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430B1 -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 Google Patents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430B1
KR101824430B1 KR1020150153686A KR20150153686A KR101824430B1 KR 101824430 B1 KR101824430 B1 KR 101824430B1 KR 1020150153686 A KR1020150153686 A KR 1020150153686A KR 20150153686 A KR20150153686 A KR 20150153686A KR 101824430 B1 KR101824430 B1 KR 10182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gas
gas
hull
liquefied natural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948A (ko
Inventor
박석재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4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25J1/0025Boil-off gases "BOG" from sto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72Processing device is used off-shore, e.g. on a platform or floating on a ship or b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소형 해상 가스전으로부터 원천가스를 뽑아 올리는 터렛, 원천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장치 및 전처리장치를 거쳐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장치를 포함하는 탑사이드 설비, 탑사이드 설비에 의해 전처리 및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수용하되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저장탱크, 저장탱크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필요처로 공급하는 매니폴드부, 선체를 타측의 상대물에 계류시키는 무어링장치 및 선체의 추진력 및 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엔진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SMALL SCALE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본 발명은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의 생산, 저장 및 하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발전에 대한 요구로서 천연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천연가스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로서, 통상적으로 천연가스의 저장 및 수송의 용이성을 위해 천연가스를 약 섭씨 -162도로 냉각해 그 부피를 1/600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인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로 상 변화하여 관리 및 운용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는 종래에는 육상에 건설된 생산설비에서 생산되어 액화천연가스 수송선(LNG CARRIER)를 통해 소비처로 운송 및 공급되었다. 또한 해상 가스전의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종래에는 해상 가스전에서 뽑아 올린 천연가스를 파이프라인 등을 통해 육상의 생산설비까지 이송한 후, 이를 액화 및 저장하였다가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을 통해 소비처까지 운송하는 방안 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육상으로부터 원거리의 해상 가스전은 천연가스의 이송에 어려움이 있고, 육상의 생산설비 건설을 위한 부지 확보의 어려움 및 생산설비의 건설 비용이 수 조원에 달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저장하였다가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에 하역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등의 해상 구조물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그 크기가 수백미터에 이르고, 천연가스를 시추하여 액화 및 생산, 저장할 수 있는 설비의 규모가 매우 거대하므로, 운용의 수익성, 효율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1 TCF(조 입방미터)를 초과하는 대형 해상 가스전을 대상으로 운용될 수 밖에 없었다.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1 TCF(조 입방미터) 미만의 소형 해상 가스전이 다수 발견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대규모의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를 소형 해상 가스전 개발을 위해 운용하는 것은 수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비효율을 초래하는 바, 소형 해상 가스전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944호(2015. 03. 23.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소형 해상 가스전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해상 가스전 개발의 수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안정적인 구조로서 설비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화천연가스의 생산, 저장 및 하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형 해상 가스전으로부터 원천가스를 뽑아 올리는 터렛, 상기 원천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장치 및 상기 전처리장치를 거쳐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장치를 포함하는 탑사이드 설비, 상기 탑사이드 설비에 의해 전처리 및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수용하되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필요처로 공급하는 매니폴드부, 상기 선체를 타측의 상대물에 계류시키는 무어링장치 및 상기 선체의 추진력 및 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엔진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탑사이드 설비는 상기 선체의 선수 측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장탱크는 상기 선체의 선미 측에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형 해상 가스전은 1 TCF(조 입방미터) 미만이거나, 상기 탑사이드 설비는 0.4 내지 1.2 MTPA(연간 평균 생산량)의 생산능력을 갖도록 운용될 수 있다.
상기 액화장치는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가압모듈과, 상기 가압모듈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의 냉각을 수행하도록 냉매를 제공하는 냉각플랜트 및 상기 가압된 증발가스와 상기 냉각플랜트에서 제공된 냉매의 열교환을 수행하여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어링장치는 상기 선체의 선수 및 선미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데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은 DFDE 엔진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액화천연가스가 수용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측면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챔버와, 상기 저장부의 내측면 하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챔버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챔버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의 저면 또는 상면과 인접하는 각각의 상기 챔버의 내각은 135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소형 해상 가스전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해상 가스전 개발의 수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안정적인 구조로서, 설비 운용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액화천연가스의 생산, 저장 및 하역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해상 가스전의 규모와 무관하게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100)는 소형 해상 가스전으로부터 원천가스를 뽑아 올리는 터렛(120), 원천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장치(130) 및 전처리장치(130)를 거쳐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장치(140)를 포함하는 탑사이드 설비, 탑사이드 설비에 의해 전처리 및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수용하는 저장탱크(150), 저장탱크(150)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필요처로 공급하는 매니폴드부(160), 선체(110)를 타측의 상대물에 계류시키는 무어링장치(170), 선체(110)의 추진력 및 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80)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터렛(120)은 소형 해상 가스전에 매장된 원천가스를 뽑아 올리도록 마련된다. 터렛(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10)의 선수 측에 마련되는 수직 개구부 또는 문풀(Moon pool)(111)에 장착되어 운용될 수 있다. 터렛(120)은 소형 해상 가스전에 마련되는 라이저 또는 해상파이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시추된 원천가스를 뽑아 올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렛(120)이 원천가스를 뽑아 올리는 동안 선체(110)는 해상의 바람, 파도 또는 조류에 의해 유동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에 터렛(120)과 라이저 또는 해상 파이프 등과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터렛(120)은 선체(1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터렛(120)과 선체(110)의 수직개구부 또는 문풀(111) 사이에는 각종 베어링, 터렛지지부 등이 마련되어, 선체(110)의 유동에도 터렛(120)이 안정적으로 원천가스를 뽑아 올릴 수 있다.
탑사이드 설비는 터렛(120)에 의해 뽑아 올려진 원천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장치(130) 및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장치(14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전처리장치(130)는 터렛(120)에 의해 공급된 원천가스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기 위해 원천가스의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전처리장치(130)로 공급된 원천가스는 분리부에 의해 기체성분, 액화탄화수소 및 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기체성분은 분별부로 공급되어 기체성분에 함유된 이산화탄소, 황 등의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기체성분에 함유된 이산화탄소, 황 등의 불순물은 아민 흡착 공정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기체성분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후술하는 액화장치(140)에 의한 가압, 냉각 및 감압 시 하이드레이트(Hydrate)가 발생되어 각종 설비의 고장 및 파이프라인의 막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분자여과기 등을 이용하여 기체성분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 기체성분, 즉 천연가스의 증발가스는 후술하는 액화장치(140)로 공급되어 액화시킨 후, 저장탱크(150)로 공급될 수 있다.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액화탄화수소, 일 예로 콘덴세이트(Condensate)는 전처리장치(130)에 포함되는 안정화유닛(미도시)에 의해 안정화되어 액화천연가스로서 저장탱크(15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아민 흡착 공정을 이용한 기체성분의 불순물 제거, 분자여과기를 이용한 수분 제거 공정 등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성분에 함유된 불순물 및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면 다양한 공정 및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액화장치(140)는 전처리장치(130)에 의해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도록 마련된다. 액화장치(140)는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가압모듈(141)과, 가압모듈(141)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의 냉각을 수행하도록 냉매를 제공하는 냉각플랜트(142) 및 가압된 증발가스와 냉각플랜트(142)에서 제공된 냉매를 열교환하여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모듈(143)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가압모듈(141)은 증발가스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단의 컴프레서와 각각의 컴프레서를 거치면서 가열된 증발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복수개의 쿨러를 구비할 수 있다. 냉각플랜트(142)는 냉매를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순환시킴으로써, 극저온의 냉매를 발생시키고 이를 액화모듈(143)로 공급하여 가압된 증발가스의 냉각공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냉각플랜트(142)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냉매를 각 구성요소로 순차적으로 순환하여 극저온의 냉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액화모듈(143)은 가압모듈(141)로부터 공급받은 가압된 증발가스를 냉각플랜트(142)로부터 공급받은 극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키고, 냉각된 증발가스를 감압장치(미도시)에 의해 감압시켜 증발가스를 액화시킬 수 있다. 액화모듈(143)에 의해 생산된 액화천연가스는 후술하는 저장탱크(150)로 공급하여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장치(130) 및 액화장치(140)를 포함하는 탑사이드 설비는 1 TCF(조 입방미터) 미만의 소형 해상 가스전을 대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0.4 내지 1.2 MTPA(연간 평균 생산량)의 제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1 TCF 미만의 소형 해상 가스전을 대상으로 탑사이드 설비 및 이를 탑재한 선체(110)가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탑사이드 설비의 소형화 또는 컴팩트화가 가능해지므로 선체(110)의 기동성이 향상되어 다수의 소형 해상 가스전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의 생산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저장탱크(150)는 탑사이드 설비에 의해 전처리 및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수용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탱크(150)는 선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대형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의 경우, 탑사이드 설비 배치의 구조적인 안정성과 해상에서 발생하는 슬로싱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개의 저장탱크가 2열 또는 3열 등의 복수열로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100)는 탑사이드 설비는 1 TCF(조 입방미터) 미만의 소형 해상 가스전을 대상으로 운용되거나, 0.4 내지 1.2 MTPA(연간 평균 생산량)의 제원으로 마련되는 바, 선체(110)의 소형화 또는 컴팩트화를 위해 저장탱크(150)를 선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될 수 있다.
저장탱크(150)는 외부의 열 침입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액화천연가스의 기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열처리된 멤브레인 타입의 화물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탱크(150)는 Mark Ⅲ 멤브레인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필요처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50)의 내측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펌프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150)가 선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될 경우, 저장탱크(150)를 2열로 배치하는 경우보다 저장탱크(150)에 수용된 액화가스의 슬로싱 하중에 의한 선체(110) 영향이 증가하여 선체(110)의 안정적인 운용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에 저장탱크(150)는 내부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의 수용량에 무관하게 슬로싱 하중을 최소화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저장탱크(150)의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저장탱크(150)는 액화천연가스가 수용되는 저장부(151)와, 저장부(151)의 내측면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챔버(152)와 저장부(151)의 내측면 하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챔버(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1)는 천연액화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으로서, 전면벽, 측면벽, 후면벽, 상면벽 및 하면벽으로 구획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부 챔버(152)는 저장부(151)의 내측면 상부 모서리 형성되되 테이퍼진 경사면으로써,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슬로싱 하중을 완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챔버(152)는 저장탱크(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챔버(153)는 저장부(151)의 내측면 하부 모서리에 형성되되 테이퍼진 경사면으로써,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슬로싱 하중을 완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챔버(153) 역시 저장탱크(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챔버(152)와 한 쌍의 하부 챔버(153)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각각의 챔버와 저장부(151)의 저면 또는 상면과의 내각(a)은 135도로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챔버(152)와 한 쌍의 하부 챔버(153)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슬로싱이 발생할 때 저장탱크(150)의 액화천연가스 수용량에 무관하게 저장탱크(150)의 양 측벽에 가해지는 슬로싱 하중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액화천연가스의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탱크(150)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저장탱크(150)가 1열로 배치되는 선체(11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1)의 저면 또는 상면과 각각의 챔버가 인접하는 내각을 (a)135도로 형성함으로써,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슬로싱 하중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는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슬로싱 하중은 저장탱크(150)의 단면이 원형에 가까울수록 저감될 수 있음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다만 저장탱크(150)의 선체(110)로의 탑재성, 단열부재 설치의 용이성, 구조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저장부(151)의 저면 또는 상면이 인접하는 챔버와 형성하는 내각(a)이 135도로 형성할 때,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슬로싱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탑사이드 설비와 저장탱크(150)는 각각 선체(110)의 선수 측과 선미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는 그 크기가 매우 크고, 규모가 거대하므로 저장탱크는 선체의 하측에 설치하고 탑사이드 설비를 선체의 상측, 즉 저장탱크의 상측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100)는 1 TCF(조 입방미터) 미만의 소형 해상 가스전을 대상으로 운용되거나, 0.4 내지 1.2 MTPA(연간 평균 생산량)의 제원으로 마련되는 바, 탑사이드 설비는 선체(110)의 선수 측에, 저장탱크(150)는 선체(110)의 선미 측에 마련함으로써, 소형화 또는 컴팩트화 된 선체(110)의 무게중심의 안정화 및 구조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매니폴드부(160)는 저장탱크(150)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필요처로 공급하도록 선체(110)의 측면부에 마련된다. 매니폴드부(160)는 저장탱크(150)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 수송선(LNG Carrier) 또는 육상의 수요처 등 필요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로딩암(161)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로딩암(161)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파이프라인과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암이 힌지결합되는 다지관, 유연관 등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로딩암(161)은 액화천연가스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유체라인과 증발가스라인을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로딩암(161)의 입구 측 단부는 저장탱크(150) 내부의 송출펌프와 연결되어 저장탱크(150)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되, 로딩암(161)의 출구 측 단부는 필요처의 파이프라인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초저온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무어링장치(170)는 선체(110)를 타측의 상대물에 계류시키도록 마련된다. 무어링장치(170)는 선체(110)의 정박 또는 저장탱크(150)의 액화천연가스 이송을 위해 액화천연가스 수송선 등에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무어링장치(170)는 선체(110)의 안정적인 계류를 위해 선체(110)의 선수 및 선미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데크(115)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써 타측의 상대물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을 동시에 결속시켜 선체(110)의 안정적인 계류를 구현할 수 있다. 각각의 계류장치는 와이어, 와이어가 권선되는 드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대물로부터 전달된 와이어를 선체(110)와 결속시키는 후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체(110)의 안정적인 계류를 구현할 수 있다는 다양한 방식 및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엔진(180)은 선체(110)의 추진력 및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선체(110)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엔진(180)은 저장탱크(150)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의 증발가스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선체(110)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거나 선박의 내부 설비 등의 발전을 구현할 수 있다. 엔진(180)은 DFDE 엔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엔진(180)이 선미 측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선체(110)의 무게중심 및 구조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선체(110) 추진용 엔진(180)은 선미 측에, 선체(110) 발전용 엔진(180)은 선수 측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면부호 190, 191, 192, 193, C 는 각각 전처리 및 액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플레어타워(Flare tower), 저장탱크의 내부압력 계측 및 조절을 수행하는 저장탱크 조정실, 헬리콥터의 선체로의 착륙 및 이륙을 수행하는 헬리콥터 이착륙장,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에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 및 각종 설비의 운송을 위한 크레인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110: 선체 111: 문풀
115: 확장데크 120: 터렛
130: 전처리장치 140: 액화장치
141: 가압모듈 142: 냉각플랜트
143: 액화모듈 150: 저장탱크
151: 저장부 152: 상부 챔버
153: 하부 챔버 160: 매니폴드부
161: 로딩암 170: 무어링장치
180: 엔진

Claims (8)

  1. 소형 해상 가스전으로부터 원천가스를 뽑아 올리는 터렛;
    상기 원천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장치 및 상기 전처리장치를 거쳐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장치를 포함하는 탑사이드 설비;
    상기 탑사이드 설비에 의해 전처리 및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수용하되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 수송선(LNG Carrier) 또는 육상의 수요처로 공급하는 매니폴드부;
    상기 선체를 타측의 상대물에 계류시키는 무어링장치; 및
    상기 선체의 추진력 및 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탑사이드 설비는 상기 선체의 선수 측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장탱크는 상기 선체의 선미측에 마련되며,
    상기 탑사이드 설비와 상기 복수개의 저장탱크는 서로 중첩되지 않게 위치하고.
    상기 전처리장치는,
    상기 원천가스에 포함되고, 상기 탑사이드 설비에서 하이드레이트(hydrate)를 발생시키는 수분을 제거하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해상 가스전은 1 TCF(조 입방미터) 미만이거나, 상기 탑사이드 설비는 0.4 내지 1.2 MTPA(연간 평균 생산량)의 생산능력을 갖도록 운용되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장치는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가압모듈과, 상기 가압모듈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의 냉각을 수행하도록 냉매를 제공하는 냉각플랜트 및 상기 가압된 증발가스와 상기 냉각플랜트에서 제공된 냉매의 열교환을 수행하여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모듈을 포함하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장치는
    상기 선체의 선수 및 선미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데크에 마련되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DFDE 엔진을 포함하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액화천연가스가 수용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측면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챔버와, 상기 저장부의 내측면 하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챔버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챔버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저면 또는 상면과 인접하는 각각의 상기 챔버의 내각은 135도로 형성되는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KR1020150153686A 2015-11-03 2015-11-03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KR10182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86A KR101824430B1 (ko) 2015-11-03 2015-11-03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86A KR101824430B1 (ko) 2015-11-03 2015-11-03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48A KR20170051948A (ko) 2017-05-12
KR101824430B1 true KR101824430B1 (ko) 2018-02-02

Family

ID=5874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86A KR101824430B1 (ko) 2015-11-03 2015-11-03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318A (ko) * 2019-02-27 2022-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7431B (zh) * 2018-01-19 2020-12-08 辽宁美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翻转平台的混合气体充填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088B1 (ko) * 2011-03-22 2012-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용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재액화 장치에 사용되는 비폭발성 혼합냉매
US20150253072A1 (en) * 2014-03-05 2015-09-10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088B1 (ko) * 2011-03-22 2012-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용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재액화 장치에 사용되는 비폭발성 혼합냉매
US20150253072A1 (en) * 2014-03-05 2015-09-10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318A (ko) * 2019-02-27 2022-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2444959B1 (ko) 2019-02-27 2022-09-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48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037B2 (en) Floating LNG plant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converted LNG carrier and a method for obtaining the floating LNG plant
KR102116718B1 (ko) 액체 질소를 저장하는 lng 운반선에서의 천연 가스 액화 방법
JP5879360B2 (ja) 浮体式lngプラント
CN108473180B (zh) 浮动液化烃气处理装置的制造方法
JP6585305B2 (ja) 天然ガス液化船
KR20120003090A (ko) 심해수를 이용한 냉각수 장치 및 상기 냉각수 장치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297865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101824430B1 (ko)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US20080184735A1 (en) Refrigerant storage in lng production
KR20150041820A (ko) 가스 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333068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20110087464A (ko)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1219049A (ja) 浮体式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設備
KR20160020788A (ko) 해상 천연가스 액화 및 저장 구조물 및 방법
KR102130716B1 (ko)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201245B1 (ko) Lng 저장탱크 워밍 업 장치
CN203549383U (zh) 用于天然气液化、再汽化的浮式存储装置
KR20150074519A (ko) 해수 냉각시스템
KR101475004B1 (ko) 육상 인프라를 이용한 lng 처리시스템
KR20190076272A (ko) 반잠수식 리그 타입의 부유식 터미널
KR20090066427A (ko) 천연가스 액화/기화 장치를 설비한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