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090A -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090A
KR20120003090A KR1020100063746A KR20100063746A KR20120003090A KR 20120003090 A KR20120003090 A KR 20120003090A KR 1020100063746 A KR1020100063746 A KR 1020100063746A KR 20100063746 A KR20100063746 A KR 20100063746A KR 20120003090 A KR20120003090 A KR 2012000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cooling water
column
floating offshore
offshor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도욱
조두현
유진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090A/ko
Publication of KR2012000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20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로서 심해수를 흡입하여 사용하는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에서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냉각수 장치로서,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칼럼과; 상기 관통 칼럼의 하단에 연결되어 심해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는 라이저 조립체와; 상기 관통 칼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 칼럼 내의 해수를 선체 내부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해수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COOLING WATER SYSTEM USING DEEP SEA WATER AND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THE COOLING WATER SYSTEM}
본 발명은 해상에서 계류된 채 사용될 수 있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로서 심해수를 흡입하여 사용하는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최근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Oil FPSO, 혹은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천연가스를 액화 또는 재액화시키거나 LNG를 재기화시키는 장치들이 탑재된다.
LNG FPSO는,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Oil FPSO는, LNG 대신에 원유를 생산, 저장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 Oil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보관하는 LNG FPSO, Oil FPSO, LNG FSRU 등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터릿이나 요크 무어링과 같은 일점 계류계에 의해 계류된 채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LNG FPSO(혹은 Oil FPSO)는, 탑재된 천연가스 액화설비 등에 포함된 열교환기의 냉각용 열교환 매체로서 해수를 사용하기 위해, 또한 가스(혹은 오일)을 빼낸 후 가스정(Gas well)(혹은 오일정(Oil well)) 내에 해수를 주입하기 위해, 구조물의 배저(Vessel bottom)에 위치한 해수 유입구(Sea chest)로부터 대량의 해수를 흡입한다. 이때 흡입되는 해수는 해수표면 부근의 표층수이므로, 태양광 등에 의해 가열되어 심해수에 비해 고온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LNG FSRU의 경우에도 증발가스 재액화 설비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재액화 설비에 포함된 열교환기의 냉각용 열교환 매체로서 해수를 사용하기 위해, 구조물의 배저에 위치한 해수 유입구로부터 대량의 해수를 흡입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구조물의 배저에 위치한 해수 유입구로부터 직접 해수표면 근처의 표층수를 흡입하기 때문에, 해수의 온도가 비교적 고온이고, 기후변화에 따라 해수의 온도 변화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해조류나 해상 쓰레기 등이 흡입되어 해수 유입구를 막아 버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해 유지보수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 일부 조선사에서는 선저에서 일정깊이까지 원통형 파이프를 하강시켜 해수를 흡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통상의 선박에 적용되어 해수 흡입시에만 선저에 형성된 도어를 개방하여 원통형 파이프를 바닷물 속에 집어넣어 해수를 흡입하고, 해수를 흡입하지 않을 때에는 원통형 파이프를 다시 엔진룸 내로 끌어올려 보관하는 구조였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은 지속적으로 일정한 온도의 해수를 공급받아야 하는 LNG FPSO, Oil FPSO 혹은 LNG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는 적용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 사용되는 원통형 파이프의 길이도 짧아 파이프 말단이 심해수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해수표면 바로 아래쪽의 표층수를 흡입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충분히 저온인 동시에 일정한 온도의 해수를 흡입할 수 없었고 열교환기의 효율도 크게 개선된 점이 없었다.
즉,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단순히 해수표면 부근에 부유된 해조류나 해상 쓰레기를 흡입하지 않는 정도의 효과에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표층수를 흡입하여 열교환 매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층수가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등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져, 많은 양의 해수를 흡입해야만 하였다. 그에 따라 장비 용량(Equipment sizing) 및 전력 소비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일정한 온도의 해수를 공급받아야 하는 LNG FPSO, Oil FPSO나 LNG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열교환 매체로서의 해수를 필요로 하는 열교환기 등의 설비가 작동중일 때에는 선저를 개폐시키는 등의 번거로운 추가작업 없이 해수를 지속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층수에 비해 저온이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심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서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냉각수 장치로서,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칼럼과; 상기 관통 칼럼의 하단에 연결되어 심해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는 라이저 조립체와; 상기 관통 칼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 칼럼 내의 해수를 선체 내부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해수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관통 칼럼은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탱크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저 조립체는 일정한 길이의 라이저를 다수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라이저 조립체의 말단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칼럼의 하부와 상기 해수 펌프 사이에는 상기 해수 펌프에 의해 상기 관통 칼럼 내부의 해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 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수 펌프는 상기 선체의 흘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해수 펌프와 상기 흡입 라인은 상기 선체의 밸러스트 상태에서의 흘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 펌프는 상기 선체 내부의 기계실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 장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내부에서 순환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청수와 상기 해수 펌프에 의해 흡입된 심해수와의 열교환을 위한 해수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 장치는, 해수에 포함된 미생물로 인한 파이프 및 장비 내에서의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제 투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면서 심해수를 흡입하여 냉각수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냉각수 장치는,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칼럼, 상기 관통 칼럼의 하단에 연결되어 심해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는 라이저 조립체, 상기 관통 칼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 칼럼 내의 해수를 선체 내부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해수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LNG FPSO, Oil FPSO, LNG FSRU, 및 LNG RV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터릿 계류계나 스프레드 계류계에 의해 계류된 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릿 계류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심해수 흡입을 위해 일정깊이 이상까지 연장되는 라이저와 계류삭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저 조립체가 연결되는 상기 관통 칼럼은 터릿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층수에 비해 저온이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심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표층수에 비해 저온인 심해수를 흡입하여 냉각수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표층수를 사용할 때보다 적은 양의 해수로 필요로 하는 열교환 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적은 양의 해수를 흡입하므로 장비 용량 및 전력 소비량이 절감될 수 있고, 해수면 근처의 해조류나 해상 쓰레기 등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선체(1)의 상부갑판에서 바닥까지 연장되어 선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칼럼(7)과, 이 관통 칼럼(7)의 하단에 연결되어 심해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는 라이저 조립체(10)와, 관통 칼럼(7)의 하부에 연결되어 관통 칼럼(7) 내의 심해수를 선체 내부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23)에 공급하는 해수 펌프(21)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란, 해상의 한 위치에 계류되어 사용되면서 심해수를 냉각수로서 사용하는 각종 해상 플랜트 및 선박, 예를 들어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Oil FPSO, 혹은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플랜트뿐만 아니라, LNG RV(Regasification vessel)과 같이 일정 기간 동안 해상에서 계류된 채 사용되는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터릿 계류계(Turret mooring system)나 스프레드 계류계(Spread mooring system)에 의해 계류된 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 해류 등의 외력의 방향에 따라 터릿을 중심으로 선체가 회전하면서 외력의 영향이 가장 적게 미치는 방향으로 선체가 정렬되는 터릿 계류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심해수 흡입을 위해 일정깊이 이상까지 연장되는 라이저(11)와 계류삭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라이저 조립체(10)가 연결되는 관통 칼럼(7)은 터릿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경의 원통 형상을 갖는 관통 칼럼(7)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탱크(3)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칼럼(7)이 밸러스트 탱크(3)의 내부에 설치되면, 관통 칼럼의 벽면에 손상이 발생하여도 침수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우현측 밸러스트 탱크(3)에 하나의 관통 칼럼(7)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우현측 밸러스트 탱크에 복수의 관통 칼럼이 설치되거나, 좌현측 밸러스트 탱크에 하나 이상의 관통 칼럼이 설치되거나, 우현 및 좌현측 밸러스트 탱크에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 칼럼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라이저 조립체(10)는 일정한 길이의 라이저(11)를 다수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말단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심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라이저 조립체(10)는 선체(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칼럼(7)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관통 칼럼(7)의 내부는 선체(1) 외부의 해수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해수가 차 있게 되고, 관통 칼럼(7) 내부의 해수를 흡입하면 라이저 조립체(10)를 통해 자연스럽게 심해수를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해수 펌프(21)에 의해 심해수를 흡입하여 선체(1) 내부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관통 칼럼(7)의 하부에는 흡입 라인(8)이 연결되어 있다. 흡입 라인(8)에는 개폐 밸브(9)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흡입 라인(8) 및 해수 펌프(21)의 위치는 선체(1)의 흘수, 특히 선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에서의 흘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펌프의 흡입 수두(suction head)를 항상 일정한 값 이상 확보함으로써 펌프의 에너지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 펌프(21)는 선체 내부의 기계실(5)(도 2 참조) 내에 위치되므로, 종래 관통 칼럼의 내부에 잠수식 펌프(submerged pump)를 사용하던 경우에 비해 장비의 점검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해수 펌프(21)에 의해 흡입된 심해수는 해수 열교환기(23)로 공급되며, 해수 열교환기(23)에서는 저온의 심해수를 고온의 청수(fresh water)와 열교환하여 청수를 냉각시킨다. 청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내부에서 순환하며 각종 장비의 냉각수로서 사용된다.
해수 열교환기(23)에서 냉각된 청수는 청수 순환펌프(25)에 의해 예를 들어 액화장치 열교환기(27) 등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해수 열교환기(23)에서 가열된 심해수는 선외 배출(overboard discharge)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는, 해수에 포함된 미생물로 인한 파이프 및 각종 장비 내에서의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살균제 투입장치(29)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제 투입장치(29)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염(hypochlorite)을 해수 펌핑량에 따라 일정 비율로 라이저 내에 투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LNG FPSO, Oil FPSO, LNG FSRU 등일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 혹은 계류된 채 사용되면서 해수를 흡입하여 냉각용 열교환 매체로서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해양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는 내부에 LNG 등의 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도시생략)가 설치되며, 상부갑판에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 설비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설비의 배치나 종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계류삭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해상에 계류된 채 사용될 수 있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계류를 위해서는, 터릿(turret)이나 스프레드(spread) 타입의 계류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계류수단의 종류나 설치 위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저에 특별히 개폐도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본 발명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해상의 일정한 지점에 계류된 채 사용되기 때문에, 개폐도어를 개방하는 등의 번거로운 사전작업을 실시할 필요없이, 해수를 흡입할 필요가 있을 때 해수펌프를 구동시키기만 하면 심해수를 흡입하여 해수 열교환기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의하면, 해수펌프로부터 발생한 흡입력에 의하여 라이저 조립체를 통해 심해수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심해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 매체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가 높은 표층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비교적 일정하고 저온인 심해수를 냉각수로서 사용함에 따라, 액화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액화천연가스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거나 장비 용량 및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즉, 종래에 비해 적은 양의 해수를 흡입하므로 장비 용량 및 전력 소비량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심해수는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변화가 거의 없어 열교환기의 입구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해수면 근처의 표층수에 비해 해조류나 해상 쓰레기 등의 유입, 혹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배출되는 폐수(예컨대, 오일이나 가스를 분리 처리한 후 배출되는 물)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해수 펌프 및 해수 열교환기 등이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기계실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장비의 운용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또한, 해수 펌프의 설치위치를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최소 흘수보다 아래에 위치시킴으로써 펌프의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선체, 3: 밸러스트 탱크, 5: 기계실, 7: 관통 칼럼, 8: 흡입 라인, 9: 개폐 밸브, 10: 라이저 조립체, 11: 라이저, 12: 여과 부재, 21: 해수 펌프, 23: 해수 열교환기, 25: 청수 순환펌프, 27: 액화장치 열교환기, 29: 살균제 투입장치.

Claims (12)

  1. 해상에서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냉각수 장치로서,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칼럼과;
    상기 관통 칼럼의 하단에 연결되어 심해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는 라이저 조립체와;
    상기 관통 칼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 칼럼 내의 해수를 선체 내부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해수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칼럼은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탱크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 조립체는 일정한 길이의 라이저를 다수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라이저 조립체의 말단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칼럼의 하부와 상기 해수 펌프 사이에는 상기 해수 펌프에 의해 상기 관통 칼럼 내부의 해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 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수 펌프는 상기 선체의 흘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수 펌프와 상기 흡입 라인은 상기 선체의 밸러스트 상태에서의 흘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펌프는 상기 선체 내부의 기계실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내부에서 순환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청수와 상기 해수 펌프에 의해 흡입된 심해수와의 열교환을 위한 해수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해수에 포함된 미생물로 인한 파이프 및 장비 내에서의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제 투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9.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면서 심해수를 흡입하여 냉각수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냉각수 장치는,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 칼럼, 상기 관통 칼럼의 하단에 연결되어 심해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는 라이저 조립체, 상기 관통 칼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 칼럼 내의 해수를 선체 내부에 설치된 해수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해수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LNG FPSO, Oil FPSO, LNG FSRU, 및 LNG RV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터릿 계류계나 스프레드 계류계에 의해 계류된 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터릿 계류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심해수 흡입을 위해 일정깊이 이상까지 연장되는 라이저와 계류삭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저 조립체가 연결되는 상기 관통 칼럼은 터릿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0100063746A 2010-07-02 2010-07-02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20003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746A KR20120003090A (ko) 2010-07-02 2010-07-02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746A KR20120003090A (ko) 2010-07-02 2010-07-02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90A true KR20120003090A (ko) 2012-01-10

Family

ID=4561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746A KR20120003090A (ko) 2010-07-02 2010-07-02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090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45B1 (ko) * 2010-10-25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314812B1 (ko) * 2012-05-31 2013-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용 풍력 발전기의 타워 냉각 시스템
KR101368839B1 (ko) * 2012-09-04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씨체스트를 구비한 선박
KR101390494B1 (ko) * 2013-01-25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
KR20140071623A (ko) * 2012-12-04 2014-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분사장치를 갖춘 해양 구조물
CN106184611A (zh) * 2016-07-22 2016-12-07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海水提升泵的护管的建造及吊装工艺
KR20160149630A (ko) 2015-06-18 2016-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플랜트의 해수 유입관 고정장치
KR20170004175A (ko) * 2015-07-01 201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수 유입 및 배출 구조와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80039847A (ko) * 2016-10-11 2018-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너 라이저를 가지는 씨체스트
KR20180080545A (ko) * 2017-01-04 2018-07-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문풀을 이용한 해수활용시스템
KR20190116520A (ko) * 2017-03-06 2019-10-1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양상 부체식 시설
CN113853335A (zh) * 2019-03-12 2021-12-28 瑞士单浮筒系泊公司 海水引入立管系统
CN114194331A (zh) * 2021-12-30 2022-03-18 海南大学 深海蓄冷棒束运送装置
CN114379759A (zh) * 2021-12-14 2022-04-22 安瑞科(蚌埠)压缩机有限公司 一种船载式压缩机底架集成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45B1 (ko) * 2010-10-25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314812B1 (ko) * 2012-05-31 2013-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용 풍력 발전기의 타워 냉각 시스템
KR101368839B1 (ko) * 2012-09-04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씨체스트를 구비한 선박
KR20140071623A (ko) * 2012-12-04 2014-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분사장치를 갖춘 해양 구조물
KR101390494B1 (ko) * 2013-01-25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
KR20160149630A (ko) 2015-06-18 2016-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플랜트의 해수 유입관 고정장치
KR20170004175A (ko) * 2015-07-01 201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수 유입 및 배출 구조와 이를 구비한 선박
CN106184611B (zh) * 2016-07-22 2017-12-08 广州中船文冲船坞有限公司 Fpso海水提升泵的护管的建造工艺
CN106184611A (zh) * 2016-07-22 2016-12-07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海水提升泵的护管的建造及吊装工艺
KR20180039847A (ko) * 2016-10-11 2018-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너 라이저를 가지는 씨체스트
KR20180080545A (ko) * 2017-01-04 2018-07-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문풀을 이용한 해수활용시스템
KR20190116520A (ko) * 2017-03-06 2019-10-1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양상 부체식 시설
CN113853335A (zh) * 2019-03-12 2021-12-28 瑞士单浮筒系泊公司 海水引入立管系统
CN114379759A (zh) * 2021-12-14 2022-04-22 安瑞科(蚌埠)压缩机有限公司 一种船载式压缩机底架集成装置
CN114194331A (zh) * 2021-12-30 2022-03-18 海南大学 深海蓄冷棒束运送装置
CN114194331B (zh) * 2021-12-30 2024-05-28 海南大学 深海蓄冷棒束运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090A (ko)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177910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JP5879360B2 (ja) 浮体式lngプラント
AU20142511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oating dockside liquefaction of natural gas
JP2015013494A (ja) 長大海上浮体設備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JP2016520468A5 (ko)
AU2013251088A1 (en) Floating LNG plant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converted LNG carrier and a method for obtaining the floating LNG plant
KR200477659Y1 (ko)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
BR112019015018A2 (pt) Unidade offshore de processamento de hidrocarboneto e método de operação
KR101681708B1 (ko)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635061B1 (ko) 액화천연가스 하역 시스템
CA3074747C (en) A barge for and method of water cooling an lng production plant
KR101824430B1 (ko)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KR102018745B1 (ko) 외기독립추진 시스템이 탑재된 잠수함
EP1490259B1 (en) Vessel with deep water transfer system
KR100852539B1 (ko) 역류 방지 밸브가 구비된 엘엔지 공급보조장치
KR20100133272A (ko) 개선된 위치유지장치를 갖는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00127460A (ko) 심층수 흡입용 라이저 조립체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상기 라이저 조립체의 설치 방법
KR20150074519A (ko) 해수 냉각시스템
KR20120001495A (ko)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017913B1 (ko) 액화가스 저장선
KR20110061898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359978B1 (ko) 행잉 타입 시일 포트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및 시일 포트
KR20150105711A (ko) Lng 저장탱크 워밍 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