)의 저면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계류라인(20)과 부유체(32)의 주면 2곳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곳의 연결고리(36)와 계류라인(20)이 연결됨으로써 부유체(32)는 조류방향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잡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부유체(32)에는 센서 설치공(32A)가 형성된다. 이 센서 설치공(32A)은 부유체(32)의 상면에서 직하방으로 관통 형성된 것으로, 1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 즉 조류방향(A)과 마주보는 방향에 해당하는 부유체(32)의 상면에서 직하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양 관측장비(40)가 조류방향(A)과 마주하도록 방향유지용 베인(50)과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부유체(32)의 전방영역(B)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센서 설치공(32A)이 전방영역(B)에 형성되어 해양 관측장비(40)가 조류방향(A)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조류 발생시 부유체(32)의 후방(조류 반대방향)에서 발생하는 버블로 인한 관측자료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조류 발생시 부유체(32)의 후방(조류 반대방향)에서는 와류에 의해 버블(공기방울 등)이 발 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 관측장비(40)가 부유체(32)의 전방영역(B)에 배치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버블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센서 설치공(32A)에는, 해양 관측장비(40)가 수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센서 설치장치(60)가 마련된다. 이러한 센서 설치장치(60)는 추후 설명한다.
상부체(34)에는, 통신장비, 등(light), 태양광 발전패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비들이 구비된다.
한편, 부유체(32)의 외주면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라인(20)에 의해 조류에 저항하는 부유체(32)가 조류에 대한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향유지용 베인(50 : vane)이 마련된다.
방향유지용 베인(5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베인(52) 및 제2 베인(54)으로 이루어진다. 제1,2 베인(52,54)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제1,2 베인(52,54)이 각각 제작되어 "∨"형상으로 각 일단 가장자리가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형상으로 중간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2 베인(52,54)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40 - 60°이다. 이와 같이 제1,2 베인(52,54)이 이루는 각도를 40 - 60°로 제한하는 것은, 부유체(32)의 직경에 따라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방향유지용 베인(50)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강한 조류에서도 부유체(32)의 방향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가 부유체(32)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면서 "∨"형상을 이루는 양쪽 제1,2 베인(52,54)에 일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부유체(32)는 강한 조류에서도 안정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2 베인(52,54)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부유체(32)의 외주면(32B)에 결합되어 외주면(B)과 양쪽 제1,2 베인(52,54)의 외측면이 이루는 각도가 완만한 각도를 이룸으로써, 조류는 원활하게 양쪽 외주면(B)과 양쪽의 제1,2 베인(52,54)의 외측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부유체(32)는 강한 조류에서도 안정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2 베인(52,54)의 한쪽 각 단부 가장자리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결합단(52A,52B)이 각각 형성된다. 이 결합단(52A,54B)에는 볼트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부유체(32)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탈부착수단(7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탈부착수단(70)은, 부유체(32)에 마련되되, 나사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부유체(32)에 각 일단부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볼트부재(72)와, 제1,2 베인(52,54)의 한쪽 각 단부(단부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각 결합단(52A,54A)의 볼트공(52B,54B)을 관통한 각각의 볼트부재(72)에 체결되는 각각의 너트부재(7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너트부재(74)가 부유체(32)에 구비되고 각 결합단(52,54)의 볼트공(52B,54B)을 관통한 볼트부재(72)가 너트부재(74)에 체결되어 제1,2 베인(52,54)을 부유체(32)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향유지용 베인(50)이 탈부착수단(70)에 의해 부유체(32)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음으로써, 복합 사설항로표지(30)를 육지에서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으로 인한 교체작업이 용접으로 결합된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 설치공(32A)에는, 해양 관측장비(40)가 수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센서 설치장치(60)가 마련된다.
센서 설치장치(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관측장비(4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쪽이 개구된 삽입부(62A)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62)과, 일단이 삽입부(62A)의 반대쪽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센서 설치공(32A)의 상부쪽 입구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결합판(64)이 관통공(64A)을 구비하여 마련되며, 하우징(62)과 결합되는 일단 쪽 영역에는 다수개의 작동장공(66A)들이 지지관체(6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경에 암나산이 형성된 안내 지지부재(66B)가 마련된 중공형의 지지관체(66)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관체(66)는 결합판(64)을 센서 설치공(32A)의 상부쪽 입구 가장자리에 체결함으로써 센서 설치공(32A)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부유체(32)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설치장치(60)는, 일단 외주면 영역에 작동장공(66A)들에 대응되는 수의 지지홈(68A)들이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고, 각 지지홈(68A)들에는 확장편(68B)들의 각 일단이 축으로 각각 결합된 확장편 지지체(68E)와, 확장편 지지체(68E)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내 지지부재(66B)에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마련되며, 타단에는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공구 결합부(68C)가 관통공(64A)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확장편 지지체(68E)와 결합되어 각 확장편(68B)들의 일부가 작동장공(66A)들을 통하여 외부(센서 설치공 내부)로 노출되도록 지지관체(66)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긴 막대 구조의 센서 고정체(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공구 결합부(68C)는 결합판(64)의 관통공(64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센서 고정체(68)와 확장편 지지체(68E)는 스넵링(68F) 또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부재 등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결합구조에 의해 센서 고정체(68)가 회전면서 전진하더라도 확장편 지지체(68E)는 각 확장편(68B)들이 작동장공(66A)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회전하지 않고 전진 또는 후진 작동만 하게 된다. 여기서 센서 고정체(68)와 확장편 지지체(68E)의 회전 결합구조를 스냅링(68F)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회전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관체(66)에는 3개의 작동장공(66A)들이 지지관체(66)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소정의 각도(대략 3개의 경우에 120°)로 배치되고, 지지관체(6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고, 각 작동장공(66A)에 대응되는 센서 고정체(68)과 결합된 확장편 지지체(68E)의 일단 외주면 영역에 작동장공(66A)들에 대응되는 수의 지지홈(68A)들이 확장편 지지체(68E)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대략 3개의 경우에 120°)로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며, 각 지지홈(68A)에는 확장편(68B)들이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서 설치장치(60)에 의해, 끝단에 하우징(62)이 결합되고 내부로 센서 고정체(68)가 삽입되어 결합된 지지관체(66)가 센서 설치공(32A)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결합판이 센서 설치공의 주변에 결합된 상태)에서, 센서 고정체(68)의 공구 결합부(68C)에 공구를 결합시켜 센서 고정체(68)를 정회전시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즉 센서 고정체(68)가 회전하면서 지지관체(66)의 길이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센서 고정체(68)가 회전하면서 전진함에 따라 확장편 지지체(68E)는 전진하게 되어 일단이 축 결합된 각 확장편(68B)들이 각 작동장공(66A)에 간섭되면서 축을 중심으로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센서 설치공(32A)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즉, 센서 고정체(68)가 회전하면서 전진함에 따라 센서 고정체(68)와 회전 결합된 확장편 지지체(68E)는 전진만 하게 되어 각 확장편(68B)들이 펼쳐지면서 센서 설치공(32A)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관체(66)와 센서 설치공(32A)의 내주면 사이의 유격발생 및 부유체(32)의 흔들림에 따른 해양 관측장비(4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센서 설치장치(60)를 탈거할 경우에 센서 고정체(68)를 고정시 회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센서 고정체(68)가 후진하게 되므로 벌어졌던 각 확장편(68B)들이 오므라들면서 센서 설치공(32A)에서 이격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센서 설치장치(60)의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결합판(64)을 분리하여 지지관체(66)를 센서 설치공(32A)에서 탈거할 수 있다.
한편, 각 확장편(68B)의 끝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돌기(68B-1)들이 첨단(뾰죡한 형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확장편(68B)의 끝단에 뾰쪽한 미끄럼 방지돌기(68B-1)가 형성됨으로써 각 확장편(68B)과 센서 설치공(32A)의 내주면에 미끄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확장편(68B)의 끝단에는,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캡이 결합되거나, 충격흡수층(68B-2)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층(68B-2)이 확장편(68B)에 구비됨으로써 각 확장편(68B)과 센서 설치공(32A)의 내주면에 미끄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부체(34) 또는 부유체(32)에는, 상부체(34) 또는 부유체(32)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해양 관측장비(40)가 감지한 감지값을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센서(82)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기울기 보정센서(82)가 감지한 기울기값은 제어부(80)가 수신하고, 제어부(80)는 기울기값을 토대로 해양 관측장비(40)가 감지한 감지값을 보정할 수 있다.
물론, 해양 관측장비(40)가 감지한 데이터와 기울기 보정센서(82)가 감지한 데이터를 별도의 장비(프로그램 등)에서 가공하여 원하는 관측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제어부(80)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각 전원 사용부(등, 통신장비, 해양 관측장비 등)에 공급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3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유지용 베인(50)이 조류방향(A)과 반대되는 방향에 마련되고, 조류방향(A)과 마주보는 방향(방향유지용 베인과는 반대방향)에 형성된 센서 설치공(32A)에 해양 관측장비(4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복합 사설항로표지(30)를 계류라인(20)을 이용하여 계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강한 조류가 발생되면, 계류라인(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복합 사설항로표지(30)는 방향유지용 베인(50)에 의해 안정적인 방향성을 유지하게 된다.
즉, 조류는 원통형의 부유체(32) 양쪽 외측면을 따라 흐르면서 "∨"형상으로 된 방향유지용 베인(50)의 양쪽 제1,2 베인(52,54)에 각각 동일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복합 사설항로표지(30)는 안정적인 방향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관체(66)의 결합판(64)을 부유체(32)에 결합함으로써 해양 관측장비(40)는 센서 설치공(32A)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센서 고정체(68)를 전진시킴으로써 각 확장편(68B)들이 펼쳐지면서 센서 설치공(32A)의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관체(66)에 결합되어 센서 설치공(32A)에 설치되는 해양 관측장비(40)는 흔들림없는 안정적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류방향(A)과는 반대방향의 부유체(32) 외주면에 "∨"형상으로 된 방향유지용 베인(50)을 설치함으로써, 복합 사설항로표지(30)가 강유속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여 해양 관측장비(40)가 관측한 해양 관측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해양 관측장비(40)가 조류방향(A)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조류에 의한 버블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해양 관측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 설치장치(60)가 구비됨으로써 해양 관측장비(40)의 설치 및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해양 관측장비(4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 계류라인 30 :복합 사설항로표지
32 : 부유체 34 : 상부체
40 : 해양 관측장비 50 : 방향유지용 베인
52 : 제1 베인 54 : 제2 베인
60 : 센서 고정장치 62 : 하우징
64 : 결합판 66 : 지지관체
68 : 센서 고정체 80 : 제어부
82 : 기울기 보정센서

Claims (9)

  1. 해수면에 부양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계류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부유체; 및 등(light) 및 통신장비를 구비하여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류라인에 의해 조류에 저항하는 상기 부유체가 조류에 대한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향유지용 베인이 마련되되, 상기 방향유지용 베인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베인 및 제2 베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베인의 한쪽 각 단부가 상기 외주면에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2 베인의 반대쪽 각 단부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유체에는, 해양 관측장비가 설치되기 위한 센서 설치공이 직하방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센서 설치공에는,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수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센서 설치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 설치장치는,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쪽이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 일단이 상기 삽입부의 반대쪽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센서 설치공의 상부쪽 입구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결합판이 관통공을 구비하여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일단 쪽 영역에는 다수개의 작동장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경에 암나산이 형성된 안내 지지부재가 마련된 중공형의 지지관체; 일단 외주면 영역에 상기 작동장공들에 대응되는 수의 지지홈들이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고, 각 상기 지지홈들에는 확장편들의 각 일단이 축으로 각각 결합된 확장편 지지체; 및 상기 확장편 지지체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내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마련되며, 타단에는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공구 결합부가 상기 관통공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확장편 지지체와 결합되어 각 상기 확장편들의 일부가 상기 작동장공들로 노출되도록 상기 지지관체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센서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로 상기 센서 고정체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센서 설치공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고정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확장편들이 펼쳐지면서 상기 센서 설치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관체와 상기 내주면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유지용 베인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부유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볼트부재; 및
    상기 제1,2 베인의 한쪽 각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각 결합단의 볼트공을 관통한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편의 끝단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첨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편의 끝단에는,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캡이 결합되거나, 충격흡수층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설치공은,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조류방향과 마주하도록 상기 방향유지용 베인과 반대 방향의 상기 부유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 또는 부유체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상기 부유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해양 관측장비가 감지한 감지값을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KR1020190169773A 2019-12-18 2019-12-18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KR10221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73A KR102217814B1 (ko) 2019-12-18 2019-12-18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73A KR102217814B1 (ko) 2019-12-18 2019-12-18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814B1 true KR102217814B1 (ko) 2021-02-18

Family

ID=7468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773A KR102217814B1 (ko) 2019-12-18 2019-12-18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0466A (zh) * 2023-09-25 2023-11-03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一种基于海表大气甲烷浓度的监测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81A (ja) * 1996-07-05 1998-01-20 Nippon Solid Co Ltd 多目的用途に適した浮体
JP2003054486A (ja) * 2001-08-17 2003-02-26 Zeni Lite Buoy Co Ltd 柱状部材を有する海洋構造物の抗力低減装置
KR20100024701A (ko) * 2008-08-26 2010-03-08 한국해양연구원 해수 연직구조 관측장치
KR101427063B1 (ko) 2014-04-01 2014-08-07 제용근 해양 관측 등부표
KR101979228B1 (ko) * 2017-12-22 2019-05-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선 수중 음향 센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81A (ja) * 1996-07-05 1998-01-20 Nippon Solid Co Ltd 多目的用途に適した浮体
JP2003054486A (ja) * 2001-08-17 2003-02-26 Zeni Lite Buoy Co Ltd 柱状部材を有する海洋構造物の抗力低減装置
KR20100024701A (ko) * 2008-08-26 2010-03-08 한국해양연구원 해수 연직구조 관측장치
KR101427063B1 (ko) 2014-04-01 2014-08-07 제용근 해양 관측 등부표
KR101979228B1 (ko) * 2017-12-22 2019-05-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선 수중 음향 센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0466A (zh) * 2023-09-25 2023-11-03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一种基于海表大气甲烷浓度的监测设备
CN116990466B (zh) * 2023-09-25 2023-12-19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一种基于海表大气甲烷浓度的监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205B1 (ko) 자가발전식 수상 조명장치
US20130313833A1 (en) Water-powered generator
KR100958870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109411B1 (ko) 전개판식 측류부이
KR20150132207A (ko) 해양 모니터링을 위한 자율 범선
KR102217814B1 (ko)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JP6706049B2 (ja) 海流発電機
US20120019003A1 (en) Ocean Current-Base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982927B1 (ko) 수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권 모니터링 장치
JP3474819B2 (ja) 多目的ブイ
GB2443697A (en) Floating water wheel with buoyant blades
US73114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in a fluid environment
KR101521292B1 (ko) 해양관측용 소형 부표추적기
US9616984B2 (en) Method for operation of an unmanned ocean vessel
WO2019207052A1 (en) A geographical self-positioning buoy
JP3165404U (ja) 浮標
KR102361654B1 (ko) 안정성이 향상된 해양표층관측 관측시스템
KR20050007234A (ko) 자동 자세보정 관측용 부이
KR102240126B1 (ko) 다종의 해양표층요소 획득을 위한 관측시스템
JP6150046B2 (ja) 海流発電装置
KR101092961B1 (ko) 조류판식 측류부이
US20170353081A1 (en) Multihull barge generator
US7699013B1 (en) Deployable through-hull scoop
JP2019189059A (ja) 洋上移動体の姿勢制御システム並びに該姿勢制御システムを有するブイ
CN115806025B (zh) 一种水上动力测绘无人船及其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