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392Y1 -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392Y1
KR200474392Y1 KR2020100011666U KR20100011666U KR200474392Y1 KR 200474392 Y1 KR200474392 Y1 KR 200474392Y1 KR 2020100011666 U KR2020100011666 U KR 2020100011666U KR 20100011666 U KR20100011666 U KR 20100011666U KR 200474392 Y1 KR200474392 Y1 KR 200474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turret
hull
seed chest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29U (ko
Inventor
김준홍
성민준
조근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39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터릿의 부이에 해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해수 유입로와, 해수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채워지도록 터릿이 설치되는 선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씨 체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로 하는 해수 공급을 위한 씨 체스트를 터릿이 설치된 선체의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씨 체스트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고, 선체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며, 필요시 탑사이드의 일부 유틸리티(Utility) 장비들을 추가로 선체에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웨이트(Weight) 및 디멘션(Dimention)에 유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FLOATING MARINE STRUCTURE FOR UTILIZING TURRET INSTALLATION SPACE AS A SEA CHEST}
본 고안은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로 하는 해수 공급을 위한 씨 체스트를 터릿이 설치된 선체의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씨 체스트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도록 구성된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비롯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온도가 낮은 해수(Seawater)를 내부로 끌어올려서 청수나 냉매 등과의 열교환을 통해서 엔진이나 발전기 등의 발열 장치를 냉각시키는데 사용하거나, 액화천연가스(이하, 'LNG'라 함)를 저장하는 경우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서 천연가스를 액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는 해저 유전에서 채굴한 원유를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원유를 셔틀 탱커(shuttle tanker)로 이송하는 설비를 갖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FLNG(LNG FPSO)와,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유나 LNG 등과 같은 액체 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터릿(Turret)과 같은 일점 계류계에 의해 계류된 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일점 계류 방식은 바람, 조류 및 파랑과 같은 환경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자주 변하는 해역에서 터릿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터릿은 상기된 바와 같은 계류기능 이외에도 부이 및 라이저를 통한 원유나 LNG 등의 이송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종래의 FLNG 또는 FPSO 등의 경우, 선체(Hull)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씨 체스트(Sea chest) 이외에도 탑사이드(Topside)의 쿨링용으로 공급되는 씨 체스트를 선체에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탑사이드의 쿨링 용량이 클 경우, 탑사이드용 씨 체스트의 설치 크기가 커져서 선체 내부의 배치에 어려움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사이드용 해수 공급을 위한 씨 체스트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체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고, 선체 내의 배치 설계에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릿의 부이에 해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해수 유입로와, 상기 해수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채워지도록 상기 터릿이 설치되는 선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씨 체스트부와, 상기 씨 체스트부에 채워진 해수를 소요처로 펌핑하도록 설치되는 해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해수 유입로는 상기 부이에 수직되게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유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펌프는 상기 씨 체스트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씨 체스트부는 터릿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릿의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해수 유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 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가 상기 터릿이 설치되는 선체의 내측에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로 하는 해수 공급을 위한 씨 체스트를 터릿이 설치된 선체의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씨 체스트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고, 선체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며, 필요시 탑사이드의 일부 유틸리티(Utility) 장비들을 추가로 선체에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웨이트(Weight) 및 디멘션(Dimention)에 유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100)은 터릿(110)의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해수 유입로(120)를 포함하고, 해수 유입로(12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가 터릿(110)이 설치되는 선체(150)의 내측에 채워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100)은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 FLNG(LNG FPSO) 등과 같이 터릿(Turret; 110), 특히 인터널 터릿(Internal turret)을 가지는 선박을 포함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터릿(11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선체(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인터널 터릿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선체(150)의 저면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부(112)에 부이(buoy; 11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착부(112)로부터 부이(111)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부이(111)의 상단에 결합되는 록킹유닛(113)이 장착부(11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부이(111)의 상측에 아이솔레이션 밸브(Isolation valve; 114), ESD(Emergency Shot Down) 밸브(115), 그리고, 스위블 페데스탈(Swivel pedestal; 116) 등이 설치된다.
부이(111)는 장착부(112)와 서로 상응하는 콘(Cone) 형상을 가짐으로써 메이팅 콘 모듈(Mating cone module)을 이루게 되며, 콘 형상에 의해 장착부(112)에 쉽게 장착되도록 한다.
해수 유입로(120)는 일례로 터릿(110)의 부이(111)에 해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되, 부이(111)에 수직되게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유입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해수 유입로(120)는 다양한 형태로 부이(111) 하측의 해수가 부이(111) 상측의 씨 체스트부(130)로 유입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씨 체스트부(130)는 해수 유입로(120)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채워지도록 터릿(110)이 설치되는 선체(150)의 내측에 마련되고, 내측의 해수가 해수펌프(140)에 의해 소요처로 공급되도록 하며, 일례로 터릿 케이싱(Turret casing; 151)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해수펌프(140)는 씨 체스트부(130)에 채워진 해수를 소요처, 일례로 탑사이드의 냉각수 사용처로 펌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해수펌프(140)는 씨 체스트부(130)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해수로부터 격리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해수를 소요처로 펌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씨 체스트부(130)로부터 해수 흡입관(141)을 통해서 해수를 흡입하여 소요처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탑사이드의 쿨링 또는 그 밖에 부유식 해상 구조물(100)에서 필요로 하는 해수의 공급을 위하여 해수 유입로(120)를 통해서 유입되어 씨 체스트부(130)에 채워진 해수를 해수펌프(140)의 펌핑에 의해 소요처로 공급한다.
또한, 씨 체스트부(130)는 해수 유입로(120)에 의해 터릿(110)이 설치된 선체(150)의 내측에 마련됨으로써 씨 체스트 확보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선체(150)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공간 확보율을 높이며, 필요시 탑사이드(Top side)의 일부 유틸리티(Utility) 장비들을 추가로 선체(150)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웨이트(Weight) 및 디멘션(Dimention)에 유리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유지보수시 터릿 바닥으로의 작업자의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해수 유입로(120)를 막는 개폐수단(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수 유입로(120)를 개폐수단에 의해 폐쇄시키고 터릿 내부의 해수를 모두 배출시키면 작업자의 접근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터릿 111 : 부이
112 : 장착부 113 : 록킹유닛
114 : 아이솔레이션 밸브 115 : ESD 밸브
116 : 스위블 페데스탈 120 : 해수 유입로
130 : 씨 체스트부 140 : 해수펌프
141 : 해수 흡입관 150 : 선체
151 : 터릿 케이싱

Claims (5)

  1.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릿에 장착될 수 있는 부이에 마련되어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해수 유입로; 및
    상기 해수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채워지도록 상기 터릿이 설치되는 선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씨 체스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로는, 상기 부이에 수직되게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유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상기 씨 체스트부에 채워진 해수를 소요처로 펌핑하도록 설치되는 해수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펌프는 상기 씨 체스트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씨 체스트부는, 터릿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5.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릿의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해수 유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 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가 상기 터릿이 설치되는 선체 내측의 터릿 케이싱 내에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20100011666U 2010-11-12 2010-11-12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474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66U KR200474392Y1 (ko) 2010-11-12 2010-11-12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66U KR200474392Y1 (ko) 2010-11-12 2010-11-12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29U KR20120003529U (ko) 2012-05-22
KR200474392Y1 true KR200474392Y1 (ko) 2014-09-12

Family

ID=4661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66U KR200474392Y1 (ko) 2010-11-12 2010-11-12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39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583Y2 (ja) 1991-02-21 1996-11-2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海水吸入装置
KR200335226Y1 (ko) 2003-08-26 2003-12-03 삼광조선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씨 체스트
KR100747378B1 (ko) 2006-07-31 2007-08-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터릿에 설치되는 압력감소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KR20090111106A (ko) * 2008-04-21 2009-10-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씨 체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583Y2 (ja) 1991-02-21 1996-11-2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海水吸入装置
KR200335226Y1 (ko) 2003-08-26 2003-12-03 삼광조선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씨 체스트
KR100747378B1 (ko) 2006-07-31 2007-08-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터릿에 설치되는 압력감소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KR20090111106A (ko) * 2008-04-21 2009-10-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씨 체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29U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9360B2 (ja) 浮体式lngプラント
KR101177910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US20060000615A1 (en) Infrastructure-independent deepwater oil field development concept
US9458700B2 (en) Use of underground gas storage to provide a flow assurance buffer between interlinked processing units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20120003090A (ko)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CN109969345A (zh) 烃处理船和方法
BRPI0716258A2 (pt) mÉtodo para importar gÁs natural liquefeito, sistema de transporte de fluido, e, mÉtodos para transportar gÁs natural liquefeito e para transportar fluido
US20190360319A1 (en) Offshore hydrocarbon processing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US60191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shipping hydrocarbons offshore
US20150128840A1 (en) Frontier Field Development System for Large Riser Count and High Pressures for Harsh Environments
KR101681708B1 (ko)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US10189553B2 (en) Water intake system and float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system
KR20120003251U (ko)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0474392Y1 (ko) 터릿 설치 공간을 씨 체스트로 활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20001494A (ko) 흡입관을 가지는 터릿 타입 부유식 해상 구조물
EP1490259B1 (en) Vessel with deep water transfer system
KR20140072352A (ko) Copt의 스터핑 박스 고정방법 및 그 고정장치
KR101681707B1 (ko)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10094366A (ko)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장치
KR102659721B1 (ko) 문풀을 이용한 해수활용시스템
US20210310324A1 (en) A method of supplying injection fluid to a subsea facility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2017913B1 (ko) 액화가스 저장선
KR20100127460A (ko) 심층수 흡입용 라이저 조립체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상기 라이저 조립체의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