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012B1 - 선박용 씨 체스트 - Google Patents

선박용 씨 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012B1
KR101003012B1 KR1020080036697A KR20080036697A KR101003012B1 KR 101003012 B1 KR101003012 B1 KR 101003012B1 KR 1020080036697 A KR1020080036697 A KR 1020080036697A KR 20080036697 A KR20080036697 A KR 20080036697A KR 101003012 B1 KR101003012 B1 KR 10100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ice
inlet
sea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106A (ko
Inventor
노영길
신동원
안병삼
문병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01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1/00Applications
    • B63B2211/06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씨 체스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해수유입부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통 형성되는 해수경로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와 근접하여 격벽을 매개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 상단의 연통구를 통하여 얼음과 혼합 유입된 해수에서 해수만 분리 유입되는 해수저장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의 상단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해수유입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의 합친 높이와 같거나 더 높은 수직 높이를 갖고 있어서 해수에 혼합된 얼음이 분리되어 부유되는 얼음부유부로 본체를 구성하되, 상기 본체가 상기 선박의 저면 중앙부인 평판용골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해수유입부는 그의 양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해수유입구를 형성한다.
씨 체스트, 해수, 얼음, 펌프

Description

선박용 씨 체스트{SEA CHEST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씨 체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극저온 지방 운행시 씨 체스트를 통해 유입되는 얼음으로 인하여 해수펌프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해수와 얼음을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는 선박용 씨 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동력장치가 그렇듯이 선박의 추력을 담당하는 주엔진이나 선박에서 필요한 전기를 생성시키는 발전기엔진이나 선박의 거주부 및 각종 냉난방장치들로 구성된 선박전기장치에서도 다량의 손실 열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러한 손실열의 일부는 폐열 회수장치에 의해서 재이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냉각장치를 통해 최종적으로 냉각된 후 주변해역으로 방출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 냉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 냉각 시스템은 선박의 추력을 담당하는 주엔진(13, Main Engine)과 선박에 필요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엔진(15, Generator Engine) 및 선박에 구비된 각종 선박전기장치(17)에서 발생되는 손실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청수(淸水)를 폐루프 순환시키는 중앙냉각청수펌프(9, Central Cooling Fresh Water Pump)와, 이러한 청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씨 체스트(40, Sea Chest)를 통해 해수(海水)를 유입하고 배출시키는 주해수펌프(5, Main Cooling Sea Water Pump)와, 해수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청수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30, Heat Exchanger)를 포함한다.
여기서 청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씨 체스트(40)는 도 2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선박의 선수나 선미측의 바닥 측벽에 설치되는 씨 체스트(40)는, 만곡부에 형성된 해수유입구(4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해수는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격벽(42)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개구부(43)를 통해 해수저장부(44)에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해수저장부(44)에 저장된 해수는 해수저장부(44)에 연결 설치된 펌프(50)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52)와 밸브(54)를 차례로 통과하여 씨 덕트(sea duct:60)로 배출된다.
그러나, 선박의 극저온 지방 운행시 해류나 바람의 작용으로 바다 위를 표류하고 있는 얼음이 해수와 같이 해수유입구(41)로 유입되고, 해수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얼음은 펌프(50)의 고장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씨 체스트는 선박의 선수나 선미의 측부에 설치됨으로써, 선박의 롤링 또는 파도의 고도에 따라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며, 더욱이 바다 위를 표류하는 유빙(iceberg)이 쉽게 유입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씨 체스트의 본체를 선박의 저면 중앙부인 평판용골에 설치함과 같이 해수유입부의 양측에 해수유입구를 형성시켜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였으며, 해수에 혼합된 얼음은 별도의 공간에서 부유하여 분리되도록 얼음부유부를 형성하였고, 얼음과 분리된 해수는 격벽을 통하여 해수저장부에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선박용 씨 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해수유입부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통 형성되는 해수경로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와 근접하여 격벽을 매개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 상단의 연통구를 통하여 얼음과 혼합 유입된 해수에서 해수만 분리 유입되는 해수저장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의 상단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해수유입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의 합친 높이와 같거나 더 높은 수직 높이를 갖고 있어서 해수에 혼합된 얼음이 분리되어 부유되는 얼음부유부로 본체를 구성한 선박용 씨 체스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선박의 저면 중앙부인 평판용골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해수유입부는 그의 양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해수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씨 체스트를 제공한다.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용 씨 체스트에 따르면, 씨 체스트의본체를 선박의 저면 중앙부인 평판용골에 설치함과 같이 해수유입부의 양측에 해수유입구를 형성시켜서 해수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격벽을 통하여 해수와 얼음이 확실히 분리되고, 분리된 얼음은 별도 공간의 얼음부유부에서 부유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얼음을 통하여 펌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 체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씨 체스트는,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본체(100)에 일체로 하여 해수유입부(110)와 해수경로부(120) 그리고 해수저장부(140) 및 얼음부유부(150)를 포함한다.
유입되는 해수의 이동 경로가 되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본체(100)는, 일체의 금형 또는 용접 등을 통하여 조립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저면 중앙부인 평판용골에 설치된다. 이는 수심이 깊은 곳에 씨 체스트가 위치되어 얼음의 유입을 최소화시키기 위함과 같이 선박의 롤링이나 파도에 상관없이 해수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다.
따라서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해수유입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해수유입구(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해수유입부(110)의 상단으로 해수경로부(120)가 수직하게 연통 형성되고, 해수경로부(120)의 일측으로 근접하여 해수저장부(140)가 형성된다.
해수경로부(120)와 해수저장부(140)의 사이에는 수직한 격벽(130)이 매개로 형성되어 이들 공간을 분리시키되, 격벽(130)의 상단에는 개구된 연통구(132)가 형성되어 해수경로부(120)와 해수저장부(140)가 연통구(132)를 통하여 연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수저장부(140)에는 펌프(160)와 필터(162), 밸브 (164)등이 연결되어 해수저장부(140)에 일시 저장된 해수를 씨 덕트(sea duct:170)로 보내게 된다.
한편, 해수경로부(120)의 상단과 연통되는 얼음부유부(150)가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얼음부유부(150)는 바람직하게 다각형이나 원통형으로 상면이 막혀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수직 높이는 해수유입부(110)와 해수경로부(120)의 합친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형성되어 얼음이 충분히 부유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선박용 씨 체스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청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씨 체스트를 통해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해수는 본체(100)의 하단에 위치되는 해수유입부(110)의 해수유입구(112)을 통하여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수유입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해수유입구(112)를 통하여 선박의 롤링 또는 파도의 높이에 상관없이 용이한 방향으로 쉽게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해수유입부(110)를 통하여 유입된 해수에는 특히, 선박의 극저온 지방 운행시 얼음이 혼합되어 유입되며, 얼음과 혼합 유입된 해수는 해수경로부(120)를 따라 상승하다가 해수보다 비중이 낮은 얼음은 얼음부유부(150)로 유입되어 부유되고, 얼음으로부터 분리된 해수는 격벽(130)을 만나면서 연통구(132)를 통해 해수저장부(140)로 유입된다.
따라서 해수저장부(140)에는 얼음과 분리된 순수 해수만 채워지게 되며, 이해수저장부(140)의 저장 해수는 씨 덕트(170)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씨 체스트를 선박의 저면 중앙부인 평판용골에 설치하여 해수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얼음과 같이 혼합되어 유입된 해수에서 얼음은 얼음부유부(150)로 유입되도록 하고 해수는 해수저장부(140)에 분리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얼음 유입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씨 체스트에 대하여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 냉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선박용 씨 체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 체스트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해수유입부
112 : 해수유입구 120 : 해수경로부
130 : 격벽 132 : 연통구
140 : 해수저장부 150 : 얼음부유부
160 : 펌프 162 : 필터
164 : 밸브 170 : 씨 덕트

Claims (2)

  1.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해수유입부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통 형성되는 해수경로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와 근접하여 격벽을 매개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 상단의 연통구를 통하여 얼음과 혼합 유입된 해수에서 해수만 분리 유입되는 해수저장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의 상단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해수유입부와 상기 해수경로부의 합친 높이와 같거나 더 높은 수직 높이를 갖고 있어서 해수에 혼합된 얼음이 분리되어 부유되는 얼음부유부로 본체를 구성한 선박용 씨 체스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선박의 저면 중앙부인 평판용골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해수유입부는 그의 양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해수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씨 체스트.
  2. 삭제
KR1020080036697A 2008-04-21 2008-04-21 선박용 씨 체스트 KR10100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697A KR101003012B1 (ko) 2008-04-21 2008-04-21 선박용 씨 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697A KR101003012B1 (ko) 2008-04-21 2008-04-21 선박용 씨 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06A KR20090111106A (ko) 2009-10-26
KR101003012B1 true KR101003012B1 (ko) 2010-12-22

Family

ID=4153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697A KR101003012B1 (ko) 2008-04-21 2008-04-21 선박용 씨 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94Y1 (ko) * 2011-05-13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씨 체스트를 구비한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92Y1 (ko) * 2010-11-12 2014-09-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482577Y1 (ko) * 2012-01-12 2017-0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씨체스트 어셈블리
CN107140115B (zh) * 2017-05-25 2019-10-2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海水舱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20A (ja) 1984-06-28 1986-01-22 Nippon Kokan Kk <Nkk> 氷海船舶のエンジン冷却用の海水吸入装置
JPS6137590A (ja) * 1984-07-31 1986-02-22 Nippon Kokan Kk <Nkk> 氷海船舶の海水吸入装置
JPS61105286A (ja) * 1984-10-29 1986-05-23 Nippon Kokan Kk <Nkk> 氷海船舶の冷却用海水吸入装置
JPS61244685A (ja) 1985-04-23 1986-10-30 Nippon Kokan Kk <Nkk> 船舶の海水吸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20A (ja) 1984-06-28 1986-01-22 Nippon Kokan Kk <Nkk> 氷海船舶のエンジン冷却用の海水吸入装置
JPS6137590A (ja) * 1984-07-31 1986-02-22 Nippon Kokan Kk <Nkk> 氷海船舶の海水吸入装置
JPS61105286A (ja) * 1984-10-29 1986-05-23 Nippon Kokan Kk <Nkk> 氷海船舶の冷却用海水吸入装置
JPS61244685A (ja) 1985-04-23 1986-10-30 Nippon Kokan Kk <Nkk> 船舶の海水吸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94Y1 (ko) * 2011-05-13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씨 체스트를 구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06A (ko) 200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917B1 (ko) 플로딩 챔버를 구비한 선박
KR101632184B1 (ko) 극지용 선박의 냉각장치
KR101003012B1 (ko) 선박용 씨 체스트
US20100180810A1 (en) Sea Water System and Floating Vessel Comprising Such System
JP4422789B1 (ja) 水力発電装置の設置構造
KR101739467B1 (ko) 극지용 선박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KR20090111582A (ko) 선박용 씨 체스트
WO2018223611A1 (zh) 一种极地航行船舶海底门的进水结构
US20170120999A1 (en) Vessel Which Floats On Water And Which Generates Electricity
KR200432027Y1 (ko) 육상전기를 이용한 선박용 냉각장치
KR20090132904A (ko) 이중선체용 해수저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30141848A (ko) Ice Class 적용 선박용 씨체스트
CN102765469B (zh) 低噪声海底阀箱
CN111661305A (zh) 一种通风防水式带缆桩及使用方法
KR100558906B1 (ko) 축전지냉각해수펌프를 이용한 빌지배출구조를 갖는 잠수함
JP2017165386A (ja)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KR20130003927A (ko) 선외 배출 해수박스
KR101667251B1 (ko) 평형수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
KR200465994Y1 (ko) 씨 체스트를 구비한 선박
KR200335226Y1 (ko) 선박용 씨 체스트
CN202754137U (zh) 低噪声海底阀箱
JP6366173B2 (ja) 船舶の水タンク
KR101259035B1 (ko) 선박의 해수공급장치
CN212373635U (zh) 一种通风防水式带缆桩
JPH05239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