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379A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379A
KR20240055379A KR1020220135596A KR20220135596A KR20240055379A KR 20240055379 A KR20240055379 A KR 20240055379A KR 1020220135596 A KR1020220135596 A KR 1020220135596A KR 20220135596 A KR20220135596 A KR 20220135596A KR 20240055379 A KR20240055379 A KR 20240055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ret
unit
carbon dioxide
hull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희
류용희
유채원
이윤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379A/ko
Publication of KR2024005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유체가 수용되는 발라스트탱크;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탱크; 상기 선체 내의 하측에 배치되는 터렛; 상기 터렛 내에 배치되는 스위벨유닛; 및 상기 기체탱크로부터 상기 스위벨유닛으로 상기 기체가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라스트탱크를 경유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대한 발명이다.
부유식구조물 중 이산화탄소 운반선의 경우,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있다. 이산화탄소 저장탱크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는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유동파이프, 터렛 내에 설치되는 앵커 및 라이저 등을 통해 해저면에 매립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동파이프에 손상이 있는 경우,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로부터 유동파이프, 앵커 및 라이저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해저면에 매립하는 과정에서 유동파이프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가 선체 내에 누출되면 선원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이에, 선체 내에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상황에서도, 선체 내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부유식구조물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선체 내에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일 때, 선체 내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부유식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유체가 수용되는 발라스트탱크;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탱크; 상기 선체 내의 하측에 배치되는 터렛; 상기 터렛 내에 배치되는 스위벨유닛; 및 상기 기체탱크로부터 상기 스위벨유닛으로 상기 기체가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라스트탱크를 경유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상태일 때, 상기 터렛 내로 누출된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체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선체의 상부이면서 후방에 배치되는 배기챔버; 및 일측이 상기 터렛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기챔버와 연결되는 배기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라스트탱크를 경유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은, 비정상상태일 때, 상기 발라스트탱크 내로 누출된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이 상기 발라스트탱크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기챔버와 연결되는 배출채널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공기를 상기 터렛 내부에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닛은,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터렛 내부와 연통되는 공급채널; 및 상기 공급채널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급채널을 통해 상기 터렛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급팬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거주유닛을 경유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은, 상기 배기챔버 내로 유입된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챔버에 배치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기체탱크와 연결된 유동채널은 일부가 발라스트탱크를 경유할 수 있다. 이에, 유동채널의 일부가 손상되어 유동채널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인 경우에도 유동채널로부터 누출되는 이산화탄소는 발라스트탱크 내의 유체에 용해될 수 있다.
또한, 터렛이 선체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이산화탄소가 터렛 내부에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인 경우, 선체의 데크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선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은 터렛 내의 스위벨유닛에 연결되는 유동채널이 손상되어 터렛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 내부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은 발라스트탱크 내에 배치되는 유동채널이 손상되어 발라스트탱크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일 때, 발라스트탱크 내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챔버는 선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정상상태일 때 누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서, 선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공급유닛이 외부의 공기를 터렛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터렛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배기채널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부유식 구조물(1)은 이산화탄소를 운반할 수 있는 선박일 수 있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1)은 선체(100), 기체탱크(200), 발라스트탱크(300), 유동유닛(400), 터렛(500), 스위벨유닛(600), 배기유닛(700), 공급유닛(800), 거주유닛(900) 및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0)는 선박의 몸체를 말한다. 선체(100)에는 데크(deck, 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데크(110)에는 배기유닛(700) 및 거주유닛(9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선체(100) 내부의 측부 및 하부에는 발라스트탱크(300)가 배치될 수 있다.
기체탱크(200)는 기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체탱크(2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체는 이산화탄소 또는 불연성/유독성의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기체는 이산화탄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기체탱크(2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체탱크(200)의 하부에는 유동유닛(400)의 후술할 유동채널(410)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의 상측에는 이산화탄소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2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냉각장치(210)는 데크(11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발라스트탱크(300)는 선체(100)의 중심을 유지시키도록 내부에 유체(평형수)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라스트탱크(300)는 선체(100) 내부의 측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발라스트탱크(300)에는 유동유닛(400)의 유동채널(410), 배기유닛(700)의 후술할 배기채널(720) 및 공급유닛(800)의 후술할 공급채널(810)이 경유될 수 있다. 한편, 선체(100) 내부의 하부에 배치된 발라스트탱크(300)에는 터렛(500)이 배치될 수 있다.
유동유닛(400)은 기체탱크(200) 내에 수용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터렛(500) 내에 배치되는 스위벨유닛(600)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동유닛(400)은 유동채널(410) 및 밸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채널(410)은 기체탱크(200) 내에 수용된 이산화탄소가 기체탱크(200)로부터 터렛(500) 내부의 스위벨유닛(600)으로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채널(410)의 일측은 기체탱크(200)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스위벨유닛(600)과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유동채널(410)은 적어도 일부가 발라스트탱크(300)를 경유할 수 있다. 이에, 유동채널(410)의 일부가 손상되어 유동채널(41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인 경우에도 유동채널(410)로부터 누출되는 이산화탄소는 발라스트탱크(300) 내의 유체에 용해될 수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는 물에 용해 가능하며, 공기보다 비중이 큰 성질을 갖는다. 또한, 발라스트탱크(300) 내의 유체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는 배기유닛(700)의 후술할 배출채널(7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밸브(420)는 유동채널(410)에 배치되어 유동채널(410) 내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유동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420)는 제어기와 연결되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밸브(420)가 개방되면 유동채널(410)을 통해 기체탱크(200)로부터 스위벨유닛(600)으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될 수 있다. 밸브(420)가 차단되면 유동채널(410) 내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다.
터렛(turret, 500)은 선체(100)를 해수에 계류시키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터렛(500)은 선체(100) 내부의 하부에 배치된 발라스트탱크(300)에 배치될 수 있다. 터렛(500)이 선체(10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이산화탄소가 터렛(500) 내부에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인 경우, 선체(100)의 데크(110)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900)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터렛(500)의 내부에는 스위벨유닛(600), 배기채널(720)의 일부 및 배출채널(74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터렛(500)은 밀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벨유닛(600)에는 유동채널(410)이 연결되며, 유동채널(410)을 통해 기체탱크(200)로부터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벨유닛(600)의 하부에는 주입관(R)과 연결된 부유체(B)가 체결될 수 있다. 부유체(B)는 무어링(M)으로 해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주입관(R)은 해저면과 연결되어 이산화탄소가 해저면 하부로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스위벨유닛(600)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주입관(R)으로 유동되어 해저면 하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벨유닛(600)은 회전가능한 상태에서도 유동채널(410)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기유닛(700)은,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500) 내에서 유동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렛(500) 내의 스위벨유닛(600)에 연결되는 유동채널(410)이 손상되어 터렛(5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일 때, 배기유닛(700)은 터렛(500) 내부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700)은 비정상상태일 때, 발라스트탱크(300) 내에서 유동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라스트탱크(300) 내에 배치되는 유동채널(410)이 손상되어 발라스트탱크(3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일 때, 배기유닛(700)은 발라스트탱크(300) 내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유닛(700)은 배기챔버(710), 배기채널(720), 배기팬(730) 및 배출채널(7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챔버(710)에는 배기채널(720)의 타측이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터렛(5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500) 내부로 누출된 이산화탄소가 배기채널(720)을 통해 배기챔버(7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기챔버(710)에는 배출채널(740)의 타측이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발라스트탱크(3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일 때 발라스트탱크(300) 내로 누출된 이산화탄소가 배출채널(740)을 통해 배기챔버(7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챔버(710)는 선체(100)의 상부이면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챔버(710)가 선체(100)의 상부이면서 후방에 배치되면 비정상상태일 때 누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서, 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900)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배기채널(720)은 터렛(5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500) 내부로 누출된 이산화탄소가 배기챔버(710)로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채널(720)은 일측이 터렛(500)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배기챔버(7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기채널(720)은 적어도 일부가 발라스트탱크(300)를 경유할 수 있다. 이에, 발라스트탱크(300) 내에 배치된 배기채널(720) 중 일부가 손상되어 발라스트탱크(300) 내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어도 배출채널(740)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배기챔버(710)로 유동될 수 있다.
배기팬(730)은 배기챔버(710) 내로 유입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팬(730)은 이산화탄소를 선체(100)의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배기챔버(7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팬(730)은 제어기와 연결되어 비정상상태일 때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배출채널(740)은 발라스트탱크(3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일 때 발라스트탱크(300) 내부로 누출된 이산화탄소가 배기챔버(710)로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채널(740)은 일측이 발라스트탱크(300)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배기챔버(7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채널(740)은 적어도 일부가 발라스트탱크(300)를 경유할 수 있다.
공급유닛(800)은 외부의 공기를 터렛(500)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유닛(800)이 외부의 공기를 터렛(50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터렛(500)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500)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배기채널(720)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유닛(800)은 공급채널(810) 및 공급팬(82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채널(810)은 외부로부터 터렛(5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채널(810)은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터렛(50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급채널(810)의 일측은 공급팬(82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급채널(810)의 일부는 거주유닛(900) 및 엔진이나 발전기가 설치된 기장실(E)을 경유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공급채널(810)이 거주유닛(900) 및 기장실(E)을 경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급채널(8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데크(110)의 상측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터렛(500) 내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공급팬(820)은 외부의 공기를 공급채널(810)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팬(820)은 외부의 공기를 거주유닛(900)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급팬(820)은 외부의 공기를 거주유닛(900) 내부로 배출하도록 거주유닛(9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급팬(820)은 외부의 공기를 공급채널(810)로 배출하도록 공급채널(81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팬(820)은 제어기와 연결되어 작동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거주유닛(900)은 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거주유닛(900)이 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면 비정상상태일 때 누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서, 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900)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거주유닛(900)의 후방측에는 공급팬(8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거주유닛(900)의 내부에는 공급채널(810)의 일부가 경유될 수 있다. 한편, 거주유닛(900)에는 별도의 공조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는 밸브(420)와 연결되어 밸브(42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배기팬(730) 및 공급팬(820)과 연결되어 정상상태 또는 비정상상태일 때 배기팬(730) 및 공급팬(820)을 작동시키도록 배기팬(730) 및 공급팬(82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체탱크(200)와 연결된 유동채널(410)은 일부가 발라스트탱크(300)를 경유할 수 있다. 이에, 유동채널(410)의 일부가 손상되어 유동채널(41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인 경우에도 유동채널(410)로부터 누출되는 이산화탄소는 발라스트탱크(300) 내의 유체에 용해될 수 있다.
또한, 터렛(500)이 선체(10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이산화탄소가 터렛(500) 내부에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인 경우, 선체(100)의 데크(110)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900)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선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700)은 터렛(500) 내의 스위벨유닛(600)에 연결되는 유동채널(410)이 손상되어 터렛(5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500) 내부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700)은 발라스트탱크(300) 내에 배치되는 유동채널(410)이 손상되어 발라스트탱크(300)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일 때, 발라스트탱크(300) 내에 누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챔버(710)는 선체(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정상상태일 때 누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서, 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900)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공급유닛(800)이 외부의 공기를 터렛(50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터렛(500)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비정상상태일 때 터렛(500)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배기채널(720)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거주유닛(900)은 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비정상상태일 때 누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서, 선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900)에 선원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부유식 구조물 100: 선체
200: 기체탱크 300: 발라스트탱크
400: 유동유닛 500: 터렛
600: 스위벨유닛 700: 배기유닛
800: 공급유닛 900: 거주유닛
B: 부유체 E: 기장실
M: 무어링 R: 주입관

Claims (5)

  1. 선체:
    유체가 수용되는 발라스트탱크;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탱크;
    상기 선체 내의 하측에 배치되는 터렛;
    상기 터렛 내에 배치되는 스위벨유닛; 및
    상기 기체탱크로부터 상기 스위벨유닛으로 상기 기체가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라스트탱크를 경유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정상상태일 때, 상기 터렛 내로 누출된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체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선체의 상부이면서 후방에 배치되는 배기챔버; 및
    일측이 상기 터렛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기챔버와 연결되는 배기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라스트탱크를 경유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비정상상태일 때, 상기 발라스트탱크 내로 누출된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이 상기 발라스트탱크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기챔버와 연결되는 배출채널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상기 터렛 내부에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닛은,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터렛 내부와 연통되는 공급채널; 및
    상기 공급채널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급채널을 통해 상기 터렛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급팬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거주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거주유닛을 경유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220135596A 2022-10-20 2022-10-20 부유식 구조물 KR20240055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96A KR20240055379A (ko) 2022-10-20 2022-10-20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96A KR20240055379A (ko) 2022-10-20 2022-10-20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379A true KR20240055379A (ko) 2024-04-29

Family

ID=9088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596A KR20240055379A (ko) 2022-10-20 2022-10-20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3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556B1 (ko) 해양 선박용 루프 밸러스트 교체 시스템
US20110277675A1 (en) Floatable dry docks
KR100552939B1 (ko) 튜브를 이용한 자동 밸러스트 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KR101066670B1 (ko) 흘수조절이 자유로운 유동 밸러스트구조를 구비한 공기쿠션선박
JP2008143345A (ja)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KR101036625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JP5021250B2 (ja) 船体損傷時の復原性改善方法及び船舶
KR20240055379A (ko) 부유식 구조물
KR20110125503A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090111582A (ko) 선박용 씨 체스트
KR101003012B1 (ko) 선박용 씨 체스트
KR101850000B1 (ko)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KR20110069241A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KR101737767B1 (ko)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WO2019039132A1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構造、浮体構造物、貯蔵タンクの内部圧力の逃がし方法
KR20090089069A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KR20110094366A (ko)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장치
KR20200028248A (ko) 긴급 잠수가 가능한 선박
KR20120047609A (ko) 선박
WO2024014320A1 (ja) 浮体
WO2023281896A1 (ja) 浮体
JP2006336524A (ja) 燃料供給装置
KR960016159B1 (ko) 선박좌우의 수평부양장치
KR20170032574A (ko) 침몰 방지구조를 갖는 선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