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119A -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119A
KR20240049119A KR1020230013960A KR20230013960A KR20240049119A KR 20240049119 A KR20240049119 A KR 20240049119A KR 1020230013960 A KR1020230013960 A KR 1020230013960A KR 20230013960 A KR20230013960 A KR 20230013960A KR 20240049119 A KR20240049119 A KR 20240049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amera
subject
triangular plat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룸기술
Priority to KR102023001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119A/ko
Publication of KR2024004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진단 및 점검시 활용되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 탐촉부(25)가 장착된 경사봉(20)을 삼각판(10)의 각 꼭지점 부위에 설치하고, 삼각판(10) 중심부에 투시공(15)을 형성하여, 삼각판(10) 배면에 장착되는 스마트폰(40) 카메라의 렌즈(41)가 투시공(15)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하되, 각각의 경사봉(20)이 스마트폰(40) 카메라의 시준선(視準線)과 일정한 경사각(θ)을 이루면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40) 카메라의 화각(畵角)을 잠식하지 않으면서도 촬영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피검체에 대한 점검원의 직접 근접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간편하고 정밀하며 정확한 촬영이 가능할 뿐 아니라, 획득된 영상내 피사체의 정확한 치수를 파악할 수 있어, 구조물 진단 및 점검에 있어서 촬영 영상의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으며, 촬영용 보조 장치의 구성으로 인한 촬영 영상의 잠식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EXACT SCALE TYPE CAMERA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진단 및 점검시 활용되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 탐촉부(25)가 장착된 경사봉(20)을 삼각판(10)의 각 꼭지점 부위에 설치하고, 삼각판(10) 중심부에 투시공(15)을 형성하여, 삼각판(10) 배면에 장착되는 스마트폰(40) 카메라의 렌즈(41)가 투시공(15)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하되, 각각의 경사봉(20)이 스마트폰(40) 카메라의 시준선(視準線)과 일정한 경사각(θ)을 이루면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40) 카메라의 화각(畵角)을 잠식하지 않으면서도 촬영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조물에 대한 촬영은 안전 진단 및 점검 등에 있어서 기초적으로 우선 수행되는 작업으로서, 피검체에 형성된 변형 및 열화 상태는 물론, 균열 또는 표층부 박리, 박락 등 외관상 확인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을 파악하고 기록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기술의 발전으로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가 소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 구조물 촬영에 있어서도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고소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협소 구간 등 점검원의 직접 접근이 곤란한 피검체에 대한 근접 촬영을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근접 촬영 보조형 구조물 촬영장치는 주로 봉체의 말단부에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형태를 가지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157308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157308호를 비롯한 종래의 근접 촬영 보조 장치를 통하여, 점검원의 직접 근접이 곤란한 고소 또는 협소 구조물에 대한 용이하고 안전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촬영 지점에 대한 점검원의 직접 확인은 물론 촬영 상황 전반에 대한 실질적 통제에 상당한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어, 촬영된 영상정보의 활용도 역시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즉, 점검원이 피검체에 직접 근접하여 소지하고 있는 카메라로 직접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피사체인 피검체를 촬영함과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피검체에 형성된 균열, 변형, 열화, 박리 또는 박락 등의 실제 치수를 직,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치수가 표시된 촬영용 대조자를 피사체 표면에 부착할 경우 촬영만으로 정밀한 치수를 획득할 수 있는 반면, 직접 접근이 제한된 상태에서 특허 제2157308호 등의 보조 장치를 활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실제 치수는 물론 개략적인 치수조차도 확보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특허 제2157308호 등의 보조 장치가 카메라를 피검체에 근접시키는 기능에 치중할 뿐, 카메라와 피사체간 거리인 촬영거리를 획득하거나 유지하는 등의 기능이 전무한 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점검원의 근접이 불가능하여 촬영용 대조자를 부착 내지 거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개략적인 촬영거리조차 확인할 수 없는 종래기술에서는 피검체에 형성된 균열, 변형, 열화, 박리 또는 박락 등의 실제 치수를 전혀 파악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점검원의 근접이 불가능한 조건에서 보조 장치를 활용한 촬영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촬영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한 상태에서 피검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획득된 영상내 피사체의 정확한 치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에 있어서도 보조 장치의 구성으로 인하여 일체의 영상 잠식이 초래되지 않도록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 진단용 촬영장치에 있어서, 연장봉(50)의 상단에는 삼각판(10)이 설치되고, 삼각판(10)의 전체 꼭지점 부위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봉(20)이 각각 형성되며, 전체 경사봉(20)의 선단에는 탐촉부(25)가 장착되고, 삼각판(10)의 중심부에는 투시공(15)이 절개형성되며, 삼각판(10)의 배면에는 스마트폰(40)이 장착되어 스마트폰(40)의 카메라 렌즈(41)가 투시공(15)을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고, 경사봉(20)은 스마트폰(40) 카메라의 시준선(視準線)과 경사각(θ)을 이루면서, 각각의 경사봉(20)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연장봉(50)의 하부에는 상기 탐촉부(25) 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부(63)가 장착된 콘트롤러(60)가 설치되어, 탐촉부(25) 전체가 피사체 표면에 접촉되면 출력부(63)가 가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삼각판(10)의 전체 꼭지점 부위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케이싱(22)이 설치되고, 케이싱(22)에는 경사봉(20)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경사봉(20)의 외주면에는 신축돌부(21)가 형성되고 케이싱(22)에는 다수의 걸림공(23)이 천공되어, 신축돌부(21)가 걸림공(23)에 결합됨에 따라 경사봉(20)이 케이싱(22)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탐촉부(25)의 선단에는 암나사인 결합공(26)이 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결합공(26)에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확장봉(29)이 경사봉(20)과 동축(同軸)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피검체에 대한 점검원의 직접 근접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간편하고 정밀하며 정확한 촬영이 가능할 뿐 아니라, 획득된 영상내 피사체의 정확한 치수를 파악할 수 있어, 구조물 진단 및 점검에 있어서 촬영 영상의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으며, 촬영용 보조 장치의 구성으로 인한 촬영 영상의 잠식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점검원의 근접이 곤란한 고소 또는 협소 구조물에 대한 촬영에 있어서도 피사체와 대물렌즈간 거리인 촬영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촬영할 수 있으므로, 획득된 영상내 균열, 열화, 박리 또는 박락 부위의 정확한 치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조물 외관 검사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관련 업무 수행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사봉 설치 상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사봉 경사각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축소형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방식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케이싱 적용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확장봉 적용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 및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상 우측에는 본 발명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좌측에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정면이란 피사체를 향하는 면이고, 배면이란 사용자를 향하는 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연장봉(50)의 상단부에 촬영 수단이 구성된 장치로서, 고소 구조물 또는 협소 구조물 등 점검원의 직접 근접이 불가능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보조 및 지원하는 장치이며, 연장봉(50)의 하단부를 점검원이 파지한 상태에서 연장봉(50) 상단의 촬영 수단을 원격 조작하여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구조물 촬영장치인 본 발명은 삼각판(10), 연장봉(50), 스마트폰(40) 및 콘트롤러(60) 등으로 구성되는데,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연장봉(50)의 상단에는 삼각판(10)이 설치되고, 삼각판(10)의 전체 꼭지점 부위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봉(20)이 각각 형성되며, 전체 경사봉(20)의 선단에는 탐촉부(25)가 장착된다.
경사봉(20)의 선단에 설치되는 탐촉부(25)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경사봉(20) 선단의 피사체 표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탐촉부(25)의 구체적인 예로는 푸시스위치(push switch)를 들 수 있으며, 푸시스위치인 탐촉부(25)가 피검 구조물인 피사체 표면에 접촉됨에 따라 탐촉부(25)가 압입 후퇴됨으로써 통전(通電) 내지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삼각판(10)의 중심부에는 투시공(15)이 절개형성되며, 삼각판(10)의 배면에는 스마트폰(40)이 장착되어 스마트폰(40)의 카메라 렌즈(41)가 투시공(15)을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고, 연장봉(50)의 하부에는 상기 탐촉부(25) 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부(63)가 장착된 콘트롤러(60)가 설치되어, 탐촉부(25) 전체가 피사체 표면에 접촉되면 출력부(63)가 가동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정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삼각판(10)의 꼭지점 부위 3개소에는 각각 동일한 형태 및 길이의 경사봉(20)이 삼각판(10)과 경사를 이루며 외측으로 확대되는 방향으로 전방 돌출되어 결합되는데, 이들 경사봉(20) 결합부의 중심점 역시 삼각판(10)상에서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게 되며, 전체 경사봉(20)의 선단에는 역시 동일한 형태 및 구조의 탐촉부(25)가 장착되어 탐촉부(25)가 피사체에 접촉되면 통전(通電) 등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삼각판(10)의 꼭지점 부위 3개소에 각각 설치되는 경사봉(20)은 스마트폰(40) 카메라의 시준선(視準線)과 일정한 경사각(θ)을 이루면서, 각각의 경사봉(20)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봉(20) 및 탐촉부(25)로 구성되는 거리 유지 관련 구성이 스마트폰(40) 카메라의 화각(畵角)(A)을 일체 침범하지 않게 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삼각판(10)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직선으로서 도면상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스마트폰(40) 카메라의 시준선과, 탐촉부(25)의 선단과 시준선을 연결하는 선분인 도면상 점선으로 표시된 선분을 동시에 포함하는 평면은 각 경사봉(20) 당 1개가 존재할 수 있는데, 도면상 탐촉부(25) 선단과 시준선을 연결하는 선분이 시준선을 중심으로 등각(等角)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평면을 방사평면이라 하면, 각 경사봉(20)별 방사평면은 전술한 시준선 및 도면상 점선은 물론 당해 경사봉(20)의 중심선도 포함하게 된다.
전술한 경사봉(20)의 경사각(θ)은 도 4 및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경사봉(20)의 중심선과 도면상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당해 경사봉(20)의 방사평면상 시준선의 평행선간 사이각으로서, 이 경사각(θ)은 스마트폰(40) 카메라 화각(A)의 1/2로 설정되며,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경사봉(20) 및 탐촉부(25) 관련 구성이 스마트폰(40) 카메라의 화각(A)을 일체 침범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사봉(20) 등 구성의 화각(A) 이탈을 통하여, 경사봉(20) 등 구성이 스마트폰(40) 카메라의 화각(A)을 침범하여 촬영 영상을 잠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촬영 영상의 충실한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봉(20)이 연장되여 촬영거리가 확대되고 영상내 피사체 표면적도 확대되는 경우에도 경사봉(20) 등의 구성이 화각을 일체 침범하지 않게 된다.
도 5의 상부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봉(20)이 삼각판(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순 돌출되는 경우, 경사봉(20)의 확대에 따라 경사봉(20)이 화각을 침범하여 촬영 영상을 잠식하게 되나, 화각(A)의 1/2에 해당하는 경사각(θ)이 경사봉(20)에 형성될 경우, 경사봉(20)의 중심선과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각(A) 외곽선이 평행을 이룸에 따라, 경사봉(20)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일체의 화각(A) 침범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화각(A) 보장 효과를 통하여 도 5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봉(20)의 화각(A) 외곽 근접 및 삼각판(10)의 축소가 가능하며, 이로써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 적용 촬영장치를 획기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이렇듯, 도 6에서와 같이, 구조물 촬영장치를 소형화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상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피검 구조물의 협소 부위에 대한 용이한 촬영장치 투입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 진단 또는 점검에 있어서 외관 조사상 피검체인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스마트폰(40)에 자체 장착된 카메라가 적용되는데,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40)은 구조물 외관 조사상 요구되는 해상도 및 감도 등의 영상 품질을 충족할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가 내장될 뿐 아니라,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기본 탑재되어 리모컨(49)을 통한 원격 조작 역시 용이하고, 자체 디스플레이를 통한 촬영 영상의 즉각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영상 정보의 저장 및 타 정보기기로의 전송 역시 용이하므로 스마트폰(40) 적용을 통하여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제작함에 있어서 별도의 전용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경우를 상정하면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시판 스마트폰(40)을 활용함으로써 제조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마트폰(40)은 평상시 일상 생활에서 빈번하게 활용되는 정보기기인 바, 사용자의 조작 편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폰(40)은 삼각판(10) 배면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연장봉(50)의 상단 또는 삼각판(10)의 배면에 홀더(30)를 장착하고 이 홀더(30)에 스마트폰(40)을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점검원이 소지한 스마트폰(40)을 구조물 촬영시 홀더(30)에 장착하여 활용하는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촬영장치는 도 7에서와 같이, 피사체 표면에 경사봉(20) 선단의 탐촉부(25) 전체가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동 도면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피사체의 실제 치수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이는 3점 접점을 형성하는 탐촉부(25) 전체가 피사체 표면에 접촉됨에 따라 피사체와 렌즈(41)간 거리인 촬영거리가 일정하게 설정 및 유지된 상태에서 촬영이 수행될 수 있고, 이로써 획득된 영상의 배율이 일정하게 설정 및 유지됨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피사체 표면상 3점 접점을 형성하는 3개 탐촉부(25) 전체가 접촉 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콘트롤러(60)의 출력부(63)가 가동되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리모컨(49) 등으로 스마트폰(40)을 조작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체 탐촉부(25)의 접촉 신호 발생 및 출력부(63)의 가동은 도 8에서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하여 수행 가능하다.
도 2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3개가 구성되는 탐촉부(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시스위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트롤러(60)에 구성되는 출력부(63)는 전구 또는 다이오드 등의 시각적 표시 수단 및 벨 또는 스피커 등 청각적 표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데, 전체 탐촉부(25)가 피사체 표면에 접촉되면 이들 탐촉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트롤러(60)의 출력부(63)가 발광 또는 음향을 발생하는 등의 방식으로 가동된다.
특히, 본 발명내 전기적 구성의 가장 단순한 형태의 실시예를 회로도로 예시한 도 8에서와 같이, 콘트롤러(60)에 내장된 전원부(61)와, 콘트롤러(60)에 장착된 출력부(63) 및 주스위치(65), 그리고 3개의 탐촉부(25) 전체를 모두 직렬로 연결하는 단순한 회로만으로도 전체 탐촉부(25)의 접촉에 따른 출력부(63)의 가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을 통하여, 극히 간소한 구성으로도 촬영거리를 일정하게 설정하고, 적정 촬영거리의 성립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킴으로써 정밀한 실제 치수를 추출할 수 있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경사봉(20)의 삼각판(10) 전방측 돌출 부위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촬영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로써 현장 여건 또는 진단 작업상 요구 사항에 따라 촬영 영상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우선 도 9는 삼각판(10)에 경사봉(20)을 설치함에 있어서, 경사봉(20)을 삼각판(10)에 직접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봉(20)과 동일한 경사각(θ)이 형성된 중공(中空)의 관체(管體)인 케이싱(22)을 삼각판(10)에 우선 설치하고, 이 케이싱(22)에 경사봉(20)이 삽입되도록 한 것으로, 케이싱(22)에 대한 경사봉(20)의 삽입 또는 인발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경사봉(20)의 실질 연장을 신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삼각판(10)의 전체 꼭지점 부위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케이싱(22)이 설치되고, 케이싱(22)에는 경사봉(20)이 축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경사봉(20)의 외주면에는 신축돌부(21)가 형성되고 케이싱(22)에는 다수의 걸림공(23)이 천공되어, 신축돌부(21)가 걸림공(23)에 결합됨에 따라 경사봉(20)이 케이싱(22)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봉(20)의 직경과 케이싱(22)의 내경은 상호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축돌부(21)의 직경과 걸림공(23)의 내경 역시 상호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탐촉부(25)가 푸시스위치인 점을 활용하여, 경사봉(20) 및 탐촉부(25) 자체의 위치를 변동하지 않고 탐촉부(25) 선단에 별도의 봉체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경사봉(20)의 실질 연장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탐촉부(25)의 선단에는 암나사인 결합공(26)이 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결합공(26)에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확장봉(29)이 경사봉(20)과 동축(同軸)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탐촉부(25) 및 경사봉(20) 자체에 대한 대대적인 변형 내지 개조 또는 경사봉(20)과 삼각판(10)간 결합 방식에 대한 변형 없이도 탐촉부(25) 선단부에 대한 제한적인 가공 및 지극히 단순한 봉재의 도입만으로 경사봉(20)의 실질 연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길이의 확장봉(29)을 교체 적용함으로써 촬영거리에 대한 간편하고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듯, 경사봉(20)의 삼각판(10) 전방측 연장을 조절함으로써, 촬영거리의 상황별 조절 및 촬영 영상의 배율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물 외관 조사에 있어서 본 발명 촬영장치 적용처를 확대할 수 있으며, 획득한 영상의 활용도도 제고할 수 있다.
10 : 삼각판
15 : 투시공
20 : 경사봉
21 : 신축돌부
22 : 케이싱
23 : 걸림공
25 : 탐촉부
26 : 결합공
29 : 확장봉
30 : 홀더
40 : 스마트폰
41 : 렌즈
49 : 리모컨
50 : 연장봉
60 : 콘트롤러
61 : 전원부
63 : 출력부
65 : 주스위치

Claims (1)

  1. 구조물 진단용 촬영장치로서, 연장봉(50)의 상단에는 삼각판(10)이 설치되고, 삼각판(10)의 전체 꼭지점 부위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봉(20)이 각각 형성되며, 전체 경사봉(20)의 선단에는 탐촉부(25)가 장착되고, 삼각판(10)의 중심부에는 투시공(15)이 절개형성되며, 삼각판(10)의 배면에는 스마트폰(40)이 장착되어 스마트폰(40)의 카메라 렌즈(41)가 투시공(15)을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고, 경사봉(20)은 스마트폰(40) 카메라의 시준선(視準線)과 경사각(θ)을 이루면서, 각각의 경사봉(20)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연장봉(50)의 하부에는 상기 탐촉부(25) 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부(63)가 장착된 콘트롤러(60)가 설치되어, 탐촉부(25) 전체가 피사체 표면에 접촉되면 출력부(63)가 가동되는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에 있어서,
    탐촉부(25)의 선단에는 암나사인 결합공(26)이 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결합공(26)에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확장봉(29)이 경사봉(20)과 동축(同軸)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KR1020230013960A 2022-10-07 2023-02-01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KR20240049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960A KR20240049119A (ko) 2022-10-07 2023-02-01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582A KR102527141B1 (ko) 2022-10-07 2022-10-07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KR1020230013960A KR20240049119A (ko) 2022-10-07 2023-02-01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82A Division KR102527141B1 (ko) 2022-10-07 2022-10-07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119A true KR20240049119A (ko) 2024-04-16

Family

ID=861434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82A KR102527141B1 (ko) 2022-10-07 2022-10-07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KR1020230013960A KR20240049119A (ko) 2022-10-07 2023-02-01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82A KR102527141B1 (ko) 2022-10-07 2022-10-07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71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71B1 (ko) * 2020-01-20 2020-08-31 주식회사 장수티엔시 부단수 시공을 위한 내시경 장치
KR102165782B1 (ko) * 2020-05-29 2020-10-14 (주)한국건설안전진단 안전진단용 휴대용 구조물 균열 계측장치
KR102234863B1 (ko) * 2020-06-26 2021-04-05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 폭 측정장치
KR20220129162A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구조물의 타음 분석시스템
KR102331285B1 (ko) * 2021-09-14 2021-12-01 주식회사 지스콥 전극간 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비파괴 검사 장치용 자화 전극 장치
KR102456564B1 (ko) * 2022-07-21 2022-10-24 (주)창성시설기술단 촬영거리 고정형 구조물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141B1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8918B1 (en) Mounting device for a camera with automatic exposure mode to an optical system
JP5487162B2 (ja) 内視鏡
JP2008089671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11166756A (ja) 撮影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JP2016057602A (ja) 撮影器具及びパノラマ撮影装置
KR20240012997A (ko) 촬영거리 고정형 구조물 촬영 장치
JP2007304124A (ja) カメラおよび指標体
KR20240049119A (ko)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WO2013161250A1 (ja) ストロ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CN108093156B (zh) 图像拍摄装置
KR20240049120A (ko) 구조물 진단용 탐촉형 촬영장치
KR102456561B1 (ko) 촬영거리 설정형 구조물 촬영 장치
JP2005278134A (ja) 携帯電話用の接写装置
KR20100079660A (ko) 무선 디지털현미경
JP2009130526A (ja) 撮像装置
JP2016109824A (ja) 撮像システム、照明装置および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5070300A (ja) 撮影システム
JPH0715383B2 (ja) 空洞内撮影方法および空洞内撮影装置
JP2011142491A (ja) モニター画面観察用ビュアー
JPWO2004080062A1 (ja) 機械的または電子的なファインダー機構を有しないカメラ
JP2008129402A (ja) カメラ
JP2019113718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377199U (en)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position of image pickup unit
KR100829155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고배율 영상 장치
CN116828275A (zh) 一种支撑座、摄像头模组、图像获取装置及功能设备