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930A -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930A
KR20240054930A KR1020240047258A KR20240047258A KR20240054930A KR 20240054930 A KR20240054930 A KR 20240054930A KR 1020240047258 A KR1020240047258 A KR 1020240047258A KR 20240047258 A KR20240047258 A KR 20240047258A KR 20240054930 A KR20240054930 A KR 20240054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ake
mcu
pmic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4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930A/ko
Publication of KR2024005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9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8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motor continuing operation despite the fault condition, e.g. eliminating, compensating for or remedying the fau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필터, PMIC 및 MCU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필터는 상위 제어기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필터링하고, PMIC는 필터로부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고, MCU는 PMIC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필터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를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or}
본 개시에서는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제공된다.
차량 등 모터를 이용하는 장치는 사회 전반적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장치는 항상 예상하지 못한 고장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경우 예상하지 못한 고장으로 인해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이상이 발생하면 모터 제어 장치는 MCU를 리셋 시키거나 MCU를 페일 세이프(fail safe) 상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운영 방식에 따를 때 외부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모터 제어 장치는 현재 MCU의 상태와 상관 없이 MCU를 턴 온(turn on) 시키기 때문에 이상이 발생한 MCU에 대해 반복적인 리셋이 수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MCU 등의 핵심 부품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반복적 리셋 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가 요구된다.
본 개시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불필요한 반복적 리셋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상위 제어기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및 상기 PMIC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MIC는 제 1 시간 이상 제 1 전압 이상을 연속해서 수신하면 상기 MCU에 턴 온(turn on)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는 상기 제 1 시간의 2 배보다 작고 상기 제 1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제 2 시간 동안 상기 제 1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전압을 유지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MIC는 상기 MCU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와치독(watch do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MIC는 상기 MCU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MCU에 파워 리셋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MCU는 상기 파워 리셋 신호를 수신한 경우 페일 세이프(fail safe)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MIC는 상기 MCU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MCU에 상기 파워 리셋 신호를 3차례 이상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는 상기 페일 세이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은 상위 제어기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PMIC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상기 PMIC에 연결된 MCU를 턴 온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 3 측면은 제 2 측면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MCU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MCU에 대한 리셋이 수행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반복적 리셋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가 상위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가 게이트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가 PMIC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와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필터가 필터링을 수행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가 인에이블 신호와 웨이크 업 신호를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를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가 턴 온을 인식하기 위한 구체적인 스펙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가 MCU를 턴 온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가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 장치(100)는 필터(110),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120), MCU(Micro Controller Unit)(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모터 제어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제어 장치(100)는 MCU(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될 수 있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MCU(100)가 메모리에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MCU(100)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MCU(100)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제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내부 모듈과도 정해진 규약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제어 장치(100)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버스 또는 LIN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제어 장치(1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상위 제어기(1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110)는 상위 제어기(140)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11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를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수신하여,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은 변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PMIC(120)는 필터(110)로부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PMIC(120)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MCU(130)로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PMIC(120)는 MCU(130)에 이상이 있는 경우, MCU(130)에 리셋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MIC(120)는 MCU(130)에 이상이 있는 경우, MCU(130)에 리셋 신호를 3회에 걸쳐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MCU(130)는 PMIC(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CU(130)는 전체적인 모터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PMIC(120)는 전력과 관련된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가 게이트 드라이버(210)를 이용하여 모터(220)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 장치(100)는 필터(110), PMIC(120), MCU(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 게이트 드라이버(210)는 모터(220)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220)는 동력을 바퀴나 축 등에 제공할 수 있으며, MCU(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10)는 모터(220)를 구동할 수 있으며, 게이트 드라이버(210)는 MCU(130)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MCU(130)는 모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110)는 상위 제어기(140)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11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를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수신하여,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11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하기 때문에, PMIC(120)는 정해진 횟수(예: 1회)만큼만 턴 온 신호를 MCU(130)에 인가할 수 있다.
만약 필터(110)가 없다면, PMIC(12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PMIC(120)가 수신하는 신호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이기 때문에, MCU(130)에 반복적으로 턴 온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만약 MCU(130)에 이상이 있는 상황이라면 기설정 프로세스에 따라 페일 세이프 모드로 동작 중일 수 있다. 그러나,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수신되는 웨이크 업 신호는 MCU(130)의 상황과 무관하게 수신되기 때문에, PMIC(120)는 MCU(130)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반복적으로 MCU(130)에 턴 온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110)가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하기 때문에, PMIC(12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정해진 횟수(예: 1회)만큼만 턴 온 신호를 MCU(130)에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PMIC(120)는 제 1 시간 이상 제 1 전압 이상을 연속해서 수신하면 MCU(130)에 턴 온(turn on) 신호를 송신하고,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는 제 1 시간의 2 배보다 작고 제 1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제 2 시간 동안 제 1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가 모터 제어장치(100)로 인가되는 경우에도, MCU(130)는 1회 만 턴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반복적인 리셋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110)는 노치 필터(Notch Filter)일 수 있다. 노치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성분만을 제거하는 필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PMIC(120)는 MCU(1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와치독(watch dog)(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와치독은 MCU(130)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PMIC(120)와 공유할 수 있다. PMIC(120)는 MCU(13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MCU(130)에 파워 리셋 신호를 송신하고, MCU(130)는 파워 리셋 신호를 수신한 경우 페일 세이프(fail safe)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파워 리셋 신호는 리셋 신호의 일종으로서, 파워에대한 리셋을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PMIC(120)는 MCU(13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MCU(130)에 파워 리셋 신호를 3차례 이상 송신할 수 있다. PMIC(120)는 MCU(13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MCU(130)에 파워 리셋 신호를 3차례 이상 송신함으로써, MCU(130)가 확실히 리셋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MCU(130)는 페일 세이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CU(130)는 페일 세이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모터(22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MCU(130)는 페일 세이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MCU(13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필터는 웨이크 업 신호를 상위 제어기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드라이버(210) 및 모터(220)는 모터 제어 장치(100)의 구성이 아니라고 이해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를 때 게이트 드라이버(210) 및 모터(220)는 모터 제어 장치(100)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110)가 PMIC(12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필터(110)는 노치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이그니션(ignition) 신호(310) 및/또는 웨이크 업 신호(320)를 수신할 수 있다. 이그니션 신호(310) 및 웨이크 업 신호(32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모터 제어 장치(100)는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그니션 신호(310) 및 웨이크 업 신호(320)는 모터 제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이크 업 신호(320)는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인히비트(HNHIBIT)는 상위 제어기(140)가 PMIC(120)로 신호를 전달하는 루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110)(예: 노치 필터)는 인히비트(HNHIBIT)와 PMIC(120)의 웨이크 업 수신 노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110)는 PMIC(120)의 웨이크 업 수신 노드로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420)와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43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터(110)는 외부(예: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420)를 수신하여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430)로 필터링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11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420)를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수신하여,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430)로 필터링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42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이지만 필터링(110)에서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430)로 변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필터(510)가 필터링을 수행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6[V]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최초에 매우 짧은 시간 동안 Vout의 전압이 급격하게 증가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출력 신호가 획득될 수 있다. 필터(510)는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 값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V]이상의 출력 신호가 획득되는 시간이 0.210[msec]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100)가 인에이블 신호와 웨이크 업 신호를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제 1 노드(615)로 수신하는 제 1 신호(610)와 제 2 노드(625)로 수신하는 제 2 신호(620)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제어 장치(100)는 제 1 노드(615)로 수신하는 제 1 신호(610)에 대해서는 기설정 시간 내에 기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턴 온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터 제어 장치(100)는 제 2 노드(625)로 수신하는 제 2 신호(620)에 대해서는 기설정 값 이상의 신호가 기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턴 온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제 1 노드(615)로 수신하는 신호는 이그니션 신호(310)이고, 제 2 노드(625)로 수신하는 신호는 웨이크 업 신호(320)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100)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를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모터 제어 장치(100)는 기설정 값 이상의 신호가 기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710) 턴 온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터 제어 장치(100)는 기설정 값 이하의 신호가 기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720) 턴 오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100)가 턴 온을 인식하기 위한 구체적인 스펙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턴 온을 인식하기 위한 구체적인 스펙의 일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면, 모터 제어 장치(100)는 0.04[msec]이상의 시간 동안 기설정 값 이상의 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턴 온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모터 제어 장치(100)가 MCU(130)를 턴 온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9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상위 제어기(140)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모터 제어 장치(100)는 CAN 통신을 통해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위 제어기(140)는 현재 모터 제어 장치(100)의 상황(예: MCU(130)에 이상이 발생한 상황)과 상관 없이 웨이크 업 신호를 모터 제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한다.
모터 제어 장치(100)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웨이크 업 신호를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인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의 일 예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PMIC(120)에 인가한다. 모터 제어 장치(100)는 단계 S910에서 상위 제어기(140)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고, 단계 S920에서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하고, 단계 S930에서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모터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PMIC(120)에 인가할 수 있다.
단계 S94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PMIC(120)에 연결된 MCU(130)를 턴 온한다. 이 때,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는 기설정 값 이상으로 기설정 시간 이상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모터 제어 장치 110: 필터
120: PMIC 130: MCU
140: 상위제어기 210: 게이트 드라이버
220: 모터

Claims (11)

  1. 상위 제어기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및
    상기 PMIC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고,
    상기 PMIC는 제 1 시간 이상 제 1 전압 이상을 연속해서 수신하면 상기 MCU에 턴 온(turn on)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는 상기 제 1 시간의 2 배보다 작고 상기 제 1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제 2 시간 동안 상기 제 1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전압을 유지하는 신호인, 모터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하는, 모터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MCU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와치독(watch dog)을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MCU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MCU에 파워 리셋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MCU는 상기 파워 리셋 신호를 수신한 경우 페일 세이프(fail safe) 상태로 진입하는, 모터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MCU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MCU에 상기 파워 리셋 신호를 3차례 이상 송신하는, 모터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페일 세이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모터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모터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10. 상위 제어기가 송신하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를 PMIC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상기 PMIC에 연결된 MCU를 턴 온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는 제 2 시간동안 제 1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전압을 유지하는 신호인, 모터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제 1 시간 이상 상기 제 1 전압 이상을 연속해서 수신하면 상기 MCU에 턴 온(turn on)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연속적인 하이 신호인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기설정 시간 경과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인 상기 필터링된 웨이크 업 신호로 필터링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의 2 배보다 작고 상기 제 1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모터 제어 방법.
KR1020240047258A 2019-01-04 2024-04-08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40054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7258A KR20240054930A (ko) 2019-01-04 2024-04-08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92A KR102656975B1 (ko) 2019-01-04 2019-01-04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40047258A KR20240054930A (ko) 2019-01-04 2024-04-08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92A Division KR102656975B1 (ko) 2019-01-04 2019-01-04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930A true KR20240054930A (ko) 2024-04-26

Family

ID=716035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92A KR102656975B1 (ko) 2019-01-04 2019-01-04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40047258A KR20240054930A (ko) 2019-01-04 2024-04-08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92A KR102656975B1 (ko) 2019-01-04 2019-01-04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6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636B1 (ko) * 2021-12-09 2024-01-08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모터 구동 장치 및 그 초기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596A (ja) 2001-10-12 2003-04-25 Omron Corp 駆動装置
EP2342812B1 (en) * 2008-10-10 2012-08-08 Ideassociates (IOM) Limited A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chanically commutated electri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399A (ko) 2020-07-15
KR102656975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4930A (ko)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JP5164806B2 (ja) 車両用通信制御装置
JP2019536215A (ja) バッテリーパック管理装置
US10038427B2 (en) Power path switching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ging ports
US10763755B2 (en) Symmetrical isolated DC-DC power conversion circuit
JP2017208968A (ja) 電圧変換装置
DE102020124098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physikalischen Downlink-Steuerungskanals
CN113765340A (zh) 电源控制装置、驱动模块及开关电源装置
EP353466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JP5654418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2635498B1 (ko)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48192B2 (en) Quasi-resonant operation of a power conversion circuit including switches symmetrically arranged about a transformer
US2008028880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200042480A (ko) 충전 방법, 단말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20200030152A (ko)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001937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est Case for Vehicle
US20220006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EP275026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60972A1 (en) Semiconductor device, power-suppl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6662151B2 (ja) Dc/dc変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dc/dc変換装置の制御方法
KR102648326B1 (ko)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3459887B (zh) 双向充电系统及相关装置
US2017021256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same, and storage medium
CN205231794U (zh) 车载无双模无线充电装置
CN114114972B (zh) I/o控制系统及其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