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94B1 -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94B1
KR101390494B1 KR1020130008638A KR20130008638A KR101390494B1 KR 101390494 B1 KR101390494 B1 KR 101390494B1 KR 1020130008638 A KR1020130008638 A KR 1020130008638A KR 20130008638 A KR20130008638 A KR 20130008638A KR 101390494 B1 KR101390494 B1 KR 10139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ea water
pipe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철
권기정
정연태
김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유입관과 해수유출관을 해상구조물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하여 해류의 방향 또는 해수 유입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해류에 의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상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는 본체와, 본체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는 해수공급유닛과,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해수공급유닛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열교환하는 열교환유닛 및, 본체의 타 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해수를 본체 밖으로 배출하는 해수배출유닛을 포함하되, 해수공급유닛과 해수배출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으로 분지되어 본체의 복수 면에 유입구 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유입관과 유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해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킨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유입관과 해수유출관을 해상구조물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하여 해류의 방향 또는 해수 유입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해류에 의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NG(Natural Gas, 천연가스)를 약 -163℃까지 냉각시켜 그 부피를 1/600 정도로 줄인 것으로, NG에 비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이러한 LNG는 재기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 RV(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해상 구조물에서 재기화되어 직접 수요처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재기화 장치의 경우 대부분 LNG와 해수를 직접 또는 간접 열교환하여 재기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재기화 시 해수를 이용하여 LNG를 재기화 하는 경우, 많은 양의 해수가 사용되는데 이런 많은 양의 냉각된 해수가 바다로 배출되어 해저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해상 구조물의 설치면적이 작기 때문에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해류에 의해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 후 냉각된 해수가 다시 유입되는 경우, 재기화 성능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해수 유입구와 해수 배출구를 반대방향에 배치함으로써 배출된 해수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해상 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며 존재하므로, 해수 유입구와 해수 배출구를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하더라도 해류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수유입관과 해수유출관을 해상구조물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하여 해류의 방향 또는 해수 유입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해류에 의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는 해수공급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해수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해수를 공급받아 열교환하는 열교환유닛, 및 상기 본체의 타 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하는 해수배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해수공급유닛과 상기 해수배출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으로 분지되어 상기 본체의 복수 면에 유입구 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해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킨다.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은 적어도 한 개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해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상기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유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수의 유출입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수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유출관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심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구조물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해수유입관과 해수유출관을 해류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열교환 후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해류에 의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수유입관에 온도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유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해상구조물의 재기화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해상구조물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해상구조물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상구조물의 재기화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해수를 공급받아 열교환을 하며, 열교환 후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다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로, 해상에 부유하는 LNG RV, LNG 터미널, LNG FSR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상구조물(1)은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2)의 유입구(21)와 해수가 배출되는 유출관(42)의 유출구(41)를 구조물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함으로써 해류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해수를 유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해류에 의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해상구조물(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유닛(30)과, 열교환유닛(30)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유닛(20)과, 열교환에 사용된 해수를 배출하는 해수배출유닛(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해상에서 부유하며 작업하는 구조물이나 선박으로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작업하거나 여러 위치로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액화 또는 재기화 작업에 필요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장치를 가동하는 경우 많은 열량이 필요하므로 다량의 해수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한다. 이러한 본체(10)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유닛(30)은 해수와 유체를 열교환하는 장치로,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열교환유닛(30)은 유체와 해수를 열교환하여 유체를 액화시키거나 액화된 유체를 다시 기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유닛(30)은 유체와 해수를 열교환하는 장치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해수의 온도를 이용하여 열교환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유닛(30)은 해수를 이용하여 내연기관 등의 각종 열기관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일 수도 있다. 열교환유닛(30)은 일 측에 형성된 해수공급유닛(20)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열교환을 한다.
해수공급유닛(20)은 열교환유닛(30)에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로, 열교환유닛(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거나, 열교환유닛(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해수공급유닛(20)은 본체(10)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입관(22)으로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해수공급유닛(20)이 복수 개의 유입관(22)으로 분지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수공급유닛(20)은 하나의 유입관(22)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해수공급유닛(20)은 해류의 방향에 따라 각각의 유입관(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해수를 유입할 수 있다.
유입관(22)은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본체(10)의 복수 면에 형성된 유입구(21)와 연통되어 해수를 유입할 수 있다. 즉, 해수공급유닛(20)은 본체(10)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유입구(21)를 통해 유입관(22)에 해수를 유입한다. 유입관(22)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벨브(도시되지않음)가 형성될 수 있는데, 유입관(22)은 벨브를 이용하여 입구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유입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유입관(22)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관(22)에 온도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열교환에 적합한 온도의 해수를 유입하여 열교환유닛(30)의 열교환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온도센서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유입관(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해수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유입관(22)을 폐쇄하여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해수의 온도값이 기준값과 일치하거나 근접한 경우, 유입관(22)을 개방하여 해수를 유입할 수 있다.
해수공급유닛(20)을 통해 열교환유닛(30)에 공급되어 열교환을 마친 해수는 해수배출유닛(40)을 통해 다시 해상으로 배출된다.
해수배출유닛(40)은 열교환유닛(30)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본체(10) 밖으로 배출하는 장치로, 열교환유닛(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거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해수배출유닛(40)은 본체(10)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출관(42)으로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해수배출유닛(40)은 해수공급유닛(20)과 같이 해류의 방향에 따라 각각의 유출관(4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유출관(42)은 유입관(22)과 같이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본체(10)의 복수 면에 형성된 유출구(41)와 연통되어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수배출유닛(40)은 본체(10)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유출구(41)를 통해 해수를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킨다. 유출관(42)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벨브(도시되지않음)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벨브를 이용하여 유출관(42)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유입관(22)과 복수 개의 유출관(42)은 서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관(22)과 유출관(4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외측면에 나란히 형성된 유입구(21)와 유출구(41)에 각각 연통된다. 그러나, 유입구(21)와 유출구(41)가 나란히 형성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입구(21)와 유출구(41)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1)와 유출구(41)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수심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유입구(21)는 본체(10)의 측면에 위치하고, 유출구(41)는 본체(10)의 하면에 위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수심에 위치한 유입구(21)와 유출구(41)에 유입관(22)과 유출관(42)은 각각 연통된다.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유입관(22)과 유출관(4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개폐될 수 있다. 즉, 일 측에 형성된 유입관(22)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면, 열교환을 마친 해수는 타 측에 형성된 유출관(42)을 통해 해상으로 배출된다. 같은 면에 형성된 유입관(22)과 유출관(42)은 서로 동시에 개방되거나 폐쇄되지 않으며, 유입관(22)과 유출관(42)은 해류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류의 방향이 우현인 경우, 우현에 형성된 유입관(22)을 개방하여 해수를 유입하고, 열교환을 마친 해수는 좌현에 형성된 유출관(42)을 개방하여 해상으로 배출한다. 이 때, 좌현에 형성된 유입관(22)과 우현에 형성된 유출관(42)는 폐쇄된다. 따라서, 배출된 해수는 해류에 의해 다시 유입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해수를 이용하여 LNG를 재기화하는 과정을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LNG 화물창(31)에 액화된 상태로 저장된 LNG는 내부에 포함된 LNG펌프(32)에 의해 고압펌프(33)로 유입된다. LNG 화물창(31)으로부터 공급된 LNG는 고압펌프(33)에서 고압으로 펌핑되어 열교환유닛(30)으로 유입된다.
열교환유닛(30)에 공급된 고압의 LNG는 열교환유닛(30)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을 통과한다. 이 때, 관의 외측으로는 LNG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해수가 지나간다. 해수는 열교환유닛(30)에 형성된 유입관(22)으로 유입된다. 유입관(22)에는 해수펌프(34)가 설치되어 있어 해상의 해수를 열교환유닛(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해수는 해류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설치된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되며, 관 내부의 LNG는 해수의 높은 온도에 의해 기화된다. 기화된 LNG는 NG의 상태로 열교환유닛(30)을 통과하며 소비처로 공급된다. 열교환에 사용된 해수는 유입관(22)과 나란하게 설치된 유출관(42)을 통해 유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해상에 배출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해상구조물(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해상구조물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해수공급유닛(20)과 해수배출유닛(40)을 본체(10)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하여, 해류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수를 유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을 마치고 해상으로 배출된 해수가 다시 재유입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교환에 적합한 온도의 해수만을 유입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해류의 방향이 우현인 경우, 우현측 유입관(22)과 좌현측 유출관(42)을 개방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유닛(30)을 포함하고, 열교환유닛(30)은 해수공급유닛(20)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는다. 해수공급유닛(20)은 복수 개의 유입관(22)으로 분지되며, 유입관(22)은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유입구(21)와 각각 연통된다. 열교환유닛(30)을 통과한 해수는 해수배출유닛(40)을 통해 해상으로 배출되며, 해수배출유닛(40)은 해수공급유닛(2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해수배출유닛(40)은 복수 개의 유출관(42)으로 분지되며,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유출구(41)와 각각 연통된다.
해류의 방향이 우현인 경우, 본체(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유입구(21)와 연통되는 유입관(22)과 본체(10)의 좌측면에 형성된 유출구(41)와 연통되는 유출관(42)을 개방한다. 이 때, 좌측면에 형성된 유입구(21)와 연통되는 유입관(22)과 우측면에 형성된 유출구(41)와 연통되는 유출관(42)은 폐쇄한다.
우현측의 유입관(22)을 개방함으로써, 해수의 유입방향과 해류의 방향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해수는 해류를 따라 유입관(22)으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해수가 유입될 때 온도센서를 작동하여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해수의 온도값이 열교환에 적합한 온도인 경우 해수는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해수는 열교환유닛(30)에 공급되어 유체와 열교환을 한다. 열교환유닛(30)을 통과하여 열교환을 마친 해수는 좌현측의 유출관(42)을 통해 해상으로 배출된다. 유출관(42)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의 방향은 해류의 방향과 서로 일치하여 해수가 다시 열교환유닛(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해류의 방향이 좌현인 경우, 좌현측 유입관(22)과 우현측 유출관(42)을 개방한다.
해류의 방향이 좌현인 경우, 본체(10)의 좌측면에 형성된 유입구(21)와 연통되는 유입관(22)과 본체(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유출구(41)와 연통되는 유출관(42)을 개방한다. 이 때, 본체(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유입구(21)와 연통되는 유입관(22)과 좌측면에 형성된 유출구(41)와 연통되는 유출관(42)은 폐쇄한다.
좌현측의 유입관(22)을 개방함으로써, 해수는 해류를 따라 유입관(22)으로 유입된다. 해수가 유입될 때 온도센서를 작동하여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며, 열교환에 적합한 온도인 경우에만 해수를 유입한다.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해수는 열교환유닛(30)에서 유체와 열교환을 하며, 열교환을 마친 해수는 우현측의 유출관(42)을 통해 해상으로 배출된다. 해수가 배출되는 방향과 해류의 방향은 서로 일치하므로 해수는 다시 유입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해상구조물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유입구(21)와 유출구(41) 중 적어도 하나에 해수의 유출입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관(23)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유입구(21)와 유출구(41) 중 적어도 하나에 방향조절관(23)이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유입구(21)와 유출구(41)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방향조절관(23)이 결합될 수 있다.
방향조절관(23)은 해수의 유출입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유입구(21)와 유출구(41)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입구(21)와 유출구(41)에 방향조절관(23)이 결합됨으로써 해류의 방향에 따라 해수의 유입과 유출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류의 방향이 좌현인 경우, 좌현측 유입구(2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을 해류의 방향과 일치하게 회전시킴으로써 해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우현측 유출구(4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을 회전시켜 해수가 해류를 따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입구(21)와 유출구(41)에 방향조절관(23)이 결합되는 경우, 유입구(21)와 유출구(41)는 본체(1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대신, 본체(1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21)와 유출구(41)가 본체(10)의 하측면을 관통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1)는 본체(1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유출구(41)는 본체(1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류의 방향이 우현인 경우, 우현측 유입구(2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과 좌현측 유출구(4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을 회전시킨다.
본체(1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유입구(21)에는 각각 방향조절관(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수의 유입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21)로부터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유출구(41)에도 각각 방향조절관(23)이 결합되어 해수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해류의 방향이 우현인 경우, 본체(10)의 우현측 유입구(2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과 본체(10)의 좌현측 유출구(4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을 해류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시킨다. 이 때, 본체(10)의 좌현측 유입구(2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과 우현측 유출구(4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은 고정시키거나 해류의 방향과 반대되도록 회전시킨다.
우현측 유입구(2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을 해류의 방향과 일치하게 회전시킴으로써, 해수의 유입방향과 해류의 방향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해수는 방향조절관(23)을 통해 유입관(22)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유입관(22)에 유입된 해수는 열교환유닛(30)에 공급되어 유체와 열교환하며, 열교환을 마친 해수는 유출관(42)을 지나 좌현측 유출구(41)에 결합된 방향조절관(23)을 통해 해상으로 배출된다. 방향조절관(23)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의 배출방향과 해류의 방향은 서로 일치하므로, 해수는 열교환유닛(30)으로 재유입되지 않는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유입관(22)과 유출관(4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유입관(22)과 유출관(42) 중 적어도 하나가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유입관(22)과 유출관(4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
복수 개로 분지된 유입관(22)과 유출관(42)은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유입관(22)과 유출관(42)이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을 하는 경우, 유입구(21)와 유출구(41)는 수심이 조절될 수 있다.
유입관(22)와 유출관(42)은 서로 독립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배출된 해수가 열교환유닛(30)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관(22)은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하고, 유출관(42)은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게 배치하여 유출관(42)을 통해 배출된 해수가 유입관(22)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관(22)와 유출관(42)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길이조절을 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그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입관(22)과 유출관(42)은 서로 동시에 작동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해상구조물 10. 본체
20. 해수공급유닛 21. 유입구
22. 유입관 23. 방향조절관
30. 열교환유닛 31. LNG 화물창
32. LNG 펌프 33. 고압펌프
34. 해수펌프 40. 해수배출유닛
41. 유출구 42. 유출관

Claims (7)

  1. 해상에 부유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는 해수공급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해수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해수를 공급받아 열교환하는 열교환유닛; 및
    상기 본체의 타 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하는 해수배출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해수공급유닛과 상기 해수배출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으로 분지되어 상기 본체의 복수 면에 유입구 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해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키는 해상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은 적어도 한 개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해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개폐되는 해상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상기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유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해상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수의 유출입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관을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수심에 위치하는 해상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유출관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심이 조절되는 해상구조물.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해상구조물.
KR1020130008638A 2013-01-25 2013-01-25 해상 구조물 KR10139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38A KR101390494B1 (ko) 2013-01-25 2013-01-25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38A KR101390494B1 (ko) 2013-01-25 2013-01-25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94B1 true KR101390494B1 (ko) 2014-04-30

Family

ID=5065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38A KR101390494B1 (ko) 2013-01-25 2013-01-25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64B1 (ko) * 2001-09-28 2005-03-07 김용국 단호박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6144A (ko) * 2014-10-20 2016-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 및 그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의 냉각 가열 운전방법
KR20170138300A (ko) * 2016-06-07 2017-1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834346B1 (ko) * 2016-10-28 2018-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유입경로 가변장치
KR101920550B1 (ko) * 2017-01-31 2018-11-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체온증 완화를 위한 인명 구조용 무인 잠수정(rov)에 부착된 발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876A (ko) * 2009-12-02 2011-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110120608A (ko) * 2010-04-29 2011-1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플랫폼용 심해 냉각수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플랫폼
KR20120003090A (ko) * 2010-07-02 2012-01-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876A (ko) * 2009-12-02 2011-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110120608A (ko) * 2010-04-29 2011-1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플랫폼용 심해 냉각수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플랫폼
KR20120003090A (ko) * 2010-07-02 2012-01-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64B1 (ko) * 2001-09-28 2005-03-07 김용국 단호박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6144A (ko) * 2014-10-20 2016-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 및 그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의 냉각 가열 운전방법
KR101699325B1 (ko) 2014-10-20 2017-0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 및 그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의 냉각 가열 운전방법
KR20170138300A (ko) * 2016-06-07 2017-1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2239304B1 (ko) * 2016-06-07 2021-04-0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834346B1 (ko) * 2016-10-28 2018-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유입경로 가변장치
KR101920550B1 (ko) * 2017-01-31 2018-11-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체온증 완화를 위한 인명 구조용 무인 잠수정(rov)에 부착된 발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494B1 (ko) 해상 구조물
KR101195149B1 (ko)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KR20080085284A (ko) Lng 재기화 선박의 온수 순환식 기화장치 및액화천연가스 기화방법
KR101571364B1 (ko) 해양용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US10968826B2 (en)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ressure difference
KR101239341B1 (ko)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60088266A (ko) 액화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US20190261782A1 (en) Forced flow fluid circulation cooling for barges
CN103403437A (zh) 液化气体的再气化装置及再气化气体制造方法
KR101584566B1 (ko) Lng 저장탱크의 가스 필링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5402A (ko) 엔진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2177572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940260B1 (ko) 선박 발전장치
KR101052533B1 (ko) 화물창 쿨다운 배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102473947B1 (ko) Lng 재기화 선박
KR101834346B1 (ko) 해수 유입경로 가변장치
KR20140044090A (ko) 외기독립추진 시스템이 탑재된 잠수함
KR20110130135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10017118A (ko) 코퍼 댐의 온도 조절 장치
KR101521611B1 (ko) 선박의 코퍼댐 가열장치
KR101924378B1 (ko) 해양구조물
KR2020004322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584570B1 (ko) 해양구조물의 코퍼댐 히팅시스템 및 코퍼댐 히팅 방법
KR101973112B1 (ko) 해양구조물
KR20200064271A (ko) 냉각용 해수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